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코리아    SF    Boston    Washington D.C    Chicago    Atlanta    Canada
NewsLife InfoRealtySell & BuyJobsHealthCultureFood/TourIssueYellowPageShopping
회원가입 아이디/비밀번호찾기
Health
건강상담
닥터건강상담QA
병원정보
병원.의료뉴스공지
병원정보Q/A
응급조치 상식
의료보험 상담/정보
내과
하명진 내과칼럼
소아청소년과
이상원 소아과전문의
성형외과
이신지 성형외과칼럼
통증치료과
김치갑 통증치료칼럼
하명훈 통증재활칼럼
*통증관련 도움VOD
*치과관련 VOD
한의학/한방과
간송 한의학 칼럼
김홍순 한의학칼럼
동물병원
김기택 애완동물칼럼
안과
조민희 망막전문안과
▶추천 전문병원
★추천병원 파워리스트
추천병원탐방
병원집중탐방 인터뷰
라이프 건강
증상 관련 해법정보
웰빙 부르는건강상식
건강에 좋은추천음식
건강웰빙 운동
인체의 구조
건강정보교환해요
자유게시판
힐링 명상음악듣기
 
 
 
 
 
 
 
 
 
회원정보
닉네임
가입일 2008-07-23
등급 운영자 (1)
활동
포인트 : 0
게시물 작성수 : 0
댓글 작성수 : 0
쪽지보내기
받을아이디
제목
내용
(0/200바이트)
 
> Health > 내과 > 하명진 내과칼럼
ha.edward

하명진 내과칼럼
파킨슨 병(Parkinson's disease)
작성자: Dr.하명진 작성자정보 조회: 9509 등록일: 2015-01-03



파킨슨 병(Parkinson's disease)



파킨슨 병은 1817년 영국 의사, James Parkinson이 처음으로 뇌의 퇴행성으로 오는 몸이 떨리고

(Tremor),
굳어지며(rigidity), 느린 움직임(Bradykinesia)과 균형이상(impaired balance)가 오는
질병으로 처음 기술한 질병으로 10만명당 10-20명 정도 발병하고 연령이 증가 할수록 발병률이 증가
하며 미국에서의 peak age 62세며 백인이 흑인보다 많다. 우리가 걱정하는 치매의 원인인
알츠하이머 병, 혈관성 치매 다음으로 3번째로 많은 치매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초기에는 shaking palsy 라고도 

불렸고 기대 수명은 파킨슨 병이 없는자와 별 차이가 없으며 20년 이상 생존도 가능하다. 미국에서 현재 150만명 

이상이 파킨슨병을 앓고 있다. 무하마드 알리와 교황 요한바오로 2세 등이 파킨슨병을 앓고있어 유명해진 

질병이기도 하다수전증에 의한 떨림과 관절염에 의한 관절경직과는 다른 질병이다.


원인: 뇌간(Brain stem)의 흑질(Substantia nigra) 에서 신경세포들이 서서히 죽어가 신경전달

물질인 도파민(Dopamine) 생성이 중단되어 온다.그 원인으로 4번 염색체의 돌연변이에 의해 오며
,
가족력이 있을수 있고, 그외 살충제, 제초제, 중금속 같은 환경독소 노출과 최근 곰팡이 노출이 원인이

될수 있다는 학설이 있지만 아직까지 확실히 증명된 원인들은 없다.

증상: 초기 증상은 손가락, 입술 손의 가벼운 떨림과 근육경직으로 걸음이 불편하며 의자에서 일어나는것이

불편하다. 글씨를 작게 모아서 쓰게되고 얼굴 표정이 굳게 되고 축 처진 모습으로 시작하다가 점차
다음과 같은 증상으로 악화된다.

1:
떨림(Tremor); 70% 의 환자에서 초기 증상으로 나타나며 손가락, 손의 떨림현상이 규칙적으로

나타난다. 4-6 beats/second 로 손이 안정시 규칙적으로 떨리며 힘을 주거나 어떤일을 신경써서
할때는 나타나지 않는다. Intentional tremor와는 달리 안정시 resting tremor가 나타난다
.

2:
둔한 움직임(Bradykinesia); 행동이 굼뜨고(slow movement) 걸을때 자연스럽지 못하고

(Shuffling walk),
얼굴 표정이 없고 굳어 있다. (Mask like face). 의자에서 일어나거나
누웠다 일어나기가 둔해져서 어렵게 된다.

3:
자세이상(Impaired balance); 몸 전체가 굳어있어 엉거주춤한 자세
(stooped posture) with
drooping shoulders(
어깨가 축 처짐), 자세 불안정으로 균형을 잃어 넘어질 가능성이 높다
.

4:
근육경직(Rigidity); 근육이 경직(muscle rigidity) 되어 근육통이나 근육경련을 일으키기도 한다
.
(muscle pain & cramps).
걸을래 팔을 움직이지 않는다
.(Arm may not swing when person is walking)

5:
기타 증상(symptoms beyond movement); 우울증(depression),불면증
(restless sleep),
Daytime fatigue(
주간 피곤증),Oily skin & dandruff(비듬과 기름진 피부),변비
(constipation),
연하곤란(difficulty swallowing),기억상실(Memory loss),혼동(confusion),치매(Dementia)가 올수있다.


파킨슨병의 단계
(5 stages of Parkinson's disease);
1
단계; 떨림(tremor)나 강직(rigidity)가 한쪽 팔이나 다리에만 국한 된 경우로 가장 초기이다
.
가족들이 환자의 표정의 이상 즉 굳은 표정이나 균형이상을 쉽게 관찰할 수 있다
.
2
단계; 떨림과 강직이 양쪽 팔 다리에 나타나는 경우다.보행이 어렵게 되며 균형잡기가 어렵다
.
3
단계; 넘어지듯이 균형을 잃고 비틀거리며 똑바로 걸을 수 없고 똑바로 서있기가 힘들다
.
4
단계; 혼자 잘 일어나지 못하고 보조기구가 필요한 단계다. 하지만 떨림(tremor)는 왠지 감소한다
.
5
단계; 마지막 단계로 누워서만 지내게 되고 1:1 간호가 필요한 마지막 단계다
.

진단: MRI of Brain나 혈액검사 등은 별 도움이 안되지만 다른 이차적, 뇌 이상에서 오는 증상을

감별 진단할 수 있다. 원인이 확실히 밝혀지지 않아 주로 임상증상으로 하기와 같이 진단한다
.

1: Bradykinesia(
둔한움직임)검사; tap your finger & thumb together, 손가락과 엄지 손가락을

서로 가볍게 맞추어 두드려 움직임의 둔함(slow movement)을 확인할 수 있다.
2:
손을 안정시키고 손떨림이 있는 지를 관찰한다. resting tremor 가 온다. Intentional tremor

Benign essential tremor
와 정반대로 안정 시에 규칙적인 떨림이 일초에 4-6번 계속 나타난다.
3: Rigidity(
경직) 검사로 팔을 이완시키고 수동적으로 당겨보면 자연스럽지 못하고 cogwheel movement

(톱니바퀴경직)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서있는 상태에서 당겨보면 쉽게 균형을 잃을 수있다.
4:
다음 3단계의 8가지 증상중 3개 이상의 증상이 나타나면 파킨슨병 으로 진단한다
.
a:
상기 파킨슨 증상이 몸의 한쪽에서 시작함

b: Rest tremor(
안정 진전) 즉 안정시 떨림현상이 규칙적으로 나타난다.
c:
파킨슨병 증상이 좌우 비대칭으로 지속적으로 유지됨
.
d:
병세가 점차 진행되는 경과를 보임
.
e: Levodopa
치료에 우수한 반응 즉 70~100% 의 호전을 보임
.
f: Levodopa
대한 반응이 5년이상 지속됨

g: Levodopa
유도성 이상운동증이 심함.
h:
병의 과정이 10년 이상일때
.
5: PET scan
에서 Dopamine uptake 감소가 나타난다
.

치료: 약물, 수술, 물리치료등으로 증상의 호전과 질병의 진행을 늦출수 있다
.

A:
약물치료: 전문의의 처방에 의해 치료하며 주기적인 혈액검사로 부작용 여부와 용량을 조절한다
.
1: Levodopa: 1970
년에 발명된 약으로 현재까지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고 효과도 좋아 근육경직
,
둔한 움직임의 치료에 많은 도움을 준다. 고단백질 음식은 피해야 하며 오심, 구토 졸림, 환상등의 부작용

이 올수있다.(ex:Sinemet)
2: Dopamine Agonist; dopamine
과 유사한 구조로 Apokyn, Mirapex, Parlodel 등의 복용약과

Neupro,Arequipa,Apokyn
같은 skin patch가 있고 주사약도 있다.
3: Other meds:
A; Comtan & Tasmar : Levodopa
의 효력을 증가 시킨다
.
B: Azilect,Eldepryl,Emsam & Zekpar
등은 Dopamine 파괴를 늦게하여 치료에 도움을 준다
.
4: Anticholine estrase
Trhexyphenidyl, Benztropine Mesylate,Biperiden,
Diphenhydramine
등은 tremor(떨림)과 경직(rigidity) 완화에 임상적인 증상호전을 본다
.

B:
수술치료
(Surgery);
1: Deep Brain Stimulation;
수술의 방법으로 뇌의
globus pallidus,Thalamus & Subthalmic
Nucleus 3
군데에 전극(electrode)를 심어 전기 자극을 pulse generator를 통해 주어 경직
,
떨림, 둔한 운동력을 수술로 교정하는 방법이다. 진행된 경우에 수술한다
.
2: Papilldotomy & Thalamatomy
뇌조직의 수술적 파괴 방법으로 운동느림증(Bradykinesia)에는

효과가 없는 단점이 있고 요사이 파괴된 조직을 다시 살릴 수없어 수술을 피하고 대신 뇌 임플란트
장치인 Activa Tremor Control System을 뇌의 시상하액에 전극을 삽입하고 전극의 다른 쪽을
가슴 피부 아래 심어놓아 건전지에 연결하는 방법인데 시술비용이 고가인 단점이 있다
.

C:
물리치료(Physical & occupational treatment); 말하기 연습, 얼굴 근육운동, 턱운동, 삼키기

연습, 근육 완화 운동등의 물리치료로 강직을 풀어줄수 있으나 질병진행을 막을 수는 없다
.

D:
식이요법: 특별한 것은 없지만 well balanced high fiber diet 을 추천하며 칼슘과 비타민 D

많은 음식과 과일들의 섭취를 늘리는 것을 추천한다. 커피가 좋다는 학설도 있더 하루 2잔 정도 추천한다
.

E:
태반(placenta)에서 neuron(신경세포)를 추출해 뇌의 파킨슨병을 일으키는 부위에 이식하여

효과를 본 연구결과가 있었으나 생명윤리 문제로 활성화 하지 못하고있다.

F:
흡연자에게 파킨슨병이 적게 발생하고 니코틴은 도파민을 활성화 시킴으로 니코틴 치료나 흡연을

추천하는 그룹도 있다. 흡연으로 인한 득과 실을 계산하여야 한다
.

전문적 도움팀(Building a Caregiver team)의 구성 및 상호 도움이 필요하다
.
1:
주치의(내과의사) 그리고 신경전문의(Neurologist;brain specialist)의 전문적 진단과 치료 필요
.
2: Social workers and case managers(
사회봉사자와 도움자); 서류 작성과 장기 치료 계획수립
.
3:
간호사, 물리치료사, 가정치료도움자(Nurses, therapists, and home-health aids)가 필요하다
.
4: Local support agencies(
지역 도움기관)의 도움과 최신정보를 얻는다
.
5:
복용약 투여, 규칙적 검진, 적당한 운동과 즐길거리로 life style의 변화를 준다
.

환자의 안전을 위한 추천사항
:Keeping your Loved one Safe;
1:
가능한 운전금지로 사고의 위험을 없앤다
.(Discourage driving)
2:
길을 잃지 않도록 주소가 적혀있는 팔지(ID bracelet)를 착용한다
.
3:
가능한 외출시 같이 동행하여 사고를 예방한다
.(watch for wandering)
4:
주위에 환자의 질병상태를 알려 이상시 연락할 수 있도록 한다
.
5:
화재경보기를 환자가 기거하는 곳에 설치한다
.(install fire alarm)
6:
모든 전화기에 응급으로 연락할수 
있는 전화번호와 집주소를 적어 놓는다.

7: 줄에 걸려 넘어지지 않도록 전화선, 전깃줄 등을 코너로 tape로 붙이거나 발에 걸리지 않도록한다.
8:
진행된 경우 nursing home(양노원)에 입원하여 지속적 전문치료를 받아야한다
.

도움과
References:
1: cdc.go.kr->"
파킨슨병" 검색
.
2: webmd.com->"Parkinson's disease" search.
3:
대한파킨슨병확회
: pks.or.kr
4: Parkinson's disease foundation: pdf.org
5: Nationsl Parkinson foundation: Parkinson.org
6: newyorkkorea.net->health->
하명진내과칼럼->#51:노년기의 건강관리 또는 #174;시니어의

건강관리 ABCD.


 

Dr.하명진(James Myungchin Ha,MD.)


카톨릭 의대 졸업(1977)한국의사 면허,

미국의사 면허

미국 Mt.Vernon Hospital 외과 인턴 수련

미국 병리학 전문의 (Downstate의대 부속 Brooklyn Hospital에서 해부 및 임상병리학 수련)

미국 내과학 전문의(Albert Einstein의대 부속 Flushing Hospital에서 내과 전문의 수련

현 하명진 내과 건강관리센터 원장

KAMHC(한미 기독 의료선교 협의회)뉴욕 이사

전: TKC TV내과 상담, 기독교TV 신앙과 건강 담당

당뇨병의 완전 정복 건강 Video 등 다수의 한국언론에 의료 칼럼 게재

CTS TV Documentary "행복"의 주인공


Tel: 718-353-5730

E-mail : jjed1975@optonline.net

 

 

 

 

[ⓒ 뉴욕코리아(www.newyorkkorea.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트위터 트위터 페이스북 페이스북
댓글 : 0
번호 제목 작성자 조회 등록일
270 하명진,노혜영 선교사 아이티 선교보고.Sep.2020. Dr. 하명진 5475 2020-09-18
269 Highlights of Sep 4,2020 Dr. 하명진 4978 2020-09-18
268 MiPA Clinic Aug 3,2020 Dr. 하명진 6053 2020-08-06
267 미파클리닉 7월31일 2020년 Dr. 하명진 5253 2020-08-03
266 Opening day of MiPA Clinic on July 20 2020 미파클리닉 재 개원 Dr. 하명진 5088 2020-08-03
265 Dr.Ha’s story. 하명진 선교사 이야기. Dr. 하명진 6085 2020-04-30
264 Please pray & Save HAITI from Covid 19. Dr. 하명진 6047 2020-03-30
263 주님의 은혜 감사합니다 2019년을 보내며 Dr. 하명진 5755 2019-12-31
262 치유하여 자유케하소서 @MiPA Clinic on Dec 16 2019 Dr.하명진 5553 2019-12-23
261 Haknesiah -HAITI 섬김과 기적 클리닉 개원 6.2.2019 Dr.하명진 5843 2019-07-02
260 MiPA Clinic Dr.하명진 5985 2019-06-15
259 MiPA Clinic Opening Worship Dr. 하명진 6132 2019-06-10
258 하명진 노혜영 선교사 2018년 아이티 사역 뉴욕코리아 9701 2019-01-04
257 HaKnesiah Medical Mission In Haiti. 하크네시아 메디칼 선교 Dr.하명진 11238 2018-09-28
256 [선교] HaKnesiah Medical Clinic opening worship on 6/25/2017 Dr.하명진 9662 2017-06-26
255 [선교] 아이티 선교 바자회 2017 Bazaar for Haiti Mission Dr.하명진 11340 2017-06-12
254 [선교]2017 Cherry Hill Haiti mission Dr.하명진 8012 2017-06-06
253 [선교]2017 체리힐제일교회 아이티 선교 5/26-5/31 Dr.하명진 14185 2017-06-06
252 [뉴스]뉴욕 맘선교회 정기모임 “하나님과 함께 동행하는 선교” -아멘넷 뉴스 Dr.하명진 16158 2017-06-06
251 [선교] 아이티 예수병원 후원바랍니다 Love & Hope in Haiti Dr.하명진 11846 2017-04-11
250 [선교 ]Live & Hope, Future branch Clinic site of JMCH. -하명진 박사 Dr.하명진 11255 2017-02-21
249 [선교] Jesus Medical & Dental Clinic in Haiti.-하명진 박사 Dr.하명진 11785 2017-02-21
248 [선교] 아이티 슬럼가 솔레이시티 사랑과 소망 선교-하명진 박사 Dr.하명진 12022 2017-02-21
247 [선교] Love & Hope mission church in Cite Soleil,Haiti.-하명진 박사 Dr.하명진 11871 2017-02-21
246 독감 증상과 합병증(Flu symptoms & Complications) Dr.하명진 13508 2017-01-30
245 2017년을 건강하게 사는법(Healthy tips for 2017 new year) Dr.하명진 14011 2017-01-04
244 마약 중독 확산 비상 (Opioid epidemic in US) Dr.하명진 11324 2016-12-17
243 세계 에이즈 날(World AIDS Day) Dr.하명진 9327 2016-12-02
242 세계 항생제 인식 주간(World Antibiotic awareness week) Dr.하명진 11064 2016-11-19
241 당뇨병의 달(National Diabetes Month) Dr.하명진 10657 2016-11-05
240 유방암 인식의 달(Breast Cancer Awareness Month) Dr.하명진 9109 2016-10-21
239 수족구병 확산(Hand mouth & foot disease outbreaks) Dr.하명진 11940 2016-10-08
238 항생제 내성 박테리아(AntiMicrobial Resistance:AMR) Dr.하명진 10268 2016-09-24
237 세계 자살 예방의 날(World Suicide Prevention Day) Dr.하명진 11856 2016-09-10
236 Zika virus updates(지카 바이러스 최신 정보) Dr.하명진 8932 2016-08-27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회원정보
닉네임 Dr.하명진 (drjamesha)
가입일 2008-07-23
등급 운영자 (1)
활동
포인트 : 0
게시물 작성수 : 0
댓글 작성수 : 0
쪽지보내기
닉네임 Dr.하명진 (drjamesha)
제목
내용
(0/200바이트)
게시물 신고하기
게시판 성격에 맞지 않거나 불건전한 게시물을 운영자에게 신고할 수 있습니다.
운영자 확인 후 해당글 삭제조치 및 해당 회원에게 불이익이 갈 수 있습니다.
허위신고시에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니 신중하게 신고해주세요.
글 제목 파킨슨 병(Parkinson's disease)...
글 작성자 Dr.하명진
신고이유
회사소개 | 개인정보취급방침 | 회원약관 | 고객지원센터 | 제휴 및 광고문의 | 광고안내   
 

 

Contact Us : 고객문의센터, Tel: 대표 201-674-5611

E-mail: newyorkkorea77@gmail.com, newyorkkorea@naver.com, 빠른카톡상담ID : newyorkkorea 

미국최대 대표포털 뉴욕코리아는 미국법률변호사고문 및 미국저작권법의 보호를 받고 있으며, 컨텐츠 및 기사의 무단 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  

Copyright (c) New York Korea, INC. News Media Group in US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