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코리아    SF    Boston    Washington D.C    Chicago    Atlanta    Canada
NewsLife InfoRealtySell & BuyJobsHealthCultureFood/TourIssueYellowPageShopping
회원가입 아이디/비밀번호찾기
Health
건강상담
닥터건강상담QA
병원정보
병원.의료뉴스공지
병원정보Q/A
응급조치 상식
의료보험 상담/정보
내과
하명진 내과칼럼
소아청소년과
이상원 소아과전문의
성형외과
이신지 성형외과칼럼
통증치료과
김치갑 통증치료칼럼
하명훈 통증재활칼럼
*통증관련 도움VOD
*치과관련 VOD
한의학/한방과
간송 한의학 칼럼
김홍순 한의학칼럼
동물병원
김기택 애완동물칼럼
안과
조민희 망막전문안과
▶추천 전문병원
★추천병원 파워리스트
추천병원탐방
병원집중탐방 인터뷰
라이프 건강
증상 관련 해법정보
웰빙 부르는건강상식
건강에 좋은추천음식
건강웰빙 운동
인체의 구조
건강정보교환해요
자유게시판
힐링 명상음악듣기
 
 
 
 
 
 
 
 
 
회원정보
닉네임
가입일 2008-07-23
등급 운영자 (1)
활동
포인트 : 0
게시물 작성수 : 0
댓글 작성수 : 0
쪽지보내기
받을아이디
제목
내용
(0/200바이트)
 
> Health > 내과 > 하명진 내과칼럼
ha.edward

하명진 내과칼럼
비만증 치료(Obesity treatment)
작성자: Dr.하명진 작성자정보 조회: 8921 등록일: 2015-10-30

                                    비만증 치료(Obesity treatment)

 

비만증은 BMI(Body Mass Index:체질량지수=body weigt(kg)/height(meter) 제곱,square)

30 이상 이거나 허리 둘레가 남성은 40 inch 이상,여성은 35인치 이상을 복부 비만이라고 하며 

미국에서는 성인 5명중 1,청소년과 아동은 12.7%가 해당되며 연간 $14 7천만 불의 고비용이 드는 

현대인들의 문제 이기도 하다. 고혈압,당뇨병,중풍,심장병등 비만증과 관련된 질병의 발생이 증가함에

비만증의 예방과 치료는 매우 중요한 건강과 사회 문제로 다음과 같이 비만증 치료법을 소개한다.

 

1: 자신의 주치의나 dietition과 다음과 같이 long term diet plan(장기 계획)을 만든다.

 

A: diet 목표 설정: 우선 6개월에 자신 체중의 10% 감소를 목표로 한다.

B: life style change 즉 육체적 활동량을 증가시키고 건강에 좋은 저열량 음식으로 식단을 바꾸며

     생활습관을 바꾸어 스트레스를 낮추고 할수록 있다는 긍정적으로 life style 을 바꾼다.

C: counseling을 통하여 우울증,불안증,외로움증 등을 치료하고 체중감소의 동기를 부여한다.

     매일 섭취하는 음식 일기와 운동 내력, 체중을 기록하여 섭취열량,소모 열량을 계산하여 negative

     Balnce가 되도록 하여야 한다. 하지만 일주에 1 kg 이상 감량은 추천하지 않는다.

D: 감량에 의하여 오는 영양 결핍이나 중요 장기의 이상이 없는지 주기적인 혈액검사와 진찰을

     주치의에 의하여 병행 하여야 한다.

 

A: 식이요법: 자신에게 필요한 열량 보다 적게 골고루 섭취한다. 가장 중요한 치료법이다.

 

 1: 필요한 열량: 30-35 Cal/ kg body weight/day. : 60kg 몸무게 필요 열량/day

     30x60=1,800cal/day 가 하루에 필요하다. 즉 한끼니에 600칼로리가 필요하다.

     비만 치료에는 20-25 cal/kg/day오 저열량으로 식이요법을 한다.

2: 음식 열량 계산법:

a: 탄수화물/단백질=1gm=1cmx1cmx1cm=1ml or 1cc= 4 calorie.예 쌀 100g 

    100x4=400 cal. 살고기 100gm=10x10x1cm= 4x100= 400 cal 이다.

b: 지방/기름= 1gm=1ml=1x1x1cm= 9 calorie로 가장 높아 가능한 피하여야 한다.

    :참기름 1tsp=5ml=5x9=45 calorie.버터 1x1x1cm=9 calorie .

c: 우유: 저지방 우유= 120cal/ 120ml, regular milk= 180 cal/120cc.

d: 채소: 달지 않은 채소=25 cal/120 ml cup,단 채소=120 cal/ 60ml cup.

    : 시금치 1=25 cal, 당근 1= 50 cal.

e: 과일: 적은 과일 1= ,사과,바나나, 60-80 cal

f: 두부 1/2,식빵 한조각,겨란 한개 = 75 cal.

g: 먹는 식품/음료/통조림/과자/label을 유심히 보면 serving size에 관한 칼로리 가 쓰여 있음으로 

     저칼로리 식품을 사용하도록 하고 음료수는 Diet 으로 바꾸고 설탕도 Equal 또는 NutraSweet,

     Sweet & low 등의 사카린 종류로 바꾼다,

    

B: Life style change 즉 생활 습관을 다음과 같이 바꾼다.

 

1: 열량을 계산하여 저열량 음식으로 식단을 골고루 짜서 규칙적으로 즐겁게 식사한다. 식사량

    보다 열량이 적은 음식을 선택한다.

2: 운동량을 점차 증가시켜 열량을 가능한 많이 소모 하여야 한다.(Exercise vigorously

     to burn out calories & increase energy level). More than 2,000 to 10,000 steps/d.

3: 식이요법시 비타민이나 미네랄 결핍이 올수 있으므로 종합 비타민과 필수 미네랄의 보충을 추천한다.

 

C: Counseling: 동기 유발과 비만증의 원인인 우울증 등을 전문의에게 counseling 받는다.

     Counseling to cope with depression,loneliness,anxiety boredness by Psychiatrist.

 

2:  투약 요법: OTC 또는 처방약으로 식이요법,운동법,심리요법으로 치료가 안되면 한다.

 

A: OTC meds(처방이 불필요한 약: dietpillsthatwork.com에서 10종류의 다음과 같은 diet pill 

     자세히 소개 하고 있다. Lipofuse,Phytodren,Obesitrol,Slimvox,Dieters cheating 

     Caps,Anoretix,AmbiAlim 등의 약을 처방없이 구할수 있고 drugstore.com 등에서 

     "Diet pills"를 서치하면 처방없이 살수 있는 약 들을 구할수 있다.

B: 처방약(prescriptive medicine): 의사의 처방이 필요하고 부작용을 알고 복용하여야 한다.

1: Orlistat(Xenical): 췌장에서 분비 하는 지방 소화 효소제인 lipase 작용을 억제하여 지방 흡수를

    억제하여 대변으로 배설하게 하는 작용으로 지방음식을 30% 정도 같이 복용하여야 하고 장기간 복용

    가능하나 복통,가스,oily stool 즉 기름섞인 대변,자주 대변을 보게 되는 부작용과 fat soluble

    vitamin인 비타민 A,D,E,K의 흡수를 방해 하므로 비타민 A,D,E,K를 함께 첨가하여 복용하실것을

    추천한다.

2: Belviq: 식욕을 억제하는 약으로 장기 복용도 가능하나 임신 계획이 있거나 임신시에는 복용하면 

    안되고 두통,어지럼증,오심,입 마름,저혈당 등의 부작용이 있으며 항우울제와 겸용은 안된다.

    Selective serotonin agonist 계열의 약으로 식욕 저하에 도움을 준다.

3: Contrave: alcohol/opioid 중독 치료제로 쓰이는 naltrexone 과 항우울제/금연에 쓰이는

    Bupropion의 복합제로 음식에 대한 탐닉현상(addiction)을 억제하나 임신,모유 수유시에는

   사용이 불가하며 갑자기 중지하면 자실 충동이 나타날수 있어 전문의에게 처방에 의하여 조심 스럽게

   복용하여야 하며 12주내에 5% 체중 감소의 효과가 없으면 복용을 중지 하여야 한다.

4: Saxenda(Victoza): 2형 당뇨병 치료제로서 뇌에 작용하여 위의 풍만감(fullness)으로 식욕을

    억제하여 diet 의 효과를 본다. 비만증을 동반하는 당뇨병 환자에게 좋으나 주사밖에 없고 효과가 

    천천히 나타나는 단점이 있다. 부작용으로는 혈압 강하,심계항진,췌장염,자살충동 등이 있다.

5: Phentermin: Amphetamine 계열의 신경 흥분제로 식욕을 억제하는 작용으로 단기간 수 주간

    사용 할수 있으나 습관성과 탐닉성(addiction)과 혈압 상승,심계항진,불안증,불면증,호흡곤란을

    초래할수 있어서 controlled substance monitor 받는 약 이다. 단기로 많이 사용한다.

6: Qsyma: 항경련제인 topiramate와 상기 열거한 Phentermine 의 복합체로 식욕을 감퇴 시켜

     비만증에 단기용으로 사용하나 부작용이 심하고 임신시 기형아를 낳게 할수 있고 탐닉성이 있어

     미국에서는 극히 제한적으로 사용한다.

 

3: 수술요법: 난치성 고도 비만증>40 BMI 환자나 >35이상의 비만증 환자가 당뇨,고혈압,심장병

                    등의 질병을 갖고 있고 상기 열거한 식이요법,운동법,심리요법,투약요법으로 

                    효과를 못본 경우 마지막으로 다음과 같은 수술 방법을 쓴다.(Bariatric surgery)

 

a: 복강경으로 Silicone ring을 위의 상부에 끼워넣는 gastric Lap band surgery 방법으로

    부작용이 적고 효과도 좋아 요사이 많이 사용한다. 비용이 미국에서는 2만불 정도 든다.(한국에서는

    1/3-1/2 정도로 수술이 가능하다.)

b: V-block surgery: 가장 최신의 방법으로 Pace maker 같은 작은 전자 기구를 늑골하부에 수술로

    삽입하여 위에 작용하는 자율신경인 Vagus 신경을 전기자극으로 마비시켜 위장이 배부른것 처럼

    느끼게하여 식욕이 감소하고 음식 섭취량을 적게 하는 수술로 부작용 거의 없이 효과를 보지만

    비만증 환자의 10-20%정도에서 효과를 보는 경향이 있다.또한 battery 를 복부 밖에서 주기적으로

    충전 해야하고 5년 정도의 사용 가능 기간으로 영구적으로 사용할수 없는 단점이 있다.

C: Roux-en-Y bypass 즉 소장우회술로 위를 작게 만들고 위를 작은창자에 연결하는 수술 방법으로

      미국에서 가장 많이 하는 수술법이다.

D: Sleve stomach resection surgery는 외과적으로 위를 90%까지 적출하는 방법인데 효과는 

     확실하나 복통,호흡곤란 등의 후유증이 올수 있다.

 E: 지방 흡입슬: 복부 비만증의 성형외과적 수술 방법으로 일시적인 체중감량과 성형외과적 효과가

      있지만 다시 복부 비만증이 재발될수가 있다.

F: Billipancreatic bypass surgery: 담낭과 췌장을 bypass 하는 위 우회술로 지방의 소화를

    방해하는 수술 방법이다.

 

도움 & references: diet 또는 obesity 또는 obesity treatment 검색.

1: webmd.com

2: rethinkobesity.com

3: chronic-weight-management.com(Saxeda 가는 주사약 site로 뇌에 작용하여 포만감으로 

                           식욕을 억제하는 주사 치료법 으로 비만증의 유일한 주사법 site로 처방이 필요하다.)

4: obesity.org(회원제로 비만증 최신 정보 공유 site LA에 본부가 있다.)

5: dietpillsthatwork.com(처방이 필요없는 10가지 약들의 정보와 구입도 할수 있다.

6: epocrates.com(상기 약에 대한 구체적 정보를 알수 있다, 용량,약리작용,부작용,등등.)

7: drugstore.com(처방이 필요없는 diet pills를 구하러 있다.)

8: vbloc.com(V-bloc 수술법을 자세히 일수 있다.)

9: CDC.gov/obesity

 



 

Dr.하명진(James Myungchin Ha,MD.)


카톨릭 의대 졸업(1977)한국의사 면허,

미국의사 면허

미국 Mt.Vernon Hospital 외과 인턴 수련

미국 병리학 전문의 (Downstate의대 부속 Brooklyn Hospital에서 해부 및 임상병리학 수련)

미국 내과학 전문의(Albert Einstein의대 부속 Flushing Hospital에서 내과 전문의 수련

현 하명진 내과 건강관리센터 원장

KAMHC(한미 기독 의료선교 협의회)뉴욕 이사

전: TKC TV내과 상담, 기독교TV 신앙과 건강 담당

당뇨병의 완전 정복 건강 Video 등 다수의 한국언론에 의료 칼럼 게재

CTS TV Documentary "행복"의 주인공


Tel: 718-353-5730

E-mail : jjed1975@optonline.net

 

 

 

 

 

[ⓒ 뉴욕코리아(www.newyorkkorea.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트위터 트위터 페이스북 페이스북
댓글 : 0
번호 제목 작성자 조회 등록일
235 뇌전증(Epilepsy) Dr.하명진 10344 2016-08-13
234 세계 간염의 날(World Hepatitis Day) Dr.하명진 8408 2016-07-31
233 모야모야병(Moyamoya disease) Dr.하명진 10241 2016-07-15
232 HIV(AIDS): 후천성 면역 결핍증 Dr.하명진 10547 2016-07-02
231 해외 단기선교 여행시 필요한 상비약과 주의사항 Dr.하명진 9623 2016-06-19
230 조현병(Schizophrenia) Dr.하명진 9177 2016-06-03
229 편두통 2 (Migraine headache 2) Dr.하명진 9116 2016-05-20
228 편두통 1 (Migrane Headache 1) Dr.하명진 9299 2016-05-08
227 뎅기열 예방 백신(Dengue vaccine) Dr.하명진 10897 2016-04-22
226 성병 인식의 달(STD Awareness Month) Dr.하명진 10748 2016-04-09
225 다운 증후군(Down syndrome) Dr.하명진 9205 2016-03-25
224 길랑바레 증후군(Guilain-Barre syndrome;GBS) Dr.하명진 9467 2016-03-11
223 손목 터널 증후군(Carpal tunnel syndrome) Dr.하명진 8877 2016-02-26
222 아이티 솔레이시티 의료선교(1.2.3) -하명진 박사 뉴욕코리아 8812 2016-02-24
221 좌골신경통(Sciatica) Dr.하명진 11583 2016-02-12
220 소두증과 지카 바이러스 비상(Microcephaly & Zika virus outbreak) [1] Dr.하명진 11334 2016-01-29
219 오십견 (Frozen shoulder) Dr.하명진 8758 2016-01-22
218 섬유근통(Fibromyalgia) Dr.하명진 9743 2016-01-08
217 장독성 대장균 식중독(STEC 026 food poisoning) Dr.하명진 9587 2015-12-24
216 신경성 식욕 부진(Anorexia nervosa) Dr.하명진 8505 2015-12-11
215 신경성 대식증 (Bulimia Nervosa) Dr.하명진 9230 2015-11-27
214 폭식장애 (B.E.D.;Binge Eating Disorder) Dr.하명진 9343 2015-11-13
비만증 치료(Obesity treatment) Dr.하명진 8922 2015-10-30
212 비만증(Obesity) Dr.하명진 11359 2015-10-16
211 장내 기생충 2편 (Intestinal Parasites 2) Dr.하명진 9433 2015-10-02
210 장내 기생충(Intestinal Parasites,part 1) 1편. [4] Dr.하명진 11571 2015-09-18
209 백일해(Pertussis: Whooping cough) Dr.하명진 8040 2015-09-05
208 웨스트 나일 뇌염(West Nile Encephalitis) Dr.하명진 9519 2015-08-23
207 페스트/흑사병(Plague) Dr.하명진 8497 2015-08-16
206 레지오넬라 병(Legionella disease;냉방병) Dr.하명진 10422 2015-08-11
205 거대적아구성 빈혈(Megaloblastic Anemia) Dr.하명진 8727 2015-08-05
204 철분 결핍성 빈혈(Iron-deficiency Anemia) Dr.하명진 7376 2015-07-26
203 살 파먹는 박테리아(Flesh eating Bacteria):Necrotizing Faciitis.(괴사성 근막염) Dr.하명진 8227 2015-07-19
202 홍콩 독감 (H3N2 Hong Kong Flu) Dr.하명진 7775 2015-07-10
201 E형 바이러스 간염(Viral Hepatitis E) Dr.하명진 8988 2015-07-04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회원정보
닉네임 Dr.하명진 (drjamesha)
가입일 2008-07-23
등급 운영자 (1)
활동
포인트 : 0
게시물 작성수 : 0
댓글 작성수 : 0
쪽지보내기
닉네임 Dr.하명진 (drjamesha)
제목
내용
(0/200바이트)
게시물 신고하기
게시판 성격에 맞지 않거나 불건전한 게시물을 운영자에게 신고할 수 있습니다.
운영자 확인 후 해당글 삭제조치 및 해당 회원에게 불이익이 갈 수 있습니다.
허위신고시에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니 신중하게 신고해주세요.
글 제목 비만증 치료(Obesity treatment)...
글 작성자 Dr.하명진
신고이유
회사소개 | 개인정보취급방침 | 회원약관 | 고객지원센터 | 제휴 및 광고문의 | 광고안내   
 

 

Contact Us : 고객문의센터, Tel: 대표 201-674-5611

E-mail: newyorkkorea77@gmail.com, newyorkkorea@naver.com, 빠른카톡상담ID : newyorkkorea 

미국최대 대표포털 뉴욕코리아는 미국법률변호사고문 및 미국저작권법의 보호를 받고 있으며, 컨텐츠 및 기사의 무단 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  

Copyright (c) New York Korea, INC. News Media Group in US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