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정보
닉네임
가입일
2008-07-23
등급
운영자 (1)
활동
포인트 : 0 점
게시물 작성수 : 0 개
댓글 작성수 : 개
ha.edward
황열(Yellow fever)
작성자: Dr.하명진
조회: 10410 등록일: 2014-05-12
황열 (Yellow fever) 황열(Yellow fever) 란 이름 그대로 피부가 노랗게 황달이 오며 고열이 나는 Arbovirus 에 의한 모기를 통하여 전염되는 질병으로 중남미나 아프리카 등의 열대성 기후에 많이발생하는 급성 전염병 이다. 요사이 중남미나 아프리카로 여행을 계획 중인 분들에게 황열(Yellow fever) 에 대한 주의와 예방이 매우 중요하다. 왜냐하면 치사율이 10-25% 로 높으므로 여행 전 최소 일주 이내에 예방접종을 약국이나 국제공항에서 받아 International Certificate of vaccination 노란 예방접종증을 지참하여야 통관과 비자에 문제가 없다. WHO( 세계보건기구) 에 의하면 매년 200,000 명이 황열(Yellow fever) 에 걸리며 이중 30,000 명이 사망한다고 발표하였다. 중남미나 아프리카등의 열대지방의 45 국가에서 발생한다. 미국에서도 18 세기에 필라델피아에서 발병한 적이 있지만 현재는 없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예방주사가 있으므로 황열(Yellow fever) 발생하는 지역으로 여행시 미리 맞아야 한다 원인: 황열 바이러스 즉 Arbovirus 에 감염된 모기에 의하여 인간에게 전염된다. 잠복기는 3-6 일이며, 아프리카 사하라 사막 이남과 남아메리카 지역에 서식하는 모기에 물려서 전염된다. 정글 지역에서는 모기에 의하여 원숭이에게 감염되기도 한다 . 증상: 잠복기(Initial incubation phase)-> 급성기(Acute phase)-> 독성기(Toxic phase) 3 기로 진행되며 완치시에는 별다른 합병증이 생기지 않는다. 1: 잠복기:(Initial incubation phase): 3-6 일로 피로증 외에 별증상이 없다. 2: 급성기(Acute phase): 잠복기 후에 발열, 근육통, 오한, 두통, 식욕 부진, 구토 구역질이나타나며 3-4 일 지속한다. 이중 15% 에서는 독성기로 진행된다 . 3: 독성기(Toxic phase): 다시 발열, 복통, 황달, 구토, 입, 코, 눈, 위장관의 출혈, 간기능 저하, 신부전증, 간염등과 급성 출혈열로 이중 50% 정도는 DIC(Desseminated Intravascular Coagulation) 으로 출혈하여 shock 으로 사망하게 된다. 진단: 혈액이나 뇌척수액의 Arbovirus 의 면역항체 IgM 검사나 급성기시 황열 바이러스배양이나 DNA 검사로 확진한다 . 치료: 황열 바이러스를 죽일수 있는 약은 아직 없음으로 증상을 치료하는 대증요법, 즉해열제, 수액치료, 신부전시 혈액투석, 수혈등의 대증요법으로 치료하고 독성기의 50% 는 14 일 이내 사망하게 된다 . 예방: 황열(Yellow fever) 예방주사로 10 년간 예방할수 있으며 예방접종후 7 일후 부터예방 효력이 있다. 특히 노약자. 만성질환자, 면역체계가 약한 자는 예방접종이 매우 중요하다 . 예방접종: 국제공항이나 Walgreens.com, cdc.gov/vaccine 에서 정보를 얻을수 있고Walgreens, 등의 약국에서도 비싸지만 예약에 의하여 맞을수도 있다. 대부분의 개인 의사 사무실에서는 여행시에만 필요한 예방접종이므로 황열 예방접종을 일반적으로 받을수 없다. 간염이나 파상풍,MMR 등의 예방접종은 주치의 사무소에서 맞을 수도 있다 예방접종후 꼭 노란색의 International Certificate of vaccination 을 받고 여행시 여권과 함께 지참하여야 한다 . 기타정보는 cdc.gov -->Traveler's Health-->destination ( 방문할 국가) search 하면 여행객에 필요한 예방접종 내력을 방문국에 따라 자세히 알수가 있다. 자신의 주치의나뉴욕코리아 " 닥터건강상담QA" 로 문의하면 24-48 시간내로 가시는 곳의 예방접종등의 필요하신 것을 최선으로 돕겠습니다. 하명진내과칼럼 #60 여행시 필요한 상비약 편을 참고 하시길 바랍니다 . James Ha,MD
Dr.하명진(James Myungchin Ha,MD.)
카톨릭 의대 졸업(1977)한국의사 면허,
미국의사 면허
미국 Mt.Vernon Hospital 외과 인턴 수련
미국 병리학 전문의 (Downstate의대 부속 Brooklyn Hospital에서 해부 및 임상병리학 수련)
미국 내과학 전문의(Albert Einstein의대 부속 Flushing Hospital에서 내과 전문의 수련
현 하명진 내과 건강관리센터 원장
KAMHC(한미 기독 의료선교 협의회)뉴욕 이사
전: TKC TV내과 상담, 기독교TV 신앙과 건강 담당
당뇨병의 완전 정복 건강 Video 등 다수의 한국언론에 의료 칼럼 게재
CTS TV Documentary "행복"의 주인공
Tel: 718-353-5730
E-mail : jjed1975@optonline.net
[ⓒ 뉴욕코리아( www.newyorkkorea.net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p> </p>
<p style="margin: 0cm 0cm 0pt; line-height: 200%;" class="MsoNormal"><span style='color: rgb(51, 51, 51); line-height: 200%; font-size: 11pt; mso-ascii-font-family: "맑은 고딕"; mso-hansi-font-family: "맑은 고딕"; mso-ascii-theme-font: minor-fareast; mso-hansi-theme-font: minor-fareast; mso-bidi-font-family: Arial;'><font size="5" face="맑은 고딕"><strong></strong></font></span> </p><span style='color: rgb(51, 51, 51); line-height: 200%; font-size: 11pt; mso-ascii-font-family: "맑은 고딕"; mso-hansi-font-family: "맑은 고딕"; mso-ascii-theme-font: minor-fareast; mso-hansi-theme-font: minor-fareast; mso-bidi-font-family: Arial;'><font color="#0a0a0a" size="5" face="맑은 고딕">
<p style="margin: 0cm 0cm 0pt; line-height: 200%;" class="MsoNormal"><span style='color: rgb(51, 51, 51); line-height: 200%; font-size: 11pt; mso-ascii-font-family: "맑은 고딕"; mso-hansi-font-family: "맑은 고딕"; mso-ascii-theme-font: minor-fareast; mso-hansi-theme-font: minor-fareast; mso-bidi-font-family: Arial;'><font color="#0a0a0a" size="5"><strong>황열</strong></font><font color="#0a0a0a"><span lang="EN-US"><strong><font size="5">(Yellow fever)</font></strong><br><br><br></span>황열<span lang="EN-US">(Yellow fever)</span>란 이름 그대로 피부가 노랗게 황달이 오며 고열이 나는</font><font color="#0a0a0a"><span lang="EN-US"> Arbovirus<br></span>에 의한 모기를 통하여 전염되는 질병으로 중남미나 아프리카 등의 열대성 기후에 많이</font><span lang="EN-US"><br></span><font color="#0a0a0a">발생하는 급성 전염병 이다<span lang="EN-US">. </span>요사이 중남미나 아프리카로 여행을 계획 중인 분들에게</font><span lang="EN-US"><br></span><font color="#0a0a0a">황열<span lang="EN-US">(Yellow fever)</span>에 대한 주의와 예방이 매우 중요하다<span lang="EN-US">. </span>왜냐하면 치사율이<span lang="EN-US"> 10-25%</span>로</font><span lang="EN-US"><br></span><font color="#0a0a0a">높으므로 여행 전 최소 일주 이내에 예방접종을 약국이나 국제공항에서 받아</font><font color="#0a0a0a"><span lang="EN-US"> International <br>Certificate of vaccination </span>노란 예방접종증을 지참하여야 통관과 비자에 문제가 없다</font><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WHO(</span>세계보건기구<span lang="EN-US">)</span>에 의하면 매년<span lang="EN-US"> 200,000</span>명이 황열<span lang="EN-US">(Yellow fever)</span>에 걸리며 이중</font><font color="#0a0a0a"><span lang="EN-US"> <br>30,000</span>명이 사망한다고 발표하였다<span lang="EN-US">. </span>중남미나 아프리카등의 열대지방의<span lang="EN-US"> 45</span>국가에서 발생한다</font><font color="#0a0a0a"><span lang="EN-US">. <br></span>미국에서도<span lang="EN-US"> 18</span>세기에 필라델피아에서 발병한 적이 있지만 현재는 없는 것으로 알려져</font><span lang="EN-US"><br></span><font color="#0a0a0a">있다<span lang="EN-US">. </span>예방주사가 있으므로 황열<span lang="EN-US">(Yellow fever) </span>발생하는 지역으로 여행시 미리 맞아야 한다</font><span lang="EN-US"><br><br></span><font color="#0a0a0a">원인<span lang="EN-US">: </span>황열 바이러스 즉<span lang="EN-US"> Arbovirus</span>에 감염된 모기에 의하여 인간에게 전염된다<span lang="EN-US">. </span>잠복기는</font><span lang="EN-US"><br><font color="#0a0a0a">3-6</font></span><font color="#0a0a0a">일이며<span lang="EN-US">, </span>아프리카 사하라 사막 이남과 남아메리카 지역에 서식하는 모기에 물려서</font><span lang="EN-US"><br></span><font color="#0a0a0a">전염된다<span lang="EN-US">. </span>정글 지역에서는 모기에 의하여 원숭이에게 감염되기도 한다</font><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br></span>증상<span lang="EN-US">: </span>잠복기<span lang="EN-US">(Initial incubation phase)-> </span>급성기<span lang="EN-US">(Acute phase)-> </span>독성기</font><font color="#0a0a0a"><span lang="EN-US">(Toxic phase)<br>3</span>기로 진행되며 완치시에는 별다른 합병증이 생기지 않는다</font><font color="#0a0a0a"><span lang="EN-US">. <br>1: </span>잠복기<span lang="EN-US">:(Initial incubation phase): 3-6</span>일로 피로증 외에 별증상이 없다</font><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2: </span>급성기<span lang="EN-US">(Acute phase): </span>잠복기 후에 발열<span lang="EN-US">, </span>근육통<span lang="EN-US">, </span>오한<span lang="EN-US">, </span>두통<span lang="EN-US">, </span>식욕 부진<span lang="EN-US">, </span>구토 구역질이</font><span lang="EN-US"><br></span><font color="#0a0a0a">나타나며<span lang="EN-US"> 3-4</span>일 지속한다<span lang="EN-US">. </span>이중<span lang="EN-US"> 15% </span>에서는 독성기로 진행된다</font><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3: </span>독성기<span lang="EN-US">(Toxic phase): </span>다시 발열<span lang="EN-US">, </span>복통<span lang="EN-US">, </span>황달<span lang="EN-US">, </span>구토<span lang="EN-US">, </span>입<span lang="EN-US">, </span>코<span lang="EN-US">, </span>눈<span lang="EN-US">, </span>위장관의 출혈<span lang="EN-US">, </span>간기능 저하</font><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span>신부전증<span lang="EN-US">, </span>간염등과 급성 출혈열로 이중<span lang="EN-US"> 50%</span>정도는</font><font color="#0a0a0a"><span lang="EN-US"> DIC(Desseminated <br>Intravascular Coagulation) </span>으로 출혈하여<span lang="EN-US"> shock </span>으로 사망하게 된다</font><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br></span>진단<span lang="EN-US">: </span>혈액이나 뇌척수액의<span lang="EN-US"> Arbovirus </span>의 면역항체<span lang="EN-US"> IgM </span>검사나 급성기시 황열 바이러스</font><span lang="EN-US"><br></span><font color="#0a0a0a">배양이나<span lang="EN-US"> DNA </span>검사로 확진한다</font><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br></span>치료<span lang="EN-US">: </span>황열 바이러스를 죽일수 있는 약은 아직 없음으로 증상을 치료하는 대증요법<span lang="EN-US">, </span>즉</font><span lang="EN-US"><br></span><font color="#0a0a0a">해열제<span lang="EN-US">, </span>수액치료<span lang="EN-US">, </span>신부전시 혈액투석<span lang="EN-US">, </span>수혈등의 대증요법으로 치료하고 독성기의</font><span lang="EN-US"><br><font color="#0a0a0a">50% </font></span><font color="#0a0a0a">는<span lang="EN-US"> 14</span>일 이내 사망하게 된다</font><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br></span>예방<span lang="EN-US">: </span>황열<span lang="EN-US">(Yellow fever) </span>예방주사로<span lang="EN-US"> 10</span>년간 예방할수 있으며 예방접종후<span lang="EN-US"> 7</span>일후 부터</font><span lang="EN-US"><br></span><font color="#0a0a0a">예방 효력이 있다<span lang="EN-US">. </span>특히 노약자<span lang="EN-US">. </span>만성질환자<span lang="EN-US">, </span>면역체계가 약한 자는 예방접종이 매우</font><span lang="EN-US"><br></span><font color="#0a0a0a">중요하다</font><font color="#0a0a0a"><span lang="EN-US">. <br><br></span>예방접종<span lang="EN-US">: </span>국제공항이나<span lang="EN-US"> Walgreens.com, cdc.gov/vaccine </span>에서 정보를 얻을수 있고</font><span lang="EN-US"><br><font color="#0a0a0a">Walgreens,</font></span><font color="#0a0a0a">등의 약국에서도 비싸지만 예약에 의하여 맞을수도 있다<span lang="EN-US">.</span>대부분의 개인</font><span lang="EN-US"><br></span><font color="#0a0a0a">의사 사무실에서는 여행시에만 필요한 예방접종이므로 황열 예방접종을 일반적으로</font><span lang="EN-US"><br></span><font color="#0a0a0a">받을수 없다<span lang="EN-US">. </span>간염이나 파상풍<span lang="EN-US">,MMR </span>등의 예방접종은 주치의 사무소에서 맞을 수도 있다</font><span lang="EN-US"><br></span><font color="#0a0a0a">예방접종후 꼭 노란색의<span lang="EN-US"> International Certificate of vaccination </span>을 받고 여행시</font><span lang="EN-US"><br></span><font color="#0a0a0a">여권과 함께 지참하여야 한다</font><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br></span>기타정보는<span lang="EN-US"> <a href="http://www.cdc.gov -->Traveler's">cdc.gov </a></span></font></span><span style='color: rgb(51, 51, 51); line-height: 200%; font-size: 11pt; mso-ascii-font-family: "맑은 고딕"; mso-hansi-font-family: "맑은 고딕"; mso-ascii-theme-font: minor-fareast; mso-hansi-theme-font: minor-fareast; mso-bidi-font-family: Arial;'><font color="#0a0a0a"><span lang="EN-US">-->Traveler's Health-->destination (</span>방문할 국가<span lang="EN-US">) search </span>하면</font><font color="#0a0a0a"><span lang="EN-US"> <br></span>여행객에 필요한 예방접종 내력을 방문국에 따라 자세히 알수가 있다<span lang="EN-US">. </span>자신의 주치의나</font><span lang="EN-US"><br></span><font color="#0a0a0a">뉴욕코리아<span lang="EN-US"> "</span>닥터건강상담<span lang="EN-US">QA"</span>로 문의하면<span lang="EN-US"> 24-48</span>시간내로 가시는 곳의 예방접종등의</font><span lang="EN-US"><br></span><font color="#0a0a0a">필요하신 것을 최선으로 돕겠습니다<span lang="EN-US">. </span>하명진내과칼럼<span lang="EN-US"> #60 </span>여행시 필요한 상비약 편을</font><span lang="EN-US"><br></span><font color="#0a0a0a">참고 하시길 바랍니다</font><span lang="EN-US"><font color="#0a0a0a">.<br><br><br>James Ha,MD</font></span></span><span style='line-height: 200%; font-size: 11pt; mso-ascii-font-family: "맑은 고딕"; mso-hansi-font-family: "맑은 고딕"; mso-ascii-theme-font: minor-fareast; mso-hansi-theme-font: minor-fareast;' lang="EN-US"><?xml: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o:p></o:p></span></p>
<p style="margin: 0cm 0cm 0pt; line-height: 200%;" class="MsoNormal"></p></font><p style="margin: 0cm 0cm 0pt; line-height: 200%;" class="MsoNormal"></p></span><p style="margin: 0cm 0cm 0pt; line-height: 200%;" class="MsoNormal"> </p>
<p><img src="/wysiwyg/PEG/W_1341339730.png"></p>
<p> </p>
<p></p>
<p><strong>Dr.하명진(James Myungchin Ha,MD.)</strong></p>
<p><strong></strong> </p>
<p></p>
<p>카톨릭 의대 졸업(1977)한국의사 면허,</p>
<p>미국의사 면허</p>
<p>미국 Mt.Vernon Hospital 외과 인턴 수련</p>
<p>미국 병리학 전문의 (Downstate의대 부속 Brooklyn Hospital에서 해부 및 임상병리학 수련)</p>
<p>미국 내과학 전문의(Albert Einstein의대 부속 Flushing Hospital에서 내과 전문의 수련</p>
<p>현 하명진 내과 건강관리센터 원장</p>
<p>KAMHC(한미 기독 의료선교 협의회)뉴욕 이사</p>
<p> </p>
<p></p>
<p>전: TKC TV내과 상담, 기독교TV 신앙과 건강 담당</p>
<p>당뇨병의 완전 정복 건강 Video 등 다수의 한국언론에 의료 칼럼 게재</p>
<p>CTS TV Documentary "행복"의 주인공</p>
<p><strong><font color="#ff9933">Tel: 718-353-5730</font></strong></p>
<p><strong><font color="#ff9933">E-mail : </font></strong><a href="mailto:jjed1975@optonline.net"><strong><font color="#ff9933">jjed1975@optonline.net</font></strong></a></p>
<p> </p>
<p></p>
<p></p>
<p class="바탕글"><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 font-size: 11pt; mso-ascii-font-family: 맑은 고딕; mso-hansi-font-family: 맑은 고딕;"><span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font size="3"><span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font color="#000000" size="3">[ⓒ 뉴욕코리아(</font><a style="color: rgb(53, 53, 53); text-decoration: none;" href="http://www.newyorkkorea.net/" target="_blank"><font color="#000000" size="3">www.newyorkkorea.net</font></a><font color="#000000"><font size="3"><font color="#000000">),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font></font></font></span></font></span></span></p>
회원정보
닉네임
Dr.하명진 (drjamesha)
가입일
2008-07-23
등급
운영자 (1)
활동
포인트 : 0 점
게시물 작성수 : 0 개
댓글 작성수 : 개
쪽지보내기
게시물 신고하기
게시판 성격에 맞지 않거나 불건전한 게시물을 운영자에게 신고할 수 있습니다.
운영자 확인 후 해당글 삭제조치 및 해당 회원에게 불이익이 갈 수 있습니다.
허위신고시에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니 신중하게 신고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