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정보
닉네임
가입일
2008-07-23
등급
운영자 (1)
활동
포인트 : 0 점
게시물 작성수 : 0 개
댓글 작성수 : 개
위장병(위염, 위궤양, 역류성식도염 등)에 좋은 음식
작성자: 도미노
조회: 5705 등록일: 2011-03-10
위장병(위염, 위궤양, 역류성식도염 등) 에좋은음식
1.위염, 위궤양, 역류성식도염 환자의 생활습관
음식은 부드럽고 소화가 잘 되는 것이 좋고, 치료기간에는 죽을 자주 먹는다.
적게 먹고 골고루 먹는 것이 좋다.
술, 담배를 금한다.
단음식과 지방은 피한다.
잘 씹고 천천히 삼키는 것이 좋다.
찬 음료수나 뜨거운 물은 피한다.
피로가 쌓였거나 공복후에 폭식은 금한다.
2.위염, 위궤양, 역류성식도염에 좋은 음식
자주 체하여 식욕부진이 생긴 경우는 산사, 닭고기, 오리고기, 귤껍질, 쌀, 맥아, 무 등의 소화를 돕는 음식을 먹는 것이 좋다. 입맛이 없을 때는 적당한 양의 생강, 산초, 회향, 가지 등을 가하면 좋다. 평상시에 소식을 하는 것이 좋고, 폭음이나 폭식을 피한다. 음식위생에 주의하고, 날 것이나 찬 것을 적게 먹어야 한다.
3.위염, 위궤양, 역류성식도염의 음식처방
산사와 맥아 각 10ml씩 물로 끓여 마신다. 또는 무즙을 진하게 우린 차 한잔 그리고 마른 금귤 10g을 물에 끓여서 차로 마신다. 마지막으로 생강가루 3g을 물에 넣고 끓여 식초를 조금 섞고 뜨거울 때 마신다. 차로 끓일 때는 약한 불로 20분정도만 가열해야 유효성분 손실을 막을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4.위염, 위궤양, 역류성식도염에 좋은 한약재
산사, 귤껍질, 사인, 무씨, 인삼, 백출, 신곡, 맥아, 계내금(닭똥집), 지실, 지각
<참고> 위장에 좋은 식품
1. 생강 생강과에 속한 다년생 초본인 생강의 신선한 뿌리줄기이다. 소화계통에 대한 작용으로 생강은 염산-알콜성 궤양에 대하여 억제작용이 있다. 동물실험시 위점막손상에 대한 억제율이 97.5% 가 나타났다. 생강은 교감신경과 미주신경계에 작용함으로써 위기능을 억제하는 작용을 하기도 하고 직접적으로 위의 평활근을 활성화시키는 작용을 한다. 간기능보호, 이담작용 도 있는데, 생강의 매운 성분인 gingerol은 사염화탄소로 유발된 간손상을 억제하는 작용을 가진다. 특히 혈청 ALT치가 뚜렷이 감소한다. 또한 구토억제작용 이 있는데, 말초성 구토에 대해선 탁월한 효과를 가지는데, 특히 임산부의 입덧이 심한 경우에 활용할 수 있다.
2.양배추
성질은 약간 달고 평이하며, 기를 잘 돌게하고 속이 편안하게 한다. 허약한 체질과 병이 업고 몸이 건강한 사람에게도 식용으로 하면 좋다. 주로 배가 몹시 불러오고 답답하고 아픈 경우에 단독으로 생 것으로 먹거나 삶아서 먹는다. 이 외에 황달, 위궤양, 십이지장궤양, 만성담낭염, 담석증 , 동맥경화, 관상동맥경화증, 당뇨병, 갑상선기능항진, 괴혈병에 건강식품으로 좋다. 주로 생 양배추를 짜서 즙을 내어 마신다.
3.당근
작은 인삼이라고도 한다. 혈을 자양시켜 눈을 밝게하고, 야맹증이 있을 때 복용한다. 기를 보하여 소화기능을 튼튼하게 하고, 오장을 보하여 신체를 튼튼하게 한다. 소화기능의 허약으로 음식이 소화되지 않고 오랫동안 설사를 할 때 복용하며,단독으로 죽을 쑤어 먹는다 .
4.둥글레
폐를 윤활하게 하고, 인대를 튼튼하게 하고, 소화기를 보하여 기력을 회복시켜 주므로 기와 음이 허약하여 몸이 여위고, 근골에 힘이 없으며 병을 앓고 난 후나 출산후 신체허약, 노년의 신체허약 및 소아 및 부녀자가 복용하면 좋다. 비위허약으로 음식을 적게 먹고 힘이 없을 때 닭고기, 인삼 등을 함께 복용하면 좋다 .
5.순무
위의 기운을 내려주며, 습열을 제거해 술독을 풀어주므로, 식후에 배가 더부룩한 사람, 음식이 쉽게 소화되지 않는 사람, 술 먹은 후 복용하면 좋다.
6.귤
위의 소화를 도와주고, 진액을 생성시켜 폐를 윤택하게 하고, 술독을 풀어주므로, 식욕이 부진한 사람이나 노인이 복용하면 좋다. 담음이 있는 사람(배를 손으로 눌렀을 때 꾸룩꾸룩 소리가 잘 나는 사람)은 먹지 않는 것이 좋다.
7.메밀
장이 꼬이는 듯이 아플 때, 위장에 음식이 소화되지 않고 머물러 있을 때, 설사에 가루내어 볶은 다음 물에 타서 먹거나 무를 함께 복용한다. 이 외에 소변이 혼탁하거나 대하가 있을 때에 복용한다.
8.산사
육식으로 체한 것과 배가 불러오면서 아픈 경우, 복통, 설사, 체하고 설사하는 경우, 가슴이 답답하고 가득찬 듯한 것과 신물이 올라와 가슴이 쓰린 경우, 황달 등에 복용한다.
9.무
음식에 체하여 배가 몹시 불러오면서 그득한 경우, 소화불량과 음식을 먹은 다음 일정시간이 지나면 토하는 경우, 신물이 올라와 속이 쓰리거나 체하여 설사하는 경우 단독으로 생으로 먹거나 삶아 먹는다.
10.닭모래주머니
닭모래주머니 가루를 우유와 섞어 먹는다. 음식에 체하여 배가 불러오며 가득한 증상, 음식이 당기지 않거나 구역이 나서 음식을 먹지 못하는 경우 등에 복용한다.
11.누룽지
노소를 막론하고 소화기가 허하여 음식이 소화되지 않고 설사하는 사람에 좋다. 산사, 닭모래주머니, 연꽃씨를 함께 복용하면 좋다.
<참조:김호철, 한방식이요법학>
<DIV align=center><SPAN style="FONT-SIZE: 14pt"><B><FONT color=#330033><STRONG>위장병(위염, 위궤양, 역류성식도염 등) 에좋은음식</STRONG></FONT></B></SPAN></DIV>
<P> </P>
<P><B><FONT color=#482713><SPAN style="FONT-SIZE: 11pt">1.위염, 위궤양, 역류성식도염 환자의 생활습관</SPAN></FONT></B></P>
<P><B><FONT color=#482713><SPAN style="FONT-SIZE: 11pt"></SPAN></FONT></B> </P>
<P><B><FONT color=#482713><SPAN style="FONT-SIZE: 11pt"></SPAN></FONT></B> </P>
<P style="FONT-SIZE: 13px; MARGIN: 0px; TEXT-INDENT: 0px;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SPAN style="FONT-SIZE: 11pt; COLOR: black;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FONT color=#0066ff> </FONT>음식은 부드럽고 소화가 잘 되는 것이 좋고, 치료기간에는 죽을 자주 먹는다.</SPAN><SPAN style="FONT-SIZE: 11pt"></SPAN></P>
<P style="FONT-SIZE: 13px; MARGIN: 0px; TEXT-INDENT: 0px;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SPAN style="FONT-SIZE: 11pt; COLOR: black;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 적게 먹고 골고루 먹는 것이 좋다.</SPAN><SPAN style="FONT-SIZE: 11pt"></SPAN></P>
<P style="FONT-SIZE: 13px; MARGIN: 0px; TEXT-INDENT: 0px;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SPAN style="FONT-SIZE: 11pt; COLOR: black;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 술, 담배를 금한다.</SPAN><SPAN style="FONT-SIZE: 11pt"></SPAN></P>
<P style="FONT-SIZE: 13px; MARGIN: 0px; TEXT-INDENT: 0px;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SPAN style="FONT-SIZE: 11pt; COLOR: black;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 단음식과 지방은 피한다.</SPAN><SPAN style="FONT-SIZE: 11pt"></SPAN></P>
<P style="FONT-SIZE: 13px; MARGIN: 0px; TEXT-INDENT: 0px;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SPAN style="FONT-SIZE: 11pt; COLOR: black;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 잘 씹고 천천히 삼키는 것이 좋다.</SPAN><SPAN style="FONT-SIZE: 11pt"></SPAN></P>
<P style="FONT-SIZE: 13px; MARGIN: 0px; TEXT-INDENT: 0px;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SPAN style="FONT-SIZE: 11pt; COLOR: black;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 찬 음료수나 뜨거운 물은 피한다.</SPAN><SPAN style="FONT-SIZE: 11pt"></SPAN></P>
<P style="FONT-SIZE: 13px; MARGIN: 0px; TEXT-INDENT: 0px;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SPAN style="FONT-SIZE: 11pt; COLOR: black;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 피로가 쌓였거나 공복후에 폭식은 금한다.</SPAN></P>
<P style="FONT-SIZE: 13px; MARGIN: 0px; TEXT-INDENT: 0px;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SPAN style="FONT-SIZE: 11pt; COLOR: black;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SPAN><SPAN style="FONT-SIZE: 11pt"></SPAN> </P>
<P><B><FONT color=#482713><SPAN style="FONT-SIZE: 11pt">2.위염, 위궤양, 역류성식도염에 좋은 음식</SPAN></FONT></B></P>
<P><B><FONT color=#482713><SPAN style="FONT-SIZE: 11pt"></SPAN></FONT></B><SPAN style="FONT-SIZE: 11pt"><BR> </P></SPAN>
<P><SPAN style="FONT-SIZE: 11pt"> 자주 체하여 식욕부진이 생긴 경우는 산사, 닭고기, 오리고기, 귤껍질, 쌀, 맥아, 무 등의 소화를 돕는 음식을 먹는 것이 좋다. 입맛이 없을 때는 적당한 양의 생강, 산초, 회향, 가지 등을 가하면 좋다. 평상시에 소식을 하는 것이 좋고, 폭음이나 폭식을 피한다. 음식위생에 주의하고, 날 것이나 찬 것을 적게 먹어야 한다.</SPAN></P>
<P><SPAN style="FONT-SIZE: 11pt"></SPAN> </P>
<P><B><FONT color=#482713><SPAN style="FONT-SIZE: 11pt">3.위염, 위궤양, 역류성식도염의 음식처방</SPAN></FONT></B></P>
<P><B><FONT color=#482713><SPAN style="FONT-SIZE: 11pt"></SPAN></FONT></B> </P>
<P><B><FONT color=#482713><SPAN style="FONT-SIZE: 11pt"> </SPAN></FONT></B><SPAN style="FONT-SIZE: 11pt">산사와 맥아 각 10ml씩 물로 끓여 마신다. 또는 무즙을 진하게 우린 차 한잔 그리고 마른 금귤 10g을 물에 끓여서 차로 마신다. 마지막으로 생강가루 3g을 물에 넣고 끓여 식초를 조금 섞고 뜨거울 때 마신다. 차로 끓일 때는 약한 불로 20분정도만 가열해야 유효성분 손실을 막을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SPAN></P>
<P><SPAN style="FONT-SIZE: 11pt"></SPAN> </P>
<P><B><FONT color=#482713><SPAN style="FONT-SIZE: 11pt">4.위염, 위궤양, 역류성식도염에 좋은 한약재</SPAN></FONT></B></P>
<P><B><FONT color=#482713><SPAN style="FONT-SIZE: 11pt"></SPAN></FONT></B><SPAN style="FONT-SIZE: 11pt"><BR> </P></SPAN>
<P><SPAN style="FONT-SIZE: 11pt"> 산사, 귤껍질, 사인, 무씨, 인삼, 백출, 신곡, 맥아, 계내금(닭똥집), 지실, 지각</SPAN></P>
<P><SPAN style="FONT-SIZE: 11pt"></SPAN> </P>
<P><SPAN style="FONT-SIZE: 11pt"></SPAN> </P>
<P><SPAN style="FONT-SIZE: 11pt"></SPAN> </P>
<P><SPAN style="FONT-SIZE: 11pt"></SPAN> </P>
<P><SPAN style="FONT-SIZE: 11pt"></SPAN> </P>
<P><SPAN style="FONT-SIZE: 11pt"></SPAN> </P>
<P><SPAN style="FONT-SIZE: 11pt"></SPAN> </P>
<P><SPAN style="FONT-SIZE: 11pt"><FONT color=red><B><참고> 위장에 좋은 식품</B></FONT></SPAN></P>
<P><SPAN style="FONT-SIZE: 11pt"><STRONG><FONT color=#ff0000></FONT></STRONG></SPAN> </P>
<P> <FONT color=blue><B>1.</B></FONT><SPAN style="FONT-SIZE: 11pt"><B><FONT color=blue>생강</FONT></B><BR> <BR> 생강과에 속한 다년생 초본인 생강의 신선한 뿌리줄기이다. 소화계통에 대한 작용으로 생강은 염산-알콜성 궤양에 대하여 억제작용이 있다. 동물실험시 <B>위점막손상에 대한 억제율이 97.5%</B>가 나타났다. 생강은 교감신경과 미주신경계에 작용함으로써 위기능을 억제하는 작용을 하기도 하고 직접적으로 위의 평활근을 활성화시키는 작용을 한다.<BR> <B>간기능보호, 이담작용</B>도 있는데, 생강의 매운 성분인 gingerol은 사염화탄소로 유발된 간손상을 억제하는 작용을 가진다. 특히 혈청 ALT치가 뚜렷이 감소한다. 또한 <B>구토억제작용</B>이 있는데, 말초성 구토에 대해선 탁월한 효과를 가지는데, 특히 임산부의 입덧이 심한 경우에 활용할 수 있다. <BR> </SPAN> </P>
<P><B><FONT color=blue>2.양배추</FONT></B></P>
<P><STRONG><FONT color=#0000ff></FONT></STRONG> </P>
<P> 성질은 약간 달고 평이하며, 기를 잘 돌게하고 속이 편안하게 한다. 허약한 체질과 병이 업고 몸이 건강한 사람에게도 식용으로 하면 좋다. 주로 배가 몹시 불러오고 답답하고 아픈 경우에 단독으로 생 것으로 먹거나 삶아서 먹는다. 이 외에 황달, <B>위궤양, 십이지장궤양, 만성담낭염, 담석증</B>, 동맥경화, 관상동맥경화증, 당뇨병, 갑상선기능항진, 괴혈병에 건강식품으로 좋다. 주로 생 양배추를 짜서 즙을 내어 마신다.</P>
<P> </P>
<P> </P>
<P><FONT color=blue><B>3.당근</B></FONT></P>
<P><STRONG><FONT color=#0000ff></FONT></STRONG> </P>
<P> 작은 인삼이라고도 한다. 혈을 자양시켜 눈을 밝게하고, 야맹증이 있을 때 복용한다. 기를 보하여 소화기능을 튼튼하게 하고, 오장을 보하여 신체를 튼튼하게 한다. 소화기능의 허약으로 음식이 소화되지 않고 오랫동안 설사를 할 때 복용하며,<B>단독으로 죽을 쑤어 먹는다</B>.</P>
<P> </P>
<P><FONT color=blue><B>4.둥글레</B></FONT></P>
<P><STRONG><FONT color=#0000ff></FONT></STRONG> </P>
<P> 폐를 윤활하게 하고, 인대를 튼튼하게 하고, 소화기를 보하여 기력을 회복시켜 주므로 기와 음이 허약하여 몸이 여위고, 근골에 힘이 없으며 병을 앓고 난 후나 출산후 신체허약, 노년의 신체허약 및 소아 및 부녀자가 복용하면 좋다. <B>비위허약으로 음식을 적게 먹고 힘이 없을 때 닭고기, 인삼 등을 함께 복용하면 좋다</B>.</P>
<P> </P>
<P><FONT color=blue><B>5.순무</B></FONT></P>
<P><STRONG><FONT color=#0000ff></FONT></STRONG> </P>
<P> 위의 기운을 내려주며, 습열을 제거해 술독을 풀어주므로, 식후에 배가 더부룩한 사람, 음식이 쉽게 소화되지 않는 사람, 술 먹은 후 복용하면 좋다.</P>
<P> </P>
<P><FONT color=blue><B>6.귤</B></FONT></P>
<P><STRONG><FONT color=#0000ff></FONT></STRONG> </P>
<P> 위의 소화를 도와주고, 진액을 생성시켜 폐를 윤택하게 하고, 술독을 풀어주므로, 식욕이 부진한 사람이나 노인이 복용하면 좋다. <B>담음이 있는 사람(배를 손으로 눌렀을 때 꾸룩꾸룩 소리가 잘 나는 사람)은 먹지 않는 것이 좋다.</B></P>
<P><STRONG></STRONG> </P>
<P><FONT color=blue><B>7.메밀</B></FONT></P>
<P><STRONG><FONT color=#0000ff></FONT></STRONG> </P>
<P> 장이 꼬이는 듯이 아플 때, 위장에 음식이 소화되지 않고 머물러 있을 때, 설사에 가루내어 볶은 다음 물에 타서 먹거나 무를 함께 복용한다. 이 외에 소변이 혼탁하거나 대하가 있을 때에 복용한다.</P>
<P> </P>
<P><FONT color=blue><B>8.산사</B></FONT></P>
<P><STRONG><FONT color=#0000ff></FONT></STRONG> </P>
<P> 육식으로 체한 것과 배가 불러오면서 아픈 경우, 복통, 설사, 체하고 설사하는 경우, 가슴이 답답하고 가득찬 듯한 것과 신물이 올라와 가슴이 쓰린 경우, 황달 등에 복용한다.</P>
<P> </P>
<P><FONT color=blue><B>9.무</B></FONT></P>
<P> 음식에 체하여 배가 몹시 불러오면서 그득한 경우, 소화불량과 음식을 먹은 다음 일정시간이 지나면 토하는 경우, 신물이 올라와 속이 쓰리거나 체하여 설사하는 경우 단독으로 생으로 먹거나 삶아 먹는다.</P>
<P> </P>
<P><FONT color=blue><B>10.닭모래주머니</B></FONT></P>
<P> 닭모래주머니 가루를 우유와 섞어 먹는다. 음식에 체하여 배가 불러오며 가득한 증상, 음식이 당기지 않거나 구역이 나서 음식을 먹지 못하는 경우 등에 복용한다.</P>
<P> </P>
<P><FONT color=blue><B>11.누룽지</B></FONT></P>
<P> 노소를 막론하고 소화기가 허하여 음식이 소화되지 않고 설사하는 사람에 좋다. 산사, 닭모래주머니, 연꽃씨를 함께 복용하면 좋다.</P>
<P><SPAN style="FONT-SIZE: 10pt"><<STRONG>참조:김호철, 한방식이요법학></STRONG></SPAN><BR></P>
회원정보
닉네임
도미노 (_admin_)
가입일
2008-07-23
등급
운영자 (1)
활동
포인트 : 0 점
게시물 작성수 : 0 개
댓글 작성수 : 개
쪽지보내기
게시물 신고하기
게시판 성격에 맞지 않거나 불건전한 게시물을 운영자에게 신고할 수 있습니다.
운영자 확인 후 해당글 삭제조치 및 해당 회원에게 불이익이 갈 수 있습니다.
허위신고시에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니 신중하게 신고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