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정보
닉네임
가입일
2008-07-23
등급
운영자 (1)
활동
포인트 : 0 점
게시물 작성수 : 0 개
댓글 작성수 : 개
ha.edward
CRE 수퍼박테리아 감염(Carbapenem-Resistant Enterobacteriacae infection)
작성자: Dr.하명진
조회: 9478 등록일: 2015-02-21
CRE 수퍼박테리아 감염
(Carbapenem-Resistant
Enterobacteriacae infection)
최근 UCLA( 캘리포니아 주립대), Ronald
Reagan Medical Center 에서 ERCP(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graphy) 십이지장경을 받은 환자중 7 명이
항생제 중에
가장 강하고 마지막에 쓰는 Carbapenem 항생제에 내성(resistant) 이 생긴 장내 세균인
CRE bacteria 에 감염되었고 그중 2 명이 사망하여 의학계를 긴장 시키고 있다 .
현재 ERCP 받은 Ronald Reagan
Medical Center 의 179 명이 CRE 균에
노출된 상태이다.
CDC 질병예방통제 센터에 의하면 2013 년 까지
9000 건 이상의 CRE 감염이 있었다고 보고 하였고
사망률이 높고 치료가 잘 안되어 "nightmare bug: 악몽 균" 이라는 별명(nick name) 을 갖고있다 .
CRE(Carbepenem-Resistant Enterobacteriacae) 장내 세균은 모든 항생제에 내성이 생겨 치료가 힘들고
치사율이
40-50% 에 도달하여 의료계를 긴장시키고 있다. 2012 년
이래 6 번의 유행outbreaks 가 있었고 150 명의 환자가
Illinois,Pensylvania 그리고 Seattle 에서 발생하였고
그중 11 명이 CRE 감염으로 사망하였다. 다행히 모든 case 가 병원에서 발병되었고 일반적으로
공기로 전염되지 않고 오염된 의료기구나 환자의 상처, 소변, 대변의
접촉에 의하여 전염되므로
일반인들은 큰 걱정을 할 필요는 없다. 더구나 위장내과에서 하는 위내시경(Upper Endoscopy) 나
장시경(Colonoscopy) 기계와 ERCP 십이지장경
기계와는 다르므로 외래에서 위내시경, 장내시경을 받았다고
걱정할 필요는 없다. 또한 가능하면 항생제를 자주 사용하지 말고 자신의 면역력을 키워
균과의 싸움에 이겨 나가도록 하는 것이 최선의 예방법이며 ERCP 십이지장경 검사를 받을경우
안전하고 청결한 병원에서 받기를 추천한다.
하기 도움 인터넷 site 로 가면 각 병원의 안전도와 청결도를 알수도 있다. 참고로 이번에 CRE
Superbug 감염을 일으킨 Ronald Reagan UCLA Medical Center 는
안전도에서 "C" 등급을
받았던 병원이었다.
원인: CRE 박테리아가 원인이며 Klebsiella
Pneumoniae,Escherichia Coli 가 여기에 소속되며 Carbapenem 항생제에 내성이 생겨 오고 위장관에서 증식(Colonize) 되어 혈액으로
침투하여 폐에 퍼져 폐렴을 일으키고 소변으로 퍼져 방광염/ 신우염, 대변으로
배설되며 장염을 일으킨다 .
전염경로; 주로 hospital 또는 양로원
등의 의료시설 안의 CRE 에 오염된 의료기기에 의하여
감염되거나 환자의 배설물의 접촉에 의해 전염된다. CRE 감염 치료를 한 병원의 중환자실(ICU;Intensive Care Unit) 의 하수구(drains) 에서 CRE 균이 상존하고 소독약에도 잘 죽지 않는것으로 보고 되기도 하였다 .
1: 오염된 ERCP(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graphy)Duodenoscopy
십이지장경의 기계가 오염원으로 UCLA Ronald Reagan Medical Center 에서
밝혀졌다.
2: CRE 에 오염된 호흡기(Respirator),Cathter, 혈관주사(IVs) 기 등의 접촉에 의해 온다.
3: 의료종사자의 불 청결에 의해서 오며 손을 CRE 환자 접촉후 잘 씻지 않아서 전염
시킬수있다.
4: CRE 에 감염된 상처,CRE 환자의 배설물의 접촉으로 감염될수 있다.
5: CRE 에 오염된 외과기구(surgical instrument) 로 수술시 전염된다.
고위험군(High risk group): CRE 가 발생한 병원에서 다음과 같은 경우가
고위험군이다.
1: 병원이나 양로원, 장기 치료하는 기관의 매우 아픈 환자(very sick patients in hospital,nursing Home,long term care facilities)
2: Long term antibiotic treatment.( 장기간 항생제 복용자)
3: Exposed to contaminated breathing machine,Catheters,ERCP Duodenoscopy. (CRE 에 오염된 호흡기, 카테터 삽입 호스, 십이지장경에
노출되어 있는 경우).
증상: 고열과 함께 폐렴, 장염, 방광염 등 의 증상들과 결국 모든 장기에 염증을 일으켜 패혈증으로
중요 장기의 기능부전으로 CRE 감염자의 40-50% 까지
사망할수 있다.
진단:
1: 혈액배양, 대변배양, 소변배양으로 진단 할수
있으며 대장 swab 으로 home testing kit 으로 Screen 할수도 있고, ERCP 검사를 한 환자에게 이 kit 를 Ronald Reagan Medical Center
에서 현재 무료로 CRE 균에 노출된 환자에게 배포하고 있다. 다음과 같은 배양법으로 진단한다.
A: Agar plate method: Agar media 에 0.5-1mg/L imipenem 항생제를
섞어서 배양시 OXA- 48 또는 OXA-181 을 분비하여 low
level 의 resistance 를 나타냄으로 진단한다 .
B: 흔하게 사용하는 Disc Diffusion method: 항생제 disc 를 Agar media 에 놓아 내성을
알아보는 방법으로 Agar 의 항생제 disc 주위의 clear zone 이 생기지 않음으로
내성여부를 알수있다.
C: PCR(Polymerase Chain Reaction) method; CRE 세균의 DNA 를
분석하여 진단하는
방법으로 최신 기법이기도 하다.
D: MALDI-TOF MS: matrix-assisted laser desorption ionization-time of Flight Mass Spectrometry 로 최신 진단법이다.
2: 혈액검사; CBC(Complete Blood Count) 에서 백혈구 증가(Neutrophilia) 가 나타난다.
3: 소변검사: 혈뇨, 농노드와 방광염 소견이 나타나다.
4 폐렴 발생시 가슴 X-Ray 로 폐렴소견이 나타난다.
치료: 드물게 CRE 박테리아 배양과 항생제
예민검사:(C&S:Culture & Susceptibility) 검사에서 적절한 항생제가 나타날수 있어 치료할수도 있다. 요사이 새로 개발된 항생제는 다음과 같다 .
1: Fosfomycin; 17 명의 CRE 환자중심의
11 명이 sensitive 하여 좋은 결과를 보았다.
2:Tigecycline; Glycyllcycline 계통으로 Tetracycline 에
내성있는 CRE 에 효능이 있고
Nitrofurantoin,Pivmecillinm,Colistin,Amikacin 도 효과가 있다.
3: 실험적으로 eravacycline 이 연구중이다.
4: 하지만 대부분의 항생제에 내성이 생겨 대증요법(symptomatic treatment) 와
보조요법(supportive care) 로 자신의 면역력을 키워 치유되도록 도와줄수 밖에
없다.
경과: 매우 좋지 않아 패혈증으로 사망률이 40-50% 까지
높다.
1: New York Presbyterian Hospital 에서 1999-2007 년에 발생했던 CRE 감염자의 사망률은 A: 23% in 7 days of hospitalization( 입원 7 일내 사망률은 23%. B: 42% in 30 days( 입원해 30 일내 사망률은
42%; C: Overall Mortality rate was 48%( 전체 평균 사망률은 48% 이었다.)
2: 하지만 일반인들에게는 쉽게 감기처럼 공기로 전염되지 않으므로 커다란 걱정을 할 필요는 없다.
도움 & References:
1: LAtimes.com
2: CNN.com
3: CDC.gov
4: Medicare.gov/hospitalcompare: 병원의 안전도와 청결상태를 알수있다.
5: Safepatientproject.org/tag/consumer_reports. 에서도 종합병원의 안전도를 알수있다.
6: Calqualitycare.gov; California 주의 모든 병원의 safety 정도를
알수있다.
7: en.wikipedia.org
8: medicinenet.com
Dr.하명진(James Myungchin Ha,MD.)
카톨릭 의대 졸업(1977)한국의사 면허,
미국의사 면허
미국 Mt.Vernon Hospital 외과 인턴 수련
미국 병리학 전문의 (Downstate의대 부속 Brooklyn Hospital에서 해부 및 임상병리학 수련)
미국 내과학 전문의(Albert Einstein의대 부속 Flushing Hospital에서 내과 전문의 수련
현 하명진 내과 건강관리센터 원장
KAMHC(한미 기독 의료선교 협의회)뉴욕 이사
전: TKC TV내과 상담, 기독교TV 신앙과 건강 담당
당뇨병의 완전 정복 건강 Video 등 다수의 한국언론에 의료 칼럼 게재
CTS TV Documentary "행복"의 주인공
Tel: 718-353-5730
E-mail : jjed1975@optonline.net
[ⓒ 뉴욕코리아( www.newyorkkorea.net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p><br></p><p><font color="#0a0a0a" face="Times New Roman" size="3">
</font></p><p style="margin: 0cm 0cm 0pt; line-height: 200%;"><span lang="EN-US" style="line-height: 200%; font-size: 11pt; mso-ascii-font-family: " 맑은="" 고딕";="" mso-hansi-font-family:="" "맑은="" mso-ascii-theme-font:="" minor-fareast;="" mso-hansi-theme-font:="" mso-bidi-font-family:="" arial;"=""><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 size="5"><strong> CRE </strong></font></span><span style="color: rgb(51, 51, 51); line-height: 200%; font-size: 11pt; mso-ascii-font-family: " 맑은="" 고딕";="" mso-hansi-font-family:="" "맑은="" mso-ascii-theme-font:="" minor-fareast;="" mso-hansi-theme-font:="" mso-bidi-font-family:="" arial;"=""><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 size="5"><strong>수퍼박테리아 감염</strong></font></span></p><p style="margin: 0cm 0cm 0pt; line-height: 200%;"><span style="color: rgb(51, 51, 51); line-height: 200%; font-size: 11pt; mso-ascii-font-family: " 맑은="" 고딕";="" mso-hansi-font-family:="" "맑은="" mso-ascii-theme-font:="" minor-fareast;="" mso-hansi-theme-font:="" mso-bidi-font-family:="" arial;"=""><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strong><font size="5">(Carbapenem-Resistant
Enterobacteriacae infection)</font></strong><br>
</span></font></font></span></p><p><br></p><p><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br></font></p><p style="margin: 0cm 0cm 0pt; line-height: 200%;"><span style="color: rgb(51, 51, 51); line-height: 200%; font-size: 11pt; mso-ascii-font-family: " 맑은="" 고딕";="" mso-hansi-font-family:="" "맑은="" mso-ascii-theme-font:="" minor-fareast;="" mso-hansi-theme-font:="" mso-bidi-font-family:="" arial;"=""><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
</span>최근<span lang="EN-US"> UCLA(</span>캘리포니아 주립대<span lang="EN-US">), Ronald
Reagan Medical Center</span>에서</font></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 ERCP(Endoscopic<br>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graphy)</span>십이지장경을 받은 환자중<span lang="EN-US"> 7</span>명이
항생제 중에</font></font><span lang="EN-US"><br><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
</font></span><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가장 강하고 마지막에 쓰는<span lang="EN-US"> Carbapenem </span>항생제에 내성<span lang="EN-US">(resistant)</span>이 생긴 장내 세균인</font><span lang="EN-US"><br><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
CRE bacteria</font></span><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에 감염되었고 그중<span lang="EN-US"> 2</span>명이 사망하여 의학계를 긴장 시키고 있다</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
</span>현재<span lang="EN-US"> ERCP </span>받은<span lang="EN-US"> Ronald Reagan
Medical Center</span>의<span lang="EN-US"> 179</span>명이<span lang="EN-US"> CRE </span>균에
노출된 상태이다</font></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
CDC </span>질병예방통제 센터에 의하면<span lang="EN-US"> 2013</span>년 까지<span lang="EN-US">
9000</span>건 이상의<span lang="EN-US"> CRE </span>감염이 있었다고 보고 하였고</font></font><span lang="EN-US"><br><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
</font></span><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사망률이 높고 치료가 잘 안되어<span lang="EN-US"> "nightmare bug: </span>악몽 균<span lang="EN-US">" </span>이라는 별명<span lang="EN-US">(nick name)</span>을 갖고있다</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
<br>
CRE(Carbepenem-Resistant Enterobacteriacae)</span>장내 세균은 모든 항생제에 내성이 생겨 치료가 힘들고
치사율이<span lang="EN-US"> </span></font></font></span></p><p style="margin: 0cm 0cm 0pt; line-height: 200%;"><span style="color: rgb(51, 51, 51); line-height: 200%; font-size: 11pt; mso-ascii-font-family: " 맑은="" 고딕";="" mso-hansi-font-family:="" "맑은="" mso-ascii-theme-font:="" minor-fareast;="" mso-hansi-theme-font:="" mso-bidi-font-family:="" arial;"=""><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40-50%</span>에 도달하여 의료계를 긴장시키고 있다<span lang="EN-US">. 2012</span>년
이래<span lang="EN-US"> 6</span>번의 유행<span lang="EN-US">outbreaks</span>가 있었고<span lang="EN-US"> 150</span>명의 환자가<span lang="EN-US"> </span></font></font></span></p><p style="margin: 0cm 0cm 0pt; line-height: 200%;"><span style="color: rgb(51, 51, 51); line-height: 200%; font-size: 11pt; mso-ascii-font-family: " 맑은="" 고딕";="" mso-hansi-font-family:="" "맑은="" mso-ascii-theme-font:="" minor-fareast;="" mso-hansi-theme-font:="" mso-bidi-font-family:="" arial;"=""><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Illinois,Pensylvania </span>그리고<span lang="EN-US"> Seattle </span>에서 발생하였고</font></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 <br>
</span>그중<span lang="EN-US"> 11</span>명이<span lang="EN-US"> CRE </span>감염으로 사망하였다<span lang="EN-US">. </span>다행히 모든<span lang="EN-US"> case</span>가 병원에서 발병되었고 일반적으로</font></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 <br>
</span>공기로 전염되지 않고 오염된 의료기구나 환자의 상처<span lang="EN-US">,</span>소변<span lang="EN-US">,</span>대변의
접촉에 의하여 전염되므로</font></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 <br>
</span>일반인들은 큰 걱정을 할 필요는 없다<span lang="EN-US">. </span>더구나 위장내과에서 하는 위내시경<span lang="EN-US">(Upper Endoscopy)</span>나</font></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 <br>
</span>장시경<span lang="EN-US">(Colonoscopy)</span>기계와<span lang="EN-US"> ERCP </span>십이지장경
기계와는 다르므로 외래에서 위내시경<span lang="EN-US">,</span>장내시경을 받았다고 </font></font></span></p><p style="margin: 0cm 0cm 0pt; line-height: 200%;"><span style="color: rgb(51, 51, 51); line-height: 200%; font-size: 11pt; mso-ascii-font-family: " 맑은="" 고딕";="" mso-hansi-font-family:="" "맑은="" mso-ascii-theme-font:="" minor-fareast;="" mso-hansi-theme-font:="" mso-bidi-font-family:="" arial;"=""><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걱정할 필요는 없다<span lang="EN-US">.</span>또한 가능하면 항생제를 자주 사용하지 말고 자신의 면역력을 키워</font></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 <br>
</span>균과의 싸움에 이겨 나가도록 하는 것이 최선의 예방법이며<span lang="EN-US"> ERCP </span>십이지장경 검사를 받을경우</font></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 <br>
</span>안전하고 청결한 병원에서 받기를 추천한다</font></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
</span>하기 도움 인터넷<span lang="EN-US"> site</span>로 가면 각 병원의 안전도와 청결도를 알수도 있다<span lang="EN-US">. </span>참고로 이번에</font></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 CRE <br>
Superbug </span>감염을 일으킨<span lang="EN-US"> Ronald Reagan UCLA Medical Center</span>는
안전도에서<span lang="EN-US"> "C" </span>등급을</font></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 <br>
</span>받았던 병원이었다</font></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
<br>
</span>원인<span lang="EN-US">: CRE </span>박테리아가 원인이며<span lang="EN-US"> Klebsiella
Pneumoniae,Escherichia Coli </span>가 여기에 소속되며</font></font><span lang="EN-US"><br><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 Carbapenem </font></span><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항생제에 내성이 생겨 오고 위장관에서 증식<span lang="EN-US">(Colonize)</span>되어 혈액으로
침투하여</font><span lang="EN-US"><br><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font></span><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 폐에 퍼져 폐렴을 일으키고 소변으로 퍼져 방광염<span lang="EN-US">/</span>신우염<span lang="EN-US">,</span>대변으로
배설되며 장염을 일으킨다</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
<br>
</span>전염경로<span lang="EN-US">; </span>주로<span lang="EN-US"> hospital </span>또는 양로원
등의 의료시설 안의<span lang="EN-US"> CRE</span>에 오염된 의료기기에 의하여</font></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 <br>
</span> 감염되거나 환자의 배설물의 접촉에 의해 전염된다<span lang="EN-US">. CRE </span>감염 치료를 한 병원의</font></font><span lang="EN-US"><br><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font></span><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 중환자실<span lang="EN-US">(ICU;Intensive Care Unit)</span>의 하수구<span lang="EN-US">(drains)</span>에서<span lang="EN-US"> CRE </span>균이 상존하고</font><span lang="EN-US"><br><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font></span><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 소독약에도 잘 죽지 않는것으로 보고 되기도 하였다</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 <br>
1: </span>오염된</font></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 ERCP(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graphy)Duodenoscopy<br>
</span> 십이지장경의 기계가 오염원으로<span lang="EN-US"> UCLA Ronald Reagan Medical Center</span>에서
밝혀졌다</font></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
2: CRE</span>에 오염된 호흡기<span lang="EN-US">(Respirator),Cathter,</span>혈관주사<span lang="EN-US">(IVs)</span>기 등의 접촉에 의해 온다</font></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
3: </span>의료종사자의 불 청결에 의해서 오며 손을<span lang="EN-US"> CRE </span>환자 접촉후 잘 씻지 않아서 전염
시킬수있다</font></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
4: CRE </span>에 감염된 상처<span lang="EN-US">,CRE </span>환자의 배설물의 접촉으로 감염될수 있다</font></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
5: CRE</span>에 오염된 외과기구<span lang="EN-US">(surgical instrument)</span>로 수술시 전염된다</font></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
<br>
</span>고위험군<span lang="EN-US">(High risk group): CRE </span>가 발생한 병원에서 다음과 같은 경우가
고위험군이다</font></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
1: </span>병원이나 양로원<span lang="EN-US">,</span>장기 치료하는 기관의 매우 아픈 환자</font></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very sick patients in hospital,nursing <br> Home,long term care facilities)<br>
2: Long term antibiotic treatment.(</span>장기간 항생제 복용자</font></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
3: Exposed to contaminated breathing machine,Catheters,ERCP Duodenoscopy.<br> (CRE </span>에 오염된 호흡기<span lang="EN-US">,</span>카테터 삽입 호스<span lang="EN-US">,</span>십이지장경에
노출되어 있는 경우</font></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
<br>
</span>증상<span lang="EN-US">: </span>고열과 함께 폐렴<span lang="EN-US">,</span>장염<span lang="EN-US">,</span>방광염 등 의 증상들과 결국 모든 장기에 염증을 일으켜 패혈증으로</font></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 <br>
</span> 중요 장기의 기능부전으로<span lang="EN-US"> CRE </span>감염자의<span lang="EN-US"> 40-50%</span>까지
사망할수 있다</font></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
<br>
</span>진단</font></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 <br>
1: </span>혈액배양<span lang="EN-US">,</span>대변배양<span lang="EN-US">,</span>소변배양으로 진단 할수
있으며 대장<span lang="EN-US"> swab</span>으로<span lang="EN-US"> home testing kit</span>으로</font></font><span lang="EN-US"><br><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 Screen </font></span><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할수도 있고<span lang="EN-US">, ERCP </span>검사를 한 환자에게 이<span lang="EN-US"> kit</span>를</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 Ronald Reagan Medical Center <br>
</span> 에서 현재 무료로<span lang="EN-US"> CRE </span>균에 노출된 환자에게 배포하고 있다<span lang="EN-US">. </span>다음과 같은 배양법으로 진단한다</font></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
A: Agar plate method: Agar media</span>에<span lang="EN-US"> 0.5-1mg/L imipenem</span>항생제를
섞어서 배양시</font></font><span lang="EN-US"><br><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 OXA- 48 </font></span><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또는<span lang="EN-US"> OXA-181</span>을 분비하여<span lang="EN-US"> low
level </span>의<span lang="EN-US"> resistance </span>를 나타냄으로 진단한다</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
B: </span>흔하게 사용하는<span lang="EN-US"> Disc Diffusion method: </span>항생제<span lang="EN-US"> disc</span>를<span lang="EN-US"> Agar media</span>에 놓아 내성을</font></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 <br>
</span> 알아보는 방법으로<span lang="EN-US"> Agar </span>의 항생제<span lang="EN-US"> disc </span>주위의<span lang="EN-US"> clear zone</span>이 생기지 않음으로</font></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 <br>
</span> 내성여부를 알수있다</font></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
C: PCR(Polymerase Chain Reaction) method; CRE </span>세균의<span lang="EN-US"> DNA</span>를
분석하여 진단하는</font></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 <br>
</span> 방법으로 최신 기법이기도 하다</font></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
D: MALDI-TOF MS: matrix-assisted laser desorption ionization-time of Flight<br> Mass Spectrometry</span>로 최신 진단법이다</font></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
2: </span>혈액검사<span lang="EN-US">; CBC(Complete Blood Count)</span>에서 백혈구 증가<span lang="EN-US">(Neutrophilia)</span>가 나타난다</font></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
3:</span>소변검사<span lang="EN-US">: </span>혈뇨<span lang="EN-US">,</span>농노드와 방광염 소견이 나타나다</font></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
4 </span>폐렴 발생시 가슴<span lang="EN-US"> X-Ray</span>로 폐렴소견이 나타난다</font></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
<br>
</span>치료<span lang="EN-US">: </span>드물게<span lang="EN-US"> CRE </span>박테리아 배양과 항생제
예민검사<span lang="EN-US">:(C&S:Culture & Susceptibility) </span>검사에서</font></font><span lang="EN-US"><br><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font></span><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 적절한 항생제가 나타날수 있어 치료할수도 있다<span lang="EN-US">. </span>요사이 새로 개발된 항생제는 다음과 같다</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
1: Fosfomycin; 17</span>명의<span lang="EN-US"> CRE </span>환자중심의<span lang="EN-US">
11</span>명이<span lang="EN-US"> sensitive </span>하여 좋은 결과를 보았다</font></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
2:Tigecycline; Glycyllcycline </span>계통으로<span lang="EN-US"> Tetracycline</span>에
내성있는<span lang="EN-US"> CRE </span>에 효능이 있고</font></font></span></p><p style="margin: 0cm 0cm 0pt; line-height: 200%;"><span style="color: rgb(51, 51, 51); line-height: 200%; font-size: 11pt; mso-ascii-font-family: " 맑은="" 고딕";="" mso-hansi-font-family:="" "맑은="" mso-ascii-theme-font:="" minor-fareast;="" mso-hansi-theme-font:="" mso-bidi-font-family:="" arial;"=""><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 Nitrofurantoin,Pivmecillinm,Colistin,Amikacin</span>도 효과가 있다</font></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
3: </span>실험적으로<span lang="EN-US"> eravacycline</span>이 연구중이다</font></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
4: </span>하지만 대부분의 항생제에 내성이 생겨 대증요법<span lang="EN-US">(symptomatic treatment)</span>와</font></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 <br>
</span> 보조요법<span lang="EN-US">(supportive care)</span>로 자신의 면역력을 키워 치유되도록 도와줄수 밖에
없다</font></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
<br>
</span>경과<span lang="EN-US">: </span>매우 좋지 않아 패혈증으로 사망률이<span lang="EN-US"> 40-50%</span>까지
높다</font></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 <br>
1: New York Presbyterian Hospital</span>에서<span lang="EN-US"> 1999-2007</span>년에 발생했던<span lang="EN-US"> CRE </span>감염자의 사망률은</font></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 <br> A: 23% in 7 days of hospitalization(</span>입원<span lang="EN-US"> 7</span>일내 사망률은</font></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 23%.<br> B: 42% in 30 days(</span>입원해<span lang="EN-US"> 30</span>일내 사망률은</font></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
42%;<br> C: Overall Mortality rate was 48%(</span>전체 평균 사망률은<span lang="EN-US"> 48% </span>이었다</font></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
2: </span>하지만 일반인들에게는 쉽게 감기처럼 공기로 전염되지 않으므로 커다란 걱정을 할 필요는 없다</font></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
<br>
</span>도움</font></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 & References:<br>
1: LAtimes.com<br>
2: CNN.com<br>
3: CDC.gov<br>
4: Medicare.gov/hospitalcompare: </span>병원의 안전도와 청결상태를 알수있다</font></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
5: Safepatientproject.org/tag/consumer_reports.</span>에서도 종합병원의 안전도를 알수있다</font></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
6: Calqualitycare.gov; California </span>주의 모든 병원의<span lang="EN-US"> safety </span>정도를
알수있다</font></font><span lang="EN-US"><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br>
7: en.wikipedia.org<br>
8: medicinenet.com</font></span></span></p><p><font color="#000000" face="Times New Roman" size="3">
</font><br></p><p><br></p><p><img src="/wysiwyg/PEG/W_1341339730.png"></p><p> </p><p></p><p><strong>Dr.하명진(James Myungchin Ha,MD.)</strong></p><p><strong><br></strong></p><p>카톨릭 의대 졸업(1977)한국의사 면허,</p><p>미국의사 면허</p><p>미국 Mt.Vernon Hospital 외과 인턴 수련</p><p>미국 병리학 전문의 (Downstate의대 부속 Brooklyn Hospital에서 해부 및 임상병리학 수련)</p><p>미국 내과학 전문의(Albert Einstein의대 부속 Flushing Hospital에서 내과 전문의 수련</p><p>현 하명진 내과 건강관리센터 원장</p><p>KAMHC(한미 기독 의료선교 협의회)뉴욕 이사</p><p>전: TKC TV내과 상담, 기독교TV 신앙과 건강 담당</p><p>당뇨병의 완전 정복 건강 Video 등 다수의 한국언론에 의료 칼럼 게재</p><p>CTS TV Documentary "행복"의 주인공</p><p><br></p><p><strong><font color="#ff9933">Tel: <a href="tel:718-353-5730">718-353-5730</a></font></strong></p><p><strong><font color="#ff9933">E-mail : </font></strong><a href="mailto:jjed1975@optonline.net"><strong><font color="#ff9933">jjed1975@optonline.net</font></strong></a></p><p> </p><p> </p><p> </p><p> </p><p> </p><p></p><p></p><p></p><p></p><p></p><p></p><p></p><p></p><p></p><p></p><p class="바탕글"><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 font-size: 11pt; mso-ascii-font-family: 맑은 고딕; mso-hansi-font-family: 맑은 고딕;"><span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font size="3"><span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font color="#000000" size="3">[ⓒ 뉴욕코리아(</font><a style="color: rgb(53, 53, 53); text-decoration: none;" href="http://www.newyorkkorea.net/" target="_blank"><font color="#000000" size="3">www.newyorkkorea.net</font></a><font color="#000000"><font size="3"><font color="#000000">),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font></font></font></span></font></span></span></p>
번호
제목
작성자
조회
등록일
공지
하크네시야 교회 2016 아이티 선교.
뉴욕코리아
10414
2016-06-13
공지
JesusMedicalHaiti.org 아이티예수병원 동영상
Dr.하명진
9404
2016-07-18
공지
(단비TV) 뉴스- '아이티 의료선교사' 로 남은 일생 헌신키로
뉴욕코리아
9142
2016-02-12
공지
뉴욕 하명진 박사, 아이티 의료선교사로 가난하고 병든 이들 위해 헌신키로, 훈훈한 사랑 전파!
케빈정 기자
10373
2016-02-11
공지
[선교]아이티 의료 선교회@솔레이시티 2015
Dr.하명진
9434
2015-09-15
공지
[건강세미나]하명진 내과의 '고혈압과 뇌졸증 예방' -4월 12일,후러싱 제일교회
뉴욕코리아
10850
2015-04-07
공지
[선교 ]아이티 의료 선교 동영상-FUMC Haiti Mission @Soleil City,'14
뉴욕코리아
13597
2014-08-14
공지
[휴먼 다큐멘터리] 닥터 하명진의 "행복" 동영상 [22]
뉴욕코리아
25760
2012-06-15
367
하명진 선교사 미국 정착기,2025년 2월 18일
Dr. 하명진
435
2025-02-19
366
아이티 탈출기(2),P.A.P.-Cap-Haitien-,Santiago,Dominica on Feb.10,2025.
Dr. 하명진
439
2025-02-14
365
하명진 선교사, 아이티 헬기 탈출기,2025년 2월 10일
Dr. 하명진
337
2025-02-12
364
MiPA clinic on Feb.5,2025.
Dr. 하명진
413
2025-02-09
363
미파클리닉, 3 February 2025
Dr. 하명진
419
2025-02-03
362
미파클리닉,2025년 1월 13일.
Dr. 하명진
520
2025-01-19
361
Happy new year,2025.㊗️ 을사년.
Dr. 하명진
526
2024-12-31
360
미파클리닉,2024년 12월 20일
Dr. 하명진
677
2024-12-29
359
미파클리닉,2024년 12월 2일.
Dr. 하명진
709
2024-12-03
358
MiPA clinic on Nov.22,2024.
Dr. 하명진
909
2024-11-22
357
미파클리닉,기도를 부탁 드립니다.2024년 11월 11일
Dr. 하명진
1159
2024-11-12
356
MiPA (Mission Pacific Ayiti) clinic on Oct.28,2024.
Dr. 하명진
962
2024-10-29
355
미파클리닉 하이라이트,2024년 9월 30일,10월 2일 & 10월 4일.
Dr. 하명진
1059
2024-10-08
354
미파클리닉 하이라이트,2024년 9월 23일,25일 & 27일.
Dr. 하명진
1059
2024-10-08
353
MiPA clinic(미파클리닉),9/06/2024.
Dr. 하명진
1160
2024-09-16
352
0:02 / 4:34 미파클리닉,9/04/2024년.
Dr. 하명진
1177
2024-09-05
351
MiPA clinic on Sep.2,2024.
Dr. 하명진
1128
2024-09-05
350
아이티 영생교회 소나피공단 예배,2024년 8월 31일
Dr. 하명진
1222
2024-09-05
349
Mission Pacific Ayiti(MiPA) clinic on Aug 30,2024.
Dr. 하명진
1102
2024-09-05
348
MiPA (Mission Pacific Ayiti) clinic on Aug 28,2024.미파클리닉.
Dr. 하명진
1201
2024-09-05
347
[건강하게 삽시다] 118회 무병장수III 하명진 선교사(Haiti 의료선교)
Dr. 하명진
1059
2024-08-28
346
아이티연합교회 새벽기도회 & 미파클리닉,2024년 8월 23일
Dr. 하명진
1105
2024-08-28
345
미파(MIPAH) 목요일 고아원 사역 & 아이티연합교회 점심기도회,2024년 8월 22일.
Dr. 하명진
1063
2024-08-28
344
미파클리닉 & Lakay Jeshua 고아원 후원,2024년 8월 16일.
Dr. 하명진
1174
2024-08-19
343
미파클리닉,8/14/2024년.
Dr. 하명진
1115
2024-08-14
342
아이티 장애우 고아원 방문,8/13/2024.
Dr. 하명진
1066
2024-08-14
341
미파클리닉 개원,8월 12일,2024년.
Dr. 하명진
1080
2024-08-14
회원정보
닉네임
Dr.하명진 (drjamesha)
가입일
2008-07-23
등급
운영자 (1)
활동
포인트 : 0 점
게시물 작성수 : 0 개
댓글 작성수 : 개
쪽지보내기
게시물 신고하기
게시판 성격에 맞지 않거나 불건전한 게시물을 운영자에게 신고할 수 있습니다.
운영자 확인 후 해당글 삭제조치 및 해당 회원에게 불이익이 갈 수 있습니다.
허위신고시에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니 신중하게 신고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