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코리아    SF    Boston    Washington D.C    Chicago    Atlanta    Canada
NewsLife InfoRealtySell & BuyJobsHealthCultureFood/TourIssueYellowPageShopping
회원가입 아이디/비밀번호찾기
Health
건강상담
닥터건강상담QA
병원정보
병원.의료뉴스공지
병원정보Q/A
응급조치 상식
의료보험 상담/정보
내과
하명진 내과칼럼
소아청소년과
이상원 소아과전문의
성형외과
이신지 성형외과칼럼
통증치료과
김치갑 통증치료칼럼
하명훈 통증재활칼럼
*통증관련 도움VOD
*치과관련 VOD
한의학/한방과
간송 한의학 칼럼
김홍순 한의학칼럼
동물병원
김기택 애완동물칼럼
안과
조민희 망막전문안과
▶추천 전문병원
★추천병원 파워리스트
추천병원탐방
병원집중탐방 인터뷰
라이프 건강
증상 관련 해법정보
웰빙 부르는건강상식
건강에 좋은추천음식
건강웰빙 운동
인체의 구조
건강정보교환해요
자유게시판
힐링 명상음악듣기
 
 
 
 
 
 
 
 
 
회원정보
닉네임
가입일 2008-07-23
등급 운영자 (1)
활동
포인트 : 0
게시물 작성수 : 0
댓글 작성수 : 0
쪽지보내기
받을아이디
제목
내용
(0/200바이트)
 
> Health > 내과 > 하명진 내과칼럼
ha.edward

하명진 내과칼럼
레지오넬라 병(Legionella disease;냉방병)
작성자: Dr.하명진 작성자정보 조회: 10492 등록일: 2015-08-11


                    레지오넬라 병(Legionella disease;냉방병)



최근 뉴욕시에 레지오넬라 균의 감염자가 늘어나고 그로인한 사망자도 10명으로 늘어나 뉴욕 방역

당국을 긴장 시키고 있다. 뉴욕의 South Bronx에서 지난달 10일 첫 환자가 발생한 이후로
현재 누적 냉방병 환자는 100명을 넘어섰고 지난 1주 사이에 세배 이상 31건이 새롭게 발생하여
뉴욕 시정부가 긴장하여 방역을 강화하며 뉴욕주에서는 모든 레지오넬라 균의 서식지인 모든
빌딩의 Central Air-Condition 냉각탑의 레지오넬라 균 오염여부 검사를 무료로 제공할
방침이라고 밝히고 있다. 현재까지 밝혀진 뉴욕시의 오염된 냉각탑 빌딩은 5곳으로 알려졌다.

레지오넬라(Legionella disease)병은 1976년 처음으로 Philadelphia에서
American
Legional convention(
재향군인회)에 참석한 사람중 220명이 폐렴이 발생하였고 그중 34명이

사망하게 되었다. 원인균으로 Legionella Pneumophila 박테리아로 밝혀 졌고 호텔의
Central
에어콘의 냉각탑의 오염에 의하여 세균이 에어콘을 통해 같은 호텔에 묵었던 재향 군인에 

Legionella균에 의한 폐렴이 발생하였었다. 그 이후 전 세계적으로 매년 에어콘을 많이 쓰는
여름철에 걸리는 감기 같은 질병으로 매년 마국에서는 8,000-18,000명아 Legionella disease로 

입원하여 치료 받고 한국에서도 에어콘을 많이쓰는 여름에 많이 발생하고 2001 - 2013년 까지

211건의 레지오넬라 폐렴 환자가 보고 되었다고 한국 질병통제센터에서 밝혔고 매년 증가 추세에 있다.

또한 젊은층에 오는 Legionella 균의 sub-type로 오는 경미한 레지오넬라 병 즉 Legionella disease

Pontiac fever
라고도 부른다.

 
원인: Legionella Pneumophila bacteria 세균의 호흡기 감염에 의한다
.
      1:Gram negative,Anaerobic rod bacteria(
간균)으로 실내와 실외의 온도차가 섭씨 5-8

       
차이가 지속되는 경우 냉각탑의 더운물에 Legionalla Pneumophila균이 증식하여 에어콘을
       
통하여 전염되며 대부분 45세 이후의 면역력이 감소된 사람에 많이 나타난다.
      2:
그외 hot tubs,hot water tank,decorative fountains(분수),큰 배수구등에도 자연적으로

         
냉방병 균인 Legionella 균이 존재하고 오염된 수증기나 작은 물방울이 호흡기로 들어와
         
감염을 일으킨다.

잠복기: Legionella Pneumophila균에 노출된후 2-14일 잠복기후 감기 증상으로 시작한다
.

전염 경로: 오염된 냉각탑에 의한 에어콘으로 전파되어 호흡기로 mist vapor(수증기) 또는

                Small droplet
로 감염되며 인간끼리는 서로 전염 시키지는 않는다. 그러므로 주위에
                Legionella
균에 감염됨 환자가 있어도 접촉으로 전염되지 않으므로 전염을 걱정할
               
필요는 없다. 그외 오염된 더운 물구덩이(hot tubs)나 물탱크에서 물놀이시에도 전염
               
되기도 한다. 벽에 거는 에어콘이나 식수를 통해 전염 되지도 않으므로 큰 걱정을 할
               
필요는 없다고 본다.

증상: 대부분 증세없이 지나거나 경미한 감기 증세에서 폐렴까지 다양 하다
.
1:
기침과 빠른 호흡
(cough & tachypnea).
2:
고열과 식은 땀
(high fever>102F & diaphoresis).
3:
무기력과 오한
(malaise & chills).
4:
두통과 근육통
(headache & muscle ache).
5:
,장 증상(오심,구토,복통,설사와 소화불량
;nausea,vomiting,abd.pain,diarrhea &
    Dyspepsia).
도 가능하다
.
6:
호흡곤란과 흉통
(Shortness of breath & chest pain).
7:
권태감,피로감과 순환장애
(malaise,fatigue & circulatory problems).
8:
여성의 경우 생리 불순도 온다
(menstrual dysfunction).

진단
:
1: 2-14
일전 오염된 Central Air-Con에 노출된 과거력과 소변 항원검사로 대부분 진단한다
.
2:
가래 배양(trans tracheal aspirate sputum culture) Legionella Pneumophila

   
immunofluorescent(면역형광염색) 1:128 이상으로 확진 한다.
3:
가슴 X-Ray로 전형적 폐렴 소견을 나타낸다
.
4: PCR(Polymerase Chain Reaction) DNA
검사로 22종류의 sub type도 알아낼수 있다
.
5: CBC(Complete Blood Count)
로 백혈구 증가>20,000/cc shift to left
immature
   
미분화된 백혈구가 나타나 박테리아의 감염을 나타낸다
.
6: ESR(
적혈구 침강속도)가 염증반응으로 증가된다
.
7:
신장(kidney)에 영향을 미쳐 단백뇨가 나타날수 있다
.
8:
폐 조직검사로 Legionella균을 발견하여 확진할수도 있다
.
9:
일반 혈청검사시 Legionella antibody 4배 이상 질병과 함께 증가함으로 진단 하기도 한다
.

치료: 항생제로 완치 가능한 질병이다
.
1:
절대 안정과 휴식과 함께 충분한 수애치료를 한다
.
2:
해열제; Tylenol,Advil등으로 고열을 치료한다
.
3:
항생제로는 Levaquine,Azithromycin,Biaxin,Erythromycin 등으로 치료한다.(배양시

   
가장 예민한 항생제를 선택한다)
4:
대증요법으로 기침약,등을 증상에 따라 투여한다
.
5:
노약자나 탈수가 심하면 입원하여 수액치료와 혈관으로 할생제를 투여한다
.
6:
면역력 향상에 홍삼이 좋다는 임상 실험 결과를 보고한 논문도 았어 냉방병 예방에

   
추천음식으로 한국에서 보고되기도 하였으나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고위험군
: people at risk;
1: 50
세 이상의 과거 흡연자 또는 현재 흡연자
.
2:
폐기종(emphysema)환자나  폐쇄성 기관지염
(COPD: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환자
.
3:
암질환,당뇨병,신장 kidney 질환자 처럼 면역 결핍자
.

임상 경과
:
1:
치료 시작후 5-6일 부터 호전되며 2주 이상 치료가 필요하다
.
2:
심한 압원 환자의 사망율은 15% 정도되며 면역 결핍자나 만성질환자나 노약자에 많다
.

예방법
:
1:
실내와 실외의 온도차를 섭씨 5(화씨 8) 이내로 유지한다
.
2:
에어콘을 계속 사용하지 말고 3시간 마다 실내 공기의 환기를 시켜준다
.
3:
에어콘의 필터를 자주 갈아주고 2주에 한번 냉각탑을 소독한다
.
4:
의심시 뉴욕 방역 당국에 연락하여 냉각탑의 Legionella균 감염여부를 알아내 소독하여야 한다
.
5:
상기 열거한 hot tubs, hot water tank의 물에 노출을 섬가고 외출후 양치와 손을 깨씃이 닦는

   
습관을 갖고 최상의 면역성태를 유지 하도록 한다.

도움 & references; "Legionella disease"or "Legionellosis" 검색
.
1:
webmd.com
2: cdc.gov & cdc.go.kr
3: lungusa.org
4: Harrison's Principles of Internal Medicine.
5: newyorkkorea.net->health->
하명진내과칼럼 #108:냉방병(Legionella disease)




 

Dr.하명진(James Myungchin Ha,MD.)


카톨릭 의대 졸업(1977)한국의사 면허,

미국의사 면허

미국 Mt.Vernon Hospital 외과 인턴 수련

미국 병리학 전문의 (Downstate의대 부속 Brooklyn Hospital에서 해부 및 임상병리학 수련)

미국 내과학 전문의(Albert Einstein의대 부속 Flushing Hospital에서 내과 전문의 수련

현 하명진 내과 건강관리센터 원장

KAMHC(한미 기독 의료선교 협의회)뉴욕 이사

전: TKC TV내과 상담, 기독교TV 신앙과 건강 담당

당뇨병의 완전 정복 건강 Video 등 다수의 한국언론에 의료 칼럼 게재

CTS TV Documentary "행복"의 주인공


Tel: 718-353-5730

E-mail : jjed1975@optonline.net

 

 

 

 

 

[ⓒ 뉴욕코리아(www.newyorkkorea.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트위터 트위터 페이스북 페이스북
댓글 : 0
번호 제목 작성자 조회 등록일
270 하명진,노혜영 선교사 아이티 선교보고.Sep.2020. Dr. 하명진 5479 2020-09-18
269 Highlights of Sep 4,2020 Dr. 하명진 4981 2020-09-18
268 MiPA Clinic Aug 3,2020 Dr. 하명진 6056 2020-08-06
267 미파클리닉 7월31일 2020년 Dr. 하명진 5254 2020-08-03
266 Opening day of MiPA Clinic on July 20 2020 미파클리닉 재 개원 Dr. 하명진 5090 2020-08-03
265 Dr.Ha’s story. 하명진 선교사 이야기. Dr. 하명진 6089 2020-04-30
264 Please pray & Save HAITI from Covid 19. Dr. 하명진 6048 2020-03-30
263 주님의 은혜 감사합니다 2019년을 보내며 Dr. 하명진 5755 2019-12-31
262 치유하여 자유케하소서 @MiPA Clinic on Dec 16 2019 Dr.하명진 5556 2019-12-23
261 Haknesiah -HAITI 섬김과 기적 클리닉 개원 6.2.2019 Dr.하명진 5843 2019-07-02
260 MiPA Clinic Dr.하명진 5988 2019-06-15
259 MiPA Clinic Opening Worship Dr. 하명진 6133 2019-06-10
258 하명진 노혜영 선교사 2018년 아이티 사역 뉴욕코리아 9704 2019-01-04
257 HaKnesiah Medical Mission In Haiti. 하크네시아 메디칼 선교 Dr.하명진 11238 2018-09-28
256 [선교] HaKnesiah Medical Clinic opening worship on 6/25/2017 Dr.하명진 9664 2017-06-26
255 [선교] 아이티 선교 바자회 2017 Bazaar for Haiti Mission Dr.하명진 11342 2017-06-12
254 [선교]2017 Cherry Hill Haiti mission Dr.하명진 8015 2017-06-06
253 [선교]2017 체리힐제일교회 아이티 선교 5/26-5/31 Dr.하명진 14185 2017-06-06
252 [뉴스]뉴욕 맘선교회 정기모임 “하나님과 함께 동행하는 선교” -아멘넷 뉴스 Dr.하명진 16160 2017-06-06
251 [선교] 아이티 예수병원 후원바랍니다 Love & Hope in Haiti Dr.하명진 11846 2017-04-11
250 [선교 ]Live & Hope, Future branch Clinic site of JMCH. -하명진 박사 Dr.하명진 11257 2017-02-21
249 [선교] Jesus Medical & Dental Clinic in Haiti.-하명진 박사 Dr.하명진 11785 2017-02-21
248 [선교] 아이티 슬럼가 솔레이시티 사랑과 소망 선교-하명진 박사 Dr.하명진 12024 2017-02-21
247 [선교] Love & Hope mission church in Cite Soleil,Haiti.-하명진 박사 Dr.하명진 11878 2017-02-21
246 독감 증상과 합병증(Flu symptoms & Complications) Dr.하명진 13510 2017-01-30
245 2017년을 건강하게 사는법(Healthy tips for 2017 new year) Dr.하명진 14017 2017-01-04
244 마약 중독 확산 비상 (Opioid epidemic in US) Dr.하명진 11326 2016-12-17
243 세계 에이즈 날(World AIDS Day) Dr.하명진 9329 2016-12-02
242 세계 항생제 인식 주간(World Antibiotic awareness week) Dr.하명진 11066 2016-11-19
241 당뇨병의 달(National Diabetes Month) Dr.하명진 10658 2016-11-05
240 유방암 인식의 달(Breast Cancer Awareness Month) Dr.하명진 9112 2016-10-21
239 수족구병 확산(Hand mouth & foot disease outbreaks) Dr.하명진 11941 2016-10-08
238 항생제 내성 박테리아(AntiMicrobial Resistance:AMR) Dr.하명진 10269 2016-09-24
237 세계 자살 예방의 날(World Suicide Prevention Day) Dr.하명진 11856 2016-09-10
236 Zika virus updates(지카 바이러스 최신 정보) Dr.하명진 8939 2016-08-27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회원정보
닉네임 Dr.하명진 (drjamesha)
가입일 2008-07-23
등급 운영자 (1)
활동
포인트 : 0
게시물 작성수 : 0
댓글 작성수 : 0
쪽지보내기
닉네임 Dr.하명진 (drjamesha)
제목
내용
(0/200바이트)
게시물 신고하기
게시판 성격에 맞지 않거나 불건전한 게시물을 운영자에게 신고할 수 있습니다.
운영자 확인 후 해당글 삭제조치 및 해당 회원에게 불이익이 갈 수 있습니다.
허위신고시에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니 신중하게 신고해주세요.
글 제목 레지오넬라 병(Legionella diseas...
글 작성자 Dr.하명진
신고이유
회사소개 | 개인정보취급방침 | 회원약관 | 고객지원센터 | 제휴 및 광고문의 | 광고안내   
 

 

Contact Us : 고객문의센터, Tel: 대표 201-674-5611

E-mail: newyorkkorea77@gmail.com, newyorkkorea@naver.com, 빠른카톡상담ID : newyorkkorea 

미국최대 대표포털 뉴욕코리아는 미국법률변호사고문 및 미국저작권법의 보호를 받고 있으며, 컨텐츠 및 기사의 무단 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  

Copyright (c) New York Korea, INC. News Media Group in US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