다시 살고 싶은 날-최성필 시집 (포엠포엠)
섬세하면서 열정적인 이미지가 돋보이는 최성필 시인의 시집 『다시 살고 싶은 날』. 지나쳐버린 시간들에 대한 아쉬움과 쓸쓸함이 동시에 나타나는 시편들을 만나볼 수 있다.
시인의 말 ── 5 1부 우야꼬 ── 14 모란꽃 ── 16 아름다운 야외 목욕탕 ── 18 검정 고무신 진짜 타이어표 ── 20 다시 살고 싶은 날·Ⅰ ── 22 봄소풍 ── 24 박꽃 ── 26 여름 산길 ── 27 어느 해 여름 휴일 ── 28 최고 요리사 우리엄마 ── 30 고향의 봄 ── 32 숨바꼭질 ── 34 내도 니도 구명조끼는 없다 ── 36 정 ── 38 원추리 ── 40 내가 있고 니가 있고 ── 41 서러움에 ── 42 가을의 추억 ── 44 2부 가을소풍 ── 48 휴교 ── 50 고향의 한여름 밤 ── 52 수많은 이별 ── 54 봄 ── 56 다시 살고 싶은 날·Ⅱ ── 57 초록의 유월에 ── 58 꿈이었나 ── 60 2013년 참새 ── 62 8월에 ── 64 내 고향의 추석 ── 66 봉답물 지키기 ── 68 어느 날 ── 70 새 ── 72 번데기 ── 74 나무하기·Ⅰ ── 76 봄밤 ── 79 꾀꼬리 ── 80 3부
수제비 ── 84 타향 ── 86 다시 갈 수 없는 날 ── 89 약초밭 ── 92 소 먹이기 ── 94 어머니 ── 97 여우비 ── 102 벚꽃나무 ── 104 다시 살고 싶은 날·Ⅲ ── 106 산다화 ── 107 더 텅 빈 날 ── 108 가을 하늘 ── 109 눈을 감고 ── 110 진달래 꽃 ── 112 밤비 ── 114 언제나 그리워라 ── 116 보리타작 ── 118 틀니 ── 120 돌아갈 수 없는 길가에 주저앉아 ── 122 4부
이승을 남겨두고 ── 127 통학 ── 128 괴나리봇짐 ── 130 다시 살고 싶은 날·Ⅳ ── 132 석양 ── 134 그대 ── 136 감꽃의 추억 ── 137 내가 정한 친정집 ── 138 아들 ── 140 재래시장 뒷골목 길 ── 142 닭 잡는 날 ── 144 11월의 단풍 ── 146 가을 ── 148 할머니 ── 149 돌담 ── 150 우리 동네 가을 ── 153 참깨밭 ── 154 나무하기·Ⅱ ── 156 5부 논고동 ── 160 다시 살고 싶은 날·Ⅴ ── 162 비온 뒤 ── 163 제비 ── 164 그냥 가는 곳 ── 166 꿈 ── 168 매미 ── 170 빨간 돈주머니 줍던 날 ── 172 복숭아 ── 174 완두콩 ── 177 라일락 꽃 ── 178 봄의 씨앗 크로커스 ── 180 송아지 ── 182 돌아서면 남 ── 184 시 ── 185 보리논 김매기 ── 186 꽃샘추위 ── 188 ■작품 해설 | 발화되기 시작한 새싹의 숨결 ─ 이철경(시인·문학평론가) / 192
출판사 서평
감추어오던 삶의 각질을 ‘다시 살고 싶은 날’을 통해 벗겨내고 여유를 뿜어내는 지극히 자연스러운 덕목
섬세하면서 열정적인 이미지가 돋보이는 최성필 시인의 작품들에선 지나쳐버린 시간들에 대한 아쉬움과 쓸쓸함이 동시에 나타나고 있다. 또한 생명력 있는 들꽃처럼 편안하게 포착된다. 매끄럽게 정제시키지 않고 묵은 장독에서 오랜 숙성과정을 거친 장처럼 깊은 우리서정의 맛을 내고 있다. ‘통학’ ‘닭 잡는 날’ ‘재래시장 뒷골목 길’ ‘검정 고무신 진짜 타이어표’ 등 여러 작품에서 자신의 경험에 의해 독자에게 아리한 아날로그적 감성을 건드려주는 것은 또 다른 정겨움을 느끼게 한다. 그동안 여성의 치열한 여정을 살아오면서 가볍지 않은 깨달음을 보여주기도 하고 자기 자신에게 회귀하는 꿈을 꾸며 긴밀히 독자에게 다가서고 있는 중일 것이다. 시는 깨달음이고 삶이다. 지나온 시절의 꿈에 비해 한낱 초라하게 느껴지기까지 하는 자신의 존재에 대해 하염없이 바라보며 쓸쓸함을 소중하게 받아들이는 초월적 자세는 오히려 연민을 느끼게 한다. 첫 시집을 내기까지 오랜 시간, 감추어오던 삶의 각질을 ‘다시 살고 싶은 날’을 통해 벗겨내고 여유를 뿜어내는 것은 지극히 자연스러운 덕목으로 보인다. ― 한창옥(시인. 『포엠포엠』 발행인)
유년의 세계를 정밀하게 응시하는 의식과 섬세한 감각
최성필 시인의 시는 ‘보는 법’과 바라보는 자의 나지막한 목소리를 지녔고, 낯익고 평범한 세계의 일상적 기억 속에서 의미를 기다리는 자의 구도求道를 지녔다. 그의 시편들을 채우고 있는 오래 된 일상적인 기억의 편린들은 모두 하나같이 침묵이 깊게 서려있는 대상들이다. ― 이석 (문학평론가)
[ⓒ 뉴욕코리아(www.newyorkkorea.net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ntact Us : 고객문의센터, Tel: 대표 201-674-5611
E-mail: newyorkkorea77@gmail.com, newyorkkorea@naver.com, 빠른카톡상담ID : newyorkkorea
미국최대 대표포털 뉴욕코리아는 미국법률변호사고문 및 미국저작권법의 보호를 받고 있으며, 컨텐츠 및 기사의 무단 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
Copyright (c) New York Korea, INC. News Media Group in US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