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코리아    SF    Boston    Washington D.C    Chicago    Atlanta    Canada
NewsLife InfoRealtySell & BuyJobsHealthCultureFood/TourIssueYellowPageShopping
회원가입 아이디/비밀번호찾기
Health
건강상담
닥터건강상담QA
병원정보
병원.의료뉴스공지
병원정보Q/A
응급조치 상식
의료보험 상담/정보
내과
하명진 내과칼럼
소아청소년과
이상원 소아과전문의
성형외과
이신지 성형외과칼럼
통증치료과
김치갑 통증치료칼럼
하명훈 통증재활칼럼
*통증관련 도움VOD
*치과관련 VOD
한의학/한방과
간송 한의학 칼럼
김홍순 한의학칼럼
동물병원
김기택 애완동물칼럼
안과
조민희 망막전문안과
▶추천 전문병원
★추천병원 파워리스트
추천병원탐방
병원집중탐방 인터뷰
라이프 건강
증상 관련 해법정보
웰빙 부르는건강상식
건강에 좋은추천음식
건강웰빙 운동
인체의 구조
건강정보교환해요
자유게시판
힐링 명상음악듣기
 
 
 
 
 
 
 
 
 
회원정보
닉네임
가입일 2008-07-23
등급 운영자 (1)
활동
포인트 : 0
게시물 작성수 : 0
댓글 작성수 : 0
쪽지보내기
받을아이디
제목
내용
(0/200바이트)
 
> Health > 내과 > 하명진 내과칼럼
ha.edward

하명진 내과칼럼
심부 정맥 혈전증(Deep Vein Thrombosis;DVT)
작성자: Dr.하명진 작성자정보 조회: 7806 등록일: 2015-03-21


심부 정맥 혈전증(Deep Vein Thrombosis:DVT)

매년 3월은 심부 정맥 혈전증 인식(Deep Vein Thrombosis Awareness)달로
CDC
즉 미국 질병 예방 통제국에서 지정한 달 로 DVT에 더 많은 관심을 갖도록 홍보중 이다
.
DVT
는 예방이 가능하며 진단이 잘 안되며 50%에서 무 증상이다. DVT 환자의 10-30%에서는

합병증인 Pulmonary Embolism이 생겨 미국에서 매년 60,000명이 사망하는 심각한 질병이다.
심부 정맥 혈전증은 심부 정맥(deep vein)에 혈전이 생기는 질병으로 하지, 허벅지, 골반의 심부

정맥에 혈전(blood clots)이 생기며 드물게 상지(upper extremities)에도 온다.

원인: 정맥의 혈류 정체와 응고력 상승,정맥벽 손상중 2가지 이상시 deep vein 에 혈전이 생긴다
.
1:
수술 후 혈류의 저하, 특히 Hip, Knee, leg, calf, abdomen 또는
total hip replacement
같은 정형외과 수술후 정맥 혈류의 저하(Venous stasis)에 의하여 심부 정맥 혈관에 혈전이

생길 수 있다.
2:
사고나 중풍시 사지 마비나 수술 후, 기타 이유로 장기간 침대에 누워 있는 경우 혈류의 저하가

원인이 된다
.
3:
장기의 악성 종양, 예를 들면 난소암 과 기타 암으로 응고상태(Hyper coagulopathy)

증가하여 혈전이 잘 생긴다.
4:
피임약이나 폐경 후의 여성 호르몬 제제도 합병증으로 혈전증의 유발할수 있어 가능한 사용을

절제 하여야한다
.
5:
자주 정맥주사를 맞거나, 폐색전 혈전 맥관염(Buerger's disease), 골절, 탈골 시 정맥의

손상에 의하여서도 혈전증이 생긴다.
6:
정맥류(Varicous vein)와 임신중에도 혈전이 잘 생긴다
.
7:
전에 stroke Heart attack,심부전증의 과거력의 환자에 DVT 가 더 많이 생긴다
.

DVT
고위험군
(High risk groups of DVT or Pulmonary Embolism);
1: 60
세 이상의 활동이 적은
senior.
2:
흡연자
(smoker).
3:
과체중자
(Over weight)
4:
오래 앉아 있는 자(sit for long period of time>4hour)나 장시간 비행기나 차 여행자>4시간
.
5:
심장에 장기간 catheter를 통해 약, 수액등을 정맥을 통해 공급 시 상지 정맥에 혈전이 생길 수 있다
.
6:
임신 중이거나 출산 후
.
7:
암 치료를 받는 경우
.
8:
호르몬 치료나 피임약을 복용중인 환자
.
9:
집안 내력(Family history)DVT Pulmonary Embolism 있는 경우
.

증상: 50% 에서는 전혀 증상을 못 느낄 수도 있다
.
1:
심부 정맥 혈전증이 온 부위에 다음과 같은 증상이 나타날수 있다

A): swelling(
부종)
B): pain & tenderness(
통증
).
C): redness of the skin(
피부 충혈
).
D): warmth in the skin of affected leg(
피부가 더워진다
)
F):
표면 정맥이 뚜렷해진다
(Visible surface veins)
G): Leg fatigue(
하지 피로)가 온다
.

2:
합병증인 폐에 혈전이 가면, Pulmonary Embolism이 발생한다.다음 증상시 911로 응급차를

불러야하며 가능한 빨리 진단하여 Pulmonary Embolism(폐색전증)을 치료하여야 살 수 있다
.
A): sudden onset difficulty breathing(
호흡 곤란이 갑자기 발병한다
.)
B): palpitation(
심계항진:fast heart beats) 과 부정맥
(irregular heart beat).
C): Anxiety(
불안증
).
D): Coughing up blood(
각혈
).
E): lightheadness(
어지러움증) 과 기절
(faint).
F); Chest pain & Cardiogenic shock ->
사망
.

3: 2/3
에서 Post Thrombotic syndrome이 나타나서 혈전이 정맥의 벽과 판막에 상처를 주고

혈류가 역류하는 합병증을 초래하며 정맥염(Thrombophlebitis)도 올 수 있고,다리가 붓고,
통증이 오며 궤양이 올 수도 있다
.

진단: 상기 증상,진찰과 함께 다음 검사로 진단한다
.
1: Duplex Doppler Ultrasound
초음파 검사로 혈전을 찾아낸다
.
2: Contrast Venography: radioactive dye
를 정맥주사하고 X-Ray로 혈전을 찾는 방법이다
.
3: MRI with contrast:
골반 속의 심부 정맥 혈전 진단에 유용하다
.
4: Chest X-Ray,CAT scan of chest with contrast,Pulmonary perfusion scan,
Pulmonary Angiography(
폐혈관 조영술)로 폐색전(Pulmonary Embolism)을 진단

할 수 있다
.

치료: 내과적 항응고제 투약요법과 외과적 수술 치료법이 있다
.
1:
내과적 치료: 항응고제인 Heparin 혈관 또는 피하주사
, Walfarin, Xarelto, Pradoxa,
Eliquis
등의 항 응고제(Anti coagulant)와 혈전 용해제(thrombolitic agent)

복용으로 치료한다
.
2: Catheter
를 혈전부위에 넣어 혈전용해제(Thrombolitic agent)를 투입하여 혈전
(blood
Clots)
를 용해시키는 방법을 쓰기도 한다
.
3:
수술로 혈전을 빼낸다
(Venous thrombectomy).
4:
압박 붕대(Compression stocking)도 증상 호전과 혈전 예방에 도움을 준다
.
5: Vena Cava filter insertion(
대정맥에 깔투기 같은 필터를 끼움)으로 혈전이 폐에 도달하지

않도록 하는 수술방법도 쓴다.폐색전(Pulmonary embolism)을 예방하는 수술이다.

예방법: 다음과 같이 Deep Vein Thrombosis(심부 정맥 폐쇄증)을 예방하는것이 최선이다
.
1: Maintain active life style & regular exercise(
규칙적 운동과 활발히 활동한다
).
2:
과체중(over weight) 가 되지 않도록 하고 금연(stop smoking)하여야 한다
.
3:
가능하면 피임약을 삼가며(Avoid BCP) 폐경후 여성 호르몬은 가능한 절제하여야 한다
.
4:
임신중 DVT 예방에 관심을 가져야하고 예방에 힘써야 한다
.
5:
장기간 앉아야하는 경우 매2-3 시간마다 일어나 걷거나 앉아서 발운동하는것을 추천한다
.
6:
혈압과 당뇨 치료를 잘하며 피를 묽게하는 코팅 되어있는 아스피린 81mg 하루 한 알,식사와

함께(: Ecotrin 81mg or Safety Coated Aspirin 81 or 100mg, once/day with food)
복용하길 추천하며 가족력이 있거나 의심 증상시 주치의를 통하여 즉시 검진 받기를 추천한다
.
원인을 모르고 갑자기 심장마비로? 급사하신분들중 많은 분들이 Pulmonary Embolism으로

사망한 경우가 많다.(미국에서 매년 6만명 이상이 Pumonary Embolism 으로 사망한다).
7:
매년 3월은 Deep Vein Thrombosis(DVT)달 입니다. DVT 예방에 힘쓰시길 바랍니다
.

도움
& References:
1: CDC.gov
2: webmd.com.
3: Harrison's Principles of Internal Medicine.



 

Dr.하명진(James Myungchin Ha,MD.)


카톨릭 의대 졸업(1977)한국의사 면허,

미국의사 면허

미국 Mt.Vernon Hospital 외과 인턴 수련

미국 병리학 전문의 (Downstate의대 부속 Brooklyn Hospital에서 해부 및 임상병리학 수련)

미국 내과학 전문의(Albert Einstein의대 부속 Flushing Hospital에서 내과 전문의 수련

현 하명진 내과 건강관리센터 원장

KAMHC(한미 기독 의료선교 협의회)뉴욕 이사

전: TKC TV내과 상담, 기독교TV 신앙과 건강 담당

당뇨병의 완전 정복 건강 Video 등 다수의 한국언론에 의료 칼럼 게재

CTS TV Documentary "행복"의 주인공


Tel: 718-353-5730

E-mail : jjed1975@optonline.net

 

 

 

 

 

[ⓒ 뉴욕코리아(www.newyorkkorea.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트위터 트위터 페이스북 페이스북
댓글 : 0
번호 제목 작성자 조회 등록일
60 여행시 필요한 상비약 (Essential Meds for travel) 과 준비 사항 [6] Dr.하명진 17894 2012-11-13
59 대사증후군 (Metabolic Syndrome) Dr.하명진 14214 2012-11-11
58 심방세동 (Atrial Fibrillation) Dr.하명진 13395 2012-11-08
57 폐결핵 (Pulmonary Tuberculosis) Dr.하명진 21086 2012-11-05
56 두통 (Headache) Dr.하명진 14955 2012-11-03
55 방광염 (Urinary Tract Infection) 68 [14] Dr.하명진 19256 2012-10-27
54 흡연과 건강 (Smoking & Health) [4] Dr.하명진 17294 2012-10-25
53 술과 건강(Alcoholism & Health) [1] Dr.하명진 14067 2012-10-22
52 불면증 (Insomnia) Dr.하명진 11057 2012-10-18
51 노년기의 건강관리(Geriatric Health) Dr.하명진 14502 2012-10-15
50 중년기의 건강관리(Healthy Midlife) Dr.하명진 12536 2012-10-11
49 설사(Diarrhea) Dr.하명진 12151 2012-10-09
48 변비(Constipation) Dr.하명진 12982 2012-10-06
47 전립선 비대증(BPH;Benign Prostatic Hyperplasia) Dr.하명진 14554 2012-10-03
46 천식 (Asthma) [1] Dr.하명진 12384 2012-09-29
45 독감(Influenza) Dr.하명진 12165 2012-09-26
44 알러지성 비염(Allergic Rhinitis:Hay Fever) [1] Dr.하명진 12326 2012-09-21
43 암(Cancer)의 예방, 위험신호, 종양표지자(Cancer Antigen) 검사 [2] Dr.하명진 14459 2012-09-18
42 여드름(Acne) Dr.하명진 12295 2012-09-12
41 구순 포진( Cold sore ) Dr.하명진 18711 2012-09-08
40 대상 포진(Shingles) Dr.하명진 12996 2012-09-05
39 웨스트나일 감염(West Nile Virus syndrome) Dr.하명진 12090 2012-09-01
38 아토피성 피부염 (Atopic Dermatitis) Dr.하명진 12232 2012-08-30
37 갑상선 기능 저하증 (Hypothyroidism) [1] Dr.하명진 11795 2012-08-27
36 갑상선 기능 항진증 (Hyperthyroidism) [3] Dr.하명진 16154 2012-08-22
35 라임병(Lyme Disease) Dr.하명진 11177 2012-08-20
34 류마티스 관절염(Rheumatoid Arthritis) Dr.하명진 11018 2012-08-16
33 통풍(Gout) Dr.하명진 11045 2012-08-14
32 신석증 (Nephrolithiasis: Kidney Stone) [5] Dr.하명진 14026 2012-08-03
31 담석증(Gall Stone or Cholelithiasis) Dr.하명진 10215 2012-07-31
30 전염성 간염(Hepatitis A) Dr.하명진 10812 2012-07-26
29 간 경화증(Liver Cirrhosis) Dr.하명진 10069 2012-07-24
28 지방간 (Fatty Liver) Dr.하명진 8774 2012-07-21
27 만성 B 형 간염(Chronic Hepatitis B) 2.치료법 Dr.하명진 11266 2012-07-19
26 만성 B형 간염 (Chronic Hepatitis B) 1. [2] Dr.하명진 13495 2012-07-17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회원정보
닉네임 Dr.하명진 (drjamesha)
가입일 2008-07-23
등급 운영자 (1)
활동
포인트 : 0
게시물 작성수 : 0
댓글 작성수 : 0
쪽지보내기
닉네임 Dr.하명진 (drjamesha)
제목
내용
(0/200바이트)
게시물 신고하기
게시판 성격에 맞지 않거나 불건전한 게시물을 운영자에게 신고할 수 있습니다.
운영자 확인 후 해당글 삭제조치 및 해당 회원에게 불이익이 갈 수 있습니다.
허위신고시에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니 신중하게 신고해주세요.
글 제목 심부 정맥 혈전증(Deep Vein Thro...
글 작성자 Dr.하명진
신고이유
회사소개 | 개인정보취급방침 | 회원약관 | 고객지원센터 | 제휴 및 광고문의 | 광고안내   
 

 

Contact Us : 고객문의센터, Tel: 대표 201-674-5611

E-mail: newyorkkorea77@gmail.com, newyorkkorea@naver.com, 빠른카톡상담ID : newyorkkorea 

미국최대 대표포털 뉴욕코리아는 미국법률변호사고문 및 미국저작권법의 보호를 받고 있으며, 컨텐츠 및 기사의 무단 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  

Copyright (c) New York Korea, INC. News Media Group in US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