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발 저림
손발 저림
손 혹은 손발이 저리면 흔히“혈액 순환장애”나“뇌졸중(중풍)의 초기 증상”을 떠올립니다. 이것은 잘못된 의학상식이며 혈액순환장애에 의한 손 저림은 매우 드뭅니다. 손 저림 혹은 손발 저림의 대부분은 말초신경의 이상 때문에 생깁니다. 손만 저릴 수도 있고 발 혹은 발과 손이 동시에 저릴 수도 있는데 두 경우 모두 말초신경의 이상 때문에 생기지만 서로 다른 병이며 치료 역시 다릅니다. 손만 저린 경우(손 저림)는 국소적인 말초신경병 때문에 발생하는 손목굴증후군이 대표적이며 발과 손이 저린 경우(손, 발 저림)는 다른 원인이 있는 경우가 많으므로 원인을 찾는 검사를 하여야 합니다.
발 저림으로 시작되면 말초신경병증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발끝부터 저리기 시작하여 몸통 쪽으로 서서히 진행한 다면 손목굴증후군에 의한 말초신경병증보다는 다른 말초신경병증을 의심해 봐야 합니다. 이때는 발목부위까지 저려 올라온 후에 손끝이 저리기 시작합니다. 이 경우 손목굴증후군과는 달리 다른 병의 2차적인 합병증으로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당뇨병의 합병증인당뇨병성 말초신경병증이 가장 흔하지만 다른 원인을 감별하기 위하여 신경과 전문의의 도움이 필요합니다.
뇌졸중과는 다음과 같은 점이 다릅니다.
- 뇌졸중은 갑자기 발생하고 말초신경병증에 의한 손발 저림은 서서히 발병합니다.
- 뇌졸중은 주로 몸의 한쪽에만 일어납니다.
- 뇌졸중에서는 손바닥과 손등 양쪽에서 증상이 나타납니다.
- 뇌졸중에서는 손저림 단독 증상으로 나타나는 경우는 드물며 언어장애나 반신 마비를 동반할 수 있습니다.
- 뇌졸중에 의한 손, 발저림은 뇌졸중 발병 시보다는 뇌 특정 부위의 손상으로 인한 후유증으로 생기는 경우가 많습니다.
말초혈액순환장애와는 어떻게 다른가요?
- 말초순환장애는 저림보다는 통증이 흔한 증상입니다.
- 손 특히 손가락 끝이 찹니다.
- 찬물에 손을 넣으면 손끝이 하얗게 됩니다.
- 팔목 부위 맥박이 약해집니다.
- 실제로는 매우 드문 병입니다.
손목굴증후군은 신경이 눌려서 생깁니다.
손목은 손바닥 쪽으로 보면 손목뼈가 있고 그 위로 인대가 지나갑니다. 손목뼈와 그 위를 덮고 있는 인대 사이의 공간이 손목굴(터널)입니다. 이 손목굴 안은 해부학적으로 복잡한 모양을 하고 있는데 이 중 손바닥과 손가락의 감각을 담당하는 말초신경(정중신경)이 지나가게 됩니다. 손목을 많이 쓰면 손목굴이 좁아지게 되고 손목굴 안에 있는 정중신경이 눌려서 손이 저린 것이 손목굴증후군입니다.
손목굴증후군은 다음과 같은 경우에 생깁니다.
중년 여성에게서 자주 보게 되는 손목굴증후군의 원인은 과도한 손목의 사용입니다. 흔히 빨래, 설거지 등 손목을 많이 가사 노동을 많이 하는 것도 원인이 됩니다.상선 기능저하증이나 당뇨병이 있는 경우 이외에도 임신, 외상, 류마치스성 및 골관절염이 있을 때에도 생길 수 있습니다.
손목굴증후군의 진단은 다음과 같이 합니다.
신경학적 검사를 정확하게 할 수 있는 신경과 전문의의 진찰이 가장 중요합니다. 신경전도검사 및 근 전도 검사로 확진 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혈액이나 소변검사 등으로 원인질환을 규명합니다.영상검사(MRI 혹은 CT)필요한 경우도 있습니다.
치료는 다음과 같이 합니다.
손목굴증후군의 치료는 보존적인 방법(비수술적 치료)과 수술적인 방법이 있습니다. 보존적 요법은 신경의 손상이 심하지 않을 때 시도하고 손상이 심하거나 보존적 요법으로 호전되지 않으면 손목 굴을 열어주는 수술을 하게 됩니다. 그러나 구체적인 치료방법의 선택은 치료방법의 장단점을 의사와 충분히 상의한 다음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 손목의 휴식
과도하게 손목을 쓰는 가사노동을 피하고 손목에 부담을 주지 말아야 합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스플린트 등의 보조기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 약물 요법
손목의 휴식과 함께 약물치료를 병행합니다. 직접 손목굴에 스테로이드라는 약물을 주사하기도 합니다. 원인질병에 대한 치료가 필요합니다.
예방도 중요합니다.
손목굴증후군의 악화를 막기 위해서는 지나친 손목이나 손 운동을 자제하고 작업 환경을 개선하여 손목의 부담을 덜어 주어야 합니다. 손저림은 신경학적 검사와 신경전도검사 및 근전도 검사로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습니다. 감별진단을 위해서 혈액검사 및 소변검사, 혹은 영상검사(CT 혹은 MRI)등이 필요한 경우 도 있습니다.
손목굴증후군은 국소적인 말초신경병의 대표적인 병입니다.
손목굴증후군은 적절한 약물복용과 함께 손목을 쉬게 함으로써 치료될 수 있습니다. 당뇨병성 말초신경병증이나 다른 말초신경병과의 감별진단을 위해서는 신경전도 및 근전도 검사를 하여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