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코리아    SF    Boston    Washington D.C    Chicago    Atlanta    Canada
NewsLife InfoRealtySell & BuyJobsHealthCultureFood/TourIssueYellowPageShopping
회원가입 아이디/비밀번호찾기
Life Info
뉴욕코리아정보광장
뉴욕코리아뉴스
공지게시판
Help Me I 멘토링QA
법률/이민/비자QA
추천 기업뉴스
이사/귀국준비 QA
생활정보 자유게시판
정치/사회 자유게시판
속풀이/토론광장
만남의 광장
필수유익한미국정보
USA 고발/신문고
전문가 법률칼럼
박재홍 변호사 법률정보
송동호 변호사 법률상담
정대현 변호사의 이민법
최선민 변호사의 이민법
남장근변호사 교통사고법
노창균 변호사의 이민법
강지나 변호사의 가정법
이종건 변호사의 한국법
이화경 변호사의 노동법
공인회계/재무칼럼
김광호 CPA 전문가칼럼
Max Lee공인회계사칼럼
미국교육칼럼
엔젤라김 유학.교육상담
노준건학자금보조모든것
영어교육칼럼
말킴 패턴500문장뽀개기
말킴 응용500문장뽀개기
말킴 영어작문 뽀개기
라이프칼럼
서대진의 크루즈 여행
김동윤의 역학.사주칼럼
알렉스 컴퓨터정복
종교칼럼
기독교
불교
천주교
              

 
 
회원정보
닉네임
가입일 2008-07-23
등급 운영자 (1)
활동
포인트 : 0
게시물 작성수 : 0
댓글 작성수 : 0
쪽지보내기
받을아이디
제목
내용
(0/200바이트)
 
> Life Info > 뉴욕코리아정보광장 > 뉴욕코리아뉴스
뉴욕코리아뉴스
민권운동 지도자들, 어퍼머티브 액션 폐지 비판 나서
작성자: 조셉 리 기자 조회: 74978 등록일: 2023-07-11

<기사입력일자: 2023-07-11>



민권운동 지도자들, 어퍼머티브 액션 폐지 비판 나서

민권운동 지도자들은 고등교육기관의 다양성 및 유색인종 보호를 위해 싸우겠다고 다짐했다. 이들은 또 교육지도자 및 정책결정자들에게 과잉해석하지 말라고 경고했다. by Pilar Marrero

















지난 629일 목요일, 보수파가 다수를 차지한 연방대법원은 45년간 이어졌던 판례를 파기했다. 이제 대학과 고등교육기관은 대학 입시 학생 선발에 있어 학생의 인종을 더 이상 고려하지 않아도 된다고 판결한 것이다.

어퍼머티브 액션(affirmative action)이 헌법의 평등 조항(equal protection clause)을 위반한다고 판시한 이 판결은 미국내 다양한 인종과 이민자들로 구성된 미국 민권단체 대다수로부터 곧바로 비판을 받고 있다. 민권단체 대표들은 정책입안자들과 고등교육기관 관계자들이 이번 판결의 의미를 확대 해석하거나 과장해서는 안된다고 당부했다.

민권 단체들은 또 이번 판결로 가장 큰 영향을 받게될 유색인종 학생들에게 이번 판결 때문에 절망에 빠지지 말고 야망을 가지라고 조언했다.

멕시칸 아메리칸 법률변호교육재단(MALDEF)의 회장이자 법률 담당인 토마스 A 사엔즈(Thomas A. Saenz)는 존 로버츠(John Roberts) 대법원장이 쓴 다수 판결문 내용을 지적하고 나섰다. 이 판결문은 대학 입시에 있어 학생의 인종을 고려할 수 있으나, 학생 선발 전체에 걸쳐서는 고려해선 안된다고 규정하고 있다.

사엔즈 회장은 EMS와의 인터뷰에서 이 부분은 대학 입시에 있어 학생의 인종을 여전히 고려할수 있으며, 인종에 따른 차별이 여전하다는 점을 판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이번 판결은 고등교육에 있어 인종을 무시하라고 조장하거나 의무화한 것이 아님을 명확히 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정책결정자들은 이번 판결을 인종 불평등 문제를 무시하거나 중요한 문제를 묵살하는 핑계로 삼아서는 안된다. 이번 판결은 1964연방민권법(Federal Civil Rights Act of 1964) 규정을 바꾼 것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대학과 대학원들, 특히 이 판결 이전에 인종을 학생 선발의 한 요소로 도입했던 대학들은 앞으로도 입시에 있어 평등을 고려해야 한다고 다양한 고등교육기관 관계자들은 강조했다.

대학교육기회를 위한 캠페인(Campaign for College Opportunity)의 미쉘 시퀘이로스(Michelle Siqueiros) 회장은 EMS와의 인터뷰에서 어퍼머티브 액션은 대학내 다양한 학생을 보장하는 가장 뛰어난 수단 가운데 하나라며 연방대법원은 레가시 입학(banned legacy)도 금지시켰어야 했다. 레가시 입학은 하버드 대 등 상위권 대학 4분의 1에서 3분의 1 이상이 시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 레가시 입학(같은 학교 출신 동문의 아들딸 입학시키기), 조기입학, 특정 정책에 대한 선호, 입학 사정에 표준 시험만 적용하기 등에 대해 학생들에게 좋지 않으며, 저소득층 흑인, 라티노, 아시안 아메리칸 학생들의 기회를 박탈한다고 말했다.

새크라멘토 주립대(Sacramento State University) 학자이며 차기 학장인 J. 루크 우드(J. Luke Wood)는 학자로서의 자신의 경험에 기초해 말했다. 그는 이번 판결은 인종 라이팅(race lighting) 그 자체라며 인종에 대한 개스라이팅(gaslighting)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대학입시에서 정말로 차별을 없애려면, 대학 당국은 우선적으로 표준 시험부터 없애야 한다시험점수는 학생의 능력이 아닌 학생의 배경을 보여주는 지표이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그는 표준시험은 유색인종 학생들의 대학 및 대학원 교육 기회에 영향을 끼친다고 강조했다.

교육자들은 학생들이 이번 판결을 잘못 받아들이고, 유색인종 학생들이 이미 고등교육기관에 많이 재학하고 있다고 오해할수 있다고 우려했다.

아시안아메리칸 정의진흥협회(Asian American Advancing Justice AAJC) 전략기획부회장인 마리아 에투바네즈(Marita Etcubañez)유색인종 학생들은 여전히 미국사회에 소속돼 있으며, 여러분들을 위해 싸워줄 사람이 있다. 유색인종 학생들은 이번 판결에 겁먹지 말고 원하는 대학에 지원해달라고 당부했다.

에투바네즈 부회장은 다른 아시안 아메리칸 민권 지도자들과 마찬가지로, 이번 판결로 인해 부당한 메시지가 전달될 것을 우려했다. 아시안 학생들이 이번 소속을 제기했으며, 어퍼머티브 액션이 아시안 학생들을 차별한다는 주장이 그것이다. 그는 이런 주장에 대해 완전히 잘못된 것이라고 강조했다.

에투바네즈 부회장은 연방지방법원은 모든 증거를 검토한 결과, 아시안 학생들이 차별당하고 있다는 주장을 뒷받침할 증거를 찾지 못했다고 말했다. 그는 또 아시안 아메리칸들이 소송을 지지하지 않고 있다는 사실을 명확히 하고 싶다. 이 소송은 공정한입시를 위한 학생들(Students for a Fair Admission)이라는 단체가 제기한 것이다. 이 단체를 이끄는 에드 블룸(Ed Bloom)은 몇년간 어퍼머티브 액션을 폐지하려는 운동을 벌인 사람이다. 이 소송은 잘못된 것을 바로잡기 위한 재판이 아니다라고 덧붙였다.

블룸은 공화당 재정 지원자이며, 10년전 유색인종 투표권에 영향을 끼친 연방대법원 쉘비 판례(Shelby case)를 주도한 사람이다.

소니아 소토마요르(Sonia Sotomayor) 대법관은 다수 의견에 반대하는 소수 의견을 통해 이 대법원의 판사 3명도 인종을 감안한 학생 선발을 통해 엘리트 대학과 로스쿨을 졸업했다다른 학생들과 다른 교육 배경에도 불구하고 이들 판사들은 훌륭한 법조 경력을 쌓았다꼬 말했다.

케타지 브라운 잭슨 대법관은 (이 판결에 대한 반대 의견에서) 자신과 클레런스 토머스 (Clarence Thomas) 대법관을 지칭하며 말했다. 토머스 대법관은 흑인이며 대법원에서 극보수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MALDEF의 사엔즈 변호사는 토머스 대법관은 저의 모교이기도 한 예일 로스쿨을 졸업했다그때만 하더라도 로스쿨은 어퍼머티브 액션을 적용했고, 토머스 대법관도 그런 혜택을 입었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번 판결은 미래 세대에 많은 제약을 가져다줄 것이다대법원의 이번 잘못된 결정 때문에 미래의 대법관, 미래의 지도자, 선출직 지도자, 미래의 직업인들의 숫자가 계급에 따라 줄어들 것이라고 지적했다.

대학기회를 위한 캠페인의 미쉘 시퀘이로스 회장은 앞으로도 각자의 법을 통해 인종을 학생 선발 기준으로 적용하지 않고 있는 캘리포니아 등 타주를 대상으로 부정적인 효과를 없애기 위해 계속 싸울 것이라고 말했다.

시퀘이로스 회장은 대학이 흑인, 유태인, 라티노, 원주민을 무조건 캠퍼스에서 배격했던 1940, 1950년대로 결코 돌아갈수 없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대학 지도자들이 앞으로도 모든 미국인들에게 기회를 제공하는 정책을 지지해주기를 바란다현재 K-12공립학교의 학생 50% 이상이 라티노, 아프리카계 미국인, 아시안 등 유색인종을 차지하는 상황에서, 이러한 판결은 시대착오적이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 뉴욕코리아(www.newyorkkorea.net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트위터 트위터 페이스북 페이스북
번호
제목 작성자 조회 등록일
공지
<공지>뉴욕코리아 취재인터뷰 요청및 뉴스 내용, 행사 사진등을 보내주세요.
뉴욕코리아 71704 2011-01-22
공지
<알림> 독도 레이서의'독도 콘서트'의 공연일정이 취소되었습니다.
뉴욕코리아 31678 2011-03-18
1029
주뉴욕총영사, 주요 싱크탱크 및 학계 인사 관저 만찬
케빈 정 기자 50565 2025-03-28
1028
뉴욕총영사관,글로벌 리더십 특강 개최
Brian Shin 기자 51278 2025-03-28
1027
제 106주년 3.1절 기념식 성황리 개최
조셉 리 기자 52720 2025-03-05
1026
조현동 주미대사, 마이크 던리비(Mike Dunleavy) 알래스카 주지사 면담
케빈 정 기자 72316 2025-02-22
1025
뉴욕한인회, 서류미비자 보호 위한 법률 지원
조셉 리 기자 74158 2025-02-12
1024
제65주년 뉴욕한인의 밤, 제122주년 미주한인의 날 행사 성료
케빈 정 기자 58121 2025-01-24
1023
뉴욕한인회, 뉴욕평통, 2025년 신년하례식 성료
John Kim 기자 84224 2025-01-24
1022
뉴욕한인회, 한인 이민 역사 조명하는 강연 개최
케빈 정 기자 53418 2024-12-30
1021
뉴욕한인회, 김치 만들기 행사 성황리 개최
조셉 리 기자 84246 2024-12-30
1020
김의환 총영사, '뉴욕 한인 간호사의 밤' 행사 개최 축사
케빈 정 기자 96340 2024-11-24
1019
김광석 뉴욕한인회장, 인천시와 미주한인의 날 행사 참여 논의
조셉 리 기자 92755 2024-11-24
1018
KCC 한인동포회관 2024 건강엑스포 성황리 개최
Brian Shin 기자 90647 2024-10-27
1017
조현동 주미대사, 허드슨 연구소 방산 세미나 참석
조셉 리 기자 88910 2024-10-18
1016
보스턴총영사관, 보스턴한미예술협회 '오후의 클래식 음악회' 개최
John Kim 기자 80782 2024-10-17
1015
2024년 국경일 행사 성황리 개최
케빈 정 기자 55776 2024-10-17
1014
2024 코리안 퍼레이드 및 페스티벌 성료
조셉 리 기자 48381 2024-10-14
1013
[문화] 제5회 선경문학상 김륭 시인 수상
John Kim 기자 44587 2024-10-14
1012
[문화] 제2회 선경작가상 한혜영 시인 수상
John Kim 기자 44389 2024-10-14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회원정보
닉네임 조셉 리 기자 (_admin_)
가입일 2008-07-23
등급 운영자 (1)
활동
포인트 : 0
게시물 작성수 : 0
댓글 작성수 : 0
쪽지보내기
닉네임 조셉 리 기자 (_admin_)
제목
내용
(0/200바이트)
게시물 신고하기
게시판 성격에 맞지 않거나 불건전한 게시물을 운영자에게 신고할 수 있습니다.
운영자 확인 후 해당글 삭제조치 및 해당 회원에게 불이익이 갈 수 있습니다.
허위신고시에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니 신중하게 신고해주세요.
글 제목 민권운동 지도자들, 어퍼머티브 ...
글 작성자 조셉 리 기자
신고이유
회사소개 | 개인정보취급방침 | 회원약관 | 고객지원센터 | 제휴 및 광고문의 | 광고안내   
 

 

Contact Us : 고객문의센터, Tel: 대표 201-674-5611

E-mail: newyorkkorea77@gmail.com, newyorkkorea@naver.com, 빠른카톡상담ID : newyorkkorea 

미국최대 대표포털 뉴욕코리아는 미국법률변호사고문 및 미국저작권법의 보호를 받고 있으며, 컨텐츠 및 기사의 무단 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  

Copyright (c) New York Korea, INC. News Media Group in US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