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정보
닉네임
가입일
2008-07-23
등급
운영자 (1)
활동
포인트 : 0 점
게시물 작성수 : 0 개
댓글 작성수 : 개
ha.edward
웨스트 나일 뇌염(West Nile Encephalitis)
작성자: Dr.하명진
조회: 9518 등록일: 2015-08-23
웨스트 나일 뇌염 (West Nile Encephalitis)
웨스트 나일 뇌염은 일본 뇌염과 같이 모기에 의해 가장 많이 전염되는 바이러스성 뇌염으로
올해 뉴욕과 뉴저지, 캘리포니아, 텍사스 등 미국 45 개 주에서 발생하여 방역 당국을 긴장
시키고 있다. 대부분은 증상없이 지나 가지만 5 명중 1 명 정도 고열등의 증상을 나타내고 1%
정도에서 심각한 뇌염 증상을 나타낸다. 2015 년 8 월 18 일 현재 미국의 45 개 주에서
210
명의 웨스트 나일 바이러스 감염(West Nile virus disease) 환자가 발생
하였으며 그중 60%
환자에서 뇌염(West Nile Encephalitis) 증상을 나타냈으나 40% 에서는 뇌염 같은 신경계의
질환은 나타나지 않았고 고열과 감기 증세인 West Nile Fever(=West Nile
Virus Syndrome,
West Nile Virus Disease) 로 나타났다.
웨스트 나일 바이러스가 모기에 의해 까마귀(crow) 와 어치새(jay) 에 West Nile virus 를 감염시켜
4-6 일후 죽게되고 숙주가 되어 모기를 통하여 인체나 다른 조류와 동물에 West Nile
virus 를
전염 시킨다. 매(hawk), 부엉이(owl) 등이 감염된 까마귀나 어치새를 잡아먹어 감염 되기도 한다 .
그러므로 역학 조사시에 죽은 까마귀, 어치새등의 West
Nile virus 의 감염 여부를 검사
하거나 모기들을 잡아서 웨스트 나일 바이러스 감염 여부를 알수 있다. West Nile
Encephalitis 는
대부분 6 - 9 월에 발생하고 미국에서는 알라스카와 하와이 주를 제외한 48 개 주에서
여름철에 모기에 의해 많이 발생 하여 미국에서 1999-2014 년 사이에 18,810 명이 발생하였고
그중 9% 인 1,641 명이 사망하였다. 뇌염이 발생하지 않은 West Nile virus disease 감염
즉 Non-neuroinvasive West Nile virus 환자는 22,952 명이 발생 하였고 그중 1%
미만인 124 명이 사망 하였다.
West Nile 뇌염은 1937 년 우간다의 West
Nile 지역에서 처음으로 발생한 뇌염으로 뇌염이
발생한 지역의 이름으로 웨스트 나일 뇌염으로 불리지만 일본 뇌염과 항원이 같은 RNA Arbo
바이러스에 의한 모기로 전염되는 뇌염이다. 아시아, 아프리카, 유럽, 중동, 특히 이집트와
미국,
South America 등 전 세계에서 모기에 의해 전염되어 여름철에 많이 발생한다.
미국에서는 1999 년 뉴욕의 퀸즈 College
point 지역에서 처음 발생하여 인근 뉴저지, 코네티컷
으로 퍼진것이 처음 이었다. 한국에서는 2012 년에
아프리카 기니아에서 입국한 한인에게 처음으로
해외유입 West Nile 뇌염 환자가 발생하였고 현재 법정 전염병 4 군으로 분리하고 있다 .
원인: RNA Arbo virus 인 West Nile
virus 에 감염된 모기나 감염죈 조류에 의해 인체에 전염된다.
Single strand RNA virus 로 일본 뇌염 바이러스의 subtype 로 항원이 같으며
Dengue fever( 뎅구열) 바이러스와
매우 유사하다 .
전염 경로: 감염된 모기에 물려서 피부로 전염되거나 감염된 조류 접촉을 통해 감염 된다.
1: 감염된 조류 접촉이나 감염된 모기 암컷에 물려서 피부를 통해 인체에 감염된다.
2: 오염된 혈액을 수혈 받아 2002 년 까지 전염되기도 했지만 2003 년 이후에는 헌혈시 West
Nile 바이러스 감염여부를 screen 함으로 수혈로 인한 West Nile 뇌염 전염은 없다.
3: 태반을 통해 태아에게 전염 될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4: West Nile virus 를 다루는 실험실에서 인체에게 전염된 경우도 있었다.
5: 모유를 통하여 전염되는지는 확실하지 않아 모유 수유를 중단할 필요는 없다.
6: 장기 이식시 감염된 장기로 웨스트나일 바이러스를 전염 시킬수도 있다.
7: 당뇨병, 고혈압, 만성 신장 질환 등의 기저
질환자와 60 세 이상의 노인들은 고 위험군이므로
가능한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하고 최상의 건강 상태를 유지 하여야 한다 .
잠복기: West Nile virus 균에 감염된 모기에 물린후 2-14 일 잠복기 후 증상이 나타난다.
증상: 대부분 증상이 없으나 20% 에서 고열등
감기 증세가 나타나고 1% 에서 뇌염이나 뇌수막염
증상이 나타난다 .
1: 피부 반점이 모기가 문 곳에 나타난다.(patch of red skin rash on
chest & stomach area)
2: 고열과 함께 두통, 근육통, 몸살 같은 감기
또는 독감 증세가 나타난다.(flu like symptoms).
3: 쉽게 피곤하고 입맛도 감소한다.(fatigue & poor appetite)
4: 뇌나 척수에 퍼지면 고열>102F, 목 뻣뻣함, 근육의
약화와 마비(flacid paralysis) 가 온다.
5: 혼미,disorientation,coma 즉 혼수, 경련(convulsion) 등 neuro-invasive 증상이 나타난다.
6: 회복후에도 수개월간 근육 경련, 마비 같은 파킨슨 질병과 같은 증세가 나타나기도 한다.
7: 오심, 구토등 위장 증세도 나타날수도 있다. 오심, 구토는 뇌염시, 뇌압 상승으로 두통과 함께 온다.
8: 경부 임파선 부종(swelling of Cervical Lymph nodes) 도 나타난다.
진단: West Nile virus 발병 지역에서 모기에 물린 과거력과 임상 증세로 의심시
혈액검사로 진단.
1: West Nile IgM 항체 혈액 검사로 진단 한다.(WNV IgM ELISA kit 으로
쉽게 진단 할수있다).
2: 척수액 검사나 혈액의 ELISA IgM West Nile 항체 검사로 진단 한다.
3:, 일반 혈액검사시pleomorphic Lymphocyte 즉 Atypical 비정상 임파구가 나타난다.
4: West Nile IgG 항체가 양성이고 IgM 이 음성이면, 전에 웨스트 나일 감염이 있었음을 나타낸다.
치료: 특별한 치료약이 없고 대증 요법(symptomatic
treatment) 로 치료 한다.
1: 탈수를 예방하기 위하여 전해질과 수액 치료를 한다.(IV hydration with
electrolytes)
2: 해열 진통제인 Tylenol 또는 Advil 로
열을 떨어 뜨린다.
3: 대증요법으로 증상에 따라 적절히 치료한다.
4: 항바이러스 제제인 rivavirin,interferon 과 IV immunoglobulin 치료는 효과가 증명되지
않았고 효과는 없는것으로 알려져 있다 .
5: 이차 박테리아성 감염을 막아야 한다.
예방: 모기에 물리지 않는것이 최상의 예방 방법이다. 가능한
긴팔과 긴 바지를 입는다.
1: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DEET 성분이 포함된 방충제(Insect
repellant) 를 외출시 2-6 시간
간격으로 몸에 뿌려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한다 .
2: 모기향 사용과 방충망 사용으로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한다.
3: 모기가 번식하는 습한곳이나 물이 고인곳에 살충제를 뿌려 모기의 증식을 막는다.
4: 아직까지 West Nile virus 예방 백신은 없다.
5: West Nile virus 는 일본 뇌염 바이러스의 sub type 이므로 일본 뇌염
예방 접종을
받았던 것이 한인들에게는 West Nile Virus 의 예방에
도움이 되지 않을까 생각??? 이 든다 .
도움 & refernces: "West Nile Encephalitis" 검색.
1: CDC.gov/westnile/ 또는 CDC.go.kr
2: webmd.com
3: en.m.wikipedia.org
4: newyorkkorea.net->health-> 하명진내과칼럼->#39;
웨스트 나일 감염 (West Nile Virus
Syndrome)
5: nyc.gov
다음 부터는 매달 첫째주와 3 째주에 새로운 내과 칼럼을 게재할 예정 입니다 .
하지만 " 닥터건강상담QA" 은
가능한 48 시간내에 최선으로 빨리 응답 하겠습니다.
Dr.하명진(James Myungchin Ha,MD.)
카톨릭 의대 졸업(1977)한국의사 면허,
미국의사 면허
미국 Mt.Vernon Hospital 외과 인턴 수련
미국 병리학 전문의 (Downstate의대 부속 Brooklyn Hospital에서 해부 및 임상병리학 수련)
미국 내과학 전문의(Albert Einstein의대 부속 Flushing Hospital에서 내과 전문의 수련
현 하명진 내과 건강관리센터 원장
KAMHC(한미 기독 의료선교 협의회)뉴욕 이사
전: TKC TV내과 상담, 기독교TV 신앙과 건강 담당
당뇨병의 완전 정복 건강 Video 등 다수의 한국언론에 의료 칼럼 게재
CTS TV Documentary "행복"의 주인공
Tel: 718-353-5730
E-mail : jjed1975@optonline.net
[ⓒ 뉴욕코리아( www.newyorkkorea.net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font><p></p><span lang="EN-US"><p><font color="#0a0a0a" face="Times New Roman">
</font></p><p style="margin: 0cm 0cm 0pt; line-height: 200%;"><span lang="EN-US" style="line-height: 200%; font-size: 11pt; mso-ascii-font-family: "맑은 고딕"; mso-hansi-font-family: "맑은 고딕"; mso-ascii-theme-font: minor-fareast; mso-hansi-theme-font: minor-fareast; mso-bidi-font-family: Arial; mso-bidi-font-weight: bold;"><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 size="5"><strong> </strong></font></span></p><p style="margin: 0cm 0cm 0pt; line-height: 200%;"><span lang="EN-US" style="line-height: 200%; font-size: 11pt; mso-ascii-font-family: "맑은 고딕"; mso-hansi-font-family: "맑은 고딕"; mso-ascii-theme-font: minor-fareast; mso-hansi-theme-font: minor-fareast; mso-bidi-font-family: Arial; mso-bidi-font-weight: bold;"><br><font face="맑은 고딕"></font></span></p><p style="margin: 0cm 0cm 0pt; line-height: 200%;"><span lang="EN-US" style="line-height: 200%; font-size: 11pt; mso-ascii-font-family: "맑은 고딕"; mso-hansi-font-family: "맑은 고딕"; mso-ascii-theme-font: minor-fareast; mso-hansi-theme-font: minor-fareast; mso-bidi-font-family: Arial; mso-bidi-font-weight: bold;"></span><span style="color: rgb(85, 85, 85); line-height: 200%; font-size: 11pt; mso-ascii-font-family: "맑은 고딕"; mso-hansi-font-family: "맑은 고딕"; mso-ascii-theme-font: minor-fareast; mso-hansi-theme-font: minor-fareast; mso-bidi-font-family: Arial; mso-bidi-font-weight: bold;"><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 size="5"><strong>웨스트 나일 뇌염</strong></font><font color="#0a0a0a"><span lang="EN-US"><strong><font size="5">(West Nile Encephalitis)</font></strong></span></font></font></span></p><p style="margin: 0cm 0cm 0pt; line-height: 200%;"><span style="color: rgb(85, 85, 85); line-height: 200%; font-size: 11pt; mso-ascii-font-family: "맑은 고딕"; mso-hansi-font-family: "맑은 고딕"; mso-ascii-theme-font: minor-fareast; mso-hansi-theme-font: minor-fareast; mso-bidi-font-family: Arial; mso-bidi-font-weight: bold;"><font color="#0a0a0a"><span lang="EN-US"><strong><font size="5"></font></strong><br><font face="맑은 고딕">
<br>
</font></span><font face="맑은 고딕">웨스트 나일 뇌염은 일본 뇌염과 같이 모기에 의해 가장 많이 전염되는 바이러스성 뇌염으로</font></font><span lang="EN-US"><br><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
</font></span><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올해 뉴욕과 뉴저지<span lang="EN-US">,</span>캘리포니아<span lang="EN-US">, </span>텍사스 등 미국<span lang="EN-US"> 45</span>개 주에서 발생하여 방역 당국을 긴장</font><span lang="EN-US"><br><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
</font></span><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시키고 있다<span lang="EN-US">. </span>대부분은 증상없이 지나 가지만<span lang="EN-US"> 5</span>명중<span lang="EN-US"> 1</span>명 정도 고열등의 증상을 나타내고</font><font color="#0a0a0a"><font face="맑은 고딕"><span lang="EN-US"> 1%<br>
</span>정도에서 심각한 뇌염 증상을 나타낸다<span lang="EN-US">. 2015</span>년<span lang="EN-US"> 8</span>월<span lang="EN-US"> 18</span>일 현재 미국의<span lang="EN-US"> 45</span>개 주에서</font></font><font color="#0a0a0a"><font face="맑은 고딕"><span lang="EN-US">
210<br>
</span>명의 웨스트 나일 바이러스 감염<span lang="EN-US">(West Nile virus disease)</span>환자가 발생
하였으며 그중</font></font><font color="#0a0a0a"><font face="맑은 고딕"><span lang="EN-US"> 60%<br>
</span>환자에서 뇌염<span lang="EN-US">(West Nile Encephalitis) </span>증상을 나타냈으나<span lang="EN-US"> 40%</span>에서는 뇌염 같은 신경계의</font></font><span lang="EN-US"><br><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
</font></span><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질환은 나타나지 않았고 고열과 감기 증세인<span lang="EN-US"> West Nile Fever(=West Nile
Virus Syndrome,</span></font></span></p><p style="margin: 0cm 0cm 0pt; line-height: 200%;"><span style="color: rgb(85, 85, 85); line-height: 200%; font-size: 11pt; mso-ascii-font-family: "맑은 고딕"; mso-hansi-font-family: "맑은 고딕"; mso-ascii-theme-font: minor-fareast; mso-hansi-theme-font: minor-fareast; mso-bidi-font-family: Arial; mso-bidi-font-weight: bold;"><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span lang="EN-US">West Nile Virus Disease)</span>로<span lang="EN-US"> </span>나타났다</font><font color="#0a0a0a"><font face="맑은 고딕"><span lang="EN-US">.<br>
<br>
</span>웨스트 나일 바이러스가 모기에 의해 까마귀<span lang="EN-US">(crow)</span>와 어치새<span lang="EN-US">(jay)</span>에<span lang="EN-US"> West Nile virus</span>를 감염시켜</font></font><span lang="EN-US"><br><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
4-6 </font></span><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일후 죽게되고 숙주가 되어 모기를 통하여 인체나 다른 조류와 동물에<span lang="EN-US"> West Nile
virus</span>를</font><span lang="EN-US"><br><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
</font></span><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전염 시킨다<span lang="EN-US">. </span>매<span lang="EN-US">(hawk),</span>부엉이<span lang="EN-US">(owl)</span>등이 감염된 까마귀나 어치새를 잡아먹어 감염 되기도 한다</font><font color="#0a0a0a"><font face="맑은 고딕"><span lang="EN-US">.<br>
</span>그러므로 역학 조사시에 죽은 까마귀<span lang="EN-US">,</span>어치새등의<span lang="EN-US"> West
Nile virus</span>의 감염 여부를 검사</font></font><span lang="EN-US"><br><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
</font></span><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하거나 모기들을 잡아서 웨스트 나일 바이러스 감염 여부를 알수 있다<span lang="EN-US">. West Nile
Encephalitis</span>는</font><span lang="EN-US"><br><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
</font></span><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대부분<span lang="EN-US"> 6 - 9</span>월에 발생하고 미국에서는 알라스카와 하와이 주를 제외한<span lang="EN-US"> 48</span>개 주에서</font><span lang="EN-US"><br><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
</font></span><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여름철에 모기에 의해 많이 발생 하여 미국에서<span lang="EN-US"> 1999-2014</span>년 사이에<span lang="EN-US"> 18,810</span>명이 발생하였고</font><span lang="EN-US"><br><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
</font></span><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그중<span lang="EN-US"> 9%</span>인<span lang="EN-US"> 1,641</span>명이 사망하였다<span lang="EN-US">. </span>뇌염이 발생하지 않은<span lang="EN-US"> West Nile virus disease </span>감염</font><span lang="EN-US"><br><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
</font></span><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즉<span lang="EN-US"> Non-neuroinvasive West Nile virus </span>환자는<span lang="EN-US"> 22,952</span>명이 발생 하였고 그중</font><font color="#0a0a0a"><font face="맑은 고딕"><span lang="EN-US"> 1%<br>
</span>미만인<span lang="EN-US"> 124</span>명이 사망 하였다</font></font><font color="#0a0a0a"><font face="맑은 고딕"><span lang="EN-US">.<br>
<br>
West Nile </span>뇌염은<span lang="EN-US"> 1937</span>년 우간다의<span lang="EN-US"> West
Nile </span>지역에서 처음으로 발생한 뇌염으로 뇌염이</font></font><span lang="EN-US"><br><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
</font></span><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발생한 지역의 이름으로 웨스트 나일 뇌염으로 불리지만 일본 뇌염과 항원이 같은</font><font color="#0a0a0a"><font face="맑은 고딕"><span lang="EN-US"> RNA Arbo<br>
</span>바이러스에 의한 모기로 전염되는 뇌염이다<span lang="EN-US">.</span>아시아<span lang="EN-US">,</span>아프리카<span lang="EN-US">,</span>유럽<span lang="EN-US">,</span>중동<span lang="EN-US">,</span>특히 이집트와
미국</font></font><font color="#0a0a0a"><font face="맑은 고딕"><span lang="EN-US">,<br>
South America </span>등 전 세계에서 모기에 의해 전염되어 여름철에 많이 발생한다</font></font><font color="#0a0a0a"><font face="맑은 고딕"><span lang="EN-US">.<br>
<br>
</span>미국에서는<span lang="EN-US"> 1999</span>년 뉴욕의 퀸즈<span lang="EN-US"> College
point </span>지역에서 처음 발생하여 인근 뉴저지<span lang="EN-US">,</span>코네티컷</font></font><span lang="EN-US"><br><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
</font></span><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으로 퍼진것이 처음 이었다<span lang="EN-US">. </span>한국에서는<span lang="EN-US"> 2012</span>년에
아프리카 기니아에서 입국한 한인에게 처음으로</font><span lang="EN-US"><br><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
</font></span><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해외유입<span lang="EN-US"> West Nile </span>뇌염 환자가 발생하였고 현재 법정 전염병<span lang="EN-US"> 4</span>군으로 분리하고 있다</font><font color="#0a0a0a"><font face="맑은 고딕"><span lang="EN-US">.<br>
<br>
</span>원인<span lang="EN-US">: RNA Arbo virus</span>인<span lang="EN-US"> West Nile
virus</span>에 감염된 모기나 감염죈 조류에 의해 인체에 전염된다</font></font><font color="#0a0a0a"><font face="맑은 고딕"><span lang="EN-US">.<br>
Single strand RNA virus</span>로 일본 뇌염 바이러스의<span lang="EN-US"> subtype</span>로 항원이 같으며</font></font><span lang="EN-US"><br><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
Dengue fever(</font></span><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뎅구열<span lang="EN-US">) </span>바이러스와
매우 유사하다</font><font color="#0a0a0a"><font face="맑은 고딕"><span lang="EN-US">.<br>
<br>
</span>전염 경로<span lang="EN-US">: </span>감염된 모기에 물려서 피부로 전염되거나 감염된 조류 접촉을 통해 감염 된다</font></font><font color="#0a0a0a"><font face="맑은 고딕"><span lang="EN-US">.<br>
1: </span>감염된 조류 접촉이나 감염된 모기 암컷에 물려서 피부를 통해 인체에 감염된다</font></font><font color="#0a0a0a"><font face="맑은 고딕"><span lang="EN-US">.<br>
2: </span>오염된 혈액을 수혈 받아<span lang="EN-US"> 2002</span>년 까지 전염되기도 했지만<span lang="EN-US"> 2003</span>년 이후에는 헌혈시</font></font><font color="#0a0a0a"><font face="맑은 고딕"><span lang="EN-US"> West<br>
Nile </span>바이러스 감염여부를<span lang="EN-US"> screen </span>함으로 수혈로 인한<span lang="EN-US"> West Nile </span>뇌염 전염은 없다</font></font><font color="#0a0a0a"><font face="맑은 고딕"><span lang="EN-US">.<br>
3: </span>태반을 통해 태아에게 전염 될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font></font><font color="#0a0a0a"><font face="맑은 고딕"><span lang="EN-US">.<br>
4: West Nile virus</span>를 다루는 실험실에서 인체에게 전염된 경우도 있었다</font></font><font color="#0a0a0a"><font face="맑은 고딕"><span lang="EN-US">.<br>
5: </span>모유를 통하여 전염되는지는 확실하지 않아 모유 수유를 중단할 필요는 없다</font></font><font color="#0a0a0a"><font face="맑은 고딕"><span lang="EN-US">.<br>
6: </span>장기 이식시 감염된 장기로 웨스트나일 바이러스를 전염 시킬수도 있다</font></font><font color="#0a0a0a"><font face="맑은 고딕"><span lang="EN-US">.<br>
7: </span>당뇨병<span lang="EN-US">,</span>고혈압<span lang="EN-US">,</span>만성 신장 질환 등의 기저
질환자와<span lang="EN-US"> 60</span>세 이상의 노인들은 고 위험군이므로</font></font><span lang="EN-US"><br><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
</font></span><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가능한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하고 최상의 건강 상태를 유지 하여야 한다</font><font color="#0a0a0a"><font face="맑은 고딕"><span lang="EN-US">.<br>
<br>
</span>잠복기<span lang="EN-US">: West Nile virus </span>균에 감염된 모기에 물린후<span lang="EN-US"> 2-14</span>일 잠복기 후 증상이 나타난다</font></font><font color="#0a0a0a"><font face="맑은 고딕"><span lang="EN-US">.<br>
<br>
</span>증상<span lang="EN-US">: </span>대부분 증상이 없으나<span lang="EN-US"> 20%</span>에서 고열등
감기 증세가 나타나고<span lang="EN-US"> 1%</span>에서 뇌염이나 뇌수막염</font></font><span lang="EN-US"><br><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
</font></span><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증상이 나타난다</font><font color="#0a0a0a"><font face="맑은 고딕"><span lang="EN-US">.<br>
1: </span>피부 반점이 모기가 문 곳에 나타난다</font></font><font color="#0a0a0a"><font face="맑은 고딕"><span lang="EN-US">.(patch of red skin rash on
chest & stomach area)<br>
2: </span>고열과 함께 두통<span lang="EN-US">,</span>근육통<span lang="EN-US">,</span>몸살 같은 감기
또는 독감 증세가 나타난다</font></font><font color="#0a0a0a"><font face="맑은 고딕"><span lang="EN-US">.(flu like symptoms).<br>
3: </span>쉽게 피곤하고 입맛도 감소한다</font></font><font color="#0a0a0a"><font face="맑은 고딕"><span lang="EN-US">.(fatigue & poor appetite)<br>
4: </span>뇌나 척수에 퍼지면 고열<span lang="EN-US">>102F, </span>목 뻣뻣함<span lang="EN-US">,</span>근육의
약화와 마비<span lang="EN-US">(flacid paralysis)</span>가 온다</font></font><font color="#0a0a0a"><font face="맑은 고딕"><span lang="EN-US">.<br>
5: </span>혼미<span lang="EN-US">,disorientation,coma </span>즉 혼수<span lang="EN-US">,</span>경련<span lang="EN-US">(convulsion)</span>등<span lang="EN-US"> neuro-invasive </span>증상이 나타난다</font></font><font color="#0a0a0a"><font face="맑은 고딕"><span lang="EN-US">.<br>
6: </span>회복후에도 수개월간 근육 경련<span lang="EN-US">,</span>마비 같은 파킨슨 질병과 같은 증세가 나타나기도 한다</font></font><font color="#0a0a0a"><font face="맑은 고딕"><span lang="EN-US">.<br>
7: </span>오심<span lang="EN-US">,</span>구토등 위장 증세도 나타날수도 있다<span lang="EN-US">. </span>오심<span lang="EN-US">,</span>구토는 뇌염시<span lang="EN-US">,</span>뇌압 상승으로 두통과 함께 온다</font></font><font color="#0a0a0a"><font face="맑은 고딕"><span lang="EN-US">.<br>
8: </span>경부 임파선 부종<span lang="EN-US">(swelling of Cervical Lymph nodes)</span>도 나타난다</font></font><font color="#0a0a0a"><font face="맑은 고딕"><span lang="EN-US">.<br>
<br>
</span>진단<span lang="EN-US">: West Nile virus </span>발병 지역에서 모기에 물린 과거력과 임상 증세로 의심시
혈액검사로 진단</font></font><font color="#0a0a0a"><font face="맑은 고딕"><span lang="EN-US">.<br>
1: West Nile IgM </span>항체 혈액 검사로 진단 한다<span lang="EN-US">.(WNV IgM ELISA kit</span>으로
쉽게 진단 할수있다</font></font><font color="#0a0a0a"><font face="맑은 고딕"><span lang="EN-US">).<br>
2: </span>척수액 검사나 혈액의<span lang="EN-US"> ELISA IgM West Nile </span>항체 검사로 진단 한다</font></font><font color="#0a0a0a"><font face="맑은 고딕"><span lang="EN-US">.<br>
3:,</span>일반 혈액검사시<span lang="EN-US">pleomorphic Lymphocyte </span>즉<span lang="EN-US"> Atypical </span>비정상 임파구가 나타난다</font></font><font color="#0a0a0a"><font face="맑은 고딕"><span lang="EN-US">.<br>
4: West Nile IgG </span>항체가 양성이고<span lang="EN-US"> IgM</span>이 음성이면<span lang="EN-US">,</span>전에 웨스트 나일 감염이 있었음을 나타낸다</font></font><font color="#0a0a0a"><font face="맑은 고딕"><span lang="EN-US">.<br>
<br>
</span>치료<span lang="EN-US">: </span>특별한 치료약이 없고 대증 요법<span lang="EN-US">(symptomatic
treatment)</span>로 치료 한다</font></font><font color="#0a0a0a"><font face="맑은 고딕"><span lang="EN-US">.<br>
1: </span>탈수를 예방하기 위하여 전해질과 수액 치료를 한다</font></font><font color="#0a0a0a"><font face="맑은 고딕"><span lang="EN-US">.(IV hydration with
electrolytes)<br>
2: </span>해열 진통제인<span lang="EN-US"> Tylenol </span>또는<span lang="EN-US"> Advil </span>로
열을 떨어 뜨린다</font></font><font color="#0a0a0a"><font face="맑은 고딕"><span lang="EN-US">.<br>
3: </span>대증요법으로 증상에 따라 적절히 치료한다</font></font><font color="#0a0a0a"><font face="맑은 고딕"><span lang="EN-US">.<br>
4: </span>항바이러스 제제인<span lang="EN-US"> rivavirin,interferon</span>과<span lang="EN-US"> IV immunoglobulin </span>치료는 효과가 증명되지</font></font><span lang="EN-US"><br><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
</font></span><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않았고 효과는 없는것으로 알려져 있다</font><font color="#0a0a0a"><font face="맑은 고딕"><span lang="EN-US">.<br>
5: </span>이차 박테리아성 감염을 막아야 한다</font></font><font color="#0a0a0a"><font face="맑은 고딕"><span lang="EN-US">.<br>
<br>
</span>예방<span lang="EN-US">: </span>모기에 물리지 않는것이 최상의 예방 방법이다<span lang="EN-US">.</span>가능한
긴팔과 긴 바지를 입는다</font></font><font color="#0a0a0a"><font face="맑은 고딕"><span lang="EN-US">.<br>
1: </span>모기에 물리지 않도록<span lang="EN-US"> DEET </span>성분이 포함된 방충제<span lang="EN-US">(Insect
repellant)</span>를 외출시<span lang="EN-US"> 2-6</span>시간</font></font><span lang="EN-US"><br><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
</font></span><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간격으로 몸에 뿌려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한다</font><font color="#0a0a0a"><font face="맑은 고딕"><span lang="EN-US">.<br>
2: </span>모기향 사용과 방충망 사용으로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한다</font></font><font color="#0a0a0a"><font face="맑은 고딕"><span lang="EN-US">.<br>
3: </span>모기가 번식하는 습한곳이나 물이 고인곳에 살충제를 뿌려 모기의 증식을 막는다</font></font><font color="#0a0a0a"><font face="맑은 고딕"><span lang="EN-US">.<br>
4: </span>아직까지<span lang="EN-US"> West Nile virus </span>예방 백신은 없다</font></font><font color="#0a0a0a"><font face="맑은 고딕"><span lang="EN-US">.<br>
5: West Nile virus</span>는 일본 뇌염 바이러스의<span lang="EN-US"> sub type </span>이므로 일본 뇌염
예방 접종을</font></font><span lang="EN-US"><br><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
</font></span><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받았던 것이 한인들에게는<span lang="EN-US"> West Nile Virus</span>의 예방에
도움이 되지 않을까 생각<span lang="EN-US">???</span>이 든다</font><font color="#0a0a0a"><font face="맑은 고딕"><span lang="EN-US">.<br>
<br>
</span>도움<span lang="EN-US"> & refernces: "West Nile Encephalitis"</span>검색</font></font><font color="#0a0a0a"><font face="맑은 고딕"><span lang="EN-US">.<br>
1: CDC.gov/westnile/</span>또는 </font></font><span lang="EN-US"><a href="http://cdc.go.kr/" target="_blank"><u><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CDC.go.kr</font></u></a><br><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
2: </font><a href="http://webmd.com/" target="_blank"><u><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webmd.com</font></u></a><br><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
3: </font><a href="http://en.m.wikipedia.org/" target="_blank"><u><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en.m.wikipedia.org</font></u></a><br><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
4: newyorkkorea.net->health-></font></span><wbr><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하명진내과칼럼<span lang="EN-US">->#39;
</span>웨스트 나일 감염</font><span lang="EN-US"><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West Nile Virus<br>
Syndrome)<br>
5: </font><a href="http://nyc.gov/" target="_blank"><u><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nyc.gov</font></u></a><br><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
<br>
</font></span><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다음 부터는 매달 첫째주와<span lang="EN-US"> 3</span>째주에 새로운 내과 칼럼을 게재할 예정 입니다</font><font color="#0a0a0a"><font face="맑은 고딕"><span lang="EN-US">.<br>
</span>하지만<span lang="EN-US"> "</span>닥터건강상담<span lang="EN-US">QA"</span>은
가능한<span lang="EN-US"> 48</span>시간내에 최선으로 빨리 응답 하겠습니다<span lang="EN-US">.</span></font></font></span></p><p><font color="#000000" face="Times New Roman">
</font></p></span><p><br></p></font><p><br></p><p><br></p><p><img src="/wysiwyg/PEG/W_1341339730.png"></p><p> </p><p></p><p><strong>Dr.하명진(James Myungchin Ha,MD.)</strong></p><p><strong><br></strong></p><p>카톨릭 의대 졸업(1977)한국의사 면허,</p><p>미국의사 면허</p><p>미국 Mt.Vernon Hospital 외과 인턴 수련</p><p>미국 병리학 전문의 (Downstate의대 부속 Brooklyn Hospital에서 해부 및 임상병리학 수련)</p><p>미국 내과학 전문의(Albert Einstein의대 부속 Flushing Hospital에서 내과 전문의 수련</p><p>현 하명진 내과 건강관리센터 원장</p><p>KAMHC(한미 기독 의료선교 협의회)뉴욕 이사</p><p>전: TKC TV내과 상담, 기독교TV 신앙과 건강 담당</p><p>당뇨병의 완전 정복 건강 Video 등 다수의 한국언론에 의료 칼럼 게재</p><p>CTS TV Documentary "행복"의 주인공</p><p><br></p><p><strong><font color="#ff9933">Tel: <a href="tel:718-353-5730">718-353-5730</a></font></strong></p><p><strong><font color="#ff9933">E-mail : </font></strong><a href="mailto:jjed1975@optonline.net"><strong><font color="#ff9933">jjed1975@optonline.net</font></strong></a></p><p> </p><p> </p><p> </p><p> </p><p> </p><p></p><p></p><p></p><p></p><p></p><p></p><p></p><p></p><p></p><p></p><p class="바탕글"><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 font-size: 11pt; mso-ascii-font-family: 맑은 고딕; mso-hansi-font-family: 맑은 고딕;"><span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font size="3"><span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font color="#000000" size="3">[ⓒ 뉴욕코리아(</font><a style="color: rgb(53, 53, 53); text-decoration: none;" href="http://www.newyorkkorea.net/" target="_blank"><font color="#000000" size="3">www.newyorkkorea.net</font></a><font color="#000000"><font size="3"><font color="#000000">),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font></font></font></span></font></span></span></p>
회원정보
닉네임
Dr.하명진 (drjamesha)
가입일
2008-07-23
등급
운영자 (1)
활동
포인트 : 0 점
게시물 작성수 : 0 개
댓글 작성수 : 개
쪽지보내기
게시물 신고하기
게시판 성격에 맞지 않거나 불건전한 게시물을 운영자에게 신고할 수 있습니다.
운영자 확인 후 해당글 삭제조치 및 해당 회원에게 불이익이 갈 수 있습니다.
허위신고시에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니 신중하게 신고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