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코리아    SF    Boston    Washington D.C    Chicago    Atlanta    Canada
NewsLife InfoRealtySell & BuyJobsHealthCultureFood/TourIssueYellowPageShopping
회원가입 아이디/비밀번호찾기
Health
건강상담
닥터건강상담QA
병원정보
병원.의료뉴스공지
병원정보Q/A
응급조치 상식
의료보험 상담/정보
내과
하명진 내과칼럼
소아청소년과
이상원 소아과전문의
성형외과
이신지 성형외과칼럼
통증치료과
김치갑 통증치료칼럼
하명훈 통증재활칼럼
*통증관련 도움VOD
*치과관련 VOD
한의학/한방과
간송 한의학 칼럼
김홍순 한의학칼럼
동물병원
김기택 애완동물칼럼
안과
조민희 망막전문안과
▶추천 전문병원
★추천병원 파워리스트
추천병원탐방
병원집중탐방 인터뷰
라이프 건강
증상 관련 해법정보
웰빙 부르는건강상식
건강에 좋은추천음식
건강웰빙 운동
인체의 구조
건강정보교환해요
자유게시판
힐링 명상음악듣기
 
 
 
 
 
 
 
 
 
회원정보
닉네임
가입일 2008-07-23
등급 운영자 (1)
활동
포인트 : 0
게시물 작성수 : 0
댓글 작성수 : 0
쪽지보내기
받을아이디
제목
내용
(0/200바이트)
 
> Health > 병원정보 > 응급조치 상식
응급조치 상식
***응급상황에 따른 조치법***
작성자: van 조회: 5785 등록일: 2011-12-01
응급상황에 따른 조치법

응급증상 응급처치법
귀에 이물질이
들어갔을 때
-급히 귀쑤시개로 긁어내면 더 깊숙이 들어갈 수도 있습니다.
-회중전등으로 귀 입구에 빛을 쪼이거나 스포이드에 물이나 올리브를 묻혀 흘려 넣으면
벌레가 나오거나 죽습니다.
-이런 방법이 모두 실패하였다면 빨리 의사의 치료를 받으세요.
코에 이물질이
들어갔을 때
-코를 풀게 합니다. 그렇지 못하다면 의사 치료를 받습니다.
눈에 이물질이
들어갔을 때
-아래·위 눈꺼풀을 뒤집어보아 이물질의 위치를 확인합니다.
-깨끗한 가제수건의 모서리를 약간 적셔 가만히 닦아냅니다.
-이물이 보이지 않으면 연한 소금물에 씻겨보거나, 눈물에 씻겨 나오는 수도 있습니다.
목구멍에 이물질이
들어갔을 때
-아기의 입천장을 따라 목 깊숙이 숟가락을 넣고 토하게 합니다.
-기름을 약간 먹여 위 속으로 보낸 다음 대변을 통해 배설시킵니다.
-못이나 핀 등을 삼키고 괴로워하면 즉시 이비인후과의 전문의에게 보여야 합니다.
특히 배터리를 삼켰을 때는 매우 위험하므로 내시경을 통해 즉시 제거해야 합니다.
벌레에 물렸을 때 -모기, 개미, 벌, 빈대 등에 물렸을 때는 바로 암모니아수나 2%의 중조수를 바릅니다.
-피부가 빨갛게 부어오르면 항히스타민제 연고나 올리브유를 발라줍니다.
(*중조수: 물 100cc에 중탄산소다 작은 수저 한 스푼.)
화상 -직경 2.5cm 이하의 가벼운 화상을 제외한 모든 화상과 열창상은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병원처치를 생각하여 중화상을 입은 아기에게 먹을 것이나 마실 것을 주어서는 안됩니다.
-노출부위의 화상은 깨끗하고 마른 붕대로 감아 응급처치하고, 즉시 의사의 치료를 받습니다.
-가벼운 화상은 상처부위를 흐르는 수도물에 10~20분간 식힌 다음, 와셀린이나 붕산연고를
가제에 발라 덮어줍니다.
-수포가 생기면 터뜨리지 말고 치료합니다.
-옷을 입은 채로 뜨거운 물에 데었을 때는 빨리 옷을 벗기고 찬물에 상처부위를 담근 다음
병원으로 갑니다.
약물사고 -우선 안정시키고, 먹거나 마실 것은 주지 않습니다.
-아기가 토하면 구토물을 함께 싸가지고 병원에 갑니다.
-의식이 없으면 아기를 엎드려 놓고 머리를 옆으로 돌려 뒤쪽으로 기울인 다음 그쪽 팔·다리를
끌어올립니다. 토할 때 생길 수있는 질식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아기가 숨을 쉬고 있지 않으면 인공호흡을 하면서 병원에 데리고 갑니다.
찰과상 -작은 상처는 깨끗이 씻어준 다음 소독하여 붕대를 감아줍니다.
-깊거나 푹 패인 상처는 이물질의 감염이 우려되므로 소독한 다음 의사의 치료를 받습니다.
-파상풍 예방주사를 맞지 않은 아기가 동물에게 물렸다면 바로 의사에게 보이고 필요한 처치를
받아야 합니다.
-머리부분에 난 상처는 붕대를 감기가 힘들며, 작은 상처도 생기지 않도록 주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골절 -다친 부위는 가능한 한 움직이지 않도록 하고, 즉시 병원으로 옮깁니다. 부러진 팔은 몸통에 붙여
삼각건 안에 움직이지 못하게 고정시킵니다.
-수술이 필요한 경우도 있으므로 마실 거나 먹을 것을 주지 않아야 합니다.
머리를 다쳤을 때 -24시간 정도는 계속하여 상태를 지켜봅니다.
-다친 후에 곧바로 안색이 창백해지고 의식을 잃어버리거나, 비틀거리며 조는 경우, 또 코 귀
입에서 피가 나면 아기를 따뜻하게 감싸안고 가장 가까운 병원의 응급실로 갑니다.
-처음엔 괜찮았으나 얼마후 갑자기 졸거나 토하고 의식을 잃은 경우에도 병원으로 갑니다.
아기가 머리를 다친 후 졸 경우에는 정상적인 잠인지 아닌지를 반드시 관찰해야 합니다.
쇼크와 의식불명 -아기를 눕혀서 진정시키고 담요로 덮어줍니다.
-심한 쇼크로 의사의 처치가 필요하다면 먹을 것과 마실 것을 주지 않습니다.
-의식이 없을 때는 우선 질식하지 않도록 합니다. 숨쉬는 게 확실하다면 앞으로 돌리게 한 다음
상체를 뒤로 기울이고 손발을 같은 쪽으로 향하게 합니다. 그래야 토하더라도 질식하는
일은 없어집니다.
-의식을 잃은 아기는 졸려서 자는 아기와는 달리 코를 곤다는 것이 특징입니다. 의식을 잃은 후
곧바로 흔들어보아 얼른 깨어나지 않거나 깨어나는 시간이 길면 의사의 검진을 받습니다.
졸도/경련/질식 -아기가 졸도했을 때는 머리를 높게 하고 차게 합니다.
-목욕 중 안색이 나빠지면서 축 늘어지는 경우는 뇌의 허혈 증세이므로 머리를 낮춰야 합니다.
-경련을 일으킨 아기는 조용히 뉘고, 의복을 느슨하게 해주며, 머리를 차게 합니다.
가제 수건을 이와 이 사이에 물려 혀 깨물 위험을 방지합니다.
-아기가 졸도했을 때는 수분 이내에 회복시켜 주어야 합니다. 경련이 잦으면 수막염이나
뇌염일 수 있으므로 의사에게 보입니다.
-질식했을 때는, 아기의 다리를 잡고 거꾸로 세운 다음 등을 세게 쳐줍니다.
질식을 예방하기 위해 아기 몸을 어른 무릎에 구부리게 하고 머리를 밑으로 향하게 합니다.
아기는 삼킨 것을 토해 낼 수 있습니다. 직접 손가락을 넣어 기도를 막은 물질을 꺼내려는
것은 위험합니다.
-오랜 시간 질식상태가 계속 되면 응급처치를 계속하면서 숨쉬는 상태를 살펴봅니다.
-아기가 숨쉬기를 멈추면 인공호흡을 실시합니다.
전기쇼크 -심한 감전을 받았을 때는 재빨리 스위치를 끕니다. 이때 절대로 아기 몸에 손을 대지 마십시오.
-감전으로 아기가 의식을 잃었다면 심장마사지를 한 다음 인공호흡을 실시합니다.
-아기 스스로 호흡을 시작하면 따뜻하게 안정시킵니다.
-가벼운 감전에는 재빨리 아기를 떼어놓고 감싸줍니다. 전기로 인한 화상은 가벼운 감전으로도 깊은
상처를 남기 쉬우므로 의사에게 보입니다.
탈구와 염좌 -탈구됐다고 생각되는 관절을 움직이지 않도록 골절 때와 같이 고정시킨 다음 의사에게 보입니다.
-빠진 관절을 가정에서 맞추려고 하다가는 더욱 위험한 결과를 초래하게 됩니다.
-탈구가 정상으로 돌아온 다음에도 한동안은 운동을 삼가며 조심해야 합니다.
-염좌는 인대가 열상이나 타박상을 일으킨 것이므로 붕대로 묶은 다음 의사에게 보입니다.
코피와 출혈 -가벼운 출혈일 때는 반듯하게 앉게 한 다음 코끝을 잠시동안 쥐고 있으면 멈추게 됩니다.
-피가 많이 나올 때는 작은 얼음주머니나 찬 수건으로 콧등을 식혀줍니다.
-코를 풀게 하거나 머리를 뒤로 젖히는 일은 하지 마십시오. 오랜 시간 출혈이 멎지 않거나,
머리를 세게 부딪혀서 코피가 나는 경우에는 즉시 의사에게 보입니다.
-많은 피가 계속 상처에서 쏟아진다면 동맥이 잘렸을 경우도 예상해야 합니다. 우선 손가락으로
상처 위나 옆, 상처와 심장 사이를 세게 눌러 지혈시키고 붕대를 감아줍니다.
-붕대로 피가 스며나오면 그 위에 좀더 단단하게 붕대를 다시 한번 감아주고 병원으로 데려갑니다.
-갑자기 많은 피를 보고 아기가 놀랐을 것이므로 다독거려 안정시킵니다.
트위터 트위터 페이스북 페이스북
댓글 : 0
번호 제목 작성자 조회 등록일
공지 신장투석센터 (Dialysis Center 신장투석센터)-뉴저지지역 뉴욕코리아 4981 2012-11-10
24 저혈당 증상과 수치 및 대처법 white11 492 2023-03-15
23 혈압계 바르게 측정하기 white11 490 2023-03-15
22 비문증 완치 방법 따라해보세요 joanakim 557 2022-11-21
21 실명 전조증상 입니다 eldkera 557 2022-11-21
20 생활 속 동의보감 처방전 67가지) doris278 1349 2020-01-08
19 응급조치- 급할때 진서양 3427 2017-06-15
18 혈당지수( Glycemic Index) kangyun 4887 2015-09-04
17 당뇨병 검사안내 sunjung 6060 2015-09-02
16 혈액검사 저렴하게 한인동포회관에서 받으세요~ 김수연 5353 2014-10-16
15 각종 질병을 알기쉬운 의학 만화로 보기 nyangel 6693 2012-10-16
14 뉴욕시. 병원 웹사이트 보기 zacanurse 6808 2012-05-13
13 주요 호스피스 케어기관 바로 찾아보기 (뉴욕. 뉴저지) HealthCare 10786 2012-02-25
12 건강계산기 HealthCare 9366 2011-12-01
11 건강질환명 클릭하세요. [2] HealthCare 5650 2011-12-01
10 열량조절을 위한 식품선택 HealthCare 6480 2011-12-01
9 신장별 표준 체중표 HealthCare 5507 2011-12-01
8 질환별 질병찾기(종합) HealthCare 10191 2011-12-01
***응급상황에 따른 조치법*** van 5786 2011-12-01
6 뇌졸증 자가진단 susi 6147 2011-09-13
5 심장마비-혼자 있을때 심장마비가 일어난다면? Richard Kang 5810 2011-09-13
4 평소에 알아두면 좋은 응급처치법 바이런 5490 2011-09-13
3 뇌졸증 증상에 이렇게 대처 Richard Kang 5813 2011-09-13
2 심폐 소생술 실시하는 방법. partnj 7536 2011-09-13
1 어린이 응급처치-Children's Emergency Treatment fiderick 7930 2011-03-16
1
회원정보
닉네임 van (_admin_)
가입일 2008-07-23
등급 운영자 (1)
활동
포인트 : 0
게시물 작성수 : 0
댓글 작성수 : 0
쪽지보내기
닉네임 van (_admin_)
제목
내용
(0/200바이트)
게시물 신고하기
게시판 성격에 맞지 않거나 불건전한 게시물을 운영자에게 신고할 수 있습니다.
운영자 확인 후 해당글 삭제조치 및 해당 회원에게 불이익이 갈 수 있습니다.
허위신고시에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니 신중하게 신고해주세요.
글 제목 ***응급상황에 따른 조치법***...
글 작성자 van
신고이유
회사소개 | 개인정보취급방침 | 회원약관 | 고객지원센터 | 제휴 및 광고문의 | 광고안내   
 

 

Contact Us : 고객문의센터, Tel: 대표 201-674-5611

E-mail: newyorkkorea77@gmail.com, newyorkkorea@naver.com, 빠른카톡상담ID : newyorkkorea 

미국최대 대표포털 뉴욕코리아는 미국법률변호사고문 및 미국저작권법의 보호를 받고 있으며, 컨텐츠 및 기사의 무단 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  

Copyright (c) New York Korea, INC. News Media Group in US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