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 칼슘증 (Hypocalcemia) |
작성자: Dr.하명진  |
조회: 8619 등록일: 2015-01-24 |
|
|
저 칼슘증(Hypocalcemia)
저칼슘증(Hypocalcemia)은 뼈의 중요한 구성 성분인 칼슘의 혈중 농도가 비정상적으로
8.2mg/dl 이하인 경우로 근육계,신경계 그리고 심장에 영향을 주어 근육의 경련과 마비,
부정맥등을 초래할수 있으며 부갑상선 즉 Parathyroid 에 의하여 칼슘 대사가 조절된다. 혈중
정상 범위는 8.5-10.5mg/dl 이다. 인체의
칼슘의 99%는 뼈나 치아에 존재하며 1%는 조직과
혈관에 체액으로 존재하며 혈중에 3종류로 존재한다. 즉
단백질인 알부민에 붙어있는 형태와 양이온(anion)으로
인(phosphate)이나 citrate 에
붙어 있거나 free ionized Calcium(칼슘 이온)형태로
존재하며 이중 ionized Calcium(이온화 칼슘)만이
생리적으로 활성화된 칼슘이다.
원인: 대부분 부갑상선저하증에 의하지만 다음과 같은 여러 원인으로 저칼슘증이 올수있다..
1: Eating disorder 즉 anorexia nervosa,bullemia 같은
병적인 식이요법으로 칼슘섭취 감소.
2: stomach flu 같은 질병시 계속적인 구토(prolonged vomiting).요사이 Norovirus 위장염이 많다.
3: 인(phosphate),아연(Zinc),마그네슘(Magnesium) 영양제로 과다 복용.
4: 수은(Mercury) 노출, 아동의 infantile acrodynia.(지단동통:손발이 붓고 동통이
생기며 dusky
Pink색으로 변하는 상태로 일반 중금속 중독시 유아에 많이 나타난다.)
5: 중금속 중독시 해독제 EDTA 과다사용후 저칼슘증이 나타난다.
6: 골다공증 예방약 과다 복용(Biphosphonates:Fosamax 70mg 또는 Actonel & Boniva 150mg,
Denosumab:Prolia 피하 주사약)
7: Calcitonin같은 고칼슘 저하제 과다복용.
8: 만성 신장질환(Chronic Renal failure).예: Nephrosis.
9: 활성 비타민 D 결핍; 햇빛 노출 감소,칼슘섭취감소,비타민D 대사
이상(구루병;꼽추병,rickets)
10: 급성 고인증(Acute hyperphosphaemia).
11: Tumor lysis syndrome.
12: Rhabdomyolysis(횡문근융해증)> Acute renal failure.(급성신장부전증)
13:Alkalosis by hyperventilation, 또는 metabolic
alkalosis 시에도 저칼슘증이 나타난다.
14: Complication of Acute Pancreatitis.(급성췌장염의 합병증).
15: 영유아 저칼슘증(Neonatal hypocalcemia: low birth weight,
less than 32wks gestational.
16: Hypoparathyroidism(부갑상선기능저하증)시 나타난다.(목 주위 방사선치료,부갑상선제거수술 등)
18: Alcoholism(알콜 중독)
19: 이뇨제(loop diuretic),Magnesium 있는 변비약,제산제(예:Milkmof
magnesia,Mylanta/Malox)
20: 항암치료(Chemotherapy)제: 예;Cisplatin.5 FLuorouracil,leukocorin,etc.
21: 갱년기 호르몬제(estrogen replacement)
22:Hypoalbuminemia(저알부민증):간경화,신기능저하(Nephrosis),영양실조(malnutrition),
화상(burn),패혈증(sepsis) &
Chronic disease(만성질환)
23: Hyperphosphatemia(고 인증); 인(Phosphate)가
있는 관장약enema)복용시나 기타.
증상:무증상에서 부터 전신 tetany(근육경직),부정맥(Ventricular Tachycardia)으로 사망도 올수있다.
1: CATS 즉 Convulsion(경련),Arrythmia(부정맥),Tetany(경직),PAresthesis(마비)가 근육에 온다..
2: Petechia->bruise(피부반점->피부가 멍도 온다).
3: tingling or Pins & needle sensation(저리거나 바늘이 찌르는것 같은 느낌이 든다..)
4: Carpopedal & generalized tetany(팔 다리나 전신의 경직)
5: Oral,peri oral, Acral PAresthesis,입,입주위,손,발의 마비가 온다.
6: Chvostek's sign: 얼굴 뺨 아래쪽을 손가락으로 두드리면 얼굴의 경련이 온다.
7: hyper active reflex( 반사작용이 심하게 나타난다).
8: Laryngospasm,bronchospasm(후두경련,기관지경련) 으로 사망할수 있다.
9: Arrythmia(부정맥) 특히
ventricular tachycardia로 사망할수도 있다.
10:Troussau sign: 혈압측정 cuff를
upper arm에 두르고 수축기 혈압 이상으로 압박을 가하면
손목과 손과 팔의 근육이 경련을 일으켜 hyper reflex 하여 손목이 굽힌 상태가
나타난다.
진단:
1: 혈액검사로 쉽게할수 있다. 즉 혈중 칼슘이
8.5mg/dl 이하로 저칼슘증을 진단할수 있고 6mg/dl
미만이면 매우 위험한 상태다.
2: 대부분의 혈장 칼슘은 혈중 알부민과 붙어있어 정확한 칼슘 level은 측정한 칼슘+.8(4-측정 알부민 수)
즉 corrected Calcium= measured Calcium(mg/dl)+0.8x(4 -
albumin level;mg/l)이다.
3: 심전도(EKG)의 이상,즉 prolonged QT interval 과 심한 경우 sign 곡선
같은 특이한 Ventricular
Tachycardia 가 나타난다.
4: 원인을 알기위한 검사로 serum phosphate level, iPTH
level,Magnesium level,Creatinine,
Creatinine kinase,serum Amylase level, 25 hydoxy Vit D level등을 측정해 원인을 알수있다.
5: Hypoparathyroidism(부갑상선저하증)이 원인이면 Immunoreactive PTH(Parathyroid
Hormone) level 이 저하되고 다른 경우는 정상이거나 상승되어 있다.
치료; 최소 혈중 칼슘량이 8mg/dl 이상
되도록 치료한다.
1: Intravenous Cacium gluconate 10% 를 혈관주사로 심한 저칼슘증을 자주 칼슘을 측정하며
심전도 monitor 하에서 치료한다.
2: 경미한 저칼슘증은 Calcium carbonate(예;Tums,250-1000mg);싸지만 흡수율이 낮다.
뼈로 만든 칼슘 즉, Oscal 500mg plus Vit D3 or Caltrate 600mg
plus vit D 1-4알
복용으로 경구 치료한다. 그외 Calcium
gluconate,Calcium citrate 경구 복용약이 있다.
3: 햇빛에 피부를 노출시키거나 자외선 치료로 피하에 비타민 D의 합성을 촉진시킨다.
4: 하루 칼슘 요구량: 1000-1500mg/d,하루 비타민 D 요구량:400-1,000 IU/day 가 필요하다.
5: 칼슘이 많은 멸치,우유,새우,치즈,완두콩,미역,다시마,아몬드,무말랭이,브로콜리를 많이 먹는다.
6: 특히 갱년기가 되어 여성 호르몬인 에스트로겐 을 복용하거나 골다공증 예방약을 복용시 꼭
칼슘과 비타민 D를 주기적으로 혈액검사로 확인하여 적절한 치료를 받아야 한다.
7: 마그네슘 저하시에는 마그네슘을 보충하여 정상화 시켜야한다.
도움 & references; "Hypocalcemia" search
1: webmd.com.
2: emedicine.medscape.com
3: Harrison's principles of Medicine.
4: lifescript.com

Dr.하명진(James Myungchin Ha,MD.)
카톨릭 의대 졸업(1977)한국의사 면허, 미국의사 면허 미국 Mt.Vernon Hospital 외과 인턴 수련 미국 병리학 전문의 (Downstate의대 부속 Brooklyn Hospital에서 해부 및 임상병리학 수련) 미국 내과학 전문의(Albert Einstein의대 부속 Flushing Hospital에서 내과 전문의 수련 현 하명진 내과 건강관리센터 원장 KAMHC(한미 기독 의료선교 협의회)뉴욕 이사 전: TKC TV내과 상담, 기독교TV 신앙과 건강 담당 당뇨병의 완전 정복 건강 Video 등 다수의 한국언론에 의료 칼럼 게재 CTS TV Documentary "행복"의 주인공
Tel: 718-353-5730 E-mail : jjed1975@optonline.net [ⓒ 뉴욕코리아(www.newyorkkorea.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