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코리아    SF    Boston    Washington D.C    Chicago    Atlanta    Canada
NewsLife InfoRealtySell & BuyJobsHealthCultureFood/TourIssueYellowPageShopping
회원가입 아이디/비밀번호찾기
Health
건강상담
닥터건강상담QA
병원정보
병원.의료뉴스공지
병원정보Q/A
응급조치 상식
의료보험 상담/정보
내과
하명진 내과칼럼
소아청소년과
이상원 소아과전문의
성형외과
이신지 성형외과칼럼
통증치료과
김치갑 통증치료칼럼
하명훈 통증재활칼럼
*통증관련 도움VOD
*치과관련 VOD
한의학/한방과
간송 한의학 칼럼
김홍순 한의학칼럼
동물병원
김기택 애완동물칼럼
안과
조민희 망막전문안과
▶추천 전문병원
★추천병원 파워리스트
추천병원탐방
병원집중탐방 인터뷰
라이프 건강
증상 관련 해법정보
웰빙 부르는건강상식
건강에 좋은추천음식
건강웰빙 운동
인체의 구조
건강정보교환해요
자유게시판
힐링 명상음악듣기
 
 
 
 
 
 
 
 
 
회원정보
닉네임
가입일 2008-07-23
등급 운영자 (1)
활동
포인트 : 0
게시물 작성수 : 0
댓글 작성수 : 0
쪽지보내기
받을아이디
제목
내용
(0/200바이트)
 
> Health > 내과 > 하명진 내과칼럼
ha.edward

하명진 내과칼럼
무병 장수법: 각론 5: 건강 관리 ABC
작성자: Dr.하명진 작성자정보 조회: 14996 등록일: 2012-06-12

 

 

무병 장수법: 각론 5: 건강 관리 ABC

 

 

 

팔팔하게(88), 99세 까지 건강하게 사는 삶이 우리들의 소박한 꿈이 아닌가 한다.


현대의학에서 연구한 결과를 보면, 전문의의 검진과 혈액 검사등으로 규칙적으로

 

건강 관리를 하면, 4배의 건강을 증진 할수 있을 뿐 아니라 장수의 첩경이기도 하다.


 

그러면 어떻게 건강 관리를 잘하여 무병 할 수 있을까?

 

누구나 언젠가 육체는 노화하여 죽게 될수 밖에 없는 연약한 존재 임을 알고 있지만


현대 의학에서 장수학의 발전으로 평균 수명이 남자는 76세, 여자는 81세로 점차

 

증가함을 볼수 있다. 40세가 지나며, 누구나 성인병 즉 고혈압, 당뇨병, 그리고

 

동맥경화에 의한 협심증과 중풍이 오게 되며 결국 육체는 죽을 수 밖에 없다.


 

그러므로 무병 장수를 위한 건강관리의 가장 기본적인 ABC 를 소개 하고자 한다.

 

즉 A: A1C: 당화 혈색소: 당뇨병 정밀 지난 3 개월의 평균 혈당, 혈액 검사


B: Blood pressure: 혈압: 노화의 간접적 측정법


C: Cholesterol(콜레스테롤): 동맥경화의 진전을 예측하며 확인하는 혈액 수치다.

 

상기 우리들의 무병 장수의 필수적인 건강관리의 ABC임을 깨닫고 나의 건강을 점검 하자.

 

우선 A(Hgb A1c: 당화 혈색소)에 대하여 생각해 보자.

 

성인병 중 두번째로, 3.5 명중 1명 꼴로 많은 부자병인 당뇨병의 정밀 혈액 검사로 A1C는

 

당뇨병의 진단은 물론 지난 3개월간의 당뇨치료 여부를 간단한 혈액 검사로 확인

 

하는 법이다.


정상은 6% 미만( 하루 평균 혈당치 135 mg 이하) 이며, 당뇨병 환자는 7% 미만(평균 170미만) 되어야 함을

 

미국 당뇨병 협회(ADA) 에서는 추천하고 있다.

 

1% A1C 의 증가는 35%의 눈의 합병증 과 소혈관 합병증, 신장의 합병증을

 

더욱 초래함은 물론, 심장 마비의 확률도 18% 증가함을 볼 때 40 세 이후의 성인에게 A1C 수치를 측정함으로

 

당뇨병의 조기 발견은


물론 치료 예후를 확인 할수가 있음을 명심하길 바란다.



 

두번째 B(Blood pressure: 혈압 )에 대하여 생각해 보자.

 

간접적으로 동맥 경화의 상태를 알수 있는 간단한 방법으로 고혈압은 "침묵의 살인자"로 3명중 1 명에게 나타나는


 가장 흔한 성인병임을 인지하며 나의 혈압이 얼마 인지를 앎이 매우 중요하다.


혈압이 높을 수록 수명이 감소되는 사실에 유념하기 바란다.

 

정상 혈압은 나이에 상관없이 115/75 mmHg, 즉 심장이 수축 할 때의 수축기 혈압은 115 이며,


심장 이완기의 정상 혈압은 75 미만 이 된다.

 

만약 수축기 혈압이 20씩 증가 하거나 이완기 혈압이 10 씩 증가 할수록 2배 이상으로 동맥경화에 의한 심장

 

질환과 중풍의(Cardio Vascular Disease) 합병증이 증가됨으로 수명이 감소됨은 물론

 

중풍등의 합병증이 증가 됨을 명심하고 나의 혈압이 얼마인지? 알아 둘 필요가 있다.



 

혈압이 135/85 부터 1 기 초기 고혈압,

 

155/95부터 2기 중기 고혈압

,

175/105 부터 3 기 마지막 진행된 고혈압 임을 인지 하기 바란다.


하지만 현대 의학에서 새로운 혈압약 들이 많이 개발되어 혈압 조절은 쉽게 할 수 있게 되었다.




 

세번째 C(Cholesterol:콜레스테롤)에 대하여 생각해 보자.

 

동맥 경화의 원인이 되는 콜레스테롤은, 동맥 경화를 예방하고 장수에 도움되는 HDL 좋은 콜레스테롤과 LDL 이라


는 나쁜 콜레스테롤, 그리고 동맥 경화의 재료로 쓰이는 중성 지방산인 Triglyceride 가 있다.


혈액 검사로 쉽게 측정 할수 있으며, 수치에 따라 동맥경화의 예후를 예견 할수 있고, 80 % 정도는 식이요법과 상


관없이 간에서 합성되며 유전적인 요인이 있으며 투약요법이나 체중 조절, 매일 운동. 그리고 금연으로도 많은 도


움도 준다.

 

정상은 다음과 같다.


Total Cholesterol < 200mg, HDL>45, LDL<100, 그리고 Triglyceride<150

 

미만을 유지함으로 동맥경화를 예방하며 합병증 없이 무병 장수 하지 않을까 한다.

 

무병장수의 기본 건강관리의 필수인 나의 ABC(A1C, BP,Cholesterol)은 어떨까?

 

 

 

James Ha,MD

 

 

 

Dr.하명진(James Myungchin Ha,MD.)

 

카톨릭 의대 졸업(1977)한국의사 면허,

미국의사 면허

미국 Mt.Vernon Hospital 외과 인턴 수련

미국 병리학 전문의 (Downstate의대 부속 Brooklyn Hospital에서 해부 및 임상병리학 수련)

미국 내과학 전문의(Albert Einstein의대 부속 Flushing Hospital에서 내과 전문의 수련

현 하명진 내과 건강관리센터 원장

KAMHC(한미 기독 의료선교 협의회)뉴욕 이사

 

전: TKC TV내과 상담, 기독교TV 신앙과 건강 담당

당뇨병의 완전 정복 건강 Video 등 다수의 한국언론에 의료 칼럼 게재

CTS TV Documentary "행복"의 주인공

Tel: 718-353-5730

E-mail : jjed1975@optonline.net

 

 

 

 

 

 

 

 

 

 

[ⓒ 뉴욕코리아(www.newyorkkorea.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트위터 트위터 페이스북 페이스북
댓글 : 3
  • 강민선
    감사히 읽었습니다. 고맙습니다.
  • ×
    M
    2012-06-13

  • Choi Sun Ae
    당뇨 초기 증상이 있다고 하고 혈압도 유념하라고 하여서, 매일 아침 공복 체크하고 있습니다. 당은 매일 피검사하는데
    97~ 127 사이 정도 유지되고 있고, 가끔씩. 전날 많이 먹었다던지 기름진 음식을 먹으면. 139까지 올라갑니다. 아직 당뇨약은 안먹고 있습니다. 혈압은 평상시에는 114/76, 128/87, 정도의 중간쯤에서 어느때는 왔다갔다 하다가 어느날 신경쓸 일이 있을때는 140이후로도 올라가고요. 수축기/이완기 둘중에 수축기는 정상수치라도 이완기가 97이상으로 올라가도 고혈압인지 여쭙니다. 저같은 경우엔 고혈압 약을 복용해야 할런지요. 의사 선생님, 감사드립니다.
  • ×
    M
    2012-06-14

  • Dr.하명진
    당뇨는 borderline 인것 같지만 A1C(당화혈색소)가 7% 이하이면 됩니다.
    혈압이 114/76 까지 내려가신 적이 있으면 본태성 고혈압 같지 않습니다. 평균이 135/85 이상이면 치료가
    필요 합니다. Stress 받지 마시고 규칙적 생활로의 Biorhythm 을 지키고 적당한 운동으로 과식하지 마시고
    이왕이면 저염,저당,저지방,저콜레스테롤 음식으로 하셨으면 합니다. 다음 칼럼은 고혈압1 편이니 기대 하셔도
    좋겠습니다. 혈압을 규칙적으로 monitor 하시되 5분 정도 안정한 후 통증이 아무것도 없을때,측정하는것이
    좋겠습니다. 혈압기는 심장 높이에 두고, cuff 의 하단부분응 elbow 접히는 곳에서 3cm 떨어져 재셔야하고
    Quality control을 위해 정상인 분의 혈압을 가끔 측정해 비교 확인 하시기 바랍니다. 건강으로 행복 하셔요.
    .
  • ×
    M
    2012-06-14

  • 번호 제목 작성자 조회 등록일
    공지 [휴먼 다큐멘터리] 닥터 하명진의 "행복" 동영상 [22] 뉴욕코리아 25690 2012-06-15
    374 방광염 (Urinary Tract Infection) 68 [14] Dr.하명진 19181 2012-10-27
    373 당뇨병의 완전정복 4: 투약요법 [8] Dr.하명진 17027 2012-06-24
    372 우울증 (Major Depression) [7] Dr.하명진 16033 2013-04-26
    371 조류 독감 (AI: Avian Influenza or Bird flu) [6] Dr.하명진 15007 2014-01-20
    370 여행시 필요한 상비약 (Essential Meds for travel) 과 준비 사항 [6] Dr.하명진 17833 2012-11-13
    369 신석증 (Nephrolithiasis: Kidney Stone) [5] Dr.하명진 13985 2012-08-03
    368 무병 장수법 각론 1: 건강 식이요법 [5] Dr.하명진 15861 2012-06-06
    367 장내 기생충(Intestinal Parasites,part 1) 1편. [4] Dr.하명진 11570 2015-09-18
    366 중동호흡기증후군(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MERS;메르스) [4] Dr.하명진 9623 2015-05-21
    365 에볼라 유행성 출혈열(Ebola Hemorrhagic Fever; EHF/ Ebola Virus Disease;EVD) [4] Dr.하명진 12879 2014-07-31
    364 심장에 좋은 24가지 음식( 24 healthy foods for heart) [4] Dr.하명진 17340 2012-12-14
    363 흡연과 건강 (Smoking & Health) [4] Dr.하명진 17237 2012-10-25
    362 당뇨병 완전정복: 완결편 [4] Dr.하명진 12109 2012-06-29
    361 당뇨병의 완전정복 2: 식이요법 [4] Dr.하명진 13401 2012-06-21
    360 췌장기능 부전증 (Pancreatic insufficiency) [3] Dr.하명진 13052 2014-01-24
    359 자폐증 (Autism) [3] Dr.하명진 16300 2013-05-14
    358 췌장암 (Pancreatic Cancer) [3] Dr.하명진 18707 2013-03-19
    357 갑상선 암 (Thyroid Cancer) [3] Dr.하명진 17822 2013-03-02
    356 독감과 감기 (Flu & Cold) [3] Dr.하명진 16317 2013-01-18
    355 갑상선 기능 항진증 (Hyperthyroidism) [3] Dr.하명진 16068 2012-08-22
    354 고혈압 3: 고혈압 환자 치료 사례 [3] Dr.하명진 10608 2012-06-17
    무병 장수법: 각론 5: 건강 관리 ABC [3] Dr.하명진 14997 2012-06-12
    352 노안 (Presbyopia) [2] Dr.하명진 15896 2013-07-06
    351 중증열성혈소판감소 증후군 (SFTS) [2] Dr.하명진 15239 2013-05-16
    350 갱년기 (폐경기:MENOPAUSE) [2] Dr.하명진 16047 2013-01-13
    349 치매 (Alzheimer's Disease) [2] Dr.하명진 16730 2012-11-24
    348 오메가 3 (Omega 3)의 효능 [2] Dr.하명진 20103 2012-11-16
    347 암(Cancer)의 예방, 위험신호, 종양표지자(Cancer Antigen) 검사 [2] Dr.하명진 14423 2012-09-18
    346 만성 B형 간염 (Chronic Hepatitis B) 1. [2] Dr.하명진 13434 2012-07-17
    345 당뇨병의 완전정복 6:당뇨병 치료 사례 [2] Dr.하명진 13496 2012-06-28
    344 당뇨병의 완전정복 5: 합병증 [2] Dr.하명진 11623 2012-06-26
    343 무병 장수법 각론 2 : 건강한 마음 [2] Dr.하명진 14206 2012-06-07
    342 소두증과 지카 바이러스 비상(Microcephaly & Zika virus outbreak) [1] Dr.하명진 11333 2016-01-29
    341 홍역 발생 경고(Measles=Rubeola, cases & outbreaks) [1] Dr.하명진 10514 2015-02-04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회원정보
    닉네임 Dr.하명진 (drjamesha)
    가입일 2008-07-23
    등급 운영자 (1)
    활동
    포인트 : 0
    게시물 작성수 : 0
    댓글 작성수 : 0
    쪽지보내기
    닉네임 Dr.하명진 (drjamesha)
    제목
    내용
    (0/200바이트)
    게시물 신고하기
    게시판 성격에 맞지 않거나 불건전한 게시물을 운영자에게 신고할 수 있습니다.
    운영자 확인 후 해당글 삭제조치 및 해당 회원에게 불이익이 갈 수 있습니다.
    허위신고시에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니 신중하게 신고해주세요.
    글 제목 무병 장수법: 각론 5: 건강 관리 ...
    글 작성자 Dr.하명진
    신고이유
    회사소개 | 개인정보취급방침 | 회원약관 | 고객지원센터 | 제휴 및 광고문의 | 광고안내   
     

     

    Contact Us : 고객문의센터, Tel: 대표 201-674-5611

    E-mail: newyorkkorea77@gmail.com, newyorkkorea@naver.com, 빠른카톡상담ID : newyorkkorea 

    미국최대 대표포털 뉴욕코리아는 미국법률변호사고문 및 미국저작권법의 보호를 받고 있으며, 컨텐츠 및 기사의 무단 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  

    Copyright (c) New York Korea, INC. News Media Group in US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