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정보
닉네임
가입일
2008-07-23
등급
운영자 (1)
활동
포인트 : 0 점
게시물 작성수 : 0 개
댓글 작성수 : 개
ha.edward
백일해(Pertussis: Whooping cough)
작성자: Dr.하명진
조회: 8078 등록일: 2015-09-05
백일해 (Pertussis: Whooping cough)
백일해(Pertussis/Whooping cough) 는 백일해 박테리아 균(Bordetella pertussis) 에 의한
호흡기 질환 으로 2 주 이상의 감기 증상으로 기침과 함께 흡(whooping) 하는 소리를 내는 기침과
함께 백일까지 14 일 이상의 감기 증상을 초래 하여 백일해(100 day cough) 라는 이름이
부쳐졌으며 연령이 어릴수록 증상이 심하고 사망률이 높다. 임신 중,3rd trimester 에 TDaP
백일해 예방접종과 생후 2,4,6 개월,2 세에 TDAP( 파상풍, 디프테리아, 그리고
백일해) 예방접종을
하면 쉽게 예방 할수가 있다. 그로 인하여 현재는 발생 빈도가 현저히 감소 되었지만
아직도 매년 전 세계에서 4,800 만명이 백일해(100
day cough) 가 발병하며 90% 이상
미개발국에서 발생 하고 2,013 년 통계에 의하면
16,000 여명이 백일해로 사망 하였다.
미국에서 2014 년에 28,660 명의 백일해
환자가 마국질병통제센터(CDC) 에 보고 되었었고
2013 년에는 28,639 명,2012 년에는 48,277 백일해 환자가 발생하였다고 CDC 가 보고했다 .
한국에서도 요사이 증가 추세에 있고 올해 7/09/2015 현재 78 명의 백일해 환자가 발생하였다고
한국질병통제센터에서 보고하였고 작년에 비해 두배 이상 증가하여 예방접종을 강추하고 있다 .
원인: 백일해 균(Borrdetella
pertussis): Gram negative( 그람 음성균) 이 기침시 튀어나온
비말을 통해 호흡기로 전파되어 백일해(Whooping cough) 를 일으킨다 .
잠복기: 백일해 균이 전파된후 3-12 일후 3 단계로 증상을 나타낸다.( 평균
10 일)
전염 경로: 사람과 사람사이에 접척으로 비말 즉 기침시 튀어나오는 점액, 콧물, 가래등으로
전염 되고 전염성이 강하다.
증상: 대부분 경미한 감기 증상으로 나타 나지만 진행되면 다음과 같이 발열기(Catarrhal stage)
, 경해기(Paroxysmal stage), 그리고 회복기(Convalescent
stage) 3 단계로 나타난다.
1: 발열기(Catarrhal stage): 전염력이 가장 강한 시기로 1-2 주 발열과 감기 증상, 즉 콧물, 기침,
눈물과 함께 결막의 충혈과 함께 결막염 증산등 경미한 감기 증상과 피로증이 나타난다.
2: 경해기(Spasmodic or Paroxysmal stage): 감기 증상 2 주후 발작성 호기성 기침 즉
Paroxysmal whooping cough " 흡" 하는 소리의 발작적
기침과 함께 끈끈한 가래와 콧물과
비 출혈을 동반할수 있고 결막염으로 결막 출혈과 부종을 초래 할수 있다. 2-4 주 이상
증상이
지속될수 있고 무호흡증(Apnea) 도 올수있다. 심한
기침으로 늑막염(pleurisy) 증상인 늑골과
늑간의 통증이 올수 있다. 발작성 기침시에는 청색증이 나타나기도 하고 1 년 미만아 에서는
흡기성 whoop 기침이 없는수도 많다.
그외 발한, 정신 혼미와 피곤이 발작후 나타날수 있고 하루에 수회에서 수십회 발작이 일어날수도
있고 구토도 동반할수 있다 .
3: 회복기(Convalescent stage): 발열(fever) 이
호전되며 기침 발작의 회수가 감소되며 구토도
점차 감소 되고,1-2 주 지속되며 회복이 되지만 때로는
3 단계 모두 100 일 정도 증상이 오래
지속되어 백일해(100 day cough) 라고도 불린다.
진단: 백일해 환자와 접촉한 과거력과 특징적인
whooping cough 와 함께 균 배양으로 확진 한다.
1: 말초 혈액검사(CBC:Complete Blood Count): 백혈구 증가(Leukocytosis) 와 함께 절대적
임파구 증가가 나타나며 백분율로 임파구가 60% 이상 증가한다 .
2: 흉부 방사선 검사(Chest X-Ray): 기관지염(Bronchitis) 와
폐렴(Pneumonia) 소견을 보인다.
3: 콧물, 비 점막이나 인두 분비물 swab 을 Bordet-Gengou 배지(culture media) 에 배양으로
백일해균을 찾아 확진할수 있다.( 초기에는 90% 이상
검출률이 높지만 4 주가 지나면 거의
검출되지 않는다 .)
4: 비 인두 분비물(Nasal-Pharyngeal secretion) 의 형광 항체법(fluorescent antibody
Technique), 또는 종합 효소 연쇄 반응법(PCR) 방법으로 진단 할수 있다.
5: Agargel double diffusion test 혈청학적 검사도 있다.
치료: 3 개월 미만의 영아는 입원하여 적당한 항생제와 수액치료와 대증요법으로 치료한다.
1: 항생제; Erythromycin, Azithromycin,Bactrim 으로 경구나
혈관주사로 치료한다.
2: 해열제, 항 구토제등의 대증요법(symptomatic
treatment) 와 안정으로 완치가 가능하다.
3: 기침 완화에는 Robittussin 이나 가래에는
Mucinex syrup 이나 경구약으로 증상을 호전
시킬수 있다 .
4: 환자는 발병후 4 주간 또는 기침이 멈출때 까지 격리하여 치료한다.
경과와 합병증(Prognosis & Complications): 나이가 어릴수록
예후가 나쁘다.
1: 기관지 폐렴(Bronchial Pneumonia), 기관지 확장증(Bronchiectasis), 무기폐(Atelectasis),
폐기종(Pneumothorax) 등으로 호릅기 합병증과 그와 중이염이 올수있다.
2: 설사와 구토, 설하 궤양(Tongue sore), 기침시
탈홍(rectal prolapse) 등이 나타날수 있다.
3: 경해기(Paroxysmal stage) 에는 저 산소증(Hypoxemia), 속발성 뇌염(Encephalitis), 경막하
출혈(subdural Hemorrhage), 페혈증(Septicemia) 로
사망에 이를수도 있다.
4: 미국에서 백일해(Whooping cough) 로 입원한 1 세 미만의 영아 사망률은 1.6% 로 알려져 있다.
예방: 예방 백신으로 쉽게 예방 할수 있다. 임신중 3rd trimaster, 즉 27-36 주에, 태아는 생후 2,4,6,
15-18 개월,4-6 세,11-12 세에 TDaP 예방접종을 추천하며 성인도 TDaP 를 맞은적이 없으면
Single dose 로 예방접종을 추천하며 의료종사자도 TDaP 추가 접종을 추천한다 .
예방 접종은 Walgreens,CVS 약국과 소아과나 내과 주치의에서 TDaP 예방 접종을
받을수 있다. 또한 백일해 환자로 의심되는 환자와 접촉후에는 Erythromycin 항생제로
하루 3 회 접촉한 의심 환자의 배양결과가 나올때까지 우선
5 일간 예방적으로 치료 하여야 한다.
도움 & references: searh for "pertussis" 또는 "Whooping cough" 검색.
1: webmd.com
2: cdc.gov 또는 cdc.go.kr( 한국질병통제센터)
3: Survey of Clinical Pediatric.written by Edward Wasserman & Lawrence
Slobody.
Dr.하명진(James Myungchin Ha,MD.)
카톨릭 의대 졸업(1977)한국의사 면허,
미국의사 면허
미국 Mt.Vernon Hospital 외과 인턴 수련
미국 병리학 전문의 (Downstate의대 부속 Brooklyn Hospital에서 해부 및 임상병리학 수련)
미국 내과학 전문의(Albert Einstein의대 부속 Flushing Hospital에서 내과 전문의 수련
현 하명진 내과 건강관리센터 원장
KAMHC(한미 기독 의료선교 협의회)뉴욕 이사
전: TKC TV내과 상담, 기독교TV 신앙과 건강 담당
당뇨병의 완전 정복 건강 Video 등 다수의 한국언론에 의료 칼럼 게재
CTS TV Documentary "행복"의 주인공
Tel: 718-353-5730
E-mail : jjed1975@optonline.net
[ⓒ 뉴욕코리아( www.newyorkkorea.net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p><br></p><p><br></p><p><span style='color: rgb(51, 51, 51); font-family: "맑은 고딕"; font-size: 11pt; mso-ascii-theme-font: minor-fareast; mso-fareast-theme-font: minor-fareast; mso-hansi-theme-font: minor-fareast; mso-bidi-font-family: Arial; mso-ansi-language: EN-US; mso-fareast-language: KO; mso-bidi-language: AR-SA;'><font color="#0a0a0a" size="5"><strong>백일해</strong></font><font color="#0a0a0a"><span lang="EN-US"><strong><font size="5">(Pertussis: Whooping cough)</font></strong></span></font></span></p><p><span style='color: rgb(51, 51, 51); font-family: "맑은 고딕"; font-size: 11pt; mso-ascii-theme-font: minor-fareast; mso-fareast-theme-font: minor-fareast; mso-hansi-theme-font: minor-fareast; mso-bidi-font-family: Arial; mso-ansi-language: EN-US; mso-fareast-language: KO; mso-bidi-language: AR-SA;'><font color="#0a0a0a" size="5"><span lang="EN-US"><strong><br></strong></span></font></span></p><span style='color: rgb(51, 51, 51); font-family: "맑은 고딕"; font-size: 11pt; mso-ascii-theme-font: minor-fareast; mso-fareast-theme-font: minor-fareast; mso-hansi-theme-font: minor-fareast; mso-bidi-font-family: Arial; mso-ansi-language: EN-US; mso-fareast-language: KO; mso-bidi-language: AR-SA;'><font color="#0a0a0a"><span lang="EN-US"><strong><font size="5"></font></strong></span></font></span><p><span style='color: rgb(51, 51, 51); font-family: "맑은 고딕"; font-size: 11pt; mso-ascii-theme-font: minor-fareast; mso-fareast-theme-font: minor-fareast; mso-hansi-theme-font: minor-fareast; mso-bidi-font-family: Arial; mso-ansi-language: EN-US; mso-fareast-language: KO; mso-bidi-language: AR-SA;'><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
<br>
</span>백일해<span lang="EN-US">(Pertussis/Whooping cough)</span>는 백일해 박테리아 균<span lang="EN-US">(Bordetella pertussis)</span>에 의한</font><span lang="EN-US"><br><font color="#0a0a0a">
</font></span><font color="#0a0a0a">호흡기 질환 으로<span lang="EN-US"> 2 </span>주 이상의 감기 증상으로 기침과 함께 흡<span lang="EN-US">(whooping)</span>하는 소리를 내는 기침과</font><span lang="EN-US"><br><font color="#0a0a0a">
</font></span><font color="#0a0a0a">함께 백일까지<span lang="EN-US"> 14</span>일 이상의 감기 증상을 초래 하여 백일해<span lang="EN-US">(100 day cough)</span>라는 이름이</font><font color="#0a0a0a"><span lang="EN-US"> <br>
</span>부쳐졌으며 연령이 어릴수록 증상이 심하고 사망률이 높다<span lang="EN-US">.</span>임신 중<span lang="EN-US">,3rd trimester </span>에</font><font color="#0a0a0a"><span lang="EN-US"> TDaP<br>
</span>백일해 예방접종과 생후<span lang="EN-US"> 2,4,6</span>개월<span lang="EN-US">,2</span>세에<span lang="EN-US"> TDAP(</span>파상풍<span lang="EN-US">,</span>디프테리아<span lang="EN-US">,</span>그리고
백일해<span lang="EN-US">)</span>예방접종을</font><font color="#0a0a0a"><span lang="EN-US"> <br>
</span>하면 쉽게 예방 할수가 있다<span lang="EN-US">. </span>그로 인하여 현재는 발생 빈도가 현저히 감소 되었지만</font><font color="#0a0a0a"><span lang="EN-US"> <br>
</span>아직도 매년 전 세계에서<span lang="EN-US"> 4,800</span>만명이 백일해<span lang="EN-US">(100
day cough)</span>가 발병하며<span lang="EN-US"> 90% </span>이상</font><font color="#0a0a0a"><span lang="EN-US"> <br>
</span>미개발국에서 발생 하고<span lang="EN-US"> 2,013</span>년 통계에 의하면<span lang="EN-US">
16,000</span>여명이 백일해로 사망 하였다</font><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
</span>미국에서<span lang="EN-US"> 2014</span>년에<span lang="EN-US"> 28,660</span>명의 백일해
환자가 마국질병통제센터<span lang="EN-US">(CDC)</span>에 보고 되었었고</font><span lang="EN-US"><br><font color="#0a0a0a">
2013</font></span><font color="#0a0a0a">년에는<span lang="EN-US"> 28,639 </span>명<span lang="EN-US">,2012</span>년에는<span lang="EN-US"> 48,277 </span>백일해 환자가 발생하였다고<span lang="EN-US"> CDC</span>가 보고했다</font><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
</span>한국에서도 요사이 증가 추세에 있고 올해<span lang="EN-US"> 7/09/2015</span>현재<span lang="EN-US"> 78</span>명의 백일해 환자가 발생하였다고</font><span lang="EN-US"><br><font color="#0a0a0a">
</font></span><font color="#0a0a0a">한국질병통제센터에서 보고하였고 작년에 비해 두배 이상 증가하여 예방접종을 강추하고 있다</font><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
<br>
</span>원인<span lang="EN-US">: </span>백일해 균<span lang="EN-US">(Borrdetella
pertussis): Gram negative(</span>그람 음성균<span lang="EN-US">)</span>이 기침시 튀어나온</font><span lang="EN-US"><br><font color="#0a0a0a">
</font></span><font color="#0a0a0a">비말을 통해 호흡기로 전파되어 백일해<span lang="EN-US">(Whooping cough)</span>를 일으킨다</font><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
<br>
</span>잠복기<span lang="EN-US">: </span>백일해 균이 전파된후<span lang="EN-US"> 3-12</span>일후<span lang="EN-US"> 3</span>단계로 증상을 나타낸다<span lang="EN-US">.(</span>평균<span lang="EN-US">
10</span>일</font><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
<br>
</span>전염 경로<span lang="EN-US">: </span>사람과 사람사이에 접척으로 비말 즉 기침시 튀어나오는 점액<span lang="EN-US">,</span>콧물<span lang="EN-US">, </span>가래등으로</font><font color="#0a0a0a"><span lang="EN-US"> <br>
</span>전염 되고 전염성이 강하다</font><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
<br>
</span>증상<span lang="EN-US">: </span>대부분 경미한 감기 증상으로 나타 나지만 진행되면 다음과 같이 발열기</font><font color="#0a0a0a"><span lang="EN-US">(Catarrhal stage)<br>
,</span>경해기<span lang="EN-US">(Paroxysmal stage),</span>그리고 회복기<span lang="EN-US">(Convalescent
stage) 3</span>단계로 나타난다</font><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
1: </span>발열기<span lang="EN-US">(Catarrhal stage): </span>전염력이 가장 강한 시기로<span lang="EN-US"> 1-2</span>주 발열과 감기 증상<span lang="EN-US">, </span>즉 콧물<span lang="EN-US">, </span>기침</font><font color="#0a0a0a"><span lang="EN-US">, <br>
</span>눈물과 함께 결막의 충혈과 함께 결막염 증산등 경미한 감기 증상과 피로증이 나타난다</font><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
2: </span>경해기<span lang="EN-US">(Spasmodic or Paroxysmal stage): </span>감기 증상<span lang="EN-US"> 2</span>주후 발작성 호기성 기침 즉</font><span lang="EN-US"><br><font color="#0a0a0a">
Paroxysmal whooping cough "</font></span><font color="#0a0a0a">흡<span lang="EN-US">"</span>하는 소리의 발작적
기침과 함께 끈끈한 가래와 콧물과</font><font color="#0a0a0a"><span lang="EN-US"> <br>
</span>비 출혈을 동반할수 있고 결막염으로 결막 출혈과 부종을 초래 할수 있다<span lang="EN-US">. 2-4</span>주 이상
증상이</font><font color="#0a0a0a"><span lang="EN-US"> <br>
</span>지속될수 있고 무호흡증<span lang="EN-US">(Apnea)</span>도 올수있다<span lang="EN-US">. </span>심한
기침으로 늑막염<span lang="EN-US">(pleurisy)</span>증상인 늑골과</font><font color="#0a0a0a"><span lang="EN-US"> <br>
</span>늑간의 통증이 올수 있다<span lang="EN-US">. </span>발작성 기침시에는 청색증이 나타나기도 하고<span lang="EN-US"> 1</span>년 미만아 에서는</font><font color="#0a0a0a"><span lang="EN-US"> <br>
</span>흡기성<span lang="EN-US"> whoop </span>기침이 없는수도 많다</font><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
</span>그외 발한<span lang="EN-US">,</span>정신 혼미와 피곤이 발작후 나타날수 있고 하루에 수회에서 수십회 발작이 일어날수도</font><span lang="EN-US"><br><font color="#0a0a0a">
</font></span><font color="#0a0a0a">있고 구토도 동반할수 있다</font><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
3: </span>회복기<span lang="EN-US">(Convalescent stage): </span>발열<span lang="EN-US">(fever)</span>이
호전되며 기침 발작의 회수가 감소되며 구토도</font><font color="#0a0a0a"><span lang="EN-US"> <br>
</span>점차 감소 되고<span lang="EN-US">,1-2 </span>주 지속되며 회복이 되지만 때로는<span lang="EN-US">
3</span>단계 모두<span lang="EN-US"> 100</span>일 정도 증상이 오래</font><font color="#0a0a0a"><span lang="EN-US"> <br>
</span>지속되어 백일해<span lang="EN-US">(100 day cough)</span>라고도 불린다</font><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
<br>
</span>진단<span lang="EN-US">: </span>백일해 환자와 접촉한 과거력과 특징적인<span lang="EN-US">
whooping cough</span>와 함께 균 배양으로 확진 한다</font><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
1: </span>말초 혈액검사<span lang="EN-US">(CBC:Complete Blood Count): </span>백혈구 증가<span lang="EN-US">(Leukocytosis)</span>와 함께 절대적</font><span lang="EN-US"><br><font color="#0a0a0a">
</font></span><font color="#0a0a0a">임파구 증가가 나타나며 백분율로 임파구가<span lang="EN-US"> 60% </span>이상 증가한다</font><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
2: </span>흉부 방사선 검사<span lang="EN-US">(Chest X-Ray): </span>기관지염<span lang="EN-US">(Bronchitis)</span>와
폐렴<span lang="EN-US">(Pneumonia) </span>소견을 보인다</font><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
3: </span>콧물<span lang="EN-US">,</span>비 점막이나 인두 분비물<span lang="EN-US"> swab</span>을<span lang="EN-US"> Bordet-Gengou </span>배지<span lang="EN-US">(culture media)</span>에 배양으로</font><font color="#0a0a0a"><span lang="EN-US"> <br>
</span>백일해균을 찾아 확진할수 있다<span lang="EN-US">.(</span>초기에는<span lang="EN-US"> 90% </span>이상
검출률이 높지만<span lang="EN-US"> 4</span>주가 지나면 거의</font><span lang="EN-US"><br><font color="#0a0a0a">
</font></span><font color="#0a0a0a">검출되지 않는다</font><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
4: </span>비 인두 분비물<span lang="EN-US">(Nasal-Pharyngeal secretion)</span>의 형광 항체법</font><font color="#0a0a0a"><span lang="EN-US">(fluorescent antibody <br>
Technique), </span>또는 종합 효소 연쇄 반응법<span lang="EN-US">(PCR) </span>방법으로 진단 할수 있다</font><font color="#0a0a0a"><span lang="EN-US">. <br>
5: Agargel double diffusion test </span>혈청학적 검사도 있다</font><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
<br>
</span>치료<span lang="EN-US">: 3</span>개월 미만의 영아는 입원하여 적당한 항생제와 수액치료와 대증요법으로 치료한다</font><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
1: </span>항생제<span lang="EN-US">; Erythromycin, Azithromycin,Bactrim</span>으로 경구나
혈관주사로 치료한다</font><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
2: </span>해열제<span lang="EN-US">, </span>항 구토제등의 대증요법<span lang="EN-US">(symptomatic
treatment)</span>와 안정으로 완치가 가능하다</font><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
3: </span>기침 완화에는<span lang="EN-US"> Robittussin</span>이나 가래에는<span lang="EN-US">
Mucinex syrup </span>이나 경구약으로 증상을 호전</font><span lang="EN-US"><br><font color="#0a0a0a">
</font></span><font color="#0a0a0a">시킬수 있다</font><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
4: </span>환자는 발병후<span lang="EN-US"> 4</span>주간 또는 기침이 멈출때 까지 격리하여 치료한다</font><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
<br>
</span>경과와 합병증<span lang="EN-US">(Prognosis & Complications): </span>나이가 어릴수록
예후가 나쁘다</font><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
1: </span>기관지 폐렴<span lang="EN-US">(Bronchial Pneumonia), </span>기관지 확장증<span lang="EN-US">(Bronchiectasis),</span>무기폐</font><font color="#0a0a0a"><span lang="EN-US">(Atelectasis),<br>
</span>폐기종<span lang="EN-US">(Pneumothorax) </span>등으로 호릅기 합병증과 그와 중이염이 올수있다</font><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
2: </span>설사와 구토<span lang="EN-US">,</span>설하 궤양<span lang="EN-US">(Tongue sore), </span>기침시
탈홍<span lang="EN-US">(rectal prolapse)</span>등이 나타날수 있다</font><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
3: </span>경해기<span lang="EN-US">(Paroxysmal stage)</span>에는 저 산소증<span lang="EN-US">(Hypoxemia),</span>속발성 뇌염<span lang="EN-US">(Encephalitis), </span>경막하</font><font color="#0a0a0a"><span lang="EN-US"> <br>
</span>출혈<span lang="EN-US">(subdural Hemorrhage), </span>페혈증<span lang="EN-US">(Septicemia)</span>로
사망에 이를수도 있다</font><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
4: </span>미국에서 백일해<span lang="EN-US">(Whooping cough)</span>로 입원한<span lang="EN-US"> 1</span>세 미만의 영아 사망률은<span lang="EN-US"> 1.6%</span>로 알려져 있다</font><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
<br>
</span>예방<span lang="EN-US">: </span>예방 백신으로 쉽게 예방 할수 있다<span lang="EN-US">. </span>임신중<span lang="EN-US"> 3rd trimaster, </span>즉<span lang="EN-US"> 27-36</span>주에<span lang="EN-US">,</span>태아는 생후</font><font color="#0a0a0a"><span lang="EN-US"> 2,4,6, <br>
15-18</span>개월<span lang="EN-US">,4-6</span>세<span lang="EN-US">,11-12</span>세에<span lang="EN-US"> TDaP </span>예방접종을 추천하며 성인도<span lang="EN-US"> TDaP</span>를 맞은적이 없으면</font><span lang="EN-US"><br><font color="#0a0a0a">
Single dose</font></span><font color="#0a0a0a">로 예방접종을 추천하며 의료종사자도 <span lang="EN-US">TDaP </span>추가 접종을 추천한다</font><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
</span>예방 접종은<span lang="EN-US"> Walgreens,CVS </span>약국과 소아과나 내과 주치의에서<span lang="EN-US"> TDaP </span>예방 접종을</font><span lang="EN-US"><br><font color="#0a0a0a">
</font></span><font color="#0a0a0a">받을수 있다<span lang="EN-US">. </span>또한 백일해 환자로 의심되는 환자와 접촉후에는<span lang="EN-US"> Erythromycin </span>항생제로</font><font color="#0a0a0a"><span lang="EN-US"> <br>
</span>하루<span lang="EN-US"> 3</span>회 접촉한 의심 환자의 배양결과가 나올때까지 우선<span lang="EN-US">
5</span>일간 예방적으로 치료 하여야 한다</font><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
<br>
</span>도움<span lang="EN-US"> & references: searh for "pertussis" </span>또는<span lang="EN-US"> "Whooping cough" </span>검색</font><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
1: webmd.com<br>
2: cdc.gov </span>또는<span lang="EN-US"> cdc.go.kr(</span>한국질병통제센터</font><span lang="EN-US"><font color="#0a0a0a">)<br>
3: Survey of Clinical Pediatric.written by Edward Wasserman & Lawrence
Slobody.</font></span></span></p><p><span style='color: rgb(51, 51, 51); font-family: "맑은 고딕"; font-size: 11pt; mso-ascii-theme-font: minor-fareast; mso-fareast-theme-font: minor-fareast; mso-hansi-theme-font: minor-fareast; mso-bidi-font-family: Arial; mso-ansi-language: EN-US; mso-fareast-language: KO; mso-bidi-language: AR-SA;'><span lang="EN-US"><font color="#0a0a0a"></font></span></span><br></p><p><br></p><p><img src="/wysiwyg/PEG/W_1341339730.png"></p><p> </p><p></p><p><strong>Dr.하명진(James Myungchin Ha,MD.)</strong></p><p><strong><br></strong></p><p>카톨릭 의대 졸업(1977)한국의사 면허,</p><p>미국의사 면허</p><p>미국 Mt.Vernon Hospital 외과 인턴 수련</p><p>미국 병리학 전문의 (Downstate의대 부속 Brooklyn Hospital에서 해부 및 임상병리학 수련)</p><p>미국 내과학 전문의(Albert Einstein의대 부속 Flushing Hospital에서 내과 전문의 수련</p><p>현 하명진 내과 건강관리센터 원장</p><p>KAMHC(한미 기독 의료선교 협의회)뉴욕 이사</p><p>전: TKC TV내과 상담, 기독교TV 신앙과 건강 담당</p><p>당뇨병의 완전 정복 건강 Video 등 다수의 한국언론에 의료 칼럼 게재</p><p>CTS TV Documentary "행복"의 주인공</p><p><br></p><p><strong><font color="#ff9933">Tel: <font color="#0a0a0a">718-353-5730</font></font></strong></p><p><strong><font color="#ff9933">E-mail : </font></strong><a href="mailto:jjed1975@optonline.net"><strong><font color="#ff9933">jjed1975@optonline.net</font></strong></a></p><p> </p><p> </p><p> </p><p> </p><p> </p><p></p><p></p><p></p><p></p><p></p><p></p><p></p><p></p><p></p><p></p><p class="바탕글"><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 font-size: 11pt; mso-ascii-font-family: 맑은 고딕; mso-hansi-font-family: 맑은 고딕;"><span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font size="3"><span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font color="#000000" size="3">[ⓒ 뉴욕코리아(</font><a style="color: rgb(53, 53, 53); text-decoration: none;" href="http://www.newyorkkorea.net/" target="_blank"><font color="#000000" size="3">www.newyorkkorea.net</font></a><font color="#000000"><font size="3"><font color="#000000">),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font></font></font></span></font></span></span></p>
번호
제목
작성자
조회
등록일
340
하명진,노혜영 선교사 아이티 무사히 입국 감사,8/06/2024.
Dr. 하명진
1043
2024-08-08
339
하명진,노혜영 선교사의 아이티 탈출기,3/24-3/26/2024년.
Dr. 하명진
1481
2024-03-27
338
아이티 탈출기,2024년 3월 24일.
Dr. 하명진
1449
2024-03-27
337
아이티연합교회 주일예배,3/17/2024년. 설교: “위로하라“ - 탁형구 목사.
Dr. 하명진
1455
2024-03-27
336
미파클리닉 3/15/2024년.
Dr. 하명진
1619
2024-03-16
335
미파클리닉 & 아이티연합교회 새벽기도회,2024년 3월 4일 & 5 일)
Dr. 하명진
1433
2024-03-16
334
포트켐벨침례교회 2024년 아이티선교,가나안교회 & 학교 사역.2/17/2024.
Dr. 하명진
1541
2024-02-21
333
포트켐벨침례교회 2024년 아이티선교,가나안교회 & 학교 사역.2/17/2024.
Dr. 하명진
1539
2024-02-21
332
0:02 / 5:33 MiPA clinic on Feb 16,2024.
Dr. 하명진
1492
2024-02-21
331
NY Messengers of Mercy(M.O.M) on Jan.4,2024.뉴욕 맘 선교회 2024년 1월 4일 모임.
Dr. 하명진
1605
2024-01-06
330
Highlights of Dr. & Mrs.Ha’s Haiti Medical mission from July 2017 to Dec. 2023.
Dr. 하명진
1780
2024-01-06
329
미파클리닉,2023년 12월 15일.
Dr. 하명진
1671
2024-01-06
328
미파클리닉,12/11/2023.
Dr. 하명진
1570
2024-01-06
327
기쁜 기독 학교,Joyful Christian Academy,Oct.19,2023.
Dr. 하명진
1627
2024-01-06
326
아이티연합교회 주일예배,2023년 12월 10일. 사회:김영조 집사, 기도:서상용 집사, 설교:탁형구 목사.
Dr. 하명진
1778
2023-12-11
325
미파클리닉,2023년 11월 27일.
Dr. 하명진
1664
2023-12-11
324
미파클리닉,2023년 11월 24일.
Dr. 하명진
1600
2023-12-11
323
미파클리닉,11/20/2023.
Dr. 하명진
1488
2023-12-11
322
아이티연합교회 추수감사절 주일예배. 2023년 11뤌 19일. 기도: 엄진용 선교사, 설교: 박동한 목사/선교사.
Dr. 하명진
1553
2023-12-11
321
미파클리닉,11/17/2023.
Dr. 하명진
1756
2023-11-19
320
미파클리닉(Clinique MiPA) on 11/13/2023.
Dr. 하명진
1671
2023-11-19
319
미파클리닉 주간 하이라이트,11월 6일 8일 & 10일,2023년.
Dr. 하명진
1684
2023-11-19
318
MIPA highlights. Oct.30 & Nov 3.2023
Dr. 하명진
1608
2023-11-05
317
Mission Pacific Ayiti(MIPA) clinic on Oct 27.2023
Dr. 하명진
1705
2023-11-05
316
미파클리닉 하이라이트 10/23 & 10/25/2023
Dr. 하명진
1551
2023-11-05
315
미파클리닉 하이라이트,10/18-20/2023.
Dr. 하명진
1773
2023-10-22
314
기쁜 기독 학교,Joyful Christian Academy,Oct.19,2023.
Dr. 하명진
1786
2023-10-22
313
미파클리닉 주간 하이라이트,2023년 10월 2,4 & 6일~
Dr. 하명진
1756
2023-10-15
312
미파클리닉 주간 하이라이트,9/25,27 & 29/2023.
Dr. 하명진
1766
2023-10-01
311
미파클리닉 하이라이트,9월 18일,20일 & 22일,2023년.
Dr. 하명진
1746
2023-10-01
310
미파클리닉 주간 하이라이트,9/11,13 & 15일,2023년.
Dr. 하명진
1796
2023-09-18
309
MiPA clinic highlights,9/04,06 & 08,2023.
Dr. 하명진
1868
2023-09-18
308
MiPA clinic highlights of Aug.28,30 & Sep.1,2023.
Dr. 하명진
1753
2023-09-06
307
MiPA highlights,Aug.21,23 & 25,2023.
Dr. 하명진
1769
2023-09-06
306
미파클리닉 주간 하이라이트,2023년 8월 둘째 주.
Dr. 하명진
1833
2023-08-12
회원정보
닉네임
Dr.하명진 (drjamesha)
가입일
2008-07-23
등급
운영자 (1)
활동
포인트 : 0 점
게시물 작성수 : 0 개
댓글 작성수 : 개
쪽지보내기
게시물 신고하기
게시판 성격에 맞지 않거나 불건전한 게시물을 운영자에게 신고할 수 있습니다.
운영자 확인 후 해당글 삭제조치 및 해당 회원에게 불이익이 갈 수 있습니다.
허위신고시에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니 신중하게 신고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