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정보
닉네임
가입일
2008-07-23
등급
운영자 (1)
활동
포인트 : 0 점
게시물 작성수 : 0 개
댓글 작성수 : 개
뉴욕코리아뉴스
연방대법원 판결이선거에 향후 미칠 영향
작성자: 조셉 리 기자
조회: 69575 등록일: 2023-07-05
<기사입력일자: 2023-07-05>
연방대법원 판결이선거에 향후 미칠 영향
- SCOTUS Alabama Decision Impacts Voting Rights
연방대법원이 지난 6월 8일, ‘ 흑인 유권자의 투표권 침해’ 논란을 일으킨 미국 앨라배마주의 선거구 획정은 위법하다는 판결(Allen v Milliga) 을 내렸다. 정치권은 이 판결로 내년 선거에서 앨라배마 뿐만 아니라 조지아 등 남부 주의 판도가 바뀔수 있다고 내다보고 있다.
이 판결의 경과는 다음과 같다. 미국 의회는 상원과 하원으로 이뤄져 있는데, 상원은 무조건 각 주마다 2 명, 하원은 인구비례에 따라 의석을 추가하거나 뺀다. 앨라배마주는 인구비례에 따라 지난 선거에서 7 개 선거구에서 하원의원을 7 명 선출했다. 앨라배마 인구 가운데 백인이 67%, 흑인이 27% 를 차지하므로, 인구비례로 뽑는다면 하원의원 2 명은 흑인이어야 한다.
그런데 선거 결과 앨라배마 하원의원 가운데 6 명이 백인 남성, 1 명이 흑인 여성이었다. 그런데 왜 흑인 의석이 2 명이 아니고 1 명인가.
그것은 앨라배마 흑인 인구들이 지난해 선거에서 7 개 선거구에 골고루 분포되지 않고, 1 개 선거구에 몰아넣기(packing) 을 당했기 때문이다. 하원 선거구는 주의회가 정하는데, 공화당이 장악한 앨라배마 주의회가 이런 식으로 선거구를 재조정(redistricting) 한 것이다. 특정 정당에게 유리하도록 선거구를 이상하게 바꾸는 이른바 개리맨더링(gerrymandering) 이다. 이에 비영리단체 앨라배마 포워드(Alabama Forward) 의 에반 밀리건(Evan Milligan) 사무총장이 “ 흑인의 표심이 제대로 반영되지 않고 있다” 며 앨라배마주를 상대로 소송을 걸었다.
법조계는 당초 보수적인 연방대법원이 앨라배마주의 손을 들어줄 것으로 내다봤다. 그러나 놀랍게도 ' 보수파' 존 로버츠 대법원장과 브랫 캐버노 대법관이 흑인 유권자 편에 서면서 '5 대 4' 라는 결과가 나왔다. 이에 따라 앨라배마주는 인구의 27% 인 흑인의 표심을 반영할수 있도록 7 개 선거구를 다시 획정해야 한다.
문제는 앨라배마 뿐만 아니라 조지아, 루이지애나, 텍사스 등 20 개주에서도 비슷한 소송이 있따르고 있으며, 타주에서도 선거구가 변경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흑인 다수 선거구가 늘어나면 내년 선거에서 민주당의 의회 장악 가능성이 커질 것이라는 것이 정치권의 분석이다. 전미흑인지위향상협회(NAACP) 법률변호교육재단(LDF) 의 스튜어트 나이프(Stuart Naifeh) 변호사는 “ 보수적인 연방대법원이 투표권법(Voting Rights Act) 에 따라 판결을 내려 놀랍고, 앨라배마 뿐만 아니라 타주 선거구에도 영향을 끼칠 것” 이라고 내다봤다. 멕시코계미국인 법률변호교육재단(MALDEF) 의 토머스 사엔즈(Thomas Saenz) 회장은 “ 이 판결이 좀더 일찍 나왔다면 2022 년 중간선거에서 민주당이 하원의원 1-2 석은 더 가져갔을 것” 이라고 분석했다.
이 판결은 연방하원 뿐만 아니라 주하원, 카운티, 시의원에도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크다. 아메리카계 원주민( 인디안) 을 대변하는 권리재단(Native American Rights Fund, NARF) 의 재클린 드 레온(Jacqueline De Leon) 변호사는 “ 노스다코타주 인디안 보호구역의 경우 원주민 인구가 40% 를 넘어가는데, 카운티 커미션은 모두 백인들이 차지했다” 며 “ 사우스다코타주 교육위원 선거에서도 원주민들이 이런 식으로 선거에 뽑히지 못했다” 고 지적했다.
<기사제공=에스닉미디어>
[ⓒ 뉴욕코리아( www.newyorkkorea.net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p>
<기사입력일자: 2023-07-05></p><p><br></p><p class="0" style="line-height:100%;margin-bottom:0.0pt;mso-pagination:none;text-autospace:none;mso-padding-alt:0.0pt 0.0pt 0.0pt 0.0pt;"><br></p><p class="0" style="line-height:100%;margin-left:51.8pt;text-indent:-18.0pt;margin-bottom:0.0pt;tab-stops:left blank 36.0pt;mso-pagination:none;text-autospace:none;mso-padding-alt:0.0pt 0.0pt 0.0pt 0.0pt;mso-list:l0 level1 lfo1;"><font size="3"><br></font></p><p class="0"> <!--[if !supportEmptyParas]--><font size="3"> <!--[endif]--> <o:p></o:p></font></p><p class="0"><span style="mso-fareast-font-family:맑은 고딕;font-weight:bold;"><font face="맑은 고딕" size="6">연방대법원 판결이선거에 향후 미칠 영향</font></span></p><p class="0" style="margin-bottom: 0pt; line-height: 12px;"><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weight: bold; font-size: 12pt; color: rgb(34, 34, 34);">-</span><span lang="EN-US" style="font-family: " times="" new="" roman";="" letter-spacing:="" 0pt;="" font-weight:="" bold;="" font-size:="" 12pt;="" color:="" rgb(34,="" 34,="" 34);"="">SCOTUS Alabama Decision Impacts Voting Rights</span></p><p class="0" style="margin-bottom: 0pt; line-height: 12px;"><br style="font-size: 12px;"></p><p class="0"><br></p><p class="0"><span style="mso-fareast-font-family:맑은 고딕;font-weight:bold;"><font size="3" face="맑은 고딕"><table id="community_image" class="left" align="left" width="675"><tbody><tr><td><img src="/rankup_module/rankup_board/attach/noticenews/16885719033732.jpg" _width="675" align="absmiddle" style="width:675px;"></td></tr></tbody></table><br></font></span></p><p class="0"><span style="mso-fareast-font-family:맑은 고딕;font-weight:bold;"><font size="3" face="맑은 고딕"><br></font></span></p><p class="0"><span style="mso-fareast-font-family:맑은 고딕;font-weight:bold;"><font size="3" face="맑은 고딕"><br></font></span></p><p class="0"><span style="mso-fareast-font-family:맑은 고딕;font-weight:bold;"><font size="3" face="맑은 고딕"><br></font></span></p><p class="0"><span style="mso-fareast-font-family:맑은 고딕;font-weight:bold;"><font size="3" face="맑은 고딕"><br></font></span></p><p class="0"><span style="mso-fareast-font-family:맑은 고딕;font-weight:bold;"><font size="3" face="맑은 고딕"><br></font></span></p><p class="0"><span style="mso-fareast-font-family:맑은 고딕;font-weight:bold;"><font size="3" face="맑은 고딕"><br></font></span></p><p class="0"><span style="mso-fareast-font-family:맑은 고딕;font-weight:bold;"><font size="3" face="맑은 고딕"><br></font></span></p><p class="0"><span style="mso-fareast-font-family:맑은 고딕;font-weight:bold;"><font size="3" face="맑은 고딕"><br></font></span></p><p class="0"><span style="mso-fareast-font-family:맑은 고딕;font-weight:bold;"><font size="3" face="맑은 고딕"><br></font></span></p><p class="0"><span style="mso-fareast-font-family:맑은 고딕;font-weight:bold;"><font size="3" face="맑은 고딕"><br></font></span></p><p class="0"><span style="mso-fareast-font-family:맑은 고딕;font-weight:bold;"><font size="3" face="맑은 고딕"><br></font></span></p><p class="0"><span style="mso-fareast-font-family:맑은 고딕;font-weight:bold;"><font size="3" face="맑은 고딕"><br></font></span></p><p class="0"><span style="mso-fareast-font-family:맑은 고딕;font-weight:bold;"><font size="3" face="맑은 고딕"><br></font></span></p><p class="0"><span style="mso-fareast-font-family:맑은 고딕;font-weight:bold;"><font size="3" face="맑은 고딕"><br></font></span></p><p class="0"><span style="mso-fareast-font-family:맑은 고딕;font-weight:bold;"><font size="3" face="맑은 고딕"><br></font></span></p><p class="0"><span style="mso-fareast-font-family:맑은 고딕;font-weight:bold;"><font size="3" face="맑은 고딕"><br></font></span></p><p class="0"><span style="mso-fareast-font-family:맑은 고딕;font-weight:bold;"><font size="3" face="맑은 고딕"><br></font></span></p><p class="0"><span style="mso-fareast-font-family:맑은 고딕;font-weight:bold;"><font size="3" face="맑은 고딕"><br></font></span></p><p class="0"><span style="mso-fareast-font-family:맑은 고딕;font-weight:bold;"><font size="3" face="맑은 고딕"><br></font></span></p><p class="0"><span style="mso-fareast-font-family:맑은 고딕;font-weight:bold;"><font size="3" face="맑은 고딕"><br></font></span></p><p class="0"><span style="mso-fareast-font-family:맑은 고딕;font-weight:bold;"><font size="3" face="맑은 고딕"><br></font></span></p><p class="0"><span style="mso-fareast-font-family:맑은 고딕;font-weight:bold;"><font size="3" face="맑은 고딕"><br></font></span></p><p class="0"><span style="mso-fareast-font-family:맑은 고딕;font-weight:bold;"><font size="3" face="맑은 고딕"><br></font></span></p><p class="0"><span style="mso-fareast-font-family:맑은 고딕;font-weight:bold;"><font size="3" face="맑은 고딕"><br></font></span></p><p class="0"><font size="3" face="맑은 고딕">연방대법원이 지난 6월 8일, <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span>흑인 유권자의 투표권 침해<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논란을 일으킨 미국 앨라배마주의 선거구 획정은 위법하다는 판결<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Allen v Milliga)</span>을 내렸다<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정치권은 이 판결로 내년 선거에서 앨라배마 뿐만 아니라 조지아 등 남부 주의 판도가 바뀔수 있다고 내다보고 있다<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span></font></p><p class="0"><font size="3" face="맑은 고딕">이 판결의 경과는 다음과 같다<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미국 의회는 상원과 하원으로 이뤄져 있는데<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상원은 무조건 각 주마다 <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2</span>명<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하원은 인구비례에 따라 의석을 추가하거나 뺀다<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앨라배마주는 인구비례에 따라 지난 선거에서 <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7</span>개 선거구에서 하원의원을 <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7</span>명 선출했다<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span>앨라배마 인구 가운데 백인이 <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67%, </span>흑인이 <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27%</span>를 차지하므로<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인구비례로 뽑는다면 하원의원 <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2</span>명은 흑인이어야 한다<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font></p><p class="0"><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font size="3" face="맑은 고딕"><br></font></span></p><p class="0"><font size="3" face="맑은 고딕">그런데 선거 결과 앨라배마 하원의원 가운데 <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6</span>명이 백인 남성<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1</span>명이 흑인 여성이었다<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그런데 왜 흑인 의석이 <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2</span>명이 아니고 <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1</span>명인가<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span></font></p><p class="0"><font size="3" face="맑은 고딕">그것은 앨라배마 흑인 인구들이 지난해 선거에서 <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7</span>개 선거구에 골고루 분포되지 않고<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1</span>개 선거구에 몰아넣기<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packing)</span>을 당했기 때문이다<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하원 선거구는 주의회가 정하는데<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공화당이 장악한 앨라배마 주의회가 이런 식으로 선거구를 재조정<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redistricting)</span>한 것이다<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특정 정당에게 유리하도록 선거구를 이상하게 바꾸는 이른바 개리맨더링<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gerrymandering)</span>이다<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이에 비영리단체 앨라배마 포워드<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Alabama Forward)</span>의 에반 밀리건<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Evan Milligan) </span>사무총장이 <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span>흑인의 표심이 제대로 반영되지 않고 있다<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span>며 앨라배마주를 상대로 소송을 걸었다<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span></font></p><p class="0"><font size="3" face="맑은 고딕">법조계는 당초 보수적인 연방대법원이 앨라배마주의 손을 들어줄 것으로 내다봤다<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그러나 놀랍게도 <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span>보수파<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존 로버츠 대법원장과 브랫 캐버노 대법관이 흑인 유권자 편에 서면서 <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5</span>대 <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4'</span>라는 결과가 나왔다<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이에 따라 앨라배마주는 인구의 <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27%</span>인 흑인의 표심을 반영할수 있도록 <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7</span>개 선거구를 다시 획정해야 한다<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font></p><p class="0"><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font size="3" face="맑은 고딕"><br></font></span></p><p class="0"><font size="3" face="맑은 고딕">문제는 앨라배마 뿐만 아니라 조지아<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루이지애나<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텍사스 등 <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20</span>개주에서도 비슷한 소송이 있따르고 있으며<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타주에서도 선거구가 변경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흑인 다수 선거구가 늘어나면 내년 선거에서 민주당의 의회 장악 가능성이 커질 것이라는 것이 정치권의 분석이다<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전미흑인지위향상협회<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NAACP) </span>법률변호교육재단<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LDF)</span>의 스튜어트 나이프<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Stuart Naifeh) </span>변호사는 <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span>보수적인 연방대법원이 투표권법<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Voting Rights Act)</span>에 따라 판결을 내려 놀랍고<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앨라배마 뿐만 아니라 타주 선거구에도 영향을 끼칠 것<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span>이라고 내다봤다<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멕시코계미국인 법률변호교육재단<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MALDEF)</span>의 토머스 사엔즈<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Thomas Saenz) </span>회장은 <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span>이 판결이 좀더 일찍 나왔다면 <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2022</span>년 중간선거에서 민주당이 하원의원 <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1-2</span>석은 더 가져갔을 것<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span>이라고 분석했다<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span></font></p><p class="0"><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font size="3" face="맑은 고딕"><br></font></span></p><p class="0"><font size="3" face="맑은 고딕">이 판결은 연방하원 뿐만 아니라 주하원<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카운티<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시의원에도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크다<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아메리카계 원주민<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span>인디안<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span>을 대변하는 권리재단<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Native American Rights Fund, NARF)</span>의 재클린 드 레온<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Jacqueline De Leon) </span>변호사는 <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span>노스다코타주 인디안 보호구역의 경우 원주민 인구가 <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40%</span>를 넘어가는데<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카운티 커미션은 모두 백인들이 차지했다<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span>며 <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span>사우스다코타주 교육위원 선거에서도 원주민들이 이런 식으로 선거에 뽑히지 못했다<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span>고 지적했다<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span></font></p><p class="0"><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font face="맑은 고딕"><br></font></span></p><p class="0"><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맑은 고딕;mso-font-width:100%;letter-spacing:0.0pt;mso-text-raise:0.0pt;"><br></span></p><p class="0"><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맑은 고딕;mso-font-width:100%;letter-spacing:0.0pt;mso-text-raise:0.0pt;"><기사제공=에스닉미디어></span></p><p class="0"><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맑은 고딕;mso-font-width:100%;letter-spacing:0.0pt;mso-text-raise:0.0pt;"><br></span></p><p><br></p><p><br></p><p><span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font size="3"><span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font color="#000000" size="3">[ⓒ 뉴욕<a></a><a></a><a></a><a></a><a></a><a>코리아(</a></font><a></a><a></a><a></a><a></a><a></a><a></a><a style="color: rgb(53, 53, 53); text-decoration: none;" href="http://www.newyorkkorea.net" target="_blank"></a><a></a><a></a><a></a><a></a><a></a><a></a><font color="#000000" size="3"><a></a><a></a><a></a><a></a><a></a><a></a><a href="http://www.newyorkkorea.net">www.newyorkkorea.net</a> </font><font color="#000000"><font size="3"><font color="#000000">),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font></font></font></span></font></span></p><p><br></p>
번호
891
890
889
888
887
886
885
884
883
882
881
미주 한미여성회총연합회 전국대회 및 차세대 리더십 컨퍼런스
Brian Shin 기자
75973
2022-04-07
<기사입력일자: 2022-04-07>미주 한미여성회총연합회 전국대회 및 차세대 리더십 컨퍼런스미주 한미여성회 총연합회(회장 실비아 패튼)는 4월2일과 부터 4일까지 버지니아 힐튼 워싱턴 호텔에서 전국대회 및 차세대 컨퍼런스를 개최했다.미시건, 유타, 텍사스, 캘리포니아, 네바다,플로리다, 노스 다코타, 앨라배마, 테네시, 노스캐롤라이나, 미네소타, 미시시피, 조지아,메릴랜드,버지니아 등15 개주에서 회원가족과 22명..
880
879
878
877
876
875
874
873
872
회원정보
닉네임
조셉 리 기자 (_admin_)
가입일
2008-07-23
등급
운영자 (1)
활동
포인트 : 0 점
게시물 작성수 : 0 개
댓글 작성수 : 개
쪽지보내기
게시물 신고하기
게시판 성격에 맞지 않거나 불건전한 게시물을 운영자에게 신고할 수 있습니다.
운영자 확인 후 해당글 삭제조치 및 해당 회원에게 불이익이 갈 수 있습니다.
허위신고시에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니 신중하게 신고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