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코리아    SF    Boston    Washington D.C    Chicago    Atlanta    Canada
NewsLife InfoRealtySell & BuyJobsHealthCultureFood/TourIssueYellowPageShopping
회원가입 아이디/비밀번호찾기
Health
건강상담
닥터건강상담QA
병원정보
병원.의료뉴스공지
병원정보Q/A
응급조치 상식
의료보험 상담/정보
내과
하명진 내과칼럼
소아청소년과
이상원 소아과전문의
성형외과
이신지 성형외과칼럼
통증치료과
김치갑 통증치료칼럼
하명훈 통증재활칼럼
*통증관련 도움VOD
*치과관련 VOD
한의학/한방과
간송 한의학 칼럼
김홍순 한의학칼럼
동물병원
김기택 애완동물칼럼
안과
조민희 망막전문안과
▶추천 전문병원
★추천병원 파워리스트
추천병원탐방
병원집중탐방 인터뷰
라이프 건강
증상 관련 해법정보
웰빙 부르는건강상식
건강에 좋은추천음식
건강웰빙 운동
인체의 구조
건강정보교환해요
자유게시판
힐링 명상음악듣기
 
 
 
 
 
 
 
 
 
회원정보
닉네임
가입일 2008-07-23
등급 운영자 (1)
활동
포인트 : 0
게시물 작성수 : 0
댓글 작성수 : 0
쪽지보내기
받을아이디
제목
내용
(0/200바이트)
 
> Health > 내과 > 하명진 내과칼럼
ha.edward

하명진 내과칼럼
우울증 (Major Depression)
작성자: Dr.하명진 작성자정보 조회: 16033 등록일: 2013-04-26

 

 

우울증(Major Depression)

 

 

 

 

우울증(depression)은 현재 미국에서 1,480만명이 앓고 있으며 2020년 까지

심근경색 다음으로 불구(disability)를 초래하는 흔한 정신 질환이다. 또한 10-24세

의 사망원인중 우울증에 의한 자살이 3위를 차지할 정도로 많고 한국에서도 요사이

젊은이들의 우울증에 의한 동반 자살들이 증가하고 있다. 미국에서는 18세 이상의 6.7%에서

Major depression(주우울증)이 오며 성인의 20-25% 에서 자신의 일생중 한 번 이상

우울증이 오는 흔한 일종의 신경정신과 질병이다. Major depression을

Clinical depression(임상 우울증) 이라고 부르기도 하며 여자가

남자보다 2배 많으며 자살의 90% 정도가 우울증과 관련이 있다. 한국의 자살률이

OECD 국가중 1위 인것을 보면 요사이 한국에서의 우울증이 점점 증가 추세에

있다고 볼 수가 있고 왕따 현상, 사회성 결핍과 정서불안등으로 자살 사이트가

공공연히 SNS 에서 남발되며 우울한 사회로의 전이가 걱정 되기도 한다.

 

원인: Trigers to be depressed(우울증을 초래하는 원인들);

1: 사랑하는 자의 죽음이나 이별, 이혼, 별거 등의 가정문제 등이 원인이 된다.

2: 사회적으로 격리되거나 소외 당하는, 소위 왕따 당할 때 우울해 진다.

3: 갑작스런 생활의 변화, 예를 들면 이사를 한 후, 졸업 한 후, 직업을 바꾼 후, 은퇴 후...

4: 서로의 관계에서 개인적인 갈등이 생길 때(Personal conflicts in relationship)

5: 육체적, 성적, 감정적으로 폭행 당한 후(Physical, sexual & emotional assault)

6: 가족력이 있다.(Depression runs in family)

7: 육체적 질병; 심장마비(40-65%), Parkinson's disease & Multiple sclerosis

 (40%),Cancer(암)or Diabetes(당뇨병)환자의 25%,Coronary Artery

 Disease(심장관상동맥 질환: 18-20%) 중풍(stroke) 환자의 10-27% 환자에서

 우울증을 동반한다.

8: 마약중독이나 알콜중독 등의 substance abuse 환자의 30%가 우울증이 있다.

9: 갑상선기능저하, 폐경, 임신 등 호르몬 계통의 이상시에도 우울증이 온다.

 

증상(Symptoms of Depression by DSM-IV); 9항목중 5개 이상시 우울증이다.

1: 하루 종일 우울한 기분으로 아침이 더 심하다.(Depressed mood all day).

2: 거의 온종일 피곤하고 무기력 하다.(Fatigue & loss of energy all day).

3: 자신이 무가치하고 모든 것이 나 때문이라고 자신을 정죄한다.

4: 집중력과 결정력을 상실한다(Impaired concentration & indecisiveness).

5: 불면증이나 과수면증이 온다(Insomnia or hypersomnia).

6: 즐겁거나 좋은 것이 하나도 없다(markedly diminished interests or pleasure)

7: 죽음이나 자살에 대한 생각을 자주한다(Death or suicide thoughts).

8: 불안 초조하거나 축 처진다(Sense of restlessness or being slow down)

9: 심한 체중감소나 증가(significant weight loss or gain)가 온다.

 

상기 증상 중 각 항목마다 전혀 없으면 0점, 약간 또는 며칠마다 나타나면 1점,

반나절 또는 중간 정도의 우울증 증상은 2점,

그리고 심한 우울증 증상이거나 매일 나타나면 3점을 주어 모두 합쳐서

다음과 같이 우울증을 진단하고 치료를 한다. 특히 정상적인

생활을 할수 없을 때는 적절하게 빨리 치료하여야 한다.

 

0 - 4 : 정상으로 전혀 치료가 필요치 않다.

5 - 9 : 약한 우울증으로 Counselling(대화) &/or 항우울약 치료가 필요하다.

10-14 : 중간 우울증으로 Counselling(대화) & 항우울약 투여가 필요하다.

15-19 : 심한 우울증으로 Counselling(대화) & 항우울약 &/or 입원치료가 필요하다

20 점 이상 : Counselling+항우울약+입원치료 &/or ECT(ElectroConvulsive

Therapy: 전극을 두뇌에 연결하여 110 volt 자극으로 경련을 일으켜 기억을

상실하도록 하는 방법으로 우울증을 유발하는 슬픈 과거 기억을 잊게

하는 방법으로 최후의 치료 방법이기도 하다.

 

National Institute of Mental Health 에 의한 우울증 증세 :

1: 집중력, 기억력, 결정력 상실(difficulty concentrating & remembering,

 making decision):

2: 피곤하고 무기력하다.:

3: 자책감, 무가치함, &/or 도움을 구할 수 없다.

4: 소망없고 pessimism(염세주의)적이다.

5: 불면증과 아침 일찍 기상, 과수면증.

6: 불안, 초조(Irritable & restless);

7: 전에 좋아했던 취미, 성생활등 무관심해 진다.

8: 삶 자체가 무의미하다.

9: 과식(over eating)또는 입맛이 없다.

10:계속되는 통증, 두통, 경련, 소화불량.

11:계속 슬프고, 허전하다.

12:죽음이나 자살을 생각한다.

 

치료; Treatment of Major depression ;

1: 항우울증 약(Anti-depressant);

 a) SSRIs(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s):Serotonin 차단제;

  Celexa,Lexapro,Paxil,Prozac,Zoloft 와 2011년에 나온 Viibryd가 있다.

 b) SNRIs(Selective Serotonin & Norepinephrine Reuptake inhibitors);

  Effexor,Pristiq,Cymbalta 등이 있다.

c) TCAs(Tricyclic Anti-depressants);

  Elavil,Norpranin, Adapin, Tofranil, Pamelor, Vivactol 등이 있다.

d) Anti- Psychotic medications(항 신경정신약): Seroquel, Symbyax 가 있다.

e) Others; Wellbutrin, Remeron, Desyrel 등이 있다.

 

2: Psychotherapy(Talk therapy); stress 를 감소시키며 가족과 친구나 동료와의

 관계 개선에 도움을 주며, 다른 사람과의 대화 방법을 배우며 증상 악화시의 상황을

 배워 대처할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

a) Cognitive therapy(인지치료;우울증 원인을 알게하여 치료에 도움을 준다)

b) Behavioral therapy(행동치료법; 행위를 통해 우울증을 치료한다)

c) CBT(Cognitive behavioral Therapy); 상기 a와 b를 같이 치료한다.

d) Interpersonal Therapy; Psycho drama 처럼 자신의 우울한 모습을 연극처럼

 표현하고 실제적으로 우울을 풀어내는 실제적인 자신의 방법을 찾도록 돕는다.

e) Psychodynamic therapy; 어렸을 때의 충격을 최면 등으로 찾아내어 우울의

 원인을 찾아내어 치료하는 고전적 방법이다.

f) Individual counseling; 전문가와 1:1 로 대화를 통하여 자신의 우울증의 원인을

 서로나누며 대책을 서로 나누며 치료하는 방법으로 좋은 Counselor 가 필요하다

g) Family counseling: 가족 모두와 함께 서로 대화하며 우울증의 원인을 서로

 나누며 격려로 우울을 서로 겪어내는 치료 방법이다.

h) Group counseling; 집단 대화법으로 서로의 경험을 나누며 우울증을 이겨내는

 좋은 방법이다. 나 혼자만의 문제가 아님을 깨닫게 되고 다른 사람들의 치료를

 서로 나눔으로 좋은 결과를 볼 수도 있다.

3: ECT(ElectroConvulsiveTherapy):110 volt의 전극을 두뇌에 연결해 충격으로

 경련과 함께 과거의 모든것들을 잊게 하는 치료법으로 일반 항우울약이나

 Psychotherapy 등으로 효과가 없는 심한 우울증 환자에 마지막으로 치료한다.

 

우울증 치료시 주의할 점과 우울증 예방법;

1: 자신의 기분을 항상 되돌아 본다(Monitor your mood always)

2: 자신의 사회적 도움을 강화 시킨다(Strengthen your social support)

3: 항우울증약을 잊지말고 복용해야 한다(Stick with prescribed medicine)

4: 규칙적인 생활습관을 기른다(Develop good habits,eating,sleeping etc...)

5: 복용중인 약의 부작용을 알아둔다(Do not ignore side effects of Meds)

6: 복용약을 갑자기 중지하지 말아야 한다(Never stop Meds until MD stops it)

7: 죽음이나 자살하겠다고 생각이 자주 들거나 전에 자살 시도를 한적이 있거나

 자해할 생각이나 남을 해치고 싶은 생각들이 생기며 저돌적이 되며

 자주 자살 충동이 난다면 자살의 위험한 상태 이므로 전문가의 치료가 필수다.

8: 가장 좋은 방법은 적절한 균형된 식사(proper diet),적당한 운동,자신의 즐거움을

 위해 시간을 내어서 취미생활, 여행생활, 등산, 꽃꽂이, 등등으로 스트레스를 이기며

 친구들과 가족들과 같이 어울려 대화를 증진하며 종교에 귀의하여 영적으로

 건강한 생활하기를 추천하며 우울증을 예방하는것이 최선의 방법이다.

9: 건강식품은 St.John's wort(서양고추나무)가 효과가 있는것으로 알려져 있다.

www.drugstore.com 에서 St.John's wort 를 검색하여 구할 수도 있다.

 

도움기관(Help,resources &references);

1:hope Line Network; 1-800-suicide(784-2433) 자살예방 전화

2:national suicide prevention hot line: 1-800-273-talk(8255)자살예방 전화

3:alcoholic anonymous; 알콜 중독 ;212-870-3400

4:narcotic anonymous(마약 중독); 818-700-0700

5:abuse victim hot line(폭행피해자);877-448-8678

6:national domestic hot line(가정폭행);800-799-safe(7234)

7: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www.psych.org

8: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www.apa.org

9:depression & bipolar support alliance: www.dbsalliance.org

10:대한우울 조울병 학회; www.ksdb.or.kr 

11:한국 우울증 연구소: www.mykdi.co.kr

12: www.webmd.com  

13:대한신경정신의학회; www.knpa.co.kr

 

 

James Ha,MD

 

 

Dr.하명진(James Myungchin Ha,MD.)

 

카톨릭 의대 졸업(1977)한국의사 면허,

미국의사 면허

미국 Mt.Vernon Hospital 외과 인턴 수련

미국 병리학 전문의 (Downstate의대 부속 Brooklyn Hospital에서 해부 및 임상병리학 수련)

미국 내과학 전문의(Albert Einstein의대 부속 Flushing Hospital에서 내과 전문의 수련

현 하명진 내과 건강관리센터 원장

KAMHC(한미 기독 의료선교 협의회)뉴욕 이사

 

전: TKC TV내과 상담, 기독교TV 신앙과 건강 담당

당뇨병의 완전 정복 건강 Video 등 다수의 한국언론에 의료 칼럼 게재

CTS TV Documentary "행복"의 주인공

Tel: 718-353-5730

E-mail : jjed1975@optonline.net

 

 

 

 

 

 

 

 

 

 

[ⓒ 뉴욕코리아(www.newyorkkorea.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트위터 트위터 페이스북 페이스북
댓글 : 7
  • 진송희
    자주와서 선생님 칼럼 즐겨읽고 있습니다. 뉴욕에 온지 34년째 접어듭니다 요즘들어서 살아서 뭐하나 그런 생각이 자꾸만 드네요.선생님. 증상에서 저는 7개가 넘습니다. 자살충동은 없는데요. 제 입에 풀칠하기 벅차기만 하구요. 타인에게 상처 안주려고 무진장 노력했습니다 허덕거리고 달려오다보니 어느새 나이만 먹어버렸습니다 아침이면 이제 뭘해야하나 그런 생각이 듭니다
  • ×
    M
    2013-04-28

  • Dr.하명진
    진송희 씨 오랬만이군요.
    저도 미국 온지가 36년이 되었군요. 하지만 저도 돌아보면 미국 생활 자체가 힘든것은 마찬 가지인것 같습니다.
    이제 하믿음군의 할아버지가 되며 조금씩 내려놓음으로 자유함을 얻고 있답니다.진송희 씨도 이제 삶의 목적과 의미가 조금씩 자신이
    없어 지시는것 같습니다. 하지만 알렉산더 푸시킨의 명시처럼 삶이 그대를 속일지라도 슬퍼하거나 노하지 말라.
    우울한 날들을 견디며 믿으라. 기쁨의 날이 오리니 마음은 미래에 사는것 현재는 슬픈것...이라고 말한것 처럼 기쁜날이 올것입니다.
    예쁜 장미꽃을 지탱하는 줄기에는 날카로운 가시가 숨어 있듯이 모두 양면성이 있습니다. 우울하시다면 분명 기쁜 구석이 있다는 반증입니다.
    칸트 철학자가 인간은 장엄한 기쁨을 위하여 산다 하신것 처럼 이제 우리 장엄한 기쁨을 위하여 많은 사람들과 대화하며 대화 나누기,충분한 수면과
    ,휴식,취미와 운동,명상과 기도등으로 생각의 전환과 생활의 변화를 구해 봅시다(Change your life style). CBT(Cognitive Behavior Therapy) 즉
    우울의 원인을 인지하여 행동으로 이겨나가는 방법을 추천 합니다. 그래도 안되면 전문의에 의한 항우울약으로 효과를 보실수 있습니다.
    요사이 약들은 습관성이 없으며 중독성이 없습니다. 단지 약의 효과가 천천히 나타나는 단점이 있습니다만 순하게 부정적인 생각들을 긍정적으로
    바꾸어 준답니다. 저의 칼럼중 도움기관을 검색하셔서 도움을 받으시길 추천 합니다. 생각의 전환과 생활습관의 변화로 새로워 지시고, 기쁨을
    누리며 행복하시기를 기도 드리겠습니다. 기껏해야 죽기까지 더 하겠습니까?!! 기쁘고 좋은일로 바람??? 나세요. 하 하 하... 웃음과 함께.
  • ×
    M
    2013-04-29

  • Dr.하명진
    입에 풀칠하고 벅차신 송희씨 축복합니다. 도둑질하지 않으신 증거요,천국가실 조건이기 때문 입니다.
    김수환 추기경께서 "이 책이 아무리 무소유를 말해도 이책 만큼은 소유하고 싶다" 하신 "무소유" 의 명언을 소개 합니다.
    "사람에게도 그사람 나름의 향기가 있을 법하다.
    체취가 아닌 인품의 향기 같은것.
    그럼 나는 어떤 향기를 지녔을까 ?
    내 자신은 그걸 맡을수 없다.
    꽃이 자신의 향기를 맡을수 없듯이
    나를 가까이 하는 내 이웃들이
    내 향기를 감지 할수 있을 것이다"
    송희씨의 향기를 먼 이곳에서도 감지 합니다.
    무소유의 자유함으로 승리하시길 빕니다.
  • ×
    M
    2013-04-29

  • Dr.하명진
    입에 풀칠하고 벅차신 송희씨 축복합니다. 도둑질하지 않으신 증거요,천국가실 조건이기 때문 입니다.
    김수환 추기경께서 "이 책이 아무리 무소유를 말해도 이책 만큼은 소유하고 싶다" 하신 "무소유" 의 명언을 소개 합니다.
    "사람에게도 그사람 나름의 향기가 있을 법하다.
    체취가 아닌 인품의 향기 같은것.
    그럼 나는 어떤 향기를 지녔을까 ?
    내 자신은 그걸 맡을수 없다.
    꽃이 자신의 향기를 맡을수 없듯이
    나를 가까이 하는 내 이웃들이
    내 향기를 감지 할수 있을 것이다"
    송희씨의 향기를 먼 이곳에서도 감지 합니다.
    무소유의 자유함으로 승리하시길 빕니다.
  • ×
    M
    2013-04-29

  • Dr.하명진
    입에 풀칠하고 벅차신 송희씨 축복합니다. 도둑질하지 않으신 증거요,천국가실 조건이기 때문 입니다.
    김수환 추기경께서 "이 책이 아무리 무소유를 말해도 이책 만큼은 소유하고 싶다" 하신 "무소유" 의 명언을 소개 합니다.
    "사람에게도 그사람 나름의 향기가 있을 법하다.
    체취가 아닌 인품의 향기 같은것.
    그럼 나는 어떤 향기를 지녔을까 ?
    내 자신은 그걸 맡을수 없다.
    꽃이 자신의 향기를 맡을수 없듯이
    나를 가까이 하는 내 이웃들이
    내 향기를 감지 할수 있을 것이다"
    송희씨의 향기를 먼 이곳에서도 감지 합니다.
    무소유의 자유함으로 승리하시길 빕니다.
  • ×
    M
    2013-04-29

  • 진송희
    하명진 선생님 감사드립니다 저에게도 과연 인간다운 향기가 있을까요. 위로해주시는 말씀에 감사를 금치 못하고 있어요. 부끄럽지만 저는 이웃을 돌아보지도 못했어요. 이기적으로 저만 살았나봐요너무 부끄러워요. 좋은 일도 한번 해보지못하는사이 덜컥 나이만 먹어버렸어요 오늘아침에 보니까 나무들이 새싹을 죄다 매달고 있더라구요 봄이면 우울이 더 도지는 거 같아요 저도 손자를 보고싶은데 딸내미가 시집을 안가요 엘에이에 가서 혼자사는데 짝을 만나야 할텐데..좋으신 선생님, 못나고 부끄러운 삶을 위로해주시고 살 힘을 주시니 감사드립니다 증말
  • ×
    M
    2013-04-29

  • Dr.하명진
    진송희 씨의 겸손의 향기에 부끄럽습니다.
    제 자신이 어쩔수 없이 연약하고 죄인임을 고백합니다.
    하지만 적은 믿음으로 지금까지 지켜주심은 오직 주님의 은혜였음을 간증합니다.
    그리하곤 W.E.S.T 즉 Worship(찬양과 경배)--->Evangelistic work(전도와 선교)--->Service(봉사와 헌신)--->Teaching(제자양육)으로
    오직 주님께 영광 돌리도록 우리 서로 믿음으로,소망으로,사랑으로 항상 기뻐하며, 감사함으로,주신 은사대로 WEST 로 만사형통의 축복의 길로
    가집시다. 그리고 먼 훗날 주님으로 부터 큰 칭찬으로 상받는 천국 백성이 되시고 축복의 간증이 머지 않으시길 기도 드립니다. 할렐루야,아멘 !
  • ×
    M
    2013-04-29

  • 번호 제목 작성자 조회 등록일
    공지 [휴먼 다큐멘터리] 닥터 하명진의 "행복" 동영상 [22] 뉴욕코리아 25694 2012-06-15
    374 폐결핵 (Pulmonary Tuberculosis) Dr.하명진 21025 2012-11-05
    373 오메가 3 (Omega 3)의 효능 [2] Dr.하명진 20107 2012-11-16
    372 방광염 (Urinary Tract Infection) 68 [14] Dr.하명진 19184 2012-10-27
    371 성병 (STD;Sexually Transmitted Disease) Dr.하명진 19106 2013-04-20
    370 췌장암 (Pancreatic Cancer) [3] Dr.하명진 18709 2013-03-19
    369 구순 포진( Cold sore ) Dr.하명진 18656 2012-09-08
    368 유방암 (Breast Cancer) [1] Dr.하명진 18152 2013-02-20
    367 여행시 필요한 상비약 (Essential Meds for travel) 과 준비 사항 [6] Dr.하명진 17834 2012-11-13
    366 갑상선 암 (Thyroid Cancer) [3] Dr.하명진 17825 2013-03-02
    365 심장에 좋은 24가지 음식( 24 healthy foods for heart) [4] Dr.하명진 17345 2012-12-14
    364 흡연과 건강 (Smoking & Health) [4] Dr.하명진 17240 2012-10-25
    363 당뇨병의 완전정복 4: 투약요법 [8] Dr.하명진 17027 2012-06-24
    362 치매 (Alzheimer's Disease) [2] Dr.하명진 16731 2012-11-24
    361 림프종 (Lymphoma) Dr.하명진 16677 2013-03-30
    360 월경전 증후군 (PMS; PreMenstrual Syndrome & PMDD) Dr.하명진 16454 2012-12-03
    359 만성 피곤증 (Chronic Fatigue Syndrome) Dr.하명진 16333 2012-11-30
    358 독감과 감기 (Flu & Cold) [3] Dr.하명진 16317 2013-01-18
    357 자폐증 (Autism) [3] Dr.하명진 16301 2013-05-14
    356 [뉴스]뉴욕 맘선교회 정기모임 “하나님과 함께 동행하는 선교” -아멘넷 뉴스 Dr.하명진 16102 2017-06-06
    355 갑상선 기능 항진증 (Hyperthyroidism) [3] Dr.하명진 16072 2012-08-22
    354 폐렴 (Pneumonia) Dr.하명진 16065 2013-04-12
    353 갱년기 (폐경기:MENOPAUSE) [2] Dr.하명진 16048 2013-01-13
    우울증 (Major Depression) [7] Dr.하명진 16034 2013-04-26
    351 대장암 ( Colon Cancer) Dr.하명진 15953 2013-02-16
    350 후천성 면역결핍증 (AIDS) Dr.하명진 15924 2013-04-06
    349 노안 (Presbyopia) [2] Dr.하명진 15898 2013-07-06
    348 무병 장수법 각론 1: 건강 식이요법 [5] Dr.하명진 15861 2012-06-06
    347 뇌종양 (Brain Tumor) Dr.하명진 15664 2013-04-02
    346 손, 발톱 무좀(Onycomycosis) Dr.하명진 15636 2013-01-21
    345 식중독 (Food poisoning) [1] Dr.하명진 15536 2013-06-08
    344 고혈압 2: 최근 치료법 [1] Dr.하명진 15477 2012-06-16
    343 방광암 (Bladder Cancer) Dr.하명진 15463 2013-03-08
    342 백혈병 (Leukemia) Dr.하명진 15447 2013-03-26
    341 무병 장수 하는 법 (88-99-123) Dr.하명진 15326 2012-06-03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회원정보
    닉네임 Dr.하명진 (drjamesha)
    가입일 2008-07-23
    등급 운영자 (1)
    활동
    포인트 : 0
    게시물 작성수 : 0
    댓글 작성수 : 0
    쪽지보내기
    닉네임 Dr.하명진 (drjamesha)
    제목
    내용
    (0/200바이트)
    게시물 신고하기
    게시판 성격에 맞지 않거나 불건전한 게시물을 운영자에게 신고할 수 있습니다.
    운영자 확인 후 해당글 삭제조치 및 해당 회원에게 불이익이 갈 수 있습니다.
    허위신고시에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니 신중하게 신고해주세요.
    글 제목 우울증 (Major Depression)...
    글 작성자 Dr.하명진
    신고이유
    회사소개 | 개인정보취급방침 | 회원약관 | 고객지원센터 | 제휴 및 광고문의 | 광고안내   
     

     

    Contact Us : 고객문의센터, Tel: 대표 201-674-5611

    E-mail: newyorkkorea77@gmail.com, newyorkkorea@naver.com, 빠른카톡상담ID : newyorkkorea 

    미국최대 대표포털 뉴욕코리아는 미국법률변호사고문 및 미국저작권법의 보호를 받고 있으며, 컨텐츠 및 기사의 무단 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  

    Copyright (c) New York Korea, INC. News Media Group in US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