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정보
닉네임
가입일
2008-07-23
등급
운영자 (1)
활동
포인트 : 0 점
게시물 작성수 : 0 개
댓글 작성수 : 개
뉴욕코리아뉴스
뉴욕한인이민사박물관 개관식 개최
작성자: 조셉 리 기자
조회: 186937 등록일: 2018-03-22
<기사입력일자:2018-03-22>
뉴욕한인이민사박물관 개관식 개최
100여 년이 넘는 한인 이민 역사를 되돌아보고 후세들에게는 한인으로서의 정체성 교육의 장이 될 한인이민사박물관이 문을 열었다. 뉴욕한인회는 오늘(1일) 뉴욕한인회관 6층에 위치한 한인이민사박물관 개관식 행사를 갖고, 이를 일반에 오픈했다. 김민선 뉴욕한인회장은 “지난 시간 우리들이 살아온 이야기를 정리해서 역사로 보존할 수 있는 공간이 오늘 마련됐다”며, “아직은 부족하지만 이 공간에서 후세들이 한국인의 뿌리를 찾고 정체성을 함량하길 희망한다. 앞으로 100년, 200년 후에도 후대들과 소통할 수 있는 한인이민사박물관이 되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김 회장은 이어 “개인적으로는 임기 내 박물관을 짓겠다는 선거 공약을 지킬 수 있게 돼 기쁘게 생각한다”며, “이를 지킬 수 있게 해 준 50만 뉴욕동포들에게도 감사하다”고 인사했다. 한인이민사박물관 개관식엔 박효성 뉴욕총영사를 비롯해 그레이스 멩 연방하원의원, 일레인 필립스 뉴욕주 상원의원, 에드워드 브라운 스타인 뉴욕주 하원의원 등 정치인이 참석해 축하했다.
이날 그레이스 멩 연방하원의원은 “코리안 아메리칸인 자신의 아이들이 이런 곳에 와서 한국 문화를 배우고 즐길 수 있어서 너무나 좋다”고 말했고, 에드워드 브라운 스타인 뉴욕주 하원의원은 “한인뿐만 아니라 타민족에게도 한인이민사박물관은 시사하는 의미가 크다”며, “다른 커뮤니티에서도 이민 역사를 기억하고 경험할 수 있는 곳이 있으면 좋겠다”고 전했다. 일레인 필립스 뉴욕주 상원의원은 “이 같은 문화 유산을 지키는 일에 정부가 보다 적극적으로 지원을 해야 한다”고 의견을 말하기도 했다. 한인이민사박물관은 향후 박물관 위원회가 구성되며, 독립채산제로 운영될 계획이다.
박물관 개관 시간 월요일~금요일 오전10시~오후5시
149 W 24th Street , 6th Fl
New York ., NY 10011
<사진=뉴욕한인회>
<사진=뉴욕한인회>
[ⓒ 뉴욕코리아( www.newyorkkorea.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p>
<기사입력일자:2018-03-22></p><p><br></p><p><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 size="3"><strong><font size="6">뉴욕한인이민사박물관 개관식 개최</font></strong><br></font></p><p><font size="3"><br><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font></font></p><p style="font-weight: 400;"><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 size="3"><br></font></p><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 size="3"><p style="font-weight: 400;"><table width="300" align="left" class="left" id="community_image"><tbody><tr><td><img width="300" height="201" align="absmiddle" style="width: 516px; height: 340px;" src="/rankup_module/rankup_board/attach/noticenews/15217410331346.jpg"></td></tr></tbody></table></p><p style="font-weight: 400;"><font size="3"><br></font></p><p style="font-weight: 400;"><font size="3"><br></font></p><p style="font-weight: 400;"><font size="3"><br></font></p><p style="font-weight: 400;"><font size="3"><br></font></p><p style="font-weight: 400;"><font size="3"><br></font></p><p style="font-weight: 400;"><font size="3"><br></font></p><p style="font-weight: 400;"><font size="3"><br></font></p><p style="font-weight: 400;"><font size="3"><br></font></p><p style="font-weight: 400;"><font size="3"><br></font></p><p style="font-weight: 400;"><font size="3"><br></font></p><p style="font-weight: 400;"><font size="3"><br></font></p><p style="font-weight: 400;"><font size="3"><br></font></p><p style="font-weight: 400;"><font size="3"><br></font></p></font><p style="font-weight: 400;"><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 size="3"><br></font></p><p style="font-weight: 400;"><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 size="3"><br></font></p><p style="font-weight: 400;"><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 size="3"><br></font></p><p style="font-weight: 400;"><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 size="3"><br></font></p><p style="font-weight: 400;"><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 size="3"><br></font></p><p style="font-weight: 400;"><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 size="3">100여 년이 넘는 한인 이민 역사를 되돌아보고 후세들에게는 한인으로서의 정체성 교육의 장이 될 한인이민사박물관이 문을 열었다. 뉴욕한인회는 오늘(1일) 뉴욕한인회관 6층에 위치한 한인이민사박물관 개관식 행사를 갖고, 이를 일반에 오픈했다. 김민선 뉴욕한인회장은 “지난 시간 우리들이 살아온 이야기를 정리해서 역사로 보존할 수 있는 공간이 오늘 마련됐다”며, “아직은 부족하지만 이 공간에서 후세들이 한국인의 뿌리를 찾고 정체성을 함량하길 희망한다. 앞으로 100년, 200년 후에도 후대들과 소통할 수 있는 한인이민사박물관이 되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font></p><p style="font-weight: 400;"><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 size="3"><br></font></p><p style="font-weight: 400;"><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 size="3">김 회장은 이어 “개인적으로는 임기 내 박물관을 짓겠다는 선거 공약을 지킬 수 있게 돼 기쁘게 생각한다”며, “이를 지킬 수 있게 해 준 50만 뉴욕동포들에게도 감사하다”고 인사했다. 한인이민사박물관 개관식엔 박효성 뉴욕총영사를 비롯해 그레이스 멩 연방하원의원, 일레인 필립스 뉴욕주 상원의원, 에드워드 브라운 스타인 뉴욕주 하원의원 등 정치인이 참석해 축하했다. </font></p><p style="font-weight: 400;"><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 size="3"><br></font></p><p style="font-weight: 400;"><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 size="3">이날 그레이스 멩 연방하원의원은 “코리안 아메리칸인 자신의 아이들이 이런 곳에 와서 한국 문화를 배우고 즐길 수 있어서 너무나 좋다”고 말했고, 에드워드 브라운 스타인 뉴욕주 하원의원은 “한인뿐만 아니라 타민족에게도 한인이민사박물관은 시사하는 의미가 크다”며, “다른 커뮤니티에서도 이민 역사를 기억하고 경험할 수 있는 곳이 있으면 좋겠다”고 전했다. 일레인 필립스 뉴욕주 상원의원은 “이 같은 문화 유산을 지키는 일에 정부가 보다 적극적으로 지원을 해야 한다”고 의견을 말하기도 했다. 한인이민사박물관은 향후 박물관 위원회가 구성되며, 독립채산제로 운영될 계획이다.</font></p><p><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 size="3"> </font></p><p><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 size="3">박물관 개관 시간 월요일~금요일 오전10시~오후5시</font></p><p><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 size="3">149 W 24th Street , 6th Fl</font></p><p><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 size="3">New York ., NY 10011</font></p><p><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 size="3"><br></font></p><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 size="3"><p><p><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 size="3"><br></font></p><p><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 size="3"><사진=뉴욕한인회></font></p><p><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 size="3"><br></font></p><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 size="3"><img width="300" height="200" class="alignnone size-medium wp-image-3713" alt="" src="http://www.nykorean.org/wp-content/uploads/2018/03/H1A7748-2-300x200.jpg" sizes="(max-width: 300px) 100vw, 300px" srcset="http://www.nykorean.org/wp-content/uploads/2018/03/H1A7748-2-300x200.jpg 300w, http://www.nykorean.org/wp-content/uploads/2018/03/H1A7748-2-768x512.jpg 768w, http://www.nykorean.org/wp-content/uploads/2018/03/H1A7748-2-1024x683.jpg 1024w, http://www.nykorean.org/wp-content/uploads/2018/03/H1A7748-2-219x146.jpg 219w, http://www.nykorean.org/wp-content/uploads/2018/03/H1A7748-2-50x33.jpg 50w, http://www.nykorean.org/wp-content/uploads/2018/03/H1A7748-2-113x75.jpg 113w"><img width="300" height="200" class="alignnone size-medium wp-image-3710" alt="" src="http://www.nykorean.org/wp-content/uploads/2018/03/H1A7786-300x200.jpg" sizes="(max-width: 300px) 100vw, 300px" srcset="http://www.nykorean.org/wp-content/uploads/2018/03/H1A7786-300x200.jpg 300w, http://www.nykorean.org/wp-content/uploads/2018/03/H1A7786-768x512.jpg 768w, http://www.nykorean.org/wp-content/uploads/2018/03/H1A7786-1024x683.jpg 1024w, http://www.nykorean.org/wp-content/uploads/2018/03/H1A7786-219x146.jpg 219w, http://www.nykorean.org/wp-content/uploads/2018/03/H1A7786-50x33.jpg 50w, http://www.nykorean.org/wp-content/uploads/2018/03/H1A7786-113x75.jpg 113w"><img width="300" height="200" class="alignnone size-medium wp-image-3708" alt="" src="http://www.nykorean.org/wp-content/uploads/2018/03/H1A7856-1-300x200.jpg" sizes="(max-width: 300px) 100vw, 300px" srcset="http://www.nykorean.org/wp-content/uploads/2018/03/H1A7856-1-300x200.jpg 300w, http://www.nykorean.org/wp-content/uploads/2018/03/H1A7856-1-768x512.jpg 768w, http://www.nykorean.org/wp-content/uploads/2018/03/H1A7856-1-1024x683.jpg 1024w, http://www.nykorean.org/wp-content/uploads/2018/03/H1A7856-1-219x146.jpg 219w, http://www.nykorean.org/wp-content/uploads/2018/03/H1A7856-1-50x33.jpg 50w, http://www.nykorean.org/wp-content/uploads/2018/03/H1A7856-1-113x75.jpg 113w"><img width="300" height="200" class="alignnone size-medium wp-image-3707" alt="" src="http://www.nykorean.org/wp-content/uploads/2018/03/H1A7889-1-300x200.jpg" sizes="(max-width: 300px) 100vw, 300px" srcset="http://www.nykorean.org/wp-content/uploads/2018/03/H1A7889-1-300x200.jpg 300w, http://www.nykorean.org/wp-content/uploads/2018/03/H1A7889-1-768x512.jpg 768w, http://www.nykorean.org/wp-content/uploads/2018/03/H1A7889-1-1024x683.jpg 1024w, http://www.nykorean.org/wp-content/uploads/2018/03/H1A7889-1-219x146.jpg 219w, http://www.nykorean.org/wp-content/uploads/2018/03/H1A7889-1-50x33.jpg 50w, http://www.nykorean.org/wp-content/uploads/2018/03/H1A7889-1-113x75.jpg 113w"><img width="300" height="200" class="alignnone size-medium wp-image-3711" alt="" src="http://www.nykorean.org/wp-content/uploads/2018/03/H1A7768-300x200.jpg" sizes="(max-width: 300px) 100vw, 300px" srcset="http://www.nykorean.org/wp-content/uploads/2018/03/H1A7768-300x200.jpg 300w, http://www.nykorean.org/wp-content/uploads/2018/03/H1A7768-768x512.jpg 768w, http://www.nykorean.org/wp-content/uploads/2018/03/H1A7768-1024x683.jpg 1024w, http://www.nykorean.org/wp-content/uploads/2018/03/H1A7768-219x146.jpg 219w, http://www.nykorean.org/wp-content/uploads/2018/03/H1A7768-50x33.jpg 50w, http://www.nykorean.org/wp-content/uploads/2018/03/H1A7768-113x75.jpg 113w"><img width="300" height="200" class="alignnone size-medium wp-image-3709" alt="" src="http://www.nykorean.org/wp-content/uploads/2018/03/H1A7839-1-300x200.jpg" sizes="(max-width: 300px) 100vw, 300px" srcset="http://www.nykorean.org/wp-content/uploads/2018/03/H1A7839-1-300x200.jpg 300w, http://www.nykorean.org/wp-content/uploads/2018/03/H1A7839-1-768x512.jpg 768w, http://www.nykorean.org/wp-content/uploads/2018/03/H1A7839-1-1024x683.jpg 1024w, http://www.nykorean.org/wp-content/uploads/2018/03/H1A7839-1-219x146.jpg 219w, http://www.nykorean.org/wp-content/uploads/2018/03/H1A7839-1-50x33.jpg 50w, http://www.nykorean.org/wp-content/uploads/2018/03/H1A7839-1-113x75.jpg 113w"></font></p></font><p><br></p><p><사진=뉴욕한인회><br></p><p><br></p><p><br></p><p><span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font size="3"><span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font color="#000000" size="3">[ⓒ 뉴욕<a><a><a><a><a><a>코리아(</a></font><a><a><a><a><a><a></a><a style="color: rgb(53, 53, 53); text-decoration: none;" href="http://www.newyorkkorea.net" target="_blank"><a><a><a><a><a><a></a><font color="#000000" size="3"><a><a><a><a><a><a></a>www.newyorkkorea.net</font><font color="#000000"><font size="3"><font color="#000000">),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font></font></font></span></font></span></p><p><br></p>
번호
1031
1030
1029
1028
☞
1026
1025
1024
1023
1022
1021
1020
1019
1018
1017
1016
1015
1014
1013
1012
회원정보
닉네임
조셉 리 기자 (_admin_)
가입일
2008-07-23
등급
운영자 (1)
활동
포인트 : 0 점
게시물 작성수 : 0 개
댓글 작성수 : 개
쪽지보내기
게시물 신고하기
게시판 성격에 맞지 않거나 불건전한 게시물을 운영자에게 신고할 수 있습니다.
운영자 확인 후 해당글 삭제조치 및 해당 회원에게 불이익이 갈 수 있습니다.
허위신고시에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니 신중하게 신고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