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정보
닉네임
가입일
2008-07-23
등급
운영자 (1)
활동
포인트 : 0 점
게시물 작성수 : 0 개
댓글 작성수 : 개
ha.edward
궤양성 대장염(Ulcerative Colitis) updated.
작성자: Dr.하명진
조회: 9809 등록일: 2014-09-26
궤양성 대장염 (Ulcerative Colitis) updated .
궤양성 대장염(Ulcerative Colitis) 은 대장에 염증과 궤양을 일으키는 염증성
대장 질환으로
10 만명당 6-8 명 발병률을 보이며 유태인과
Caucasian 에 많으며 20-40 세에 많이 발생한다 .
항문에 인접한 직장에서 시작하여 점차 안쪽으로 퍼지며 대부분 연결되어 병적 염증성 변화가 나타난다.
1/2 에서 직장과 S 결장에서 나타나며,1/4 에서
횡형결장(transverse colon) 까지 병변이
나타나며 마지막 1/4 에서는 상행결장까지 병변이 진행한다.
0.5% 에서 대장암이 발생한다 .
원인: 일반적으로 확실히 밝혀져 있지 않다.
1: 유전적 요인: 2% 에서 가족력이 있다.
2: 자가면역 이상에서 온다는 학설이 있다.
3: 환경적요인에 영향을 받는다.
4: 세균의 감염?, Pseudomonas bacteria? 가 장세포에 독성으로 작용(Cytopathic effect).
하지만 확증은 없다.
5: 정신적 스트레스가 재발에 나쁜영향을 준다고 알려져 있다.
증상:
1: 발열과 복통, 구토, 혈변과 설사.(bloody diarrhea & abdominal pain)
2: 식욕부진, 만성으로 진행하면 체중감소. 영양상태
악화가 온다.
3: 대변 급박감, 점액같은 혈변, 흑변(black tarry stool).
4: 대부분의 경우 1 년이내에 재발(flare-up) 이
온다.
진단: 혈변, 설사, 복통, 항문주위 염증등의 전형적 증상시 의심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진단한다.
1: 대변검사; 혈변, 혈액검사: Vitamin B 12 와 엽산(Folic acid) 의 결핍, 빈혈(Anemia), 칼슘저하,
비타민 D 결핍, 등 흡수장애(Malabsorption) 에 의한 이상이 non-specific 하게
나타난다.
2: 대장경(Colonoscopy) 과 생검(biopsy):
확진이 가능하며, 장점막의 충혈, 부종을 염증성
변화와 궤양을
일률적으로 볼수있다. 95% 에서 직장(rectum) 의
병변을 동반한다. 만성이 되면
섬유화(fibrosis) 와 농포(small
abscess) 를 형성하기도 한다. Crohn's disease 아 달리
장벽의 두꺼워짐과 장의 협착은 일반적으로 적다.
3: Barium Enema( 장 바리움 X-Ray; diffuse fine ulceration( 장궤양) 이 대장 전반에 나타나며
만성시 장점막의 형태를 소실(loss of haustration) 과 장협착(fusiform stricture) 도 올수있다 .
감별진단(differential diagnosis): 혈변, 설사, 복통이 오는 장 질환과 감별진단이 필요하다.
1: Colonic neoplasm( 대장 종양); 대장암, 용종(Adenomatous polyps), 내 치질(Hemorrhoid)
2: 이질, 장티푸스, 아메바 장염, Campylobacter 장염, 장결핵 같은 세균성 장염과 감별진단
해야한다. 혈액검사, 대변 배양등으로 진단한다.
3: 항생제의 합병증으로 오는 장염(Pseudomembranous Colitis); 항생제
투여후 나타나며
Clostridium difficile 의 독(toxin) 에 의해 발생한다 .
치료: 85% 에서는 입원없이 통원 치료로 치료하며
15% 에서 심하게 나타나 입원치료가 필요하다.
1: 항염증약(Anti-inflammatory meds);
Sulfasalazine,Mesalazine 등을 사용한다.
2: 지사제: dephenoxylate,loperamide,codein,anticholinergic
등으로 설사를 막는다.
3: Adrenal corticosteroids(Prednisone 40-60mg/day 로 시작하여 경과에 따라 줄인다:
(10-15mg/day) or intravenous ACTH(40-60 units). Every 8 hrs( 혈관주사로 투여한다).
4: 면역억제제(immunosuppressive therapy); Azathioprine
:1.5-2.0mg/kg 대부분
Corticosteroid 에 반응한다는 경우에 사용한다
5: 세균성 염증이 동반되면 배양해 적절한 항생제를 첨가하여 치료한다 .
6: 요사이 소아 궤양성 대장염에는 Infliximate 로 8 주간 치료한다.
7: 신약으로 Vedalzumab 이 개발되었고 FDA 승인을
기다리고 있다.
8: 빈혈이 심하면 수혈로 치료한다.
9: Psychotherapy: 만성으로 장기간 치료가 필요하므로 정신적인 도움과 치료가 중도에
포기하지 않도록 꾸준한 치료가 필요하다 .
10: 마지막으로 장 적출(Colectomy) 로 환부를 제거한다.
도움: References:
1: Harrison's Principles of Internal Medicine.
2: www.Webmd.com
3: UC 사랑회: www.ulcerativecolitis.kr/
4: www.crohnsandcolitisinfo.com
5: 뉴욕코리아-> 하명진내과칼럼->#128:
궤양성 대장염.
Dr.하명진(James Myungchin Ha,MD.)
카톨릭 의대 졸업(1977)한국의사 면허,
미국의사 면허
미국 Mt.Vernon Hospital 외과 인턴 수련
미국 병리학 전문의 (Downstate의대 부속 Brooklyn Hospital에서 해부 및 임상병리학 수련)
미국 내과학 전문의(Albert Einstein의대 부속 Flushing Hospital에서 내과 전문의 수련
현 하명진 내과 건강관리센터 원장
KAMHC(한미 기독 의료선교 협의회)뉴욕 이사
전: TKC TV내과 상담, 기독교TV 신앙과 건강 담당
당뇨병의 완전 정복 건강 Video 등 다수의 한국언론에 의료 칼럼 게재
CTS TV Documentary "행복"의 주인공
Tel: 718-353-5730
E-mail : jjed1975@optonline.net
[ⓒ 뉴욕코리아( www.newyorkkorea.net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p><br></p><p><span style='color: rgb(51, 51, 51); font-family: "맑은 고딕"; font-size: 11pt; mso-ascii-theme-font: minor-fareast; mso-fareast-theme-font: minor-fareast; mso-hansi-theme-font: minor-fareast; mso-bidi-font-family: Arial; mso-ansi-language: EN-US; mso-fareast-language: KO; mso-bidi-language: AR-SA;'><strong><font size="5"><font color="#0a0a0a"><br></font></font></strong></span></p><p><span style='color: rgb(51, 51, 51); font-family: "맑은 고딕"; font-size: 11pt; mso-ascii-theme-font: minor-fareast; mso-fareast-theme-font: minor-fareast; mso-hansi-theme-font: minor-fareast; mso-bidi-font-family: Arial; mso-ansi-language: EN-US; mso-fareast-language: KO; mso-bidi-language: AR-SA;'><strong><font size="5"><font color="#0a0a0a"><br></font></font></strong></span></p><p><span style='color: rgb(51, 51, 51); font-family: "맑은 고딕"; font-size: 11pt; mso-ascii-theme-font: minor-fareast; mso-fareast-theme-font: minor-fareast; mso-hansi-theme-font: minor-fareast; mso-bidi-font-family: Arial; mso-ansi-language: EN-US; mso-fareast-language: KO; mso-bidi-language: AR-SA;'><strong><font size="5"><font color="#0a0a0a">궤양성 대장염</font><font color="#0a0a0a"><span lang="EN-US"><font size="5">(Ulcerative Colitis) <span lang="EN-US" style='color: rgb(51, 51, 51); font-family: "맑은 고딕"; font-size: 11pt; mso-ascii-theme-font: minor-fareast; mso-fareast-theme-font: minor-fareast; mso-hansi-theme-font: minor-fareast; mso-bidi-font-family: Arial; mso-ansi-language: EN-US; mso-fareast-language: KO; mso-bidi-language: AR-SA;'><font size="5">updated</font>.</span></font></span></font></font></strong></span></p><p><span style='color: rgb(51, 51, 51); font-family: "맑은 고딕"; font-size: 11pt; mso-ascii-theme-font: minor-fareast; mso-fareast-theme-font: minor-fareast; mso-hansi-theme-font: minor-fareast; mso-bidi-font-family: Arial; mso-ansi-language: EN-US; mso-fareast-language: KO; mso-bidi-language: AR-SA;'><font color="#0a0a0a" size="5"><span lang="EN-US"><strong><br></strong></span></font></span></p><p><span style='color: rgb(51, 51, 51); font-family: "맑은 고딕"; font-size: 11pt; mso-ascii-theme-font: minor-fareast; mso-fareast-theme-font: minor-fareast; mso-hansi-theme-font: minor-fareast; mso-bidi-font-family: Arial; mso-ansi-language: EN-US; mso-fareast-language: KO; mso-bidi-language: AR-SA;'><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
<br>
</span>궤양성 대장염<span lang="EN-US">(Ulcerative Colitis)</span>은 대장에 염증과 궤양을 일으키는 염증성
대장 질환으로</font><span lang="EN-US"><br><font color="#0a0a0a">
10</font></span><font color="#0a0a0a">만명당<span lang="EN-US"> 6-8</span>명 발병률을 보이며 유태인과<span lang="EN-US">
Caucasian</span>에 많으며<span lang="EN-US"> 20-40</span>세에 많이 발생한다</font><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
</span>항문에 인접한 직장에서 시작하여 점차 안쪽으로 퍼지며 대부분 연결되어 병적 염증성 변화가 나타난다</font><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
1/2</span>에서 직장과<span lang="EN-US"> S </span>결장에서 나타나며<span lang="EN-US">,1/4</span>에서
횡형결장<span lang="EN-US">(transverse colon) </span>까지 병변이</font><span lang="EN-US"><br><font color="#0a0a0a">
</font></span><font color="#0a0a0a">나타나며 마지막<span lang="EN-US"> 1/4</span>에서는 상행결장까지 병변이 진행한다<span lang="EN-US">.
0.5%</span>에서 대장암이 발생한다</font><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
<br>
</span>원인<span lang="EN-US">: </span>일반적으로 확실히 밝혀져 있지 않다</font><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
1: </span>유전적 요인<span lang="EN-US">: 2%</span>에서 가족력이 있다</font><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
2: </span>자가면역 이상에서 온다는 학설이 있다</font><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
3: </span>환경적요인에 영향을 받는다</font><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
4: </span>세균의 감염<span lang="EN-US">?, Pseudomonas bacteria? </span>가 장세포에 독성으로 작용</font><font color="#0a0a0a"><span lang="EN-US">(Cytopathic effect).<br>
</span>하지만 확증은 없다</font><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
5: </span>정신적 스트레스가 재발에 나쁜영향을 준다고 알려져 있다</font><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
<br>
</span>증상</font><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
1: </span>발열과 복통<span lang="EN-US">,</span>구토<span lang="EN-US">,</span>혈변과 설사</font><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loody diarrhea & abdominal pain)<br>
2: </span>식욕부진<span lang="EN-US">, </span>만성으로 진행하면 체중감소<span lang="EN-US">.</span>영양상태
악화가 온다</font><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
3: </span>대변 급박감<span lang="EN-US">, </span>점액같은 혈변<span lang="EN-US">,</span>흑변</font><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lack tarry stool).<br>
4: </span>대부분의 경우<span lang="EN-US"> 1</span>년이내에 재발<span lang="EN-US">(flare-up)</span>이
온다</font><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
<br>
</span>진단<span lang="EN-US">: </span>혈변<span lang="EN-US">,</span>설사<span lang="EN-US">,</span>복통<span lang="EN-US">,</span>항문주위 염증등의 전형적 증상시 의심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진단한다</font><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
1: </span>대변검사<span lang="EN-US">; </span>혈변<span lang="EN-US">, </span>혈액검사<span lang="EN-US">: Vitamin B 12 </span>와 엽산<span lang="EN-US">(Folic acid)</span>의 결핍<span lang="EN-US">,</span>빈혈<span lang="EN-US">(Anemia), </span>칼슘저하</font><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
</span>비타민<span lang="EN-US"> D </span>결핍<span lang="EN-US">, </span>등 흡수장애<span lang="EN-US">(Malabsorption) </span>에 의한 이상이<span lang="EN-US"> non-specific </span>하게
나타난다</font><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
2: </span>대장경<span lang="EN-US">(Colonoscopy)</span>과 생검<span lang="EN-US">(biopsy):
</span>확진이 가능하며<span lang="EN-US">,</span>장점막의 충혈<span lang="EN-US">,</span>부종을 염증성
변화와 궤양을</font><font color="#0a0a0a"><span lang="EN-US"> <br>
</span>일률적으로 볼수있다<span lang="EN-US">. 95%</span>에서 직장<span lang="EN-US">(rectum)</span>의
병변을 동반한다<span lang="EN-US">. </span>만성이 되면</font><font color="#0a0a0a"><span lang="EN-US"> <br>
</span>섬유화<span lang="EN-US">(fibrosis)</span>와 농포<span lang="EN-US">(small
abscess)</span>를 형성하기도 한다<span lang="EN-US">. Crohn's disease </span>아 달리</font><font color="#0a0a0a"><span lang="EN-US"> <br>
</span>장벽의 두꺼워짐과 장의 협착은 일반적으로 적다</font><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
3: Barium Enema(</span>장 바리움<span lang="EN-US"> X-Ray; diffuse fine ulceration(</span>장궤양<span lang="EN-US">) </span>이 대장 전반에 나타나며</font><span lang="EN-US"><br><font color="#0a0a0a">
</font></span><font color="#0a0a0a">만성시 장점막의 형태를 소실<span lang="EN-US">(loss of haustration) </span>과 장협착<span lang="EN-US">(fusiform stricture)</span>도 올수있다</font><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
<br>
</span>감별진단<span lang="EN-US">(differential diagnosis): </span>혈변<span lang="EN-US">,</span>설사<span lang="EN-US">,</span>복통이 오는 장 질환과 감별진단이 필요하다</font><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
1: Colonic neoplasm(</span>대장 종양<span lang="EN-US">); </span>대장암<span lang="EN-US">,</span>용종<span lang="EN-US">(Adenomatous polyps), </span>내 치질</font><font color="#0a0a0a"><span lang="EN-US">(Hemorrhoid)<br>
2: </span>이질<span lang="EN-US">,</span>장티푸스<span lang="EN-US">,</span>아메바 장염<span lang="EN-US">, Campylobacter </span>장염<span lang="EN-US">,</span>장결핵 같은 세균성 장염과 감별진단</font><font color="#0a0a0a"><span lang="EN-US"> <br>
</span>해야한다<span lang="EN-US">. </span>혈액검사<span lang="EN-US">,</span>대변 배양등으로 진단한다</font><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
3: </span>항생제의 합병증으로 오는 장염<span lang="EN-US">(Pseudomembranous Colitis); </span>항생제
투여후 나타나며</font><span lang="EN-US"><br><font color="#0a0a0a">
Clostridium difficile </font></span><font color="#0a0a0a">의 독<span lang="EN-US">(toxin) </span>에 의해 발생한다</font><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
<br>
</span>치료<span lang="EN-US">: 85% </span>에서는 입원없이 통원 치료로 치료하며<span lang="EN-US">
15% </span>에서 심하게 나타나 입원치료가 필요하다</font><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
1: </span>항염증약<span lang="EN-US">(Anti-inflammatory meds);
Sulfasalazine,Mesalazine </span>등을 사용한다</font><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
2: </span>지사제<span lang="EN-US">: dephenoxylate,loperamide,codein,anticholinergic
</span>등으로 설사를 막는다</font><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
3: Adrenal corticosteroids(Prednisone 40-60mg/day</span>로 시작하여 경과에 따라 줄인다</font><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
(10-15mg/day) or intravenous ACTH(40-60 units). Every 8 hrs( </span>혈관주사로 투여한다</font><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
4: </span>면역억제제<span lang="EN-US">(immunosuppressive therapy); Azathioprine
:1.5-2.0mg/kg </span>대부분</font><font color="#0a0a0a"><span lang="EN-US"> <br>
Corticosteroid </span>에 반응한다는 경우에 사용한다</font><span lang="EN-US"><br><font color="#0a0a0a">
5: </font></span><font color="#0a0a0a">세균성 염증이 동반되면 배양해 적절한 항생제를 첨가하여 치료한다</font><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
6: </span>요사이 소아 궤양성 대장염에는<span lang="EN-US"> Infliximate </span>로<span lang="EN-US"> 8</span>주간 치료한다</font><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
7: </span>신약으로<span lang="EN-US"> Vedalzumab </span>이 개발되었고<span lang="EN-US"> FDA </span>승인을
기다리고 있다</font><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
8: </span>빈혈이 심하면 수혈로 치료한다</font><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
9: Psychotherapy: </span>만성으로 장기간 치료가 필요하므로 정신적인 도움과 치료가 중도에</font><span lang="EN-US"><br><font color="#0a0a0a">
</font></span><font color="#0a0a0a">포기하지 않도록 꾸준한 치료가 필요하다</font><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
10: </span>마지막으로 장 적출<span lang="EN-US">(Colectomy)</span>로 환부를 제거한다</font><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
<br>
</span>도움</font><font color="#0a0a0a"><span lang="EN-US">: References:<br>
1: Harrison's Principles of Internal Medicine.<br>
2: <a href="http://www.Webmd.com">www.Webmd.com</a> <br>
3: UC </span>사랑회</font><font color="#0a0a0a"><span lang="EN-US">: <a href="http://www.ulcerativecolitis.kr/">www.ulcerativecolitis.kr/</a><br>
4: <a href="http://www.crohnsandcolitisinfo.com">www.crohnsandcolitisinfo.com</a> <br>
5: </span>뉴욕코리아<span lang="EN-US">-> </span>하명진내과칼럼<span lang="EN-US">->#128:
</span>궤양성 대장염</font><span lang="EN-US"><font color="#0a0a0a">.</font><br>
<br>
<br></span></span><br></p><p><img src="/wysiwyg/PEG/W_1341339730.png"></p><p> </p><p></p><p><strong>Dr.하명진(James Myungchin Ha,MD.)</strong></p><p><strong><br></strong></p><p>카톨릭 의대 졸업(1977)한국의사 면허,</p><p>미국의사 면허</p><p>미국 Mt.Vernon Hospital 외과 인턴 수련</p><p>미국 병리학 전문의 (Downstate의대 부속 Brooklyn Hospital에서 해부 및 임상병리학 수련)</p><p>미국 내과학 전문의(Albert Einstein의대 부속 Flushing Hospital에서 내과 전문의 수련</p><p>현 하명진 내과 건강관리센터 원장</p><p>KAMHC(한미 기독 의료선교 협의회)뉴욕 이사</p><p>전: TKC TV내과 상담, 기독교TV 신앙과 건강 담당</p><p>당뇨병의 완전 정복 건강 Video 등 다수의 한국언론에 의료 칼럼 게재</p><p>CTS TV Documentary "행복"의 주인공</p><p><br></p><p><strong><font color="#ff9933">Tel: 718-353-5730</font></strong></p><p><strong><font color="#ff9933">E-mail : </font></strong><a href="mailto:jjed1975@optonline.net"><strong><font color="#ff9933">jjed1975@optonline.net</font></strong></a></p><p> </p><p> </p><p> </p><p> </p><p> </p><p></p><p></p><p></p><p></p><p></p><p></p><p></p><p></p><p></p><p></p><p class="바탕글"><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 font-size: 11pt; mso-ascii-font-family: 맑은 고딕; mso-hansi-font-family: 맑은 고딕;"><span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font size="3"><span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font color="#000000" size="3">[ⓒ 뉴욕코리아(</font><a style="color: rgb(53, 53, 53); text-decoration: none;" href="http://www.newyorkkorea.net/" target="_blank"><font color="#000000" size="3">www.newyorkkorea.net</font></a><font color="#000000"><font size="3"><font color="#000000">),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font></font></font></span></font></span></span></p>
회원정보
닉네임
Dr.하명진 (drjamesha)
가입일
2008-07-23
등급
운영자 (1)
활동
포인트 : 0 점
게시물 작성수 : 0 개
댓글 작성수 : 개
쪽지보내기
게시물 신고하기
게시판 성격에 맞지 않거나 불건전한 게시물을 운영자에게 신고할 수 있습니다.
운영자 확인 후 해당글 삭제조치 및 해당 회원에게 불이익이 갈 수 있습니다.
허위신고시에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니 신중하게 신고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