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코리아    SF    Boston    Washington D.C    Chicago    Atlanta    Canada
NewsLife InfoRealtySell & BuyJobsHealthCultureFood/TourIssueYellowPageShopping
회원가입 아이디/비밀번호찾기
Health
건강상담
닥터건강상담QA
병원정보
병원.의료뉴스공지
병원정보Q/A
응급조치 상식
의료보험 상담/정보
내과
하명진 내과칼럼
소아청소년과
이상원 소아과전문의
성형외과
이신지 성형외과칼럼
통증치료과
김치갑 통증치료칼럼
하명훈 통증재활칼럼
*통증관련 도움VOD
*치과관련 VOD
한의학/한방과
간송 한의학 칼럼
김홍순 한의학칼럼
동물병원
김기택 애완동물칼럼
안과
조민희 망막전문안과
▶추천 전문병원
★추천병원 파워리스트
추천병원탐방
병원집중탐방 인터뷰
라이프 건강
증상 관련 해법정보
웰빙 부르는건강상식
건강에 좋은추천음식
건강웰빙 운동
인체의 구조
건강정보교환해요
자유게시판
힐링 명상음악듣기
 
 
 
 
 
 
 
 
 
회원정보
닉네임
가입일 2008-07-23
등급 운영자 (1)
활동
포인트 : 0
게시물 작성수 : 0
댓글 작성수 : 0
쪽지보내기
받을아이디
제목
내용
(0/200바이트)
 
> Health > 내과 > 하명진 내과칼럼
ha.edward

하명진 내과칼럼
섭식 장애 (Eating disorder)
작성자: Dr.하명진 작성자정보 조회: 10888 등록일: 2013-05-07

 

 

 

섭식 장애(Eating disorder)

 

 

 

 

섭식 장애(Eating disorder)는 젊은 여성의 1% 정도에서 나타나며 신경성 식욕부진

(Anorexia nervosa)과 신경성 폭식증(Bulimia nervosa)가 있으며 둘 다 음식

섭취에 심한 이상을 초래하는 신경정신학적 질병군 이다. 그로 인해 심한 체중감소,

비만에 대한 공포,거식 즉 굶거나 폭식하는 증후군으로 젊은 여성에 많다.

 

원인(Causes of eating disorder);

1: 유전적(50%)으로 오며,대뇌 중추인 시상하부의 이상 즉 식욕,소화,배고픔을

조절하는 뇌신경 전달물질(neurotransmitter) 의 불균형으로 온다고 알려져있다.

2: 자신감 부족(low self esteem),완벽주의,우울,불안,분노,공허 등과 같은 심리적

원인(Psychological disorder)에서 온다.

3: 감정 표현능력의 부족이나 대인 관계의 어려움,전에 체형이나 체중과 관련한

놀림과 창피함,신체적 학대 기억,부모의 과도한 기대 등이 원인이 될수있다.

4: 마른 체형과 완벽한 몸매에 대한 문화적 사회적 압력이 원인이 되기도 한다.

5: 전혀 원인이 없이 돌발적으로도 온다.

6: 직업적으로 모델,발레 dancer,gymnastic 선수들에 마른 체형을 선호하므로

섭식장애를 초래하기도 한다.

 

섭식장애의 종류(Types of eating disorder);

 

1: Anorexia nervosa(신경성 식욕부진); 체중 증가에 대한 두려움으로 온다.

a) 정상 체중의 15% 이상 감소의 저체중이 된다.

b) 현재 체중 미달임에도 체중 증가와 비만에 대한 심한 두려움이 온다.

c) 신체상의 장애가 나타난다.(빈혈,골왜소증,심장,신장 이상 등)

d) 무월경(3개월 이상)이 온다.

e) 현재 자신이 저체중인데도 부정하며 더욱 더 체중을 감소 시키려한다.

f) 제한형; 폭식후 구토 유발,설사제 사용,관장,이뇨제 복용 등 배출장애가 온다.

g) 폭식/배출형; 폭식과 배출행동(구토 유발,관장,설사유도약;laxative,이뇨제)

을 번갈아 한다.

h) 음식,체중 그리고 식이요법에 강박관념이 있다.

I). 식사량을 심하게 제한한다.

j). 비만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자신이 비만 하다고 생각한다.

k) 체중감소를 위해 심하게 운동한다.

 

2: Bulimia nervosa(신경성 폭식증);

a) 반복적 폭식 행동을 한다.

b) 음식 섭취를 통제할수 없고 섭취량을 조절할수 없이 폭식한다.

c) 체중증가를 피하려고 배출행동 즉 스스로 토하거나 하제로 설사를 하거나 이뇨제

를 복용하거나 관장을 하기도 한다.

d) 배출형: 정기적으로 구토를 스스로 유발하고 하제나 이뇨제 복용,관장을 한다.

e) 비배출형: 폭식후 굶거나 과도한 운동을 한다.

f) 자주 토함으로 위산에 이한 충치,치아의 enamel질 파괴,잇몸질환이 많다.

h) 식사후 곧 화장실을 가곤한다.

I). 운동을 심하게 한다.

j) 신장 이상, 심장 이상, 골 외소증,골다공증을 초래할수 있다.

 

3: Binge eating disorder(폭식장애);compulsive overeating 이라고도 한다.

a) 폭식과 과식으로 체중이 증가한다.(비만증의 가족력이 많다)

b) 다량으로 배가 불러도 그 이상 과식한다.

c) 과식하는것을 절제할수가 없다. 스트레스를 받으면 더 심하다.

d) 매우 빨리 식사를 한다.(eating very fast)

e) 대부분 폭식함이 부끄러워 혼자 식사를 한다.(eating alone)

f) 폭식후 후회하거나 죄스럽게 생각한다.(feelings of disgust,depression,guilt)

g) 체중의 변화가 많다.(fluctuations in weight)

h) 자신감을 잃는다.(low self esteem)

I) 성욕이 감퇴된다.(loss of sexual drive)

j) 일부러 토하거나 설사약을 먹거나 관장등의 배출행동은 없다.(No vomiting)

 

치료(Treatments of eating disorder);

1: CBT(Cognitive Behavioral Therapy); 부정확한 섭식장애의 원인들을 깨우쳐

인지하고 규칙적 정해진 식단으로 균형있게 식사하는 습관과 신경정신과적 치료를

겸하여 가능하면 조기에 발견하고 치료 하여야 한다.

2: Prozac.fluoxetine,Serafem 같은 항우울증약(Anti-depressant) 도 도움을

줄수있다.(우울증 칼럼 참고).

3: 정기적인 검진과 혈액검사로 medical monitoring 하여야 한다.

4: Anorexia nervosa 의 경우 고영양식을 추천한다.

5: Psychotherapy 즉 Counselling 등의 신경정신치료도 도움을 준다.

 

도움기관(Help, references & referrals)

1: NEDA(National Eating Disorder Association):

www.nationaleatingdisorders.org . Info@nationaleatingdisorders.org

2: WIN(Weight-control Information Network):

www.win.niddk.nih.gov/index.htm . win@info.niddk.nih.gov

3: NIMH(National Institute of Mental Health) www.nimh.nih.gov

nimhinfo@nih.gov

4: www.webmd.com

5: www.kidshealth.org

6: www.mentalhealthamerica.net

7: 대한신경정신의학회: www.kpna.co.kr

 

 

James Ha,MD

 

 

Dr.하명진(James Myungchin Ha,MD.)

 

카톨릭 의대 졸업(1977)한국의사 면허,

미국의사 면허

미국 Mt.Vernon Hospital 외과 인턴 수련

미국 병리학 전문의 (Downstate의대 부속 Brooklyn Hospital에서 해부 및 임상병리학 수련)

미국 내과학 전문의(Albert Einstein의대 부속 Flushing Hospital에서 내과 전문의 수련

현 하명진 내과 건강관리센터 원장

KAMHC(한미 기독 의료선교 협의회)뉴욕 이사

 

전: TKC TV내과 상담, 기독교TV 신앙과 건강 담당

당뇨병의 완전 정복 건강 Video 등 다수의 한국언론에 의료 칼럼 게재

CTS TV Documentary "행복"의 주인공

Tel: 718-353-5730

E-mail : jjed1975@optonline.net

 

 

 

 

 

 

 

 

 

 

[ⓒ 뉴욕코리아(www.newyorkkorea.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트위터 트위터 페이스북 페이스북
댓글 : 0
번호 제목 작성자 조회 등록일
235 뇌전증(Epilepsy) Dr.하명진 10371 2016-08-13
234 세계 간염의 날(World Hepatitis Day) Dr.하명진 8453 2016-07-31
233 모야모야병(Moyamoya disease) Dr.하명진 10312 2016-07-15
232 HIV(AIDS): 후천성 면역 결핍증 Dr.하명진 10600 2016-07-02
231 해외 단기선교 여행시 필요한 상비약과 주의사항 Dr.하명진 9657 2016-06-19
230 조현병(Schizophrenia) Dr.하명진 9227 2016-06-03
229 편두통 2 (Migraine headache 2) Dr.하명진 9191 2016-05-20
228 편두통 1 (Migrane Headache 1) Dr.하명진 9371 2016-05-08
227 뎅기열 예방 백신(Dengue vaccine) Dr.하명진 10967 2016-04-22
226 성병 인식의 달(STD Awareness Month) Dr.하명진 10795 2016-04-09
225 다운 증후군(Down syndrome) Dr.하명진 9242 2016-03-25
224 길랑바레 증후군(Guilain-Barre syndrome;GBS) Dr.하명진 9541 2016-03-11
223 손목 터널 증후군(Carpal tunnel syndrome) Dr.하명진 8913 2016-02-26
222 아이티 솔레이시티 의료선교(1.2.3) -하명진 박사 뉴욕코리아 8862 2016-02-24
221 좌골신경통(Sciatica) Dr.하명진 11647 2016-02-12
220 소두증과 지카 바이러스 비상(Microcephaly & Zika virus outbreak) [1] Dr.하명진 11385 2016-01-29
219 오십견 (Frozen shoulder) Dr.하명진 8814 2016-01-22
218 섬유근통(Fibromyalgia) Dr.하명진 9817 2016-01-08
217 장독성 대장균 식중독(STEC 026 food poisoning) Dr.하명진 9642 2015-12-24
216 신경성 식욕 부진(Anorexia nervosa) Dr.하명진 8557 2015-12-11
215 신경성 대식증 (Bulimia Nervosa) Dr.하명진 9277 2015-11-27
214 폭식장애 (B.E.D.;Binge Eating Disorder) Dr.하명진 9403 2015-11-13
213 비만증 치료(Obesity treatment) Dr.하명진 8979 2015-10-30
212 비만증(Obesity) Dr.하명진 11425 2015-10-16
211 장내 기생충 2편 (Intestinal Parasites 2) Dr.하명진 9513 2015-10-02
210 장내 기생충(Intestinal Parasites,part 1) 1편. [4] Dr.하명진 11610 2015-09-18
209 백일해(Pertussis: Whooping cough) Dr.하명진 8089 2015-09-05
208 웨스트 나일 뇌염(West Nile Encephalitis) Dr.하명진 9571 2015-08-23
207 페스트/흑사병(Plague) Dr.하명진 8537 2015-08-16
206 레지오넬라 병(Legionella disease;냉방병) Dr.하명진 10500 2015-08-11
205 거대적아구성 빈혈(Megaloblastic Anemia) Dr.하명진 8770 2015-08-05
204 철분 결핍성 빈혈(Iron-deficiency Anemia) Dr.하명진 7436 2015-07-26
203 살 파먹는 박테리아(Flesh eating Bacteria):Necrotizing Faciitis.(괴사성 근막염) Dr.하명진 8277 2015-07-19
202 홍콩 독감 (H3N2 Hong Kong Flu) Dr.하명진 7810 2015-07-10
201 E형 바이러스 간염(Viral Hepatitis E) Dr.하명진 9026 2015-07-04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회원정보
닉네임 Dr.하명진 (drjamesha)
가입일 2008-07-23
등급 운영자 (1)
활동
포인트 : 0
게시물 작성수 : 0
댓글 작성수 : 0
쪽지보내기
닉네임 Dr.하명진 (drjamesha)
제목
내용
(0/200바이트)
게시물 신고하기
게시판 성격에 맞지 않거나 불건전한 게시물을 운영자에게 신고할 수 있습니다.
운영자 확인 후 해당글 삭제조치 및 해당 회원에게 불이익이 갈 수 있습니다.
허위신고시에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니 신중하게 신고해주세요.
글 제목 섭식 장애 (Eating disorder)...
글 작성자 Dr.하명진
신고이유
회사소개 | 개인정보취급방침 | 회원약관 | 고객지원센터 | 제휴 및 광고문의 | 광고안내   
 

 

Contact Us : 고객문의센터, Tel: 대표 201-674-5611

E-mail: newyorkkorea77@gmail.com, newyorkkorea@naver.com, 빠른카톡상담ID : newyorkkorea 

미국최대 대표포털 뉴욕코리아는 미국법률변호사고문 및 미국저작권법의 보호를 받고 있으며, 컨텐츠 및 기사의 무단 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  

Copyright (c) New York Korea, INC. News Media Group in US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