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정보
닉네임
가입일
2008-07-23
등급
운영자 (1)
활동
포인트 : 0 점
게시물 작성수 : 0 개
댓글 작성수 : 개
뉴욕코리아뉴스
KAGC, 뉴욕대학교에서 한인 대학생들과 정체성 워크샵 진행
작성자: 조셉 리 기자
조회: 77814 등록일: 2019-02-19
<기사입력일자:2019-02-20>
뉴욕대학교에서 한인 대학생들과 정체성 워크샵 진행
지난 2월 16일 미주한인유권자연대 (Korean American Grassroots Conference; 이하 KAGC)는
Presidents' Day를 맞이하여 한인 대학생 50여명과 함께 미국 역사와 미주한인 정체성을 주제로 워크샵을 진행했다.
미주한인사회의 역사, 아시안계 미국인에 영향을 끼친 공공정책 및 법안에 대한 교육을 받은 뉴욕대학교 (New York
University), 콜럼비아 대학 (Columbia University), 쿠퍼유니언 (The Cooper Union), 버룩 뉴욕시립대
(Baruch College, the City University of New York)를 비롯 뉴욕일대의 대학생과 해군사관학교 (United
States Naval Academy)의 한인생도 20여명은 각자의 이민자로서의 경험을 토론하는 시간을 통해 한인으로서의 정체성을 돌아보며
시민참여의 중요성과 책임감을 함양했다.
해군사관학교의 한인생도회를 이끄는 리차드 강 생도는 (해군사관학교 4학년) "이민가정에서 자랐, 캘리포니아의 한인밀집지역 출신임에도
불구하고 우리들에게 직접적으로 관련된 역사에 대해서는 배울 기회가 없었다는게 사실이다. 올해 초 KAGC의 대학생 프로그램에 이번에 두번째
참가하면서 정말 많은 것을 배우고, 다른 학교의 한인학생들과 교류를 할 수 있는 기회에 감사하다"고 소감을 밝혔다.
"대학생활 내내 KAGC의 다양한 행사에 여러번 참가해왔는데, 매 번 새로운 것을 배웠다. 덕분에 혼란스러웠던 정체성에 갈피를 잡는데
큰 도움을 받았고, 한인으로서 자신감과 동시에 책임감이 커졌다. 이런 뜻깊은 자리를 내 친구들과 나눌 수 있어서 기쁘다"고 뉴욕대의 문소연 학생
(뉴욕대 언론학 4학년)은 덧붙였다.
이 날 행사에서는 또한 그레이스 최 뉴욕시장 정책실장, 에릭 김 아시안아메리칸연맹 프로젝트 매니저 등 뉴욕시의 한인 시민활동가와
공무원이 패널리스트로 참석해 본인들의 경험과 사례를 학생들에게 공유했다.
미주 최대 규모의 한인 유권자 네트워크인 KAGC는 한편 2016년 부터 한인대학생 교육 프로그램인 KAGC U를 운영, 현재 전국
120여개 대학에서 1,000여명의 학생이 참가, 연중 캠퍼스 내 유권자 등록 캠페인 등 다양한 시민참여활동을 주도해 오고 있다. 특히 매년
여름, 한인학생들을 연방상·하원의원실에 인턴으로 배정 및 지원하는 연례 Congressional Fellowship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며,
올해 프로그램의 지원은 오는 3월 8일 마감한다.
2014년 부터 KAGC는 또한 매년 7월 워싱턴DC에서 KAGC 전국 컨퍼런스를 개최, 전국 30개 주에서 다양한 연령층의 한인
600여명을 결집 시민참여 교육 및 연방의회에 직접 한인사회의 주요현안을 전달하는 행사를 개최한다. 올해 6년째를 맞는 KAGC 전국 컨퍼런스는
7월 16일부터 18일까지 진행될 예정이며, 작년에는 상원외교위원회 간사 밥 메넨데즈 상원의원, 하원외교위원회 아시아-태평양 소위원장 테드 요호
하원의원 등 총 18명의 연방의원들과 조윤제 주미한국대사, 해리 해리스 주한미국대사 (비디오 메세지) 등이 참석하여 한인사회의 적극적인
시민참여와 한미공조에 뜻을 함께 했다.
KAGC Congressional Fellowship 및 2019 KAGC 전국 컨퍼런스
관련문의: KAGC 웹사이트 https://kagc.us ,
페이스북 또는 전화 (202) 450-4252.
<사진= KAGC 제공>
[ⓒ 뉴욕코리아( www.newyorkkorea.net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p>
<기사입력일자:2019-02-20></p><p><br></p><p><strong><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 size="6"><br></font></strong></p><p><strong><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 size="6"><br></font></strong></p><p><strong><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 size="6">뉴욕대학교에서 한인 대학생들과 정체성 워크샵 진행</font></strong></p><p><strong><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 size="6"><br></font></strong></p><p><strong><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 size="6"><br></font></strong></p><p><table width="675" align="left" class="left" id="community_image"><tbody><tr><td><img _width="675" align="absmiddle" src="/rankup_module/rankup_board/attach/noticenews/15505983051716.jpg" style="width:675px;"></td></tr></tbody></table></p><p><br></p><p><br></p><p><br></p><p><br></p><p><br></p><p><br></p><p><br></p><p><br></p><p><br></p><p><br></p><p><br></p><p><br></p><p><br></p><p><br></p><p><br></p><p><br></p><p><br></p><p><br></p><p><br></p><p><br></p><p><br></p><p><br></p><p><br></p><p><br></p><p><br></p><p><p><font color="#555555" face="dotum" size="3"><br></font></p><p><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 size="3"><br></font></p><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 size="3">지난 2월 16일 미주한인유권자연대 (Korean American Grassroots Conference; 이하 KAGC)는
Presidents' Day를 맞이하여 한인 대학생 50여명과 함께 미국 역사와 미주한인 정체성을 주제로 워크샵을 진행했다.
</font></p><div><font size="3"><br><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font></font></div><p><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 size="3">
</font></p><div><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 size="3">미주한인사회의 역사, 아시안계 미국인에 영향을 끼친 공공정책 및 법안에 대한 교육을 받은 뉴욕대학교 (New York
University), 콜럼비아 대학 (Columbia University), 쿠퍼유니언 (The Cooper Union), 버룩 뉴욕시립대
(Baruch College, the City University of New York)를 비롯 뉴욕일대의 대학생과 해군사관학교 (United
States Naval Academy)의 한인생도 20여명은 각자의 이민자로서의 경험을 토론하는 시간을 통해 한인으로서의 정체성을 돌아보며
시민참여의 중요성과 책임감을 함양했다.</font></div><p><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 size="3">
</font></p><div><font size="3"><br><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font></font></div><p><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 size="3">
</font></p><div><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 size="3">해군사관학교의 한인생도회를 이끄는 리차드 강 생도는 (해군사관학교 4학년) "이민가정에서 자랐, 캘리포니아의 한인밀집지역 출신임에도
불구하고 우리들에게 직접적으로 관련된 역사에 대해서는 배울 기회가 없었다는게 사실이다. 올해 초 KAGC의 대학생 프로그램에 이번에 두번째
참가하면서 정말 많은 것을 배우고, 다른 학교의 한인학생들과 교류를 할 수 있는 기회에 감사하다"고 소감을 밝혔다.</font></div><p><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 size="3">
</font></p><div><font size="3"><br><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font></font></div><p><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 size="3">
</font></p><div><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 size="3">"대학생활 내내 KAGC의 다양한 행사에 여러번 참가해왔는데, 매 번 새로운 것을 배웠다. 덕분에 혼란스러웠던 정체성에 갈피를 잡는데
큰 도움을 받았고, 한인으로서 자신감과 동시에 책임감이 커졌다. 이런 뜻깊은 자리를 내 친구들과 나눌 수 있어서 기쁘다"고 뉴욕대의 문소연 학생
(뉴욕대 언론학 4학년)은 덧붙였다.</font></div><p><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 size="3">
</font></p><div><font size="3"><br><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font></font></div><p><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 size="3">
</font></p><div><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 size="3">이 날 행사에서는 또한 그레이스 최 뉴욕시장 정책실장, 에릭 김 아시안아메리칸연맹 프로젝트 매니저 등 뉴욕시의 한인 시민활동가와
공무원이 패널리스트로 참석해 본인들의 경험과 사례를 학생들에게 공유했다. </font></div><p><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 size="3">
</font></p><div><font size="3"><br><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font></font></div><p><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 size="3">
</font></p><div><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 size="3">미주 최대 규모의 한인 유권자 네트워크인 KAGC는 한편 2016년 부터 한인대학생 교육 프로그램인 KAGC U를 운영, 현재 전국
120여개 대학에서 1,000여명의 학생이 참가, 연중 캠퍼스 내 유권자 등록 캠페인 등 다양한 시민참여활동을 주도해 오고 있다. 특히 매년
여름, 한인학생들을 연방상·하원의원실에 인턴으로 배정 및 지원하는 연례 Congressional Fellowship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며,
올해 프로그램의 지원은 오는 3월 8일 마감한다.</font></div><p><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 size="3">
</font></p><div><font size="3"><br><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font></font></div><p><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 size="3">
</font></p><div><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 size="3">2014년 부터 KAGC는 또한 매년 7월 워싱턴DC에서 KAGC 전국 컨퍼런스를 개최, 전국 30개 주에서 다양한 연령층의 한인
600여명을 결집 시민참여 교육 및 연방의회에 직접 한인사회의 주요현안을 전달하는 행사를 개최한다. 올해 6년째를 맞는 KAGC 전국 컨퍼런스는
7월 16일부터 18일까지 진행될 예정이며, 작년에는 상원외교위원회 간사 밥 메넨데즈 상원의원, 하원외교위원회 아시아-태평양 소위원장 테드 요호
하원의원 등 총 18명의 연방의원들과 조윤제 주미한국대사, 해리 해리스 주한미국대사 (비디오 메세지) 등이 참석하여 한인사회의 적극적인
시민참여와 한미공조에 뜻을 함께 했다.</font></div><p><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 size="3">
</font></p><div><font size="3"><br><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font></font></div><p><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 size="3">
</font></p><div mousey="12" mousex="806"><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 size="3">KAGC Congressional Fellowship 및 2019 KAGC 전국 컨퍼런스
관련문의: KAGC 웹사이트 </font><a href="https://kagc.us/" target="_blank"><u><font color="#0087e1" face="맑은 고딕" size="3">https://kagc.us</font></u></a><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 size="3"><font color="#0087e1">,</font>
페이스북 또는 전화 (202) 450-4252.</font> <br></font></div><p><br></p><p><br></p><p><table width="675" align="left" class="left" id="community_image"><tbody><tr><td><img _width="675" align="absmiddle" src="/rankup_module/rankup_board/attach/noticenews/15505983271879.jpg" style="width:675px;"></td></tr></tbody></table></p><p><br></p><p><br></p><p><br></p><p><br></p><p><br></p><p><br></p><p><br></p><p><br></p><p><br></p><p><br></p><p><br></p><p><br></p><p><br></p><p><br></p><p><br></p><p><br></p><p><br></p><p><br></p><p><br></p><p><br></p><p><br></p><p><br></p><p><br></p><p><br></p><p><br></p><p><table width="675" align="left" class="left" id="community_image"><tbody><tr><td><img _width="675" align="absmiddle" src="/rankup_module/rankup_board/attach/noticenews/15505984341689.jpg" style="width:675px;"></td></tr></tbody></table></p><p><br></p><p><br></p><p><br></p><p><br></p><p><br></p><p><br></p><p><br></p><p><br></p><p><br></p><p><br></p><p><br></p><p><br></p><p><br></p><p><br></p><p><br></p><p><br></p><p><br></p><p><br></p><p><br></p><p><br></p><p><br></p><p><br></p><p><br></p><p><br></p><p><br></p><p><br></p><p><사진= KAGC 제공></p><p><br></p><p><br></p><p><br></p><p><span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font size="3"><span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font color="#000000" size="3">[ⓒ 뉴욕<a><a><a><a><a><a>코리아(</a></font><a><a><a><a><a><a></a><a style="color: rgb(53, 53, 53); text-decoration: none;" href="http://www.newyorkkorea.net" target="_blank"><a><a><a><a><a><a></a><font color="#000000" size="3"><a><a><a><a><a><a></a><a href="http://www.newyorkkorea.net">www.newyorkkorea.net</a> </font><font color="#000000"><font size="3"><font color="#000000">),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font></font></font></span></font></span></p><p><br></p>
번호
651
650
649
648
647
646
645
644
643
642
워싱턴, 3.1운동 100주년 기념행사 개최
<2019-03-04>워싱턴, 3.1운동 100주년 기념행사 개최3.1운동 100주년을 맞이하여 워싱턴 사람들 (워싱턴 한인회, 민주평통자문회의, 광복회, 매릴랜드 각 지역한인회등 약 60여개 한인주요단체, 향우회등이 참여 )주최, 3월 2일 코리안 벨 가든에서 성황리에 개최되었다.이날 3.1운동 100주년 기념식으로 3.1만세운동 재현 퍼포먼스, 태극기 만들기, 붓글씨 쓰기, Face Paninting, 독립운동가 어록,..
641
640
639
638
637
636
635
634
633
☞
회원정보
닉네임
조셉 리 기자 (_admin_)
가입일
2008-07-23
등급
운영자 (1)
활동
포인트 : 0 점
게시물 작성수 : 0 개
댓글 작성수 : 개
쪽지보내기
게시물 신고하기
게시판 성격에 맞지 않거나 불건전한 게시물을 운영자에게 신고할 수 있습니다.
운영자 확인 후 해당글 삭제조치 및 해당 회원에게 불이익이 갈 수 있습니다.
허위신고시에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니 신중하게 신고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