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소득층 노인및 장애자에게 제공되고 있는 무료 메디칼 프로그램으로 개인 집이나 양로호탤등의 주거시설에 거주하는 주민들에게만 제공되며 양로원에 거주하는 환자들에게는 별도의 메디칼 프로그램이 있습니다
이 프로그램의 수혜자격은 무엇입니까?
* 65세이상 노인
* 소셜사무실에서 정한 기준에 부합한 장애인
* 월 가처분 소득이 개인의 경우 $1,188 그리고 부부가 함께 신청할 경우 $1,603 이하
* 소유재산이 개인의 경우 $2,000 그리고 부부의 경우 $3,000 이하
* 캘리포니아 주민
가처분 소득은 어떻게 계산되나요?
메디칼은 물론SSI 수혜를 위한 소득한도를 확인할 경우에도 이 규정이 적용되며 따라서 수혜자격을 결정함에 있어 아래와 같은 금액들이 차감되게 되어 있습니다.
* 소득에서 $20을 차감
* 건강보험료 차감
* 근로소득에서 $65 차감
* 장애자의 일과 관련된 비용 및 장비
* 차감된 나머지 금액의 절반이 수혜자격 소득한도 이하이아야 함.
메디칼을 신청하지 않는 가족이 있을 경우 신청자의 수혜자격은 어떻게 계산되나요?
신청자의 수혜자격을 결정함에 있어 메디칼을 신청하지 않는 다른 가족이 있을 경우에는 가정 총 가처분 소득에서 아래와 같은 Maintenance Need Allowances (MNA: 생계유지에 필요한 최소 비용) 를 제하고 남은 금액이 수혜자격 한도 금액이하이어야 합니다.
Maintenance Need Allowances (MNA) for family members not applying for coverage:
1 person $600
2 persons $750
2 adults (성인) $934
3 persons $934
4 persons $1100
5 persons $1259
6 persons $1417
수혜자격을 결정함에 있어 MNA (생계유지를 위한 최소 생계비) 가 어떻게 적용됩니까?
무료 메디칼의 수혜자격을 결정함에 있어 메디칼을 신청하지 않는 다른 가족들이 함께 집에 거주하고 있을 경우 가정 총 가처분 소득에서 MNA 를 차감하고 난 후의 금액이 수혜자격을 위한 소득한도 이하이어야 합니다.
예 1: 갑돌이와 갑순이 결혼하여 3자녀를 두고 있으며 갑순이는 장애인으로 무료 메디칼을 신청하고자 합니다. 가정의 유일한 소득은 갑돌이 벌어오는 월 근로소득 $4,055 뿐입니다.
(갑돌이의 월 수입: $4,055)
– $20 (소득에서 공제)
= $4035
– $65 (근로소득에서 공제)
= $3970
x 1/2 (잔액의 절반)
= $1985
= $1100 (메디칼을 신청하지 않는 다른 가족 4인의 MNA)
= $885 (가처분 소득)
갑순이는 무료 메디칼의 수혜 자격이 있습니다. 왜냐하면 가처분 소득 $885 이 저소득층 노인및 장애자를 위한 무료메디칼 수혜자격 개인 소득한도 $1,188 이내이기 때문입니다.
예 2: 철수와 영희는 결혼하여 한 자녀를 두고 있습니다. 철수와 영자는 모두 메디칼을 신청하고자 합니다. 철수는 한달에 $3,500을 벌고 영희는 일하지 않고 소셜연금을 매월 $225 받고 있습니다. 따라서 영희의 월 가처분 소득은 $205 ($225-$20=$205) 입니다.
$3,500 (철수의 월 임금)
--$65 (근로소득으로 부터 공제)
= $3,435
X ½ (남은 잔액의 절반)
=$1,717.50
+ $205 (영희의 가처분 소득)
= $1,922.50
--$600 (메디칼 미신청자 1인에 대한 MNA)
= $1,322.50 (가처분 순소득)
철수와 영희 모두 메디칼 수혜 자격이 있습니다. 왜냐하면 가정 가처분 소득 $1322.50 이 부부 수혜자격 한도금액 $1603 이하이기 때문입니다.
유의사항
부부가 동시에 메디칼을 신청할 때에는 공제 금액 $20 과 $65 을 한번만 적용하며 나머지 금액에 대한 절반도 한번만 적용합니다.다시 말하면 부부가 둘이 다 일을 하고 근로소득을 받는다 하더라도 $65 을 부부 소득에서 각각 2번 공제하지않고 한번만 적용하게 됩니다.
예 3: 영식이는 독신이며 일을하고 있습니다. 소셜연금으로 한달에 $1000 (메디케어 보험료 공제전) 을 받고 있으므로 그의 가처분 불로소득은 $980 ($1,000 - $20 = $980) 입니다. 영식이는 또한 근로소득으로 한달에 $800을 벌고 있으므로 그의 가처분 근로소득 금액은 한달에 $367.50입니다.
$800 (근로 소득)
--$65 (근로소득 공제)
= $735
X ½ (남은 잔액의 절반)
= $367.50
+ $980 (가처분 불로소득)
= $1,347.50 (가처분 순 소득)
영식이는 무료 메디칼 수혜자격이 없습니다. 왜냐하면 그의 가처분 소득 $1,347.50 이 개인 메디칼 수혜자격 한도금액 $1,188 보다 $159.50 이나 초과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영식이는 무료 메디칼에 해당되지 않으며 $747.50 을 본인이 부담해야 하는 Share of Cost 메디칼에 해당됩니다.
$1,347.50 (가처분 소득)
--$600
= $747.50 (본인 부담 비용)
유의사항
가처분 소득이 무료 메디칼 수혜자격 한도금액인 $1,188 을 근소하게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초과하는 금액 (이경우에는 $159.50) 만큼 다른 건강 보험 조건을 개선시켜 보험료를 더 지급하게 되면 추가지급된 건강 보험료만큼 공제를 받게 되어 가처분 소득이 한도 금액 $1,188 이하로 떨어지게 되어 무료 메디칼을 받을 수도 있습니다.
본인 부담 비용이 $500 이상인 Share of Cost 메디칼을 소지하고 계시는 분은 메디칼에서 더이상 메디케어 B 보험료를 지급해주지 않고 소셜 연금 지급액에서 자동 차감됩니다.
예 4: 영자는 독신이며 매월 pension $250 과 소셜연금 $975 (메디케어 보험료 차감전) 의 수입이 있어 한달 총 수입은 $1,225 입니다. 영자는 메디케어 보조 보험료로 한달에 $125 을 지급하고 있습니다.
$1,225 (월 수입)
-$20 (불로소득에서 공제)
= $1,205
--$125 (메디케어 보조 보험료)
= $1,080 (영자의 가처분 불로소득)
영자는 무료 메디칼 수혜자격이 있습니다. 왜냐하면 영자의 월 가처분 소득이 무료 메디칼 수혜자격 한도금액 $1,188 이내이기 때문입니다.
출처:한미사회 봉사회(KA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