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코리아    SF    Boston    Washington D.C    Chicago    Atlanta    Canada
NewsLife InfoRealtySell & BuyJobsHealthCultureFood/TourIssueYellowPageShopping
회원가입 아이디/비밀번호찾기
Health
건강상담
닥터건강상담QA
병원정보
병원.의료뉴스공지
병원정보Q/A
응급조치 상식
의료보험 상담/정보
내과
하명진 내과칼럼
소아청소년과
이상원 소아과전문의
성형외과
이신지 성형외과칼럼
통증치료과
김치갑 통증치료칼럼
하명훈 통증재활칼럼
*통증관련 도움VOD
*치과관련 VOD
한의학/한방과
간송 한의학 칼럼
김홍순 한의학칼럼
동물병원
김기택 애완동물칼럼
안과
조민희 망막전문안과
▶추천 전문병원
★추천병원 파워리스트
추천병원탐방
병원집중탐방 인터뷰
라이프 건강
증상 관련 해법정보
웰빙 부르는건강상식
건강에 좋은추천음식
건강웰빙 운동
인체의 구조
건강정보교환해요
자유게시판
힐링 명상음악듣기
 
 
 
 
 
 
 
 
 
회원정보
닉네임
가입일 2008-07-23
등급 운영자 (1)
활동
포인트 : 0
게시물 작성수 : 0
댓글 작성수 : 0
쪽지보내기
받을아이디
제목
내용
(0/200바이트)
 
> Health > 내과 > 하명진 내과칼럼
ha.edward

하명진 내과칼럼
백일해(Pertussis: Whooping cough)
작성자: Dr.하명진 작성자정보 조회: 8084 등록일: 2015-09-05



백일해(Pertussis: Whooping cough)




백일해(Pertussis/Whooping cough)는 백일해 박테리아 균(Bordetella pertussis)에 의한

호흡기 질환 으로 2 주 이상의 감기 증상으로 기침과 함께 흡(whooping)하는 소리를 내는 기침과
함께 백일까지 14일 이상의 감기 증상을 초래 하여 백일해(100 day cough)라는 이름이
부쳐졌으며 연령이 어릴수록 증상이 심하고 사망률이 높다.임신 중,3rd trimester
TDaP
백일해 예방접종과 생후 2,4,6개월,2세에 TDAP(파상풍,디프테리아,그리고 백일해)예방접종을

하면 쉽게 예방 할수가 있다. 그로 인하여 현재는 발생 빈도가 현저히 감소 되었지만

아직도 매년 전 세계에서 4,800만명이 백일해(100 day cough)가 발병하며 90% 이상

미개발국에서 발생 하고 2,013년 통계에 의하면 16,000여명이 백일해로 사망 하였다
.
미국에서 2014년에 28,660명의 백일해 환자가 마국질병통제센터(CDC)에 보고 되었었고

2013
년에는 28,639 ,2012년에는 48,277 백일해 환자가 발생하였다고 CDC가 보고했다.
한국에서도 요사이 증가 추세에 있고 올해 7/09/2015현재 78명의 백일해 환자가 발생하였다고

한국질병통제센터에서 보고하였고 작년에 비해 두배 이상 증가하여 예방접종을 강추하고 있다.

원인: 백일해 균(Borrdetella pertussis): Gram negative(그람 음성균)이 기침시 튀어나온

비말을 통해 호흡기로 전파되어 백일해(Whooping cough)를 일으킨다.

잠복기: 백일해 균이 전파된후 3-12일후 3단계로 증상을 나타낸다.(평균 10
)

전염 경로: 사람과 사람사이에 접척으로 비말 즉 기침시 튀어나오는 점액,콧물, 가래등으로

전염 되고 전염성이 강하다
.

증상: 대부분 경미한 감기 증상으로 나타 나지만 진행되면 다음과 같이 발열기
(Catarrhal stage)
,
경해기(Paroxysmal stage),그리고 회복기(Convalescent stage) 3단계로 나타난다
.
1:
발열기(Catarrhal stage): 전염력이 가장 강한 시기로 1-2주 발열과 감기 증상, 즉 콧물, 기침
,
눈물과 함께 결막의 충혈과 함께 결막염 증산등 경미한 감기 증상과 피로증이 나타난다
.
2:
경해기(Spasmodic or Paroxysmal stage): 감기 증상 2주후 발작성 호기성 기침 즉

Paroxysmal whooping cough "
"하는 소리의 발작적 기침과 함께 끈끈한 가래와 콧물과
비 출혈을 동반할수 있고 결막염으로 결막 출혈과 부종을 초래 할수 있다. 2-4주 이상 증상이

지속될수 있고 무호흡증(Apnea)도 올수있다. 심한 기침으로 늑막염(pleurisy)증상인 늑골과

늑간의 통증이 올수 있다. 발작성 기침시에는 청색증이 나타나기도 하고 1년 미만아 에서는

흡기성 whoop 기침이 없는수도 많다
.
그외 발한,정신 혼미와 피곤이 발작후 나타날수 있고 하루에 수회에서 수십회 발작이 일어날수도

있고 구토도 동반할수 있다.
3:
회복기(Convalescent stage): 발열(fever)이 호전되며 기침 발작의 회수가 감소되며 구토도

점차 감소 되고,1-2 주 지속되며 회복이 되지만 때로는 3단계 모두 100일 정도 증상이 오래

지속되어 백일해(100 day cough)라고도 불린다
.

진단: 백일해 환자와 접촉한 과거력과 특징적인 whooping cough와 함께 균 배양으로 확진 한다
.
1:
말초 혈액검사(CBC:Complete Blood Count): 백혈구 증가(Leukocytosis)와 함께 절대적

임파구 증가가 나타나며 백분율로 임파구가 60% 이상 증가한다.
2:
흉부 방사선 검사(Chest X-Ray): 기관지염(Bronchitis)와 폐렴(Pneumonia) 소견을 보인다
.
3:
콧물,비 점막이나 인두 분비물 swab Bordet-Gengou 배지(culture media)에 배양으로

백일해균을 찾아 확진할수 있다.(초기에는 90% 이상 검출률이 높지만 4주가 지나면 거의

검출되지 않는다.)
4:
비 인두 분비물(Nasal-Pharyngeal secretion)의 형광 항체법
(fluorescent antibody
Technique),
또는 종합 효소 연쇄 반응법(PCR) 방법으로 진단 할수 있다
.
5: Agargel double diffusion test
혈청학적 검사도 있다
.

치료: 3개월 미만의 영아는 입원하여 적당한 항생제와 수액치료와 대증요법으로 치료한다
.
1:
항생제; Erythromycin, Azithromycin,Bactrim으로 경구나 혈관주사로 치료한다
.
2:
해열제, 항 구토제등의 대증요법(symptomatic treatment)와 안정으로 완치가 가능하다
.
3:
기침 완화에는 Robittussin이나 가래에는 Mucinex syrup 이나 경구약으로 증상을 호전

시킬수 있다.
4:
환자는 발병후 4주간 또는 기침이 멈출때 까지 격리하여 치료한다
.

경과와 합병증(Prognosis & Complications): 나이가 어릴수록 예후가 나쁘다
.
1:
기관지 폐렴(Bronchial Pneumonia), 기관지 확장증(Bronchiectasis),무기폐
(Atelectasis),
폐기종(Pneumothorax) 등으로 호릅기 합병증과 그와 중이염이 올수있다
.
2:
설사와 구토,설하 궤양(Tongue sore), 기침시 탈홍(rectal prolapse)등이 나타날수 있다
.
3:
경해기(Paroxysmal stage)에는 저 산소증(Hypoxemia),속발성 뇌염(Encephalitis), 경막하

출혈(subdural Hemorrhage), 페혈증(Septicemia)로 사망에 이를수도 있다
.
4:
미국에서 백일해(Whooping cough)로 입원한 1세 미만의 영아 사망률은 1.6%로 알려져 있다
.

예방: 예방 백신으로 쉽게 예방 할수 있다. 임신중 3rd trimaster, 27-36주에,태아는 생후
2,4,6,
15-18
개월,4-6,11-12세에 TDaP 예방접종을 추천하며 성인도 TDaP를 맞은적이 없으면

Single dose
로 예방접종을 추천하며 의료종사자도 TDaP 추가 접종을 추천한다.
예방 접종은 Walgreens,CVS 약국과 소아과나 내과 주치의에서 TDaP 예방 접종을

받을수 있다. 또한 백일해 환자로 의심되는 환자와 접촉후에는 Erythromycin 항생제로
하루 3회 접촉한 의심 환자의 배양결과가 나올때까지 우선 5일간 예방적으로 치료 하여야 한다
.

도움 & references: searh for "pertussis" 또는 "Whooping cough" 검색
.
1: webmd.com
2: cdc.gov
또는 cdc.go.kr(한국질병통제센터
)
3: Survey of Clinical Pediatric.written by Edward Wasserman & Lawrence Slobody.



 

Dr.하명진(James Myungchin Ha,MD.)


카톨릭 의대 졸업(1977)한국의사 면허,

미국의사 면허

미국 Mt.Vernon Hospital 외과 인턴 수련

미국 병리학 전문의 (Downstate의대 부속 Brooklyn Hospital에서 해부 및 임상병리학 수련)

미국 내과학 전문의(Albert Einstein의대 부속 Flushing Hospital에서 내과 전문의 수련

현 하명진 내과 건강관리센터 원장

KAMHC(한미 기독 의료선교 협의회)뉴욕 이사

전: TKC TV내과 상담, 기독교TV 신앙과 건강 담당

당뇨병의 완전 정복 건강 Video 등 다수의 한국언론에 의료 칼럼 게재

CTS TV Documentary "행복"의 주인공


Tel: 718-353-5730

E-mail : jjed1975@optonline.net

 

 

 

 

 

[ⓒ 뉴욕코리아(www.newyorkkorea.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트위터 트위터 페이스북 페이스북
댓글 : 0
번호 제목 작성자 조회 등록일
130 조류 독감 (AI: Avian Influenza or Bird flu) [6] Dr.하명진 15060 2014-01-20
129 독감과 감기와 천식의 차이점 (Flu, Cold & Asthma) [1] Dr.하명진 12638 2014-01-11
128 크론병 ( Crohn's disease; Regional Enteritis=국지성 장염 ) Dr.하명진 11427 2013-12-16
127 궤양성 대장염 (Ulcerative Colitis) Dr.하명진 13058 2013-10-17
126 게실증과 게실염(diverticulosis & diverticulitis) Dr.하명진 11695 2013-10-12
125 담낭염 (Cholecystitis) Dr.하명진 10890 2013-10-07
124 축농증 (Sinusitis) Dr.하명진 12444 2013-10-02
123 급성 취장염( Acute Pancreatitis) Dr.하명진 12063 2013-09-28
122 유당분해효소결핍증 (Lactose Intolerance) [1] Dr.하명진 13555 2013-09-23
121 항생제에 내성있는 박테리아(Antibiotic-Resistant bacteria):Super Bacteria Dr.하명진 11781 2013-09-18
120 가을철 3대 발열성질환 (3 Febrile diseases of Autumn) Dr.하명진 12489 2013-09-13
119 Nail Salon과 관련된 직업병 (Occupational disease) Dr.하명진 11252 2013-09-08
118 외상후스트레스장애 (PTSD;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Dr.하명진 11487 2013-08-30
117 사르코지 마리 투스병 (Charcot-Marie-Tooth disease; CMT) Dr.하명진 11117 2013-08-24
116 수막뇌염 (PAM): 뇌 먹는 아메바(Brain eating Ameoba) Dr.하명진 10897 2013-08-19
115 백반증 (Vitiligo)의 최근 치료법. [1] Dr.하명진 12127 2013-08-12
114 천식 (Asthma) [1] Dr.하명진 13025 2013-08-07
113 사이크로스포라 기생충 식중독 (Cyclosporiasis) Dr.하명진 11351 2013-08-01
112 기억상실증 (Memory Loss) Dr.하명진 12251 2013-07-21
111 노인성 난청 (Presbycusis) Dr.하명진 12596 2013-07-11
110 노안 (Presbyopia) [2] Dr.하명진 15958 2013-07-06
109 수족구병 (Hand-foot,mouth disease) Dr.하명진 12809 2013-07-01
108 냉방병 (Legionella disease) Dr.하명진 11818 2013-06-25
107 열사병 (Heat Stroke) Dr.하명진 11138 2013-06-20
106 건초염 (Tenosynovitis) Dr.하명진 10960 2013-06-16
105 식중독 (Food poisoning) [1] Dr.하명진 15573 2013-06-08
104 만성폐쇄성폐질환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COPD) Dr.하명진 14533 2013-05-24
103 정신분열증 (Schchizophrenia) Dr.하명진 13034 2013-05-20
102 중증열성혈소판감소 증후군 (SFTS) [2] Dr.하명진 15275 2013-05-16
101 자폐증 (Autism) [3] Dr.하명진 16353 2013-05-14
100 불안증 (Anxiety disorder) Dr.하명진 11794 2013-05-10
99 섭식 장애 (Eating disorder) Dr.하명진 10883 2013-05-07
98 계절성 우울증 (Seasonal Depression or S.A.D) Dr.하명진 12583 2013-05-04
97 조울증 (Bipolar disorder) Dr.하명진 12399 2013-04-30
96 우울증 (Major Depression) [7] Dr.하명진 16075 2013-04-26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회원정보
닉네임 Dr.하명진 (drjamesha)
가입일 2008-07-23
등급 운영자 (1)
활동
포인트 : 0
게시물 작성수 : 0
댓글 작성수 : 0
쪽지보내기
닉네임 Dr.하명진 (drjamesha)
제목
내용
(0/200바이트)
게시물 신고하기
게시판 성격에 맞지 않거나 불건전한 게시물을 운영자에게 신고할 수 있습니다.
운영자 확인 후 해당글 삭제조치 및 해당 회원에게 불이익이 갈 수 있습니다.
허위신고시에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니 신중하게 신고해주세요.
글 제목 백일해(Pertussis: Whooping coug...
글 작성자 Dr.하명진
신고이유
회사소개 | 개인정보취급방침 | 회원약관 | 고객지원센터 | 제휴 및 광고문의 | 광고안내   
 

 

Contact Us : 고객문의센터, Tel: 대표 201-674-5611

E-mail: newyorkkorea77@gmail.com, newyorkkorea@naver.com, 빠른카톡상담ID : newyorkkorea 

미국최대 대표포털 뉴욕코리아는 미국법률변호사고문 및 미국저작권법의 보호를 받고 있으며, 컨텐츠 및 기사의 무단 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  

Copyright (c) New York Korea, INC. News Media Group in US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