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정보
닉네임
가입일
2008-07-23
등급
운영자 (1)
활동
포인트 : 0 점
게시물 작성수 : 0 개
댓글 작성수 : 개
ha.edward
세계 말라리아 날(World Malaria Day)
작성자: Dr.하명진
조회: 8546 등록일: 2015-04-24
세계 말라리아
날 (World Malaria Day)
WHO(World Health Organization; 세계 보건 기구) 에서는 4 월 25 일을 " 세계
말라리아 날" 로
지정하여 예방이 가능한 말라리아에 대한 경각심과 예방, 치료 등의 주의를 환기 시키고 있다 .
2,000 년도 이후 말라리아는 계속 감소 추세에 있지만 아직도 매년 50 만명 이상 말라리아로
인하여
생명을 잃게되는 흔한 질병이다. 말라리아에 의한 사망의
3/4 은 5 세 이전의 소아에 나타나지만
단지 1/5 정도의 아프리카 아동들만 말라리아 치료를 받고,1500 만명
이상의 임산부가
말라리아 예방치료를 받지 못하고 있다. 또한 아프리카의
2 억7 천 800 만명이 아직도 모기장 없이
말라리아 전염 Anopheles 모기에 노출된 열악한 상태이다 .
4 월 25 일 세계 말라리아 날을 맞이하여 말라리아에 대한 예방의 확장과 정확한 최신 진단법
보급과
최신 치료법으로 말라리아에 대한 계몽과 중요성을 널리 보급하고자 하고 특히 말라리아 창궐
지역으로 여행하거나 단기 선교를 계획중에 있는 분들께 말라리아에 대한 정보와 예방이
필수임을 밝혀둔다. 예방의학이 최고의 의학이기 때문이다 .
A new WHO strategy towards elimination of Malaria( 세계보건기구의 말라리아 퇴치 계획);
WHO( 세계보건기구) 에서 2015 년 5 월에 World Health Assembly 에서 2016-2030 년 까지의
말라리아 퇴치계획을 세웠으며 2020 년까지 40% 감소,2030 년까지 90% 의 말라리아
발생을 퇴치하고자 계획 하고 있다. 특히 아프리카의 8 개국
즉 Angola, Botswana, Mozambique,
Namibia, South Africa, Swaziland, Zambia & Zimbabwe 와
Central America, Hispaniola
그리고 South-East Asia 가 말라리아 박멸 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특히 베트남
메콩 강주변에 발생하는 말라리아를 2030 년까지 박멸하기로 WHO 가 계획하고 있다 .
Updated treatment guideline( 최신 말라리아 치료 수칙);
1: ACTs;artemisinin-based combination therapies); 합병증이 생기지 않은 말라리아
(Uncomplicated Malaria) 치료로 2005 년도에 1100 만명 치료에서 2013 년에
3 억9 천2 백만
Case 를 치료한 괄목할 만한 증가를 보였다. 하지만 아직도 여러 곳에서 의료시설과 예산
미비로
말라리아 치료와 예방의 손길이 미치지 못하는 곳이 많다 .
원인: Plasmodium 원충; Plasmodium
Vivax,Ovale,Malariae,Falciparum & Knowlesi 등
원충이 Anopheles 모기에 의해 전염되어 적혈구를 파괴시키고 용혈성 빈혈과 간에서
증식되어 황달과 함께 간기능 부전과 비장과 간비대(Hepato-Splenomegaly) 를
초래한다.
잠복기; 2 주에서 12 개월까지 Plasmodium 원충 종류에 따라 다양하다.
증상: 오열기-> 발열기-> 발한기-> 용혈성빈혈-> 황달기-> 회복기 등으로 나타난다.(2-3-4 일 마다
주기적인 고열과 오한으로 시작한다 ).
합병증: 치료를 제대로 안하면 뇌막염, 장출혈등의
합병증으로 사망할수도 있다.
Diagnostic testing( 진단 방법); 임신 검사하는 법과 비슷한 RDTs 가 가장 많이 쓰인다.
1: RDTs(Rapid Diagnostic tests);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방법으로 2013 년도에 3 억 천9 백만
진단기가 사용되었으나 아직도 40% 의 의심되는 환자의 진단은 이루어 지지 않고 있다 .
2: 혈액도말법: 혈액을 slide 에 도말(smear) 하여 Giemsa stain 으로 염색하여 말라리아 원충을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Plasmodium 원충을 적혈구에서 발견하여 확진 한다 .
Most vulnerable groups in Malaria endemic areas; 가장 위험한 말라리아 전염 그룹과 지역;
1: sub-Saharan Africa-pregnant woman,children under 5, and infant
사하라 아래의 아프리카 지역의 영아, 5 세전의 소아와 임산부에게 가장 위험하며 말라리아
예방과 치료로 수많은 생명을 구할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싼 의료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2: Roll Back Malaria(RBM) partnership 의 확산과 동참으로 말라리아의 예방이 최선 이며
가장 경제적임을 각인시키고 있다 .
예방: 말라리아 발병지역 여행전, 1-2 주 전에, 방문중 그리고 방문 후 4 주간 일주에 한 번씩
Mefloquine 250mg 또는 Chloroquine 500 mg 복용으로 예방한다 .
그외 Doxycycline 100mg 하루 한번 여행전, 2 일전, 여행중, 여행 후 4 주간 복용하는
방법도 있다. CDC.gov 에서 여행할 곳을 서치해보면 필요한 예방 정보를 얻을 수있다 .
말라리아 예방, 증상, 진단, 치료 및 기타 정보는 newyorkkorea.net 의 하명진내과
칼럼
#140 편, " 말라리아" 를
참고하길 바란다.
도움 & references:
1: WHO.int
2: CDC.gov
3: newyorkkorea.net->health-> 하명진내과칼럼 #140 " 말라리아".
Dr.하명진(James Myungchin Ha,MD.)
카톨릭 의대 졸업(1977)한국의사 면허,
미국의사 면허
미국 Mt.Vernon Hospital 외과 인턴 수련
미국 병리학 전문의 (Downstate의대 부속 Brooklyn Hospital에서 해부 및 임상병리학 수련)
미국 내과학 전문의(Albert Einstein의대 부속 Flushing Hospital에서 내과 전문의 수련
현 하명진 내과 건강관리센터 원장
KAMHC(한미 기독 의료선교 협의회)뉴욕 이사
전: TKC TV내과 상담, 기독교TV 신앙과 건강 담당
당뇨병의 완전 정복 건강 Video 등 다수의 한국언론에 의료 칼럼 게재
CTS TV Documentary "행복"의 주인공
Tel: 718-353-5730
E-mail : jjed1975@optonline.net
[ⓒ 뉴욕코리아( www.newyorkkorea.net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p><br></p><p><span style='color: rgb(51, 51, 51); font-family: "맑은 고딕"; font-size: 11pt; mso-ascii-theme-font: minor-fareast; mso-fareast-theme-font: minor-fareast; mso-hansi-theme-font: minor-fareast; mso-bidi-font-family: Arial; mso-ansi-language: EN-US; mso-fareast-language: KO; mso-bidi-language: AR-SA;'><font color="#0a0a0a" size="5"><strong><br></strong></font></span></p><p><span style='color: rgb(51, 51, 51); font-family: "맑은 고딕"; font-size: 11pt; mso-ascii-theme-font: minor-fareast; mso-fareast-theme-font: minor-fareast; mso-hansi-theme-font: minor-fareast; mso-bidi-font-family: Arial; mso-ansi-language: EN-US; mso-fareast-language: KO; mso-bidi-language: AR-SA;'><font color="#0a0a0a" size="5"><strong>세계 말라리아
날</strong></font><font color="#0a0a0a"><span lang="EN-US"><strong><font size="5">(World Malaria Day)</font></strong></span></font></span></p><p><span style='color: rgb(51, 51, 51); font-family: "맑은 고딕"; font-size: 11pt; mso-ascii-theme-font: minor-fareast; mso-fareast-theme-font: minor-fareast; mso-hansi-theme-font: minor-fareast; mso-bidi-font-family: Arial; mso-ansi-language: EN-US; mso-fareast-language: KO; mso-bidi-language: AR-SA;'><font color="#0a0a0a" size="5"><span lang="EN-US"><strong><br></strong></span></font></span></p><p><span style='color: rgb(51, 51, 51); font-family: "맑은 고딕"; font-size: 11pt; mso-ascii-theme-font: minor-fareast; mso-fareast-theme-font: minor-fareast; mso-hansi-theme-font: minor-fareast; mso-bidi-font-family: Arial; mso-ansi-language: EN-US; mso-fareast-language: KO; mso-bidi-language: AR-SA;'><font color="#0a0a0a"><span lang="EN-US"><strong><font size="5"></font></strong><br>
<br>
WHO(World Health Organization;</span>세계 보건 기구<span lang="EN-US">)</span>에서는<span lang="EN-US"> 4</span>월<span lang="EN-US"> 25</span>일을<span lang="EN-US"> "</span>세계
말라리아 날<span lang="EN-US">"</span>로</font><span lang="EN-US"><br><font color="#0a0a0a">
</font></span><font color="#0a0a0a">지정하여 예방이 가능한 말라리아에 대한 경각심과 예방<span lang="EN-US">,</span>치료 등의 주의를 환기 시키고 있다</font><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
2,000</span>년도 이후 말라리아는 계속 감소 추세에 있지만 아직도 매년<span lang="EN-US"> 50</span>만명 이상 말라리아로
인하여</font><span lang="EN-US"><br><font color="#0a0a0a">
</font></span><font color="#0a0a0a">생명을 잃게되는 흔한 질병이다<span lang="EN-US">. </span>말라리아에 의한 사망의<span lang="EN-US">
3/4</span>은<span lang="EN-US"> 5</span>세 이전의 소아에 나타나지만</font><span lang="EN-US"><br><font color="#0a0a0a">
</font></span><font color="#0a0a0a">단지<span lang="EN-US"> 1/5</span>정도의 아프리카 아동들만 말라리아 치료를 받고<span lang="EN-US">,1500</span>만명
이상의 임산부가</font><span lang="EN-US"><br><font color="#0a0a0a">
</font></span><font color="#0a0a0a">말라리아 예방치료를 받지 못하고 있다<span lang="EN-US">. </span>또한 아프리카의<span lang="EN-US">
2</span>억<span lang="EN-US">7</span>천<span lang="EN-US"> 800</span>만명이 아직도 모기장 없이</font><span lang="EN-US"><br><font color="#0a0a0a">
</font></span><font color="#0a0a0a">말라리아 전염<span lang="EN-US"> Anopheles </span>모기에 노출된 열악한 상태이다</font><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
4</span>월<span lang="EN-US"> 25</span>일 세계 말라리아 날을 맞이하여 말라리아에 대한 예방의 확장과 정확한 최신 진단법
보급과</font><span lang="EN-US"><br><font color="#0a0a0a">
</font></span><font color="#0a0a0a">최신 치료법으로 말라리아에 대한 계몽과 중요성을 널리 보급하고자 하고 특히 말라리아 창궐</font><span lang="EN-US"><br><font color="#0a0a0a">
</font></span><font color="#0a0a0a">지역으로 여행하거나 단기 선교를 계획중에 있는 분들께 말라리아에 대한 정보와 예방이</font><span lang="EN-US"><br><font color="#0a0a0a">
</font></span><font color="#0a0a0a">필수임을 밝혀둔다<span lang="EN-US">. </span>예방의학이 최고의 의학이기 때문이다</font><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
<br>
A new WHO strategy towards elimination of Malaria(</span>세계보건기구의 말라리아 퇴치 계획</font><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
<br>
WHO(</span>세계보건기구<span lang="EN-US">)</span>에서<span lang="EN-US"> 2015</span>년<span lang="EN-US"> 5</span>월에<span lang="EN-US"> World Health Assembly</span>에서<span lang="EN-US"> 2016-2030</span>년 까지의</font><span lang="EN-US"><br><font color="#0a0a0a">
</font></span><font color="#0a0a0a">말라리아 퇴치계획을 세웠으며<span lang="EN-US"> 2020</span>년까지<span lang="EN-US"> 40% </span>감소<span lang="EN-US">,2030</span>년까지<span lang="EN-US"> 90%</span>의 말라리아</font><span lang="EN-US"><br><font color="#0a0a0a">
</font></span><font color="#0a0a0a">발생을 퇴치하고자 계획 하고 있다<span lang="EN-US">. </span>특히 아프리카의<span lang="EN-US"> 8</span>개국
즉</font><font color="#0a0a0a"><span lang="EN-US"> Angola, Botswana, Mozambique,<br>
Namibia, South Africa, Swaziland, Zambia & Zimbabwe </span>와</font><font color="#0a0a0a"><span lang="EN-US">
Central America, Hispaniola<br>
</span>그리고<span lang="EN-US"> South-East Asia </span>가 말라리아 박멸 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span lang="EN-US">. </span>특히 베트남</font><span lang="EN-US"><br><font color="#0a0a0a">
</font></span><font color="#0a0a0a">메콩 강주변에 발생하는 말라리아를<span lang="EN-US"> 2030</span>년까지 박멸하기로<span lang="EN-US"> WHO</span>가 계획하고 있다</font><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
<br>
Updated treatment guideline(</span>최신 말라리아 치료 수칙</font><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
1: ACTs;artemisinin-based combination therapies); </span>합병증이 생기지 않은 말라리아</font><span lang="EN-US"><br><font color="#0a0a0a">
(Uncomplicated Malaria) </font></span><font color="#0a0a0a">치료로<span lang="EN-US"> 2005</span>년도에<span lang="EN-US"> 1100</span>만명 치료에서<span lang="EN-US"> 2013</span>년에<span lang="EN-US">
3</span>억<span lang="EN-US">9</span>천<span lang="EN-US">2</span>백만</font><font color="#0a0a0a"><span lang="EN-US">
<br>
Case</span>를 치료한 괄목할 만한 증가를 보였다<span lang="EN-US">. </span>하지만 아직도 여러 곳에서 의료시설과 예산
미비로</font><span lang="EN-US"><br><font color="#0a0a0a">
</font></span><font color="#0a0a0a">말라리아 치료와 예방의 손길이 미치지 못하는 곳이 많다</font><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
<br>
</span>원인<span lang="EN-US">: Plasmodium </span>원충<span lang="EN-US">; Plasmodium
Vivax,Ovale,Malariae,Falciparum & Knowlesi </span>등</font><span lang="EN-US"><br><font color="#0a0a0a">
</font></span><font color="#0a0a0a">원충이<span lang="EN-US"> Anopheles </span>모기에 의해 전염되어 적혈구를 파괴시키고 용혈성 빈혈과 간에서</font><font color="#0a0a0a"><span lang="EN-US"> <br>
</span>증식되어 황달과 함께 간기능 부전과 비장과 간비대<span lang="EN-US">(Hepato-Splenomegaly)</span>를
초래한다</font><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
<br>
</span>잠복기<span lang="EN-US">; 2</span>주에서<span lang="EN-US"> 12</span>개월까지<span lang="EN-US"> Plasmodium </span>원충 종류에 따라 다양하다</font><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
<br>
</span>증상<span lang="EN-US">: </span>오열기<span lang="EN-US">-></span>발열기<span lang="EN-US">-></span>발한기<span lang="EN-US">-></span>용혈성빈혈<span lang="EN-US">-></span>황달기<span lang="EN-US">-></span>회복기 등으로 나타난다<span lang="EN-US">.(2-3-4</span>일 마다</font><span lang="EN-US"><br><font color="#0a0a0a">
</font></span><font color="#0a0a0a">주기적인 고열과 오한으로 시작한다</font><font color="#0a0a0a"><span lang="EN-US">). <br>
<br>
</span>합병증<span lang="EN-US">: </span>치료를 제대로 안하면 뇌막염<span lang="EN-US">,</span>장출혈등의
합병증으로 사망할수도 있다</font><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
<br>
Diagnostic testing(</span>진단 방법<span lang="EN-US">); </span>임신 검사하는 법과 비슷한<span lang="EN-US"> RDTs </span>가 가장 많이 쓰인다</font><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
<br>
1: RDTs(Rapid Diagnostic tests); </span>가장 많이 사용하는 방법으로<span lang="EN-US"> 2013</span>년도에<span lang="EN-US"> 3</span>억 천<span lang="EN-US">9</span>백만</font><span lang="EN-US"><br><font color="#0a0a0a">
</font></span><font color="#0a0a0a">진단기가 사용되었으나 아직도<span lang="EN-US"> 40%</span>의 의심되는 환자의 진단은 이루어 지지 않고 있다</font><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
2: </span>혈액도말법<span lang="EN-US">: </span>혈액을<span lang="EN-US"> slide</span>에 도말<span lang="EN-US">(smear)</span>하여<span lang="EN-US"> Giemsa stain</span>으로 염색하여 말라리아 원충을</font><span lang="EN-US"><br><font color="#0a0a0a">
</font></span><font color="#0a0a0a">현미경으로 관찰하여<span lang="EN-US"> Plasmodium </span>원충을 적혈구에서 발견하여 확진 한다</font><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
<br>
Most vulnerable groups in Malaria endemic areas; </span>가장 위험한 말라리아 전염 그룹과 지역</font><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
1: sub-Saharan Africa-pregnant woman,children under 5, and infant<br>
</span>사하라 아래의 아프리카 지역의 영아<span lang="EN-US">, 5</span>세전의 소아와 임산부에게 가장 위험하며 말라리아</font><font color="#0a0a0a"><span lang="EN-US"> <br>
</span>예방과 치료로 수많은 생명을 구할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싼 의료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font><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
2: Roll Back Malaria(RBM) partnership </span>의 확산과 동참으로 말라리아의 예방이 최선 이며</font><span lang="EN-US"><br><font color="#0a0a0a">
</font></span><font color="#0a0a0a">가장 경제적임을 각인시키고 있다</font><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
<br>
</span>예방<span lang="EN-US">: </span>말라리아 발병지역 여행전<span lang="EN-US">, 1-2</span>주 전에<span lang="EN-US">, </span>방문중 그리고 방문 후<span lang="EN-US"> 4</span>주간 일주에 한 번씩</font><span lang="EN-US"><br><font color="#0a0a0a">
Mefloquine 250mg </font></span><font color="#0a0a0a">또는<span lang="EN-US"> Chloroquine 500 mg </span>복용으로 예방한다</font><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
</span>그외<span lang="EN-US"> Doxycycline 100mg </span>하루 한번 여행전<span lang="EN-US">, 2</span>일전<span lang="EN-US">, </span>여행중<span lang="EN-US">,</span>여행 후<span lang="EN-US"> 4</span>주간 복용하는</font><span lang="EN-US"><br><font color="#0a0a0a">
</font></span><font color="#0a0a0a">방법도 있다<span lang="EN-US">. CDC.gov</span>에서 여행할 곳을 서치해보면 필요한 예방 정보를 얻을 수있다</font><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
<br>
</span>말라리아 예방<span lang="EN-US">, </span>증상<span lang="EN-US">, </span>진단<span lang="EN-US">, </span>치료 및 기타 정보는<span lang="EN-US"> newyorkkorea.net </span>의 하명진내과
칼럼</font><font color="#0a0a0a"><span lang="EN-US"> <br>
#140 </span>편<span lang="EN-US">, "</span>말라리아<span lang="EN-US">" </span>를
참고하길 바란다</font><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
<br>
</span>도움</font><font color="#0a0a0a"><span lang="EN-US"> & references:<br>
1: WHO.int<br>
2: CDC.gov<br>
3: newyorkkorea.net->health-></span>하명진내과칼럼<span lang="EN-US"> #140 "</span>말라리아<span lang="EN-US">".<font color="#303030"></font></span></font><font color="#303030"></font></span><br></p><p><br></p><p><br></p><p><br></p><p><img src="/wysiwyg/PEG/W_1341339730.png"></p><p> </p><p></p><p><strong>Dr.하명진(James Myungchin Ha,MD.)</strong></p><p><strong><br></strong></p><p>카톨릭 의대 졸업(1977)한국의사 면허,</p><p>미국의사 면허</p><p>미국 Mt.Vernon Hospital 외과 인턴 수련</p><p>미국 병리학 전문의 (Downstate의대 부속 Brooklyn Hospital에서 해부 및 임상병리학 수련)</p><p>미국 내과학 전문의(Albert Einstein의대 부속 Flushing Hospital에서 내과 전문의 수련</p><p>현 하명진 내과 건강관리센터 원장</p><p>KAMHC(한미 기독 의료선교 협의회)뉴욕 이사</p><p>전: TKC TV내과 상담, 기독교TV 신앙과 건강 담당</p><p>당뇨병의 완전 정복 건강 Video 등 다수의 한국언론에 의료 칼럼 게재</p><p>CTS TV Documentary "행복"의 주인공</p><p><br></p><p><strong><font color="#ff9933">Tel: 718-353-5730</font></strong></p><p><strong><font color="#ff9933">E-mail : </font></strong><a href="mailto:jjed1975@optonline.net"><strong><font color="#ff9933">jjed1975@optonline.net</font></strong></a></p><p> </p><p> </p><p> </p><p> </p><p> </p><p></p><p></p><p></p><p></p><p></p><p></p><p></p><p></p><p></p><p></p><p class="바탕글"><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 font-size: 11pt; mso-ascii-font-family: 맑은 고딕; mso-hansi-font-family: 맑은 고딕;"><span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font size="3"><span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font color="#000000" size="3">[ⓒ 뉴욕코리아(</font><a style="color: rgb(53, 53, 53); text-decoration: none;" href="http://www.newyorkkorea.net/" target="_blank"><font color="#000000" size="3">www.newyorkkorea.net</font></a><font color="#000000"><font size="3"><font color="#000000">),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font></font></font></span></font></span></span></p>
번호
제목
작성자
조회
등록일
340
하명진,노혜영 선교사 아이티 무사히 입국 감사,8/06/2024.
Dr. 하명진
1042
2024-08-08
339
하명진,노혜영 선교사의 아이티 탈출기,3/24-3/26/2024년.
Dr. 하명진
1479
2024-03-27
338
아이티 탈출기,2024년 3월 24일.
Dr. 하명진
1448
2024-03-27
337
아이티연합교회 주일예배,3/17/2024년. 설교: “위로하라“ - 탁형구 목사.
Dr. 하명진
1454
2024-03-27
336
미파클리닉 3/15/2024년.
Dr. 하명진
1619
2024-03-16
335
미파클리닉 & 아이티연합교회 새벽기도회,2024년 3월 4일 & 5 일)
Dr. 하명진
1430
2024-03-16
334
포트켐벨침례교회 2024년 아이티선교,가나안교회 & 학교 사역.2/17/2024.
Dr. 하명진
1539
2024-02-21
333
포트켐벨침례교회 2024년 아이티선교,가나안교회 & 학교 사역.2/17/2024.
Dr. 하명진
1538
2024-02-21
332
0:02 / 5:33 MiPA clinic on Feb 16,2024.
Dr. 하명진
1490
2024-02-21
331
NY Messengers of Mercy(M.O.M) on Jan.4,2024.뉴욕 맘 선교회 2024년 1월 4일 모임.
Dr. 하명진
1605
2024-01-06
330
Highlights of Dr. & Mrs.Ha’s Haiti Medical mission from July 2017 to Dec. 2023.
Dr. 하명진
1778
2024-01-06
329
미파클리닉,2023년 12월 15일.
Dr. 하명진
1670
2024-01-06
328
미파클리닉,12/11/2023.
Dr. 하명진
1569
2024-01-06
327
기쁜 기독 학교,Joyful Christian Academy,Oct.19,2023.
Dr. 하명진
1626
2024-01-06
326
아이티연합교회 주일예배,2023년 12월 10일. 사회:김영조 집사, 기도:서상용 집사, 설교:탁형구 목사.
Dr. 하명진
1777
2023-12-11
325
미파클리닉,2023년 11월 27일.
Dr. 하명진
1662
2023-12-11
324
미파클리닉,2023년 11월 24일.
Dr. 하명진
1599
2023-12-11
323
미파클리닉,11/20/2023.
Dr. 하명진
1488
2023-12-11
322
아이티연합교회 추수감사절 주일예배. 2023년 11뤌 19일. 기도: 엄진용 선교사, 설교: 박동한 목사/선교사.
Dr. 하명진
1552
2023-12-11
321
미파클리닉,11/17/2023.
Dr. 하명진
1754
2023-11-19
320
미파클리닉(Clinique MiPA) on 11/13/2023.
Dr. 하명진
1670
2023-11-19
319
미파클리닉 주간 하이라이트,11월 6일 8일 & 10일,2023년.
Dr. 하명진
1683
2023-11-19
318
MIPA highlights. Oct.30 & Nov 3.2023
Dr. 하명진
1608
2023-11-05
317
Mission Pacific Ayiti(MIPA) clinic on Oct 27.2023
Dr. 하명진
1705
2023-11-05
316
미파클리닉 하이라이트 10/23 & 10/25/2023
Dr. 하명진
1544
2023-11-05
315
미파클리닉 하이라이트,10/18-20/2023.
Dr. 하명진
1772
2023-10-22
314
기쁜 기독 학교,Joyful Christian Academy,Oct.19,2023.
Dr. 하명진
1785
2023-10-22
313
미파클리닉 주간 하이라이트,2023년 10월 2,4 & 6일~
Dr. 하명진
1751
2023-10-15
312
미파클리닉 주간 하이라이트,9/25,27 & 29/2023.
Dr. 하명진
1764
2023-10-01
311
미파클리닉 하이라이트,9월 18일,20일 & 22일,2023년.
Dr. 하명진
1745
2023-10-01
310
미파클리닉 주간 하이라이트,9/11,13 & 15일,2023년.
Dr. 하명진
1792
2023-09-18
309
MiPA clinic highlights,9/04,06 & 08,2023.
Dr. 하명진
1867
2023-09-18
308
MiPA clinic highlights of Aug.28,30 & Sep.1,2023.
Dr. 하명진
1752
2023-09-06
307
MiPA highlights,Aug.21,23 & 25,2023.
Dr. 하명진
1767
2023-09-06
306
미파클리닉 주간 하이라이트,2023년 8월 둘째 주.
Dr. 하명진
1833
2023-08-12
회원정보
닉네임
Dr.하명진 (drjamesha)
가입일
2008-07-23
등급
운영자 (1)
활동
포인트 : 0 점
게시물 작성수 : 0 개
댓글 작성수 : 개
쪽지보내기
게시물 신고하기
게시판 성격에 맞지 않거나 불건전한 게시물을 운영자에게 신고할 수 있습니다.
운영자 확인 후 해당글 삭제조치 및 해당 회원에게 불이익이 갈 수 있습니다.
허위신고시에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니 신중하게 신고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