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정보
닉네임
가입일
2008-07-23
등급
운영자 (1)
활동
포인트 : 0 점
게시물 작성수 : 0 개
댓글 작성수 : 개
노준건
노준건학자금보조모든것
서류미비 학생의 대학 입학
작성자: 노준건
조회: 6291 등록일: 2012-06-25
서류미비 학생의 대학입학
현재 미국에는 매년 약 65,000명의 서류미비 학생들이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있다고 한다 . 이들 대부분은 5년이상 미국에 거주하였으며 어렸을 적 부모를 따라 미국에 와서 합법적인 체류자격이 없이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 미국은 교육문제에 대해서는 매우 관대하므로 이들이 공립학교 (중고등학교 )를 다니는 데에는 사실상 큰 문제가 되지 않고 있으며 , 실제로 1982년 미국 대법원에서도 이러한 학생들이 공립학교에 다니는 것을 허락하는 판시를 하였다 . 그러나 이들이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대학에 진학하려고 할 때에는 조금 양상이 달라진다 . 미국의 대학당국 역시 지금까지는 지원자의 이민신분에 대해 묵인해 오고 있기 때문에 서류미비 학생들이 대학진학을 하는 과정에서 문제가 생기는 것은 아니다 . 최근에 반미민정서로 인하여 죠지아주의 몇몇 대학들이 서류미비자의 합격을 취소하기는 했지만 아직까지 대부분의 주에서는 입학에 문제가 되지 않고 있다 . 하지만 비싼 학비는 큰 문제가 되고 있다 .
먼저 주립대학을 생각해 보자 . 주립대학은 해당 주 거주자의 대학교육을 위해 설립되었기 때문에 거주자는 특별한 학비할인의 혜택을 받는 대신 비거주자는 거주자에 비해 무척 비싼 학비를 내야만 한다 . 해당 주의 거주자학비 혜택을 받으려면 주마다 주법이 다르기는 하지만 대부분의 주들은 대학 입학 전 1년이상 해당 주에 거주한 이들에 한하여 혜택을 주고 있다 . 다시 말하면 해당 주에 있는 고등학교를 졸업해야 하는 것은 물론이고 부모도 해당 주에 거주하고 있어야 한다 . 문제는 서류미비 학생의 경우이다 . 이러한 요구조건을 모두 갖추고 있어도 적법한 체류신분이 없는 서류미비 학생에게는 거주자학비 혜택을 주지 않고 있는 주들이 대부분이다 . 또한 주립대학은 연방정부와 주정부로부터 보조받는 자금으로만 학자금보조를 해 주고 있기 때문에 서류미비 학생에겐 아무런 학자금보조 혜택이 없다 . 하지만 좋은 소식도 있다 . 지금까지 2001년 이후 텍사스 , 캘리포니아 , 유타 , 워싱톤 , 뉴욕 , 네브라스카 , 오클라호마 , 일리노이스 , 캔사스 , 뉴멕시코 등 10개 주에서만 서류미비 학생들에게 거주자학비 혜택을 주고 있었는데 최근에 메릴랜드주에서도 이 혜택을 주기로 의회에서 통과가 되었고 현재 콜로라도 주에서도 의회통과를 앞두고 있어 모두 12개 주에서 거주자학비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된다 .
사립대학은 어떠한가 ? 사립대학의 경우는 거주자나 비거주자나 모두 동일한 학비를 내게 되어 있으며 , 학자금보조는 정부에서 주는 것이외에도 학교 자체에서 주는 것이 있으므로 서류미비 학생이라 하더라도 학자금보조를 받을 수가 있다 .
그러면 어떻게 하면 서류미비 학생들이 비싼 학비에 대한 부담 없이 공부를 할 수 있을까 ? 필자의 생각으로는 부모님의 환경이 허락된다면 위에 언급한 11 또는 12개 주중 하나로 이사를 가서 거주자학비 혜택을 받는 것이 최선이 아닐까 한다 . 그리고 학비가 싼 2년제 커뮤니티대학을 이용하는 것이다 . 일단 커뮤니티대학을 졸업한 후 정규 4년제 대학으로 편입하는 것은 아무 문제가 되지 않는다 . 특히 영주권을 1-2 년내에 받을 수 있는 분들에게는 더 없이 좋은 방법이다 . 커뮤니티대학에서 거주자학비 혜택을 받으며 다니다가 영주권을 받고 나서 정규대학으로 편입하면 정부나 해당주에서 주는 학자금보조를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 미국사람들과는 달리 한국부모들은 대부분이 자녀가 커뮤니티대학에 가는 것을 무척 창피하게 생각하는데 그럴 필요가 없다 . 왜냐하면 자녀의 출신대학은 졸업한 대학이지 입학한 대학이 아니고 , 실제로 커뮤니티대학을 졸업한 후 아이비리그의 사립대학으로 진학하는 학생들도 많이 있고 , 다 자기 하기 나름인 것이다 .
또 사립대학 중에는 서류미비 학생에게도 장학금을 지불하는 학교들이 있으므로 , 학생이 공부를 잘하는 경우에는 처음부터 이런 사립대학을 시도해 볼 수도 있다 . 미국에서는 여러학교를 동시에 지원할 수 있으므로 사립대학 , 주립대학 , 커뮤니티대학 등을 모두 지원하고 입학허가를 받은 후 4월에 가정형편에 맞추어서 최종적으로 학교를 선택하면 된다 .
2003년 7월 31일 Orrin Hatch(R-UT) 상원의원과 8명의 상원의원의 공동 발의로 시작된 드림법안 (DREAM Act)이 여러번 의회의 통과가 무산되고 있지만 , 연례행사처럼 매년 재상정되고 있다 . 언제 통과되어 실현이 될 지는 아무도 모르지만 반드시 희망을 갖고 혹시라도 자녀들이 체류신분때문에 비관하여 학업에 손을 놓는 일이 없도록 부모님들께서는 자녀들에게 늘 관심을 갖고 격려해 주시기를 바란다 .
노준건 학자금재정전문가
‘교육과미래 ’ 대표
(718) 281-4888
노준건 학자금재정전문가
.'교육과 미래' 대표
. 컬럼니스트
. 각종 일간신문.주간지및 인터넷신문
(중앙일보.한국일보.뉴욕일보.미주교육신문
. 국민일보.기독신문.시카고트리뷴.
UKOPIA.Doremihouse 등
. Tel: 718-281-4888(NY)
. 201-679-8460(NJ)
. Web: www.finaidcollege.com
. e-mail:finaid52@gmail.com
[ⓒ 뉴욕코리아( www.newyorkkorea.net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P style="MARGIN: 0in 0in 0pt" class=MsoNormal><FONT color=#000000><FONT face=돋움><SPAN style="FONT-SIZE: 11pt"><SPAN lang=KO></SPAN></SPAN></FONT></FONT> </P>
<P style="MARGIN: 0in 0in 0pt" class=MsoNormal><FONT color=#000000><FONT face=돋움><SPAN style="FONT-SIZE: 11pt"><SPAN lang=KO></SPAN></SPAN></FONT></FONT> </P><FONT color=#000000><FONT face=돋움><SPAN style="FONT-SIZE: 11pt"><SPAN lang=KO>
<P style="TEXT-ALIGN: center; MARGIN: 0in 0in 0pt" class=MsoNormal align=center><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 FONT-SIZE: 11pt; mso-ascii-theme-font: minor-fareast; mso-fareast-theme-font: minor-fareast; mso-hansi-theme-font: minor-fareast" lang=KO><STRONG><FONT size=4>서류미비 학생의 대학입학</FONT></STRONG></SPAN></P>
<P style="TEXT-ALIGN: center; MARGIN: 0in 0in 0pt" class=MsoNormal align=center><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 FONT-SIZE: 11pt; mso-ascii-theme-font: minor-fareast; mso-fareast-theme-font: minor-fareast; mso-hansi-theme-font: minor-fareast" lang=KO></SPAN> </P>
<P style="TEXT-ALIGN: center; MARGIN: 0in 0in 0pt" class=MsoNormal align=center><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 FONT-SIZE: 11pt; mso-ascii-theme-font: minor-fareast; mso-fareast-theme-font: minor-fareast; mso-hansi-theme-font: minor-fareast" lang=KO><STRONG><FONT size=4></FONT></STRONG></SPAN><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 FONT-SIZE: 11pt; mso-ascii-theme-font: minor-fareast; mso-fareast-theme-font: minor-fareast; mso-hansi-theme-font: minor-fareast"><?xml: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o:p></o:p></SPAN> </P>
<P style="MARGIN: 0in 0in 0pt" class=MsoNormal><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 FONT-SIZE: 11pt; mso-ascii-theme-font: minor-fareast; mso-fareast-theme-font: minor-fareast; mso-hansi-theme-font: minor-fareast"><BR><SPAN style="mso-spacerun: yes"> </SPAN><FONT color=#303030><SPAN lang=KO>현재 미국에는 매년 약</SPAN> 65,000<SPAN lang=KO>명의 서류미비 학생들이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있다고 한다</SPAN>. <SPAN lang=KO>이들 대부분은</SPAN> 5<SPAN lang=KO>년이상 미국에 거주하였으며 어렸을 적 부모를 따라 미국에 와서 합법적인 체류자격이 없이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SPAN>. <SPAN lang=KO>미국은 교육문제에 대해서는 매우 관대하므로 이들이 공립학교</SPAN>(<SPAN lang=KO>중고등학교</SPAN>)<SPAN lang=KO>를 다니는 데에는 사실상 큰 문제가 되지 않고 있으며</SPAN>, <SPAN lang=KO>실제로</SPAN> 1982<SPAN lang=KO>년 미국 대법원에서도 이러한 학생들이 공립학교에 다니는 것을 허락하는 판시를 하였다</SPAN>. <SPAN lang=KO>그러나 이들이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대학에 진학하려고 할 때에는 조금 양상이 달라진다</SPAN>. <SPAN lang=KO>미국의 대학당국 역시 지금까지는 지원자의 이민신분에 대해 묵인해 오고 있기 때문에 서류미비 학생들이 대학진학을 하는 과정에서 문제가 생기는 것은 아니다</SPAN>. <SPAN lang=KO>최근에 반미민정서로 인하여 죠지아주의 몇몇 대학들이 서류미비자의 합격을 취소하기는 했지만 아직까지 대부분의 주에서는 입학에 문제가 되지 않고 있다</SPAN>.<SPAN style="mso-spacerun: yes"> </SPAN><SPAN lang=KO>하지만 비싼 학비는 큰 문제가 되고 있다</SPAN>.<o:p></o:p></FONT></SPAN></P>
<P style="MARGIN: 0in 0in 0pt" class=MsoNormal><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 FONT-SIZE: 11pt; mso-ascii-theme-font: minor-fareast; mso-fareast-theme-font: minor-fareast; mso-hansi-theme-font: minor-fareast"><o:p><FONT color=#303030> </FONT></o:p></SPAN></P>
<P style="MARGIN: 0in 0in 0pt" class=MsoNormal><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 FONT-SIZE: 11pt; mso-ascii-theme-font: minor-fareast; mso-fareast-theme-font: minor-fareast; mso-hansi-theme-font: minor-fareast"><FONT color=#303030><SPAN style="mso-spacerun: yes"> </SPAN><SPAN lang=KO>먼저 주립대학을 생각해 보자</SPAN>. <SPAN lang=KO>주립대학은 해당 주 거주자의 대학교육을 위해 설립되었기 때문에 거주자는 특별한 학비할인의 혜택을 받는 대신 비거주자는 거주자에 비해 무척 비싼 학비를 내야만 한다</SPAN>. <SPAN lang=KO>해당 주의 거주자학비 혜택을 받으려면 주마다 주법이 다르기는 하지만 대부분의 주들은 대학 입학 전</SPAN> 1<SPAN lang=KO>년이상 해당 주에 거주한 이들에 한하여 혜택을 주고 있다</SPAN>. <SPAN lang=KO>다시 말하면 해당 주에 있는 고등학교를 졸업해야 하는 것은 물론이고 부모도 해당 주에 거주하고 있어야 한다</SPAN>. <SPAN lang=KO>문제는 서류미비 학생의 경우이다</SPAN>. <SPAN lang=KO>이러한 요구조건을 모두 갖추고 있어도 적법한 체류신분이 없는 서류미비 학생에게는 거주자학비 혜택을 주지 않고 있는 주들이 대부분이다</SPAN>. <SPAN lang=KO>또한 주립대학은 연방정부와 주정부로부터 보조받는 자금으로만 학자금보조를 해 주고 있기 때문에 서류미비 학생에겐 아무런 학자금보조 혜택이 없다</SPAN>. <SPAN lang=KO>하지만 좋은 소식도 있다</SPAN>. <SPAN lang=KO>지금까지 </SPAN>2001<SPAN lang=KO>년 이후 텍사스</SPAN>, <SPAN lang=KO>캘리포니아</SPAN>, <SPAN lang=KO>유타</SPAN>, <SPAN lang=KO>워싱톤</SPAN>, <SPAN lang=KO>뉴욕</SPAN>, <SPAN lang=KO>네브라스카</SPAN>, <SPAN lang=KO>오클라호마</SPAN>, <SPAN lang=KO>일리노이스</SPAN>, <SPAN lang=KO>캔사스</SPAN>, <SPAN lang=KO>뉴멕시코 등</SPAN> 10<SPAN lang=KO>개 주에서만 서류미비 학생들에게 거주자학비 혜택을 주고 있었는데 최근에 메릴랜드주에서도 이 혜택을 주기로 의회에서 통과가 되었고 현재 콜로라도 주에서도 의회통과를 앞두고 있어 모두</SPAN> 12<SPAN lang=KO>개 주에서 거주자학비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된다</SPAN>. <o:p></o:p></FONT></SPAN></P>
<P style="MARGIN: 0in 0in 0pt" class=MsoNormal><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 FONT-SIZE: 11pt; mso-ascii-theme-font: minor-fareast; mso-fareast-theme-font: minor-fareast; mso-hansi-theme-font: minor-fareast"><o:p><FONT color=#303030> </FONT></o:p></SPAN></P>
<P style="MARGIN: 0in 0in 0pt" class=MsoNormal><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 FONT-SIZE: 11pt; mso-ascii-theme-font: minor-fareast; mso-fareast-theme-font: minor-fareast; mso-hansi-theme-font: minor-fareast"><FONT color=#303030><SPAN style="mso-spacerun: yes"> </SPAN><SPAN lang=KO>사립대학은 어떠한가</SPAN>? <SPAN lang=KO>사립대학의 경우는 거주자나 비거주자나 모두 동일한 학비를 내게 되어 있으며</SPAN>, <SPAN lang=KO>학자금보조는 정부에서 주는 것이외에도 학교 자체에서 주는 것이 있으므로 서류미비 학생이라 하더라도 학자금보조를 받을 수가 있다</SPAN>.<o:p></o:p></FONT></SPAN></P>
<P style="MARGIN: 0in 0in 0pt" class=MsoNormal><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 FONT-SIZE: 11pt; mso-ascii-theme-font: minor-fareast; mso-fareast-theme-font: minor-fareast; mso-hansi-theme-font: minor-fareast"><o:p><FONT color=#303030> </FONT></o:p></SPAN></P>
<P style="MARGIN: 0in 0in 0pt" class=MsoNormal><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 FONT-SIZE: 11pt; mso-ascii-theme-font: minor-fareast; mso-fareast-theme-font: minor-fareast; mso-hansi-theme-font: minor-fareast"><FONT color=#303030><SPAN style="mso-spacerun: yes"> </SPAN><SPAN lang=KO>그러면 어떻게 하면 서류미비 학생들이 비싼 학비에 대한 부담 없이 공부를 할 수 있을까</SPAN>? <SPAN lang=KO>필자의 생각으로는 부모님의 환경이 허락된다면 위에 언급한</SPAN> 11 <SPAN lang=KO>또는</SPAN> 12<SPAN lang=KO>개 주중 하나로 이사를 가서 거주자학비 혜택을 받는 것이 최선이 아닐까 한다</SPAN>. <SPAN lang=KO>그리고 학비가 싼</SPAN> 2<SPAN lang=KO>년제 커뮤니티대학을 이용하는 것이다</SPAN>. <SPAN lang=KO>일단 커뮤니티대학을 졸업한 후 정규</SPAN> 4<SPAN lang=KO>년제 대학으로 편입하는 것은 아무 문제가 되지 않는다</SPAN>. <SPAN lang=KO>특히 영주권을</SPAN> 1-2 <SPAN lang=KO>년내에 받을 수 있는 분들에게는 더 없이 좋은 방법이다</SPAN>. <SPAN lang=KO>커뮤니티대학에서 거주자학비 혜택을 받으며 다니다가 영주권을 받고 나서 정규대학으로 편입하면 정부나 해당주에서 주는 학자금보조를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SPAN>. <SPAN lang=KO>미국사람들과는 달리 한국부모들은 대부분이 자녀가 커뮤니티대학에 가는 것을 무척 창피하게 생각하는데 그럴 필요가 없다</SPAN>. <SPAN lang=KO>왜냐하면 자녀의 출신대학은 졸업한 대학이지 입학한 대학이 아니고</SPAN>, <SPAN lang=KO>실제로 커뮤니티대학을 졸업한 후 아이비리그의 사립대학으로 진학하는 학생들도 많이 있고</SPAN>, <SPAN lang=KO>다 자기 하기 나름인 것이다</SPAN>.<o:p></o:p></FONT></SPAN></P>
<P style="MARGIN: 0in 0in 0pt" class=MsoNormal><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 FONT-SIZE: 11pt; mso-ascii-theme-font: minor-fareast; mso-fareast-theme-font: minor-fareast; mso-hansi-theme-font: minor-fareast"><o:p><FONT color=#303030> </FONT></o:p></SPAN></P>
<P style="MARGIN: 0in 0in 0pt" class=MsoNormal><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 FONT-SIZE: 11pt; mso-ascii-theme-font: minor-fareast; mso-fareast-theme-font: minor-fareast; mso-hansi-theme-font: minor-fareast"><FONT color=#303030><SPAN style="mso-spacerun: yes"> </SPAN><SPAN lang=KO>또 사립대학 중에는 서류미비 학생에게도 장학금을 지불하는 학교들이 있으므로</SPAN>, <SPAN lang=KO>학생이 공부를 잘하는 경우에는 처음부터 이런 사립대학을 시도해 볼 수도 있다</SPAN>. <SPAN lang=KO>미국에서는 여러학교를 동시에 지원할 수 있으므로 사립대학</SPAN>, <SPAN lang=KO>주립대학</SPAN>, <SPAN lang=KO>커뮤니티대학 등을 모두 지원하고 입학허가를 받은 후 </SPAN>4<SPAN lang=KO>월에 가정형편에 맞추어서 최종적으로 학교를 선택하면 된다</SPAN>. <o:p></o:p></FONT></SPAN></P>
<P style="MARGIN: 0in 0in 0pt" class=MsoNormal><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 FONT-SIZE: 11pt; mso-ascii-theme-font: minor-fareast; mso-fareast-theme-font: minor-fareast; mso-hansi-theme-font: minor-fareast"><o:p><FONT color=#303030> </FONT></o:p></SPAN></P>
<P style="MARGIN: 0in 0in 0pt" class=MsoNormal><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 FONT-SIZE: 11pt; mso-ascii-theme-font: minor-fareast; mso-fareast-theme-font: minor-fareast; mso-hansi-theme-font: minor-fareast"><FONT color=#303030><SPAN style="mso-spacerun: yes"> </SPAN>2003<SPAN lang=KO>년</SPAN> 7<SPAN lang=KO>월</SPAN> 31<SPAN lang=KO>일</SPAN> Orrin Hatch(R-UT) <SPAN lang=KO>상원의원과</SPAN> 8<SPAN lang=KO>명의 상원의원의 공동 발의로 시작된 드림법안</SPAN>(DREAM Act)<SPAN lang=KO>이 여러번 의회의 통과가 무산되고 있지만</SPAN>, <SPAN lang=KO>연례행사처럼 매년 재상정되고 있다</SPAN>. <SPAN lang=KO>언제 통과되어 실현이 될 지는 아무도 모르지만 반드시 희망을 갖고 혹시라도 자녀들이 체류신분때문에 비관하여 학업에 손을 놓는 일이 없도록 부모님들께서는 자녀들에게 늘 관심을 갖고 격려해 주시기를 바란다</SPAN>. <o:p></o:p></FONT></SPAN></P>
<P style="MARGIN: 0in 0in 0pt" class=MsoNormal><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 FONT-SIZE: 11pt; mso-ascii-theme-font: minor-fareast; mso-fareast-theme-font: minor-fareast; mso-hansi-theme-font: minor-fareast"><o:p><FONT color=#303030> </FONT></o:p></SPAN></P>
<P style="MARGIN: 0in 0in 0pt" class=MsoNormal><FONT color=#303030><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 FONT-SIZE: 11pt; mso-ascii-theme-font: minor-fareast; mso-fareast-theme-font: minor-fareast; mso-hansi-theme-font: minor-fareast" lang=KO>노준건 학자금재정전문가</SPAN><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 FONT-SIZE: 11pt; mso-ascii-theme-font: minor-fareast; mso-fareast-theme-font: minor-fareast; mso-hansi-theme-font: minor-fareast"><o:p></o:p></SPAN></FONT></P>
<P style="MARGIN: 0in 0in 0pt" class=MsoNormal><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 FONT-SIZE: 11pt; mso-ascii-theme-font: minor-fareast; mso-fareast-theme-font: minor-fareast; mso-hansi-theme-font: minor-fareast"><FONT color=#303030>‘<SPAN lang=KO>교육과미래</SPAN>’ <SPAN lang=KO>대표</SPAN><o:p></o:p></FONT></SPAN></P>
<P style="MARGIN: 0in 0in 0pt" class=MsoNormal><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 FONT-SIZE: 11pt; mso-ascii-theme-font: minor-fareast; mso-fareast-theme-font: minor-fareast; mso-hansi-theme-font: minor-fareast"><FONT color=#303030>(718) 281-4888<o:p></o:p></FONT></SPAN></P>
<P style="MARGIN: 0in 0in 0pt" class=MsoNormal></SPAN></SPAN></FONT></FONT> </P>
<P style="MARGIN: 0in 0in 0pt" class=MsoNormal><FONT color=#000000><FONT face=돋움><SPAN style="FONT-SIZE: 11pt"><SPAN lang=KO></SPAN></SPAN></FONT></FONT> </P>
<P style="MARGIN: 0in 0in 0pt" class=MsoNormal><FONT color=#000000><FONT face=돋움><SPAN style="FONT-SIZE: 11pt"><SPAN lang=KO></SPAN></SPAN></FONT></FONT> </P>
<P style="MARGIN: 0in 0in 0pt" class=MsoNormal><FONT color=#000000><FONT face=돋움><SPAN style="FONT-SIZE: 11pt"><SPAN lang=KO></SPAN></SPAN></FONT></FONT> </P>
<P style="MARGIN: 0in 0in 0pt" class=MsoNormal><FONT color=#000000><FONT color=#555555 face=돋움><SPAN style="FONT-SIZE: 11pt"><SPAN lang=KO></SPAN></SPAN></FONT></FONT> </P>
<P style="MARGIN: 0in 0in 0pt" class=MsoNormal><FONT color=#000000><FONT face=돋움><SPAN style="FONT-SIZE: 11pt"><SPAN lang=KO></SPAN></SPAN></FONT></FONT> </P>
<P style="MARGIN: 0in 0in 0pt" class=MsoNormal><FONT color=#000000><FONT face=돋움><SPAN style="FONT-SIZE: 11pt"><SPAN lang=KO><IMG align=absMiddle src="/rankup_module/rankup_board/attach/educolumn/12971888182421.jpg" width=100></SPAN></SPAN></FONT></FONT> </P>
<P style="MARGIN: 0in 0in 0pt" class=MsoNormal> </P>
<P style="MARGIN: 0in 0in 0pt" class=MsoNormal><STRONG> 노준건 학자금재정전문가</STRONG></P><!--StartFragment-->
<P class=바탕글><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 FONT-SIZE: 12pt; mso-hansi-font-family: 맑은 고딕; mso-fareast-font-family: 맑은 고딕" lang=EN-US><FONT color=#000000 size=2></FONT></SPAN> </P>
<P class=바탕글><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 FONT-SIZE: 12pt; mso-hansi-font-family: 맑은 고딕; mso-fareast-font-family: 맑은 고딕" lang=EN-US><FONT color=#000000 size=2>.'교육과 미래' 대표</FONT></SPAN></P><!--StartFragment-->
<P class=바탕글><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 mso-hansi-font-family: 맑은 고딕; mso-fareast-font-family: 맑은 고딕" lang=EN-US><FONT color=#000000>. 컬럼니스트</FONT></SPAN></P>
<P class=바탕글><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 mso-hansi-font-family: 맑은 고딕; mso-fareast-font-family: 맑은 고딕" lang=EN-US><FONT color=#000000>. 각종 일간신문.주간지및 인터넷신문</FONT></SPAN></P>
<P class=바탕글><FONT color=#000000> </FONT><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 mso-hansi-font-family: 맑은 고딕; mso-fareast-font-family: 맑은 고딕" lang=EN-US><FONT color=#000000>(중앙일보.한국일보.뉴욕일보.미주교육신문</FONT></SPAN></P>
<P class=바탕글><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 mso-hansi-font-family: 맑은 고딕; mso-fareast-font-family: 맑은 고딕" lang=EN-US><FONT color=#000000>. 국민일보.기독신문.시카고트리뷴.</FONT></SPAN></P>
<P class=바탕글><FONT color=#000000> </FONT><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 mso-hansi-font-family: 맑은 고딕; mso-fareast-font-family: 맑은 고딕" lang=EN-US><FONT color=#000000>UKOPIA.Doremihouse 등</FONT></SPAN></P>
<P class=바탕글><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 mso-hansi-font-family: 맑은 고딕; mso-fareast-font-family: 맑은 고딕" lang=EN-US><FONT color=#000000>. Tel: 718-281-4888(NY)</FONT></SPAN></P>
<P class=바탕글><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 mso-hansi-font-family: 맑은 고딕; mso-fareast-font-family: 맑은 고딕" lang=EN-US><FONT color=#000000><FONT face=돋움>. </FONT>201-679-8460(NJ)</FONT></SPAN></P>
<P class=바탕글><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 mso-hansi-font-family: 맑은 고딕; mso-fareast-font-family: 맑은 고딕" lang=EN-US><FONT color=#000000>. Web: <A href="http://www.finaidcollege.com/">www.finaidcollege.com</A></FONT></SPAN></P>
<P class=바탕글><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 mso-hansi-font-family: 맑은 고딕; mso-fareast-font-family: 맑은 고딕" lang=EN-US><FONT color=#000000>. e-mail:finaid52@gmail.com</FONT></SPAN></P>
<P> </P>
<P> </P>
<P><SPAN style="FONT-FAMILY: verdana; COLOR: rgb(0,0,0)"><FONT size=3><SPAN style="FONT-FAMILY: verdana; COLOR: rgb(0,0,0)"><FONT color=#000000 size=3>[ⓒ 뉴욕코리아(</FONT><A style="COLOR: rgb(53,53,53); TEXT-DECORATION: none" href="http://www.newyorkkorea.net/" target=_blank><FONT color=#000000 size=3>www.newyorkkorea.net</FONT></A><FONT color=#000000><FONT size=3><FONT color=#000000>),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FONT></FONT></FONT></SPAN></FONT></SPAN></P>
<P><SPAN style="FONT-FAMILY: verdana; COLOR: rgb(0,0,0)"><FONT size=3><SPAN style="FONT-FAMILY: verdana; COLOR: rgb(0,0,0)"></SPAN></FONT></SPAN></P>
<P><SPAN style="FONT-FAMILY: verdana; COLOR: rgb(0,0,0)"><FONT size=3><SPAN style="FONT-FAMILY: verdana; COLOR: rgb(0,0,0)"></SPAN></P>
<P style="PADDING-BOTTOM: 0px; MARGIN: 0px; PADDING-LEFT: 0px; PADDING-RIGHT: 0px; WORD-WRAP: normal; WORD-BREAK: normal; PADDING-TOP: 0px"><SPAN style="FONT-FAMILY: verdana; COLOR: rgb(0,0,0)"></SPAN></P>
<P style="PADDING-BOTTOM: 0px; MARGIN: 0px; PADDING-LEFT: 0px; PADDING-RIGHT: 0px; WORD-WRAP: normal; WORD-BREAK: normal; PADDING-TOP: 0px"><SPAN style="FONT-FAMILY: verdana; COLOR: rgb(0,0,0)"><FONT size=3></FONT></SPAN></P>
<P style="PADDING-BOTTOM: 0px; MARGIN: 0px; PADDING-LEFT: 0px; PADDING-RIGHT: 0px; WORD-WRAP: normal; WORD-BREAK: normal; PADDING-TOP: 0px"><SPAN style="FONT-FAMILY: verdana; COLOR: rgb(0,0,0)"><FONT size=3></FONT></SPAN></P>
<P style="PADDING-BOTTOM: 0px; MARGIN: 0px; PADDING-LEFT: 0px; PADDING-RIGHT: 0px; WORD-WRAP: normal; WORD-BREAK: normal; PADDING-TOP: 0px"><SPAN style="FONT-FAMILY: verdana; COLOR: rgb(0,0,0)"><FONT size=1 face=Arial></FONT></SPAN></P>
<P style="PADDING-BOTTOM: 0px; MARGIN: 0px; PADDING-LEFT: 0px; PADDING-RIGHT: 0px; WORD-WRAP: normal; WORD-BREAK: normal; PADDING-TOP: 0px"></P>
<P style="PADDING-BOTTOM: 0px; MARGIN: 0px; PADDING-LEFT: 0px; PADDING-RIGHT: 0px; WORD-WRAP: normal; WORD-BREAK: normal; PADDING-TOP: 0px"></P>
<P style="PADDING-BOTTOM: 0px; MARGIN: 0px; PADDING-LEFT: 0px; PADDING-RIGHT: 0px; WORD-WRAP: normal; WORD-BREAK: normal; PADDING-TOP: 0px"></P><?xml:namespace prefix = fb /><fb:send href="http://www.facebook.com/New.York.Korea" font=""></fb:send>
<P></P><!-- Facebook Badge START -->
<P></P>
<P style="PADDING-BOTTOM: 0px; MARGIN: 0px; PADDING-LEFT: 0px; PADDING-RIGHT: 0px; WORD-WRAP: normal; WORD-BREAK: normal; PADDING-TOP: 0px"><A href="http://www.twitter.com/newyorkkorea"><IMG alt="newyorkkorea를 트위터에서 팔로우하기" src="http://twitter-badges.s3.amazonaws.com/twitter-a.png"></A> <A class=twitter-share-button href="http://twitter.com/share" data-via="newyorkkorea" data-count="none" data-lang="ko">트윗하기</A> </P></FONT></SPAN><!---twitter----></FONT><FONT color=#555555 size=1 face=돋움></FONT></SPAN>
<P></P></SPAN>
회원정보
닉네임
노준건 (mrho52)
가입일
2008-07-23
등급
운영자 (1)
활동
포인트 : 0 점
게시물 작성수 : 0 개
댓글 작성수 : 개
쪽지보내기
게시물 신고하기
게시판 성격에 맞지 않거나 불건전한 게시물을 운영자에게 신고할 수 있습니다.
운영자 확인 후 해당글 삭제조치 및 해당 회원에게 불이익이 갈 수 있습니다.
허위신고시에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니 신중하게 신고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