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코리아    SF    Boston    Washington D.C    Chicago    Atlanta    Canada
NewsLife InfoRealtySell & BuyJobsHealthCultureFood/TourIssueYellowPageShopping
회원가입 아이디/비밀번호찾기
Health
건강상담
닥터건강상담QA
병원정보
병원.의료뉴스공지
병원정보Q/A
응급조치 상식
의료보험 상담/정보
내과
하명진 내과칼럼
소아청소년과
이상원 소아과전문의
성형외과
이신지 성형외과칼럼
통증치료과
김치갑 통증치료칼럼
하명훈 통증재활칼럼
*통증관련 도움VOD
*치과관련 VOD
한의학/한방과
간송 한의학 칼럼
김홍순 한의학칼럼
동물병원
김기택 애완동물칼럼
안과
조민희 망막전문안과
▶추천 전문병원
★추천병원 파워리스트
추천병원탐방
병원집중탐방 인터뷰
라이프 건강
증상 관련 해법정보
웰빙 부르는건강상식
건강에 좋은추천음식
건강웰빙 운동
인체의 구조
건강정보교환해요
자유게시판
힐링 명상음악듣기
 
 
 
 
 
 
 
 
 
회원정보
닉네임
가입일 2008-07-23
등급 운영자 (1)
활동
포인트 : 0
게시물 작성수 : 0
댓글 작성수 : 0
쪽지보내기
받을아이디
제목
내용
(0/200바이트)
 
> Health > 내과 > 하명진 내과칼럼
ha.edward

하명진 내과칼럼
백혈병 (Leukemia)
작성자: Dr.하명진 작성자정보 조회: 15523 등록일: 2013-03-26

 

 

 

백혈병(Leukemia)

 

 

 

백혈병은 골수에서 생성되는 백혈구의 암으로 미국에서 매년 5,000명이 발병하고

3,000명이 사망하는 모든암의 5-10%를 차지하는 암이다. 급성백혈병과 수년에

걸쳐 나타나는 만성백혈병 으로 나뉜다.

 

원인(Causes of Leukemia):

 

1: 다량의 방사선 노출; 원자력 발전소 방사선 누출사고, 원자폭탄 투하 지역에 많다.

2: 벤젠 같은 화학약품에 노출(Chemicals such as Benzene)

3: 다른암 치료로 항암치료 받은 후(s/p Chemotherapy to treat another cancer)

4: Genetic disorder such as Down's Syndrome(다운증후군 같은 유전적 이상)

5: 흡연(Smoking) 이 원인이 될수있다.

 

Types of Leukemia; 백혈병 종류:

 

1: ALL(Acute Lymphoblastic Leukemia;급성 악성임프종) 45%로 제일 많다.

2: AML(Acute Myelogenous Leukemia;급성골수성백혈병) 20%로 많다.

3: CLL(Chronic Lymphocytic Leukemia):만성임파성백혈병: 경과가 좋다.

4: CML(Chronic Myelogenous Leukemia:만성골수성백혈병 ;제일 경과가 나쁨.

 

증상:

 

1: Fever & night sweat( 미열과 밤의 식은땀).

2: 멍이 잘들거나 출혈경향이 많다.(Bruising or bleeding easily)

3: 빈혈(Anemia) 증상으로 어지럽고,피곤하고,무기력하고 창백하다.

4: 관절통과 뼈의 통증을 동반한다.(Joint or Bone pain).

5: 비장비대와 복통(Splenomegaly & swollen or painful belly).

6: 쉽게 감염되고 자주 염증이 생긴다.(frequent infections).

7: Unexplained wt loss( 이유 없는 체중감소) 와 식욕감퇴(poor appetite).

8: 목, 겨드랑이, 사타구니등의 임파선 비대(Swollen Lymph nodes in armpit,

 Neck, & groin area).

 

진단(Diagnosis of Leukemia):

 

1: 검진시 임파선 부종, 비장비대, 간비대증이 있다(Swollen Lymph nodes,

 Splenomegaly, Hepatomegaly,etc)

2: CBC(Complete Blood count): marked increased WBC(white blood cells

 more than 20,000/ml) 로 증가되고 shift to left 즉 미분화 백혈구의 증가와

 혈소판 감소(Thrombocytopenia),적혈구감소(Anemia) 가 나타난다.

3: 골수검사(Bone Marrow biopsy)와 CBC with diff.count로 진단할수 있다.

4: DNA markers & Chromosome changes in Bone Marrow( 골수에서의

 DNA 유전인자 검사와 염색체의 변형유무 검사로 진단에 도움을 받을수 있다.

 CML(만성골수성백혈병) 에서는 9번과 22번의 염색체의 일부가 바뀌어 소위

 Philadelphia Chromosome 이 나타나고 새로운 유전인자인 bcr-abl 형성해

 새로운 단백질인 Tyrosine Kinase 를 생성한다.

5: 척수액검사(Lumbar puncture) 하여 척수나 뇌에 퍼졌는가 확인한다.

6: 기타 CT,MRI,PET Scan 등으로 다른 장기로의 전이를 확인한다.

 

치료(Treatment of Leukemia);요사이 많이 발달하고 새로운 치료법이 발전중이다.

A) 대부분 복합 항암 화학요법으로 치료한다.(Combination Chemotherapy)

 1: ALL: Prednisone+L-Asparaginase+Vincristine,을 기본으로 하고. 고위험군

 에서는 Daunorubicin 이나 Adriamycin 을 첨가한다.90% remission.

 즉 암이 활성화 되지 않고 휴식기를 90%의 소아 백혈병에서 항암치료로

 효과를 본다.

 2: AML: 요사이 Allogenic stem cell transplant 즉 자신의 줄기세포를 이식한다.

 Caunorubicin or Mitoxantrone +CytarBine+Idarubicin 등으로

 모든 골수의 암세포를 제거한후 줄기세포를 이식하는 최신의 방법이나

 비용이 비싸고 거부반응도 올수있어 이식후에도 항화학요법으로 거부반응

 을 억제 하여야 한다. 그외 골수이식(Bone Marrow Transplant)도 한다.

 3: CLL ; 대부분 노인에 서서히 발생하고 증상이 없을때는 보존적으로 치료없이

 관찰을 하지만 열이 2주이상 계속되거나 체중이 6 개월내 10% 이상 감소.

 임파선부종과 통증,비장비대,간비대증(Painful swelling of Lymph node,

 Spleen or Liver) 시에는 다음과 같이 복합 항화학요법 으로 치료한다.

 Cyclophosphamide+Vincristine+Chlorambuscil, & Ritaximap &

 Alemtuzumab 으로 치료한다.

  4: CML; 요사이 Molecular targeting drug으로 Gleevec(Imatinib)

 즉 백혈구 암세포의 증식에 필요한 Tyrosine Kinase 효소를 억제

 하는 약으로 많은 효능을 보고 있지만 완치는 불가하며 만성기가 되면

 Nilotinib,Bosutinib,Dasatinib 등으로 치료한다. 그래도 진행하면

 Synribo(Omacetaxine mepesuccinate) 로 치료한다. 그외

 Interferon alpha with or without Cytarabine,Hydroxyurea or

 Busulfan.로 치료하기도 한다.

 5: APC(Apromyelocytic leukemia);ATRA(All-Trans-retinoic-acid; DIC 예방)

 Arsenic trioxide,Idarubicinor, Daunorubicin 등으로 치료한다.

B) Radiation therapy: 4기의 경우 뇌나 전신에 방사선치료로 백혈병의 암세포를

 죽인다.

C) Stem cell transplantation: 자가조혈모세포이식으로 자신의 혈액이나 골수에서

 Stem cell 을 만들어 자가이식함으로 새로운 백혈구의 생성을 돕는다.

D) 통증치료로 한방침 ,Meditation, 복식호흡법, biofeedback 운동과 통증치료과의

 전문 통증치료로 삶의 질을 높힐수 있다.

E) 백혈병 환자들의 대부분이 빈혈, 혈소판감소가 동반되므로 주기적 혈액검사로

 적혈구 수혈,혈소판 수혈을 병행하여야 하며, 백혈구의 기능이 결여된 상태이므로

 감염이 되지 않도록 무균실에서 격려를 하여 항암치료를 받아야 한다.

F) Remission(휴식기)이 완치됨은 아니므로 주기적인 검진과 혈액검사로 재발

 즉 Relapse 유무를 확인하여 가능한 빨리 재발에 대비하여야 한다.

 

Stage (전이 정도); 골수성 백혈병(Myelogenous Leukemia)는 Stage가 없다.

다만 전이의 방법들은 다음과 같고, 주위나 다른 기관에 퍼질경우 경과가 안좋다,

1: 혈액을 통해 퍼진다. 뇌나 다른 조직에서 form of solid tumor(혹)으로 퍼진다.

2: 임파관을 통해 주위 임파절에 퍼진다.

 뇌에 퍼질경우 뇌암이 아니라 전이된 백혈병(Metastatic Leukemia) 라고 부르고

 백혈병 치료와 동일하게 치료한다.

 하지만 만성 임파성백혈병에서는(CLL) Stage 0 - 4 로 구분한다.

Stage 0: 백혈구 수가 200,000/ml 이상 증가하지만 증상이 없는 경우.

Stage 1: 백혈구수가 증가하고 임파선이 정상보다 커진경우

Stage 2: 백혈구증가+임파선비대+비장비대(Splenomegaly)+간비대증

Stage 3: Stage 2 + 적혈구 감소

Stage 4: Stage 3 + 혈소판감소(Thrombocytopenia) 마지막 단계다.

 

경과(Prognosis): 치료 방법이 많이 발전하여 경과가 좋아지고 있다.

ALL(AcuteLymphocytic Leukemia;급성임파성 백혈병) 항암 치료로 75-85%

Remission(휴식기) 를 가져오며 완치율도 25-35% 에 이른다. 노인에 발생하는

만성임파성백혈병(CLL)은 치료없이도 경과가 일반적으로 매우 좋지만 골수성 백혈병은

경과가 임파성백혈병 보다 나쁘다. 골수이식이나 자가모혈세포 이식의 방법들이 개발되며

경과도 개선되고 있으며 완치도 가능하게 되었다.

물론 Stage 와 암세포의 분화(differentiation) 정도에 따라 경과가 많이 다르다.

재발시 일반적으로 경과가 좋지 않으므로 주기적 검사와 재발을 방지하여야 한다.

 

도움 기관(Resources or Help):

1: Leukemia & Lymphoma society; www.leukemia.org 800-955-4572

2: American Cancer society: www.cancer.org. 800-ACS-2345

3: National Cancer Institute: www.cancer.gov. 800-4-cancer

4: 국가암정보센터: www.cancer.go.kr(한국어)

 

기타 자세한 정보는 주치의나 혈액,암 전문의(Hemato-Oncologist)께 문의 바란다.

 

 

James Ha,MD

 

 

Dr.하명진(James Myungchin Ha,MD.)

 

카톨릭 의대 졸업(1977)한국의사 면허,

미국의사 면허

미국 Mt.Vernon Hospital 외과 인턴 수련

미국 병리학 전문의 (Downstate의대 부속 Brooklyn Hospital에서 해부 및 임상병리학 수련)

미국 내과학 전문의(Albert Einstein의대 부속 Flushing Hospital에서 내과 전문의 수련

현 하명진 내과 건강관리센터 원장

KAMHC(한미 기독 의료선교 협의회)뉴욕 이사

 

전: TKC TV내과 상담, 기독교TV 신앙과 건강 담당

당뇨병의 완전 정복 건강 Video 등 다수의 한국언론에 의료 칼럼 게재

CTS TV Documentary "행복"의 주인공

Tel: 718-353-5730

E-mail : jjed1975@optonline.net

 

 

 

 

 

 

 

 

 

 

[ⓒ 뉴욕코리아(www.newyorkkorea.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트위터 트위터 페이스북 페이스북
댓글 : 0
번호 제목 작성자 조회 등록일
60 여행시 필요한 상비약 (Essential Meds for travel) 과 준비 사항 [6] Dr.하명진 17891 2012-11-13
59 대사증후군 (Metabolic Syndrome) Dr.하명진 14213 2012-11-11
58 심방세동 (Atrial Fibrillation) Dr.하명진 13393 2012-11-08
57 폐결핵 (Pulmonary Tuberculosis) Dr.하명진 21084 2012-11-05
56 두통 (Headache) Dr.하명진 14953 2012-11-03
55 방광염 (Urinary Tract Infection) 68 [14] Dr.하명진 19253 2012-10-27
54 흡연과 건강 (Smoking & Health) [4] Dr.하명진 17292 2012-10-25
53 술과 건강(Alcoholism & Health) [1] Dr.하명진 14066 2012-10-22
52 불면증 (Insomnia) Dr.하명진 11056 2012-10-18
51 노년기의 건강관리(Geriatric Health) Dr.하명진 14501 2012-10-15
50 중년기의 건강관리(Healthy Midlife) Dr.하명진 12534 2012-10-11
49 설사(Diarrhea) Dr.하명진 12150 2012-10-09
48 변비(Constipation) Dr.하명진 12982 2012-10-06
47 전립선 비대증(BPH;Benign Prostatic Hyperplasia) Dr.하명진 14550 2012-10-03
46 천식 (Asthma) [1] Dr.하명진 12384 2012-09-29
45 독감(Influenza) Dr.하명진 12163 2012-09-26
44 알러지성 비염(Allergic Rhinitis:Hay Fever) [1] Dr.하명진 12323 2012-09-21
43 암(Cancer)의 예방, 위험신호, 종양표지자(Cancer Antigen) 검사 [2] Dr.하명진 14459 2012-09-18
42 여드름(Acne) Dr.하명진 12293 2012-09-12
41 구순 포진( Cold sore ) Dr.하명진 18711 2012-09-08
40 대상 포진(Shingles) Dr.하명진 12995 2012-09-05
39 웨스트나일 감염(West Nile Virus syndrome) Dr.하명진 12089 2012-09-01
38 아토피성 피부염 (Atopic Dermatitis) Dr.하명진 12229 2012-08-30
37 갑상선 기능 저하증 (Hypothyroidism) [1] Dr.하명진 11791 2012-08-27
36 갑상선 기능 항진증 (Hyperthyroidism) [3] Dr.하명진 16153 2012-08-22
35 라임병(Lyme Disease) Dr.하명진 11177 2012-08-20
34 류마티스 관절염(Rheumatoid Arthritis) Dr.하명진 11017 2012-08-16
33 통풍(Gout) Dr.하명진 11040 2012-08-14
32 신석증 (Nephrolithiasis: Kidney Stone) [5] Dr.하명진 14026 2012-08-03
31 담석증(Gall Stone or Cholelithiasis) Dr.하명진 10215 2012-07-31
30 전염성 간염(Hepatitis A) Dr.하명진 10812 2012-07-26
29 간 경화증(Liver Cirrhosis) Dr.하명진 10063 2012-07-24
28 지방간 (Fatty Liver) Dr.하명진 8774 2012-07-21
27 만성 B 형 간염(Chronic Hepatitis B) 2.치료법 Dr.하명진 11264 2012-07-19
26 만성 B형 간염 (Chronic Hepatitis B) 1. [2] Dr.하명진 13492 2012-07-17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회원정보
닉네임 Dr.하명진 (drjamesha)
가입일 2008-07-23
등급 운영자 (1)
활동
포인트 : 0
게시물 작성수 : 0
댓글 작성수 : 0
쪽지보내기
닉네임 Dr.하명진 (drjamesha)
제목
내용
(0/200바이트)
게시물 신고하기
게시판 성격에 맞지 않거나 불건전한 게시물을 운영자에게 신고할 수 있습니다.
운영자 확인 후 해당글 삭제조치 및 해당 회원에게 불이익이 갈 수 있습니다.
허위신고시에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니 신중하게 신고해주세요.
글 제목 백혈병 (Leukemia)...
글 작성자 Dr.하명진
신고이유
회사소개 | 개인정보취급방침 | 회원약관 | 고객지원센터 | 제휴 및 광고문의 | 광고안내   
 

 

Contact Us : 고객문의센터, Tel: 대표 201-674-5611

E-mail: newyorkkorea77@gmail.com, newyorkkorea@naver.com, 빠른카톡상담ID : newyorkkorea 

미국최대 대표포털 뉴욕코리아는 미국법률변호사고문 및 미국저작권법의 보호를 받고 있으며, 컨텐츠 및 기사의 무단 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  

Copyright (c) New York Korea, INC. News Media Group in US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