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정보
닉네임
가입일
2008-07-23
등급
운영자 (1)
활동
포인트 : 0 점
게시물 작성수 : 0 개
댓글 작성수 : 개
Dr.kim
모유 수유, 유방 구조, 모유 수유 호르몬 프로랙틴에 관한 백문 백답
작성자: Dr.이상원
조회: 6620 등록일: 2019-01-02
모유 수유 , 유방 구조 , 모유 수유 호르몬 프로랙틴에 관한 백문 백답 유방이란? A. 젖샘(Mammry gland/breast)’, 즉 유방은 모유를 생성하는 외분선이다. 여성 생식기계의 일부이다. 유방은 앞가슴의 피하조직, 2~6 번째 늑골의 사이, 대흉근육, 흉골과 겨드랑이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유방의 중앙 부위에 젖꼭지가 있다. 젖꼭지를 유두라고 한다. 젖꼭지는 양쪽 유방에 하나씩 있다. 그 유두의 뿌리를 둘러싼 피부부분을 유두륜, 유륜, 젖꼭지판, 또한 젖무리라고 한다. 유륜에는 몽고메리선이 있다. 여기서 피지가 분비된다. ( 그림 22-41 참조) Q. 유방의 내부의 구조는? A 한 개의 유방 속에는 15~20 개 젖샘엽이 있다. 각 젖샘엽에는 유선( 포상샘/ 포상선/ 젖샘) 이 많이 있다. 그 포상샘은 포상샘 분비관에 연결되어 있다. 그 포상샘 분비관은 팽대부( 유동) 로 연결되어 있다. 그 팽대부( 유동) 는 다시 유관( 젖샘관) 으로 연결되어 있다. 그 유관은 유두의 젖 구멍으로 연결되어 있다. 유두의 젖 구멍에서 젖이 나온다. ( 그림 유방 참조) Q. 유방에서 젖이 만들어지는 경로는? A 아기가 젖을 먹을 때 꼭지를 빨 으면서 유륜을 자극하면→ 신경 임펄스가 뇌 시상하부로 전달되고→ 시상하부에서 뇌하수체 후엽으로 신호를 보내어 옥시토신( 피토신) 분비되고→ 옥시토신은 포상샘을 둘러싸고 있는 근상피세포를 자극하고→ 포상샘( 유선) 에서 젖( 모유) 이 분출되고→ 포상샘 분비관→ 팽대부→ 유관( 젖샘 관) → 유두→ 유두 젖구멍을 통과해 젖이 분비된다. 결합조직과 지방조직이 각 젖샘 엽 사이에 있다. Q. 유방은 어떻게 발육되나? A. 사춘기가 되기 전 까지 남, 여아의 유방의 구조는 거의 같다. 사춘기가 시작되면 여성의 난소의 황체에서 분비되는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이라는 여성호르몬에 의해서 유선( 젖샘) 과 포상샘 분비관( 젖분비관) 등이 발육되고 커진다. 그리고 지방조직이 유방 속에 축적된다. 그래서 사춘기 여아들의 유방이 예쁘게 커진다. Q. 임신하면 유방에도 변화가 온다고 하던데? A. 임신이 되면 임신부의 신체에 많은 변화가 현저하게 생긴다. 그 중 더 특별하고 현저하게 생기는 신체적 변화는 자궁과 유방에 오는 변화이다. 장차 태어날 아기가 젖을 먹고 자라건 인공영양을 먹고 자라건 임신부는 장차 태어날 내 소중한 아기가 젖을 충분히 먹고 건강하게 자랄 수 있게 유방 속 포상샘과 젖 분비 세포 및 젖 분비선계가 발달된다. 유방 속에 유선관( 포상샘 분비관계), 팽대부, 유관( 젖샘 관) 등이 왕성하게 발달하고 젖꼭지가 커지고 유방 내 지방조직이 축적되고 유방 전체가 커진다. 유륜에 몽고메리선이 발달되어 거기서 피지가 생성되어 모유를 수유하기에 더 편리하게 유방 모든 것이 착착 진행된다. 유방이 탄탄하게 커지는 처음 얼마동안에는 좀 얼 얼거리고 아플 수 있다. 특히 유두가 어디에 닿으면 상당히 아플 수 있다. 한 개의 유방 안에는 15~20 개의 유방 엽이 있다. 한 개의 유방 엽은 여러 개의 작은 유방 소엽들로 구성되어 있고, 유방 소엽들은 다시 더 세분된다. 그 유방소엽 속에 젖을 만드는 젖 세포들이 있다. 젖 세포들이 모여 젖선( 포상샘) 이 된다. 이 젖샘을 포상샘, 또는 유선이라고도 한다. 젖 선( 腺) 에서 만들어진 젖이 흘러가는 관을 포상샘 분비관이라 한다. 크고 작은 포상샘 분비관을 통틀어 포상샘 분비관계라고 한다. ( 그림 유방 참조) 아기가 젖꼭지를 빨아 먹기 전에 젖 선에서 분비된 젖이 괴여 있는 유방 속 동을 유동 또는 팽대부라고 한다. 임신이 되자마자 이런 유방 내부 젖분비선계의 조직이 점점 더 커지고 발달된다. 그리고 분만하기 바로 전까지 유방의 기능이 알게 모르게 더 활성화된다. 임신 중 태반에서 분비되는 항 프로택틴 호르몬(Antiprolactin hormone) 의 작용으로 프로랙틴(Prolactin) 이 포상샘의 젖 분비세포를 자극해서 젖이 분비되지 못하게 작용하고 있다가 아기가 태어난 후 태반이 자궁 속에서 배출 되자마자 프로랙틴이 젖분비 세포들을 자극하기 시작하고 젖분비 세포들이 젖을 만들기 시작한다. 그러나 프로랙틴이 분만 후 왕성하게 작용하기 시작하는 데는 1~2 일의 시간이 필요하다. Q. 유방은 어떻게 젖을 만들어내나? A. 아기가 젖꼭지를 빨 때는 젖꼭지와 유륜 등에 있는 말초 신경이 자극 받는다. 이 때 아기가 젖을 빤다는 신호가 신경 임펄스( neural impulse ) 를 통해 수유모의 뇌에 있는 시상하부로 전달된다. 시상하부에서 신경 임펄스가 수유모의 뇌하수체의 후엽에 전달된다. 수유모의 뇌하수체 후엽에서 옥시토신(Oxytocin/pitocin) 호르몬이 분비되고 그 옥시토신 호르몬은 포상샘 세포를 싸고 있는 근상피세포를 자극해서 모유가 포상샘 분비관으로 분비되게 한다. 유방 내 젖 세포에서 유방 젖 분비관계 속 유동 속으로 이미 분비되어 있는 모유가 포상샘 분비관계( 유관) 등을 통해 젖꼭지 쪽으로 흘러나오도록 포상샘 분비관계를 자극한다. 그와 동시에 젖꼭지를 빨 때 생긴 신경 임펄스가 수유모의 시상하부로 전달되고 그 다음 뇌하수체 전엽에 전달된다. 프로랙틴(Prolactin) 호르몬이 수유모의 뇌하수체의 전엽에서 분비된다. 그 프로랙틴 호르몬은 유방의 젖 분비세포( 젖 세포) 를 자극해 젖 분비를 촉진시킨다. 그와 동시에 유방 내 혈액 순환이 더 왕성해지고 유방 내 지방조직이 더 발달되고 지방이 유방 안에 더 축적된다. 유방의 피하 조직에 있는 정맥 혈관들이 유방 피부층을 통해 육안으로 쉽게 볼 수 있을 정도로 커진다. 임신 중 유방이 커지기 때문에 유방의 피부층에 신장반( 임신선) 이 생길 수 있다. 분만 후 아기가 젖을 빨 때 신경 임펄스가 시상하부로 전달되고 그 다음 뇌하수체 후엽으로 전달된다. 뇌하수체 후엽에서 옥시토신이 분비되어 모유가 분출된다. 임신 중에는 태반에서 분비되는 프로랙틴 분비 억제 호르몬에 의해서 아기가 태어나기 전에는 프로랙틴이 유방을 자극 할 수 없다. 모든 이런 생리를 배우다 보면 우리 몸의 생리는 컴퓨터 칩의 기능과 비슷하게 만들어 졌다고 생각 한다. Q . 임신 중 젖꼭지와 유두륜에 크림 같은 것이 생기면 씻어내야 하나? A. 임신 중 유두는 보통 때 크기의 배로 커지고 유두의 끝 부분에 15~20 개 정도 젖나오는 구멍들이 있다. 유두의 뿌리의 주위에 있는 유륜( 유두륜) 의 크기도 배로 커진다. 유두와 유륜의 색은 짙은 흑갈색이거나 또는 진분홍색으로 변한다. 아마도 젖 먹는 아기가 육안으로 쉽게 보고 쉽게 찾을 수 있게 유두와 유륜의 색이 이렇게 변화된 것 같다. 유륜에는 몽고메리 결절이 여러 개 정상적으로 나있다. 그 몽고메리 결절 속에 몽고메리 선이 있고 거기에서 크림과 같은 윤활 피지가 분비돼 유륜과 유두를 부드럽게 해서 수유 중 유두와 유륜이 갈라지거나 터지지 않게 하는 역할을 한다. 즉 기계가 잘 돌아가도록 기계에 기름을 치는 것과 거의 같은 이치이다. 임신 기간 동안과 분만 후 모유 수유하는 동안 윤활 피지는 유두와 유륜을 보호해 주는 역할을 한다. 몽고메리 선에서 분비된 크림 같은 윤활 피지를 비누로 씻어내서는 안 된다. 그리고 유두나 유륜에 국소 도포용 크림을 특별히 바를 필요도 없다. Q. 유방의 크기가 작은 편인데 아기한테 충분한 양의 모유가 나올까? A . 임신부에 따라 유방의 크기와 모양에 차이가 많다. 유방의 크기가 상당히 크던 작던 늘어졌던 탄탄하던 모든 산모의 유방은 한 아기 또는 두 아기가 동시 먹고 자랄 수 있도록 충분한 양의 모유를 분비할 수 있다. 소아청소년과 의사가 바라는 유방의 궁극적인 목적은 안정하고 편안한 느낌을 아기에게 주고 아기가 먹고 건강하게 자랄 수 있게 따뜻한 모유를 충분히 분비하는 것이다. 임신 5~6 개월경부터 유두에 있는 여러 개의 젖 구멍에서 맑은 젖이 몇 방울 정도 나올 수 있다. 이 젖은 초유의 일종이다. 이 젖은 마유라고도 한다. 위 포스팅 내용의 대부분은 www.koreapediatrics.com 제4권 모유 모유수유 이유에 있는 내용들입니다 전문적인 면도 있지만 소아청소년 자녀 양육에 많은 도움이 되리라고 믿습니다 . 그러나 여기에 있는 정보는 여러분의 의사로부터 얻는 정보 진단 치료를 대신할 수 없습니다 . www.koreapediatrics.com 부모도 반의사가 되어야 한다 ( 소아가정간호백과 )
부모도 반의사가 되어야 한다 모유 모유수유 이유 308 쪽, 2014 년 좋은땅 출간에서 파온 글 http://blog.naver.com/drsangwonlee 에 글을 올리면서 인사 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온 세상 한국 부모님 여러분!!!!!!!!!!!! 전 세계 8 천만 한인 필독 진정한 육아 바이블 읽기 운동에 동참해 주시기를 바랍니다. 미국 소아과전문의, 한국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이상원 Dr. John Sangwon Lee, MD, FAAP 는 고국과 전 세계 8 천 만 한인들에게 자녀 육아, 건강증진, 질병진단 치료, 예방, 자녀를 진정으로 사랑하는 방법, 수면, 소아청소년 성교육, 인성교육 등에 관한 자녀 육아 필독 바이블을 온 세상 8 천만 한인들에게 선물로 다음 정보들을 드리고 싶습니다. 1. http://www.koreapediatrics.com/ 부모도 반의사가 되어야 한다- 약 20,000 여 쪽. 13412 제목, 2013 년 출시 소아과 웹사이트 이상원 운영2. 소아가정의학 백과-618 쪽, 1988 년 출간 3. 소아가정간호백과- 부모도 반의사가 되어야 한다-1076 쪽, 1998 년 청문각 출간4. 신생아 영유아 학령기아 사춘기아 성장발육 육아-623 쪽 2014 년 좋은땅 출간 5. 신생아 성장 발육 양호 질병, 610 쪽 2014 년 좋은땅 출간6. 모유 모유수유 이유 308 쪽, 2014 년 좋은땅 출간7. 소아청소년 뇌전증( 간질)+ 뇌전증 백문 백답, 240 쪽 2015 년 좋은땅 출간8. 임신에서 신생아 돌보기까지, 약 300 쪽 1998 년 청문각 출간 9. 아들 딸 이렇게 사랑해서 키우세요, 210 쪽 역저 전 세계 명작 Ross Campbell 의학박사 저 1988 년 서문당 출간11. 마약과 아이들 약 200 쪽 , 1988 년 출간12. 아들 딸 조건 없는 진정한 사랑으로 키우세요 그리고 인성교육은 이렇게 2016 년 양서걱 출간 647 쪽13." https://www.flickr.com/people/drleesangwon 14. http://blog.naver.com/drsangwonlee 15, https://www.facebook.com/drleesangwon 16. Newyorkkorea.netd의 Pediatric columnist그 외 고국과 전 세계 한인 남녀 노소 여러분의 삶의 기본 필 수조건 중 하나인 건강증진을 위해 어디선지 언제든지 누구든지 쉽게 접해서 읽을 수 있는 한글 건강 증진 정보가 들어 있는 육아 정보 바이블이 필요한때가 한 세기 기간 이상 지났다고 생각합니다. 여유가 있으면 전 세계 한인 각 가정에 육아바이블을 전부 증정하고 싶습니다. 시간이 있으면 사랑하는 한인 부모님들께 육아 바이블 전부를 크게 소리 내어 읽어드리고 싶습니다. 물론 부족한 면도 있을 수 있습니다. 다른 육아 바이블을 참조하면서 자녀들을 육아하면 자녀들은 분명히 행복하게 자랄 것이라고 저는 확신합니다. 이상원 드림 미국 커네티컷 주 의사면허증 #016370 한국 의사면허증 #7794 미국 소아과학회 명예회원 한국소아청소년과 전문의 미국 Top 소아과 전문의Copyright ⓒ 2017 John Sangwon Lee,MD.FAAP 위 포스팅 내용의 대부분은 www.koreapediatrics.com 에 있는 내용들입니다. 전문적인 면도 있지만 소아청소년 자녀 양육에 많은 도움이 되리라고 믿습니다. 그러나 여기에 있는 정보는 여러분의 의사로부터 얻는 정보 진단 치료를 대신할 수 없습니다. www.koreapediatrics.com 부모도 반의사가 되어야 한다( 소아가정간호백과)
이상원 소아과 전문의
프로필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졸업
무의촌 봉사 및
대한민국 군의관 근무
미국
커네티컷 UCONN 의과대학 ,
예일대학의과대학
소아과수련
미국소아과전문의 ,
한국소아청소년과
전문의 자격소지
뉴욕주 ,
노스캐롤라이나주 ,
커네티컷주 ,
한국 의사면허소지
Willimantic,
Conn 에서
John
Sangwon Lee, MD, FAAP, Pediatric office
소아가정의학백과 ,
아들딸이렇게키워라 ,
임신분만 신생아
돌보기 ,
마약 과
아 이들 ,
소아가정간호백과 ( 부모도 반의사가
되어야한다 ),
성장발육 육아
저 자
부모도 반의사가
되어야 한다 (2001~ 현재 )
www.koreapediatrics.com 저자 및
운영
미국 커네티컷
UCONN
의과대학소아과
임상조교수
커네티컷 한인회회장
및 대한민 국
민주 평화통일자문위원
[ⓒ 뉴욕코리아( www.newyorkkorea.net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p><br></p><p><strong><span style="color: rgb(255, 0, 0);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모유 수유</span><span lang="EN-US" style="color: rgb(255, 0, 0);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span><span style="color: rgb(255, 0, 0);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유방 구조</span><span lang="EN-US" style="color: rgb(255, 0, 0);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span><span style="color: rgb(255, 0, 0);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모유 수유 호르몬 프로랙틴에 관한 백문 백답</span><br></strong><span lang="EN-US" style="color: rgb(47, 120, 128);"></span><br><br><font face="굴림"><font size="3"><strong>유방이란<span lang="EN-US">?</span></strong><br><span lang="EN-US" style="color: rgb(47, 120, 128);"><strong>A. <span style="color: rgb(0, 0, 0);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span></strong></span><br><strong>젖샘<span lang="EN-US">(Mammry gland/breast)’, </span>즉 유방은 모유를 생성하는 외분선이다<span lang="EN-US">. </span>여성 생식기계의 일부이다<span lang="EN-US">. </span>유방은 앞가슴의 피하조직<span lang="EN-US">, 2~6</span>번째 늑골의 사이<span lang="EN-US">, </span>대흉근육<span lang="EN-US">, </span>흉골과 겨드랑이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span lang="EN-US">. </span>유방의 중앙 부위에 젖꼭지가 있다<span lang="EN-US">. </span>젖꼭지를 유두라고 한다<span lang="EN-US">. </span>젖꼭지는 양쪽 유방에 하나씩 있다<span lang="EN-US">. </span>그 유두의 뿌리를 둘러싼 피부부분을 유두륜<span lang="EN-US">, </span>유륜<span lang="EN-US">, </span>젖꼭지판<span lang="EN-US">, </span>또한 젖무리라고 한다<span lang="EN-US">. </span>유륜에는 몽고메리선이 있다<span lang="EN-US">. </span>여기서 피지가 분비된다<span lang="EN-US">. (</span>그림 <span lang="EN-US">22-41 </span>참조<span lang="EN-US">)</span></strong></font></font><span lang="EN-US" style="color: rgb(47, 120, 128);"><br></span><br><font face="굴림"><font size="3"><span lang="EN-US" style="color: rgb(47, 120, 128);"><strong>Q.</strong></span><br><strong>유방의 내부의 구조는<span lang="EN-US">? </span></strong><br><span lang="EN-US" style="color: rgb(47, 120, 128);"><strong>A</strong></span><br><strong>한 개의 유방 속에는 <span lang="EN-US">15~20</span>개 젖샘엽이 있다<span lang="EN-US">. </span>각 젖샘엽에는 유선<span lang="EN-US">(</span>포상샘<span lang="EN-US">/ </span>포상선<span lang="EN-US">/</span>젖샘<span lang="EN-US">)</span>이 많이 있다<span lang="EN-US">. </span></strong><br><strong>그 포상샘은 포상샘 분비관에 연결되어 있다<span lang="EN-US">. </span>그 포상샘 분비관은 팽대부<span lang="EN-US">(</span>유동<span lang="EN-US">)</span>로 연결되어 있다<span lang="EN-US">. </span>그 팽대부<span lang="EN-US">(</span>유동<span lang="EN-US">)</span>는 다시 유관<span lang="EN-US">(</span>젖샘관<span lang="EN-US">)</span>으로 연결되어 있다<span lang="EN-US">. </span>그 유관은 유두의 젖 구멍으로 연결되어 있다<span lang="EN-US">. </span>유두의 젖 구멍에서 젖이 나온다<span lang="EN-US">. (</span>그림 유방 참조<span lang="EN-US">)</span></strong><br><span lang="EN-US" style="color: rgb(47, 120, 128);"><strong></strong></span><br><span lang="EN-US" style="color: rgb(47, 120, 128);"><strong>Q.</strong></span><br><strong>유방에서 젖이 만들어지는 경로는<span lang="EN-US">?</span></strong><br><span lang="EN-US" style="color: rgb(47, 120, 128);"><strong>A</strong></span><br><strong>아기가 젖을 먹을 때 꼭지를 빨 으면서 유륜을 자극하면→ 신경 임펄스가 뇌 시상하부로 전달되고→ 시상하부에서 뇌하수체 후엽으로 신호를 보내어 옥시토신<span lang="EN-US">(</span>피토신<span lang="EN-US">)</span>분비되고→ 옥시토신은 포상샘을 둘러싸고 있는 근상피세포를 자극하고→ 포상샘<span lang="EN-US">(</span>유선<span lang="EN-US">)</span>에서 젖<span lang="EN-US">(</span>모유<span lang="EN-US">)</span>이 분출되고→ 포상샘 분비관→ 팽대부→ 유관<span lang="EN-US">(</span>젖샘 관<span lang="EN-US">)</span>→ 유두→ 유두 젖구멍을 통과해 젖이 분비된다<span lang="EN-US">. </span>결합조직과 지방조직이 각 젖샘 엽 사이에 있다<span lang="EN-US">.</span> </strong><br><span lang="EN-US" style="color: rgb(47, 120, 128);"><strong></strong></span><br><span lang="EN-US" style="color: rgb(47, 120, 128);"><strong>Q.</strong></span><br><strong>유방은 어떻게 발육되나<span lang="EN-US">?</span></strong><br><span lang="EN-US" style="color: rgb(47, 120, 128);"><strong>A.</strong></span><br><strong>사춘기가 되기 전 까지 남<span lang="EN-US">,</span>여아의 유방의 구조는 거의 같다<span lang="EN-US">. </span></strong><br><strong>사춘기가 시작되면 여성의 난소의 황체에서 분비되는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이라는 여성호르몬에 의해서 유선<span lang="EN-US">(</span>젖샘<span lang="EN-US">)</span>과 포상샘 분비관<span lang="EN-US">(</span>젖분비관<span lang="EN-US">) </span>등이 발육되고 커진다<span lang="EN-US">. </span>그리고 지방조직이 유방 속에 축적된다<span lang="EN-US">. </span>그래서 사춘기 여아들의 유방이 예쁘게 커진다<span lang="EN-US">. </span> </strong></font></font><span lang="EN-US" style="color: rgb(47, 120, 128);"><br></span><br><font face="굴림"><font size="3"><span lang="EN-US" style="color: rgb(47, 120, 128);"><strong>Q.</strong></span><br><strong>임신하면 유방에도 변화가 온다고 하던데<span lang="EN-US">?</span> </strong><br><span lang="EN-US" style="color: rgb(47, 120, 128);"><strong>A.</strong></span><br><strong>임신이 되면 임신부의 신체에 많은 변화가 현저하게 생긴다<span lang="EN-US">. </span></strong><br><strong>그 중 더 특별하고 현저하게 생기는 신체적 변화는 자궁과 유방에 오는 변화이다<span lang="EN-US">. </span></strong><br><strong>장차 태어날 아기가 젖을 먹고 자라건 인공영양을 먹고 자라건 임신부는 장차 태어날 내 소중한 아기가 젖을 충분히 먹고 건강하게 자랄 수 있게 유방 속 포상샘과 젖 분비 세포 및 젖 분비선계가 발달된다<span lang="EN-US">. </span></strong><br><strong>유방 속에 유선관<span lang="EN-US">(</span>포상샘 분비관계<span lang="EN-US">), </span>팽대부<span lang="EN-US">, </span>유관<span lang="EN-US">(</span>젖샘 관<span lang="EN-US">) </span>등이 왕성하게 발달하고 젖꼭지가 커지고 유방 내 지방조직이 축적되고 유방 전체가 커진다<span lang="EN-US">. </span></strong><br><strong>유륜에 몽고메리선이 발달되어 거기서 피지가 생성되어 모유를 수유하기에 더 편리하게 유방 모든 것이 착착 진행된다<span lang="EN-US">.</span></strong><br><strong>유방이 탄탄하게 커지는 처음 얼마동안에는 좀 얼 얼거리고 아플 수 있다<span lang="EN-US">. </span>특히 유두가 어디에 닿으면 상당히 아플 수 있다<span lang="EN-US">. </span></strong><br><strong>한 개의 유방 안에는 <span lang="EN-US">15~20</span>개의 유방 엽이 있다<span lang="EN-US">. </span></strong><br><strong>한 개의 유방 엽은 여러 개의 작은 유방 소엽들로 구성되어 있고<span lang="EN-US">, </span></strong><br><strong>유방 소엽들은 다시 더 세분된다<span lang="EN-US">. </span></strong><br><strong>그 유방소엽 속에 젖을 만드는 젖 세포들이 있다<span lang="EN-US">. </span></strong><br><strong>젖 세포들이 모여 젖선<span lang="EN-US">(</span>포상샘<span lang="EN-US">)</span>이 된다<span lang="EN-US">. </span></strong><br><strong>이 젖샘을 포상샘<span lang="EN-US">, </span>또는 유선이라고도 한다<span lang="EN-US">. </span></strong><br><strong>젖 선<span lang="EN-US">(</span>腺<span lang="EN-US">)</span>에서 만들어진 젖이 흘러가는 관을 포상샘 분비관이라 한다<span lang="EN-US">. </span>크고 작은 포상샘 분비관을 통틀어 포상샘 분비관계라고 한다<span lang="EN-US">. (</span>그림 유방 참조<span lang="EN-US">)</span></strong><br><strong>아기가 젖꼭지를 빨아 먹기 전에 젖 선에서 분비된 젖이 괴여 있는 유방 속 동을 유동 또는 팽대부라고 한다<span lang="EN-US">. </span>임신이 되자마자 이런 유방 내부 젖분비선계의 조직이 점점 더 커지고 발달된다<span lang="EN-US">. </span>그리고 분만하기 바로 전까지 유방의 기능이 알게 모르게 더 활성화된다<span lang="EN-US">. </span></strong><br><strong>임신 중 태반에서 분비되는 항 프로택틴 호르몬<span lang="EN-US">(Antiprolactin hormone)</span>의 작용으로 프로랙틴<span lang="EN-US">(Prolactin)</span>이 포상샘의 젖 분비세포를 자극해서 젖이 분비되지 못하게 작용하고 있다가 아기가 태어난 후 태반이 자궁 속에서 배출 되자마자 프로랙틴이 젖분비 세포들을 자극하기 시작하고 젖분비 세포들이 젖을 만들기 시작한다<span lang="EN-US">. </span>그러나 프로랙틴이 분만 후 왕성하게 작용하기 시작하는 데는 <span lang="EN-US">1~2</span>일의 시간이 필요하다<span lang="EN-US">.</span> </strong><br></font></font><span lang="EN-US" style="color: rgb(47, 120, 128);"><br></span><font face="굴림"><font size="3"><strong><span lang="EN-US" style="color: rgb(47, 120, 128);">Q.</span><span lang="EN-US"> </span></strong><br><strong>유방은 어떻게 젖을 만들어내나<span lang="EN-US">?</span></strong><br><strong><span lang="EN-US" style="color: rgb(47, 120, 128);">A.</span><span lang="EN-US"> </span></strong><br><strong>아기가 젖꼭지를 빨 때는 젖꼭지와 유륜 등에 있는 말초 신경이 자극 받는다<span lang="EN-US">. </span>이 때 아기가 젖을 빤다는 신호가 신경 임펄스<span lang="EN-US">(</span><span lang="EN-US">neural impulse</span><span lang="EN-US">)</span>를 통해 수유모의 뇌에 있는 시상하부로 전달된다<span lang="EN-US">. </span></strong><br><strong>시상하부에서 신경 임펄스가 수유모의 뇌하수체의 후엽에 전달된다<span lang="EN-US">. </span></strong><br><strong>수유모의 뇌하수체 후엽에서 옥시토신<span lang="EN-US">(Oxytocin/pitocin)</span>호르몬이 분비되고 그 옥시토신 호르몬은 포상샘 세포를 싸고 있는 근상피세포를 자극해서 모유가 포상샘 분비관으로 분비되게 한다<span lang="EN-US">. </span></strong><br><strong>유방 내 젖 세포에서 유방 젖 분비관계 속 유동 속으로 이미 분비되어 있는 모유가 포상샘 분비관계<span lang="EN-US">(</span>유관<span lang="EN-US">) </span>등을 통해 젖꼭지 쪽으로 흘러나오도록 포상샘 분비관계를 자극한다<span lang="EN-US">. </span></strong><br><strong>그와 동시에 젖꼭지를 빨 때 생긴 신경 임펄스가 수유모의 시상하부로 전달되고 그 다음 뇌하수체 전엽에 전달된다<span lang="EN-US">.</span></strong><br><strong><span lang="EN-US"> </span>프로랙틴<span lang="EN-US">(Prolactin)</span>호르몬이 수유모의 뇌하수체의 전엽에서 분비된다<span lang="EN-US">. </span>그 프로랙틴 호르몬은 유방의 젖 분비세포<span lang="EN-US">(</span>젖 세포<span lang="EN-US">)</span>를 자극해 젖 분비를 촉진시킨다<span lang="EN-US">. </span></strong><br><strong>그와 동시에 유방 내 혈액 순환이 더 왕성해지고 유방 내 지방조직이 더 발달되고 지방이 유방 안에 더 축적된다<span lang="EN-US">. </span></strong><br><strong>유방의 피하 조직에 있는 정맥 혈관들이 유방 피부층을 통해 육안으로 쉽게 볼 수 있을 정도로 커진다<span lang="EN-US">. </span></strong><br><strong>임신 중 유방이 커지기 때문에 유방의 피부층에 신장반<span lang="EN-US">(</span>임신선<span lang="EN-US">)</span>이 생길 수 있다<span lang="EN-US">. </span></strong><br><strong>분만 후 아기가 젖을 빨 때 신경 임펄스가 시상하부로 전달되고 그 다음 뇌하수체 후엽으로 전달된다<span lang="EN-US">. </span></strong><br><strong>뇌하수체 후엽에서 옥시토신이 분비되어 모유가 분출된다<span lang="EN-US">. </span>임신 중에는 태반에서 분비되는 프로랙틴 분비 억제 호르몬에 의해서 아기가 태어나기 전에는 프로랙틴이 유방을 자극 할 수 없다<span lang="EN-US">. </span></strong><br><strong>모든 이런 생리를 배우다 보면 우리 몸의 생리는 컴퓨터 칩의 기능과 비슷하게 만들어 졌다고 생각 한다<span lang="EN-US">. </span> </strong><br><span lang="EN-US" style="color: rgb(47, 120, 128);"><strong></strong></span><br><strong><span lang="EN-US" style="color: rgb(47, 120, 128);">Q</span><span lang="EN-US" style="color: rgb(47, 120, 128);">.</span><span lang="EN-US"> </span></strong><br><strong>임신 중 젖꼭지와 유두륜에 크림 같은 것이 생기면 씻어내야 하나<span lang="EN-US">?</span></strong><br><span lang="EN-US" style="color: rgb(47, 120, 128);"><strong>A.</strong></span><br><strong>임신 중 유두는 보통 때 크기의 배로 커지고 유두의 끝 부분에 <span lang="EN-US">15~20</span>개 정도 젖나오는 구멍들이 있다<span lang="EN-US">. </span></strong><br><strong>유두의 뿌리의 주위에 있는 유륜<span lang="EN-US">(</span>유두륜<span lang="EN-US">)</span>의 크기도 배로 커진다<span lang="EN-US">. </span>유두와 유륜의 색은 짙은 흑갈색이거나 또는 진분홍색으로 변한다<span lang="EN-US">. </span></strong><br><strong>아마도 젖 먹는 아기가 육안으로 쉽게 보고 쉽게 찾을 수 있게 유두와 유륜의 색이 이렇게 변화된 것 같다<span lang="EN-US">. </span></strong><br><strong>유륜에는 몽고메리 결절이 여러 개 정상적으로 나있다<span lang="EN-US">. </span>그 몽고메리 결절 속에 몽고메리 선이 있고 거기에서 크림과 같은 윤활 피지가 분비돼 유륜과 유두를 부드럽게 해서 수유 중 유두와 유륜이 갈라지거나 터지지 않게 하는 역할을 한다<span lang="EN-US">. </span></strong><br><strong>즉 기계가 잘 돌아가도록 기계에 기름을 치는 것과 거의 같은 이치이다<span lang="EN-US">. </span></strong><br><strong>임신 기간 동안과 분만 후 모유 수유하는 동안 윤활 피지는 유두와 유륜을 보호해 주는 역할을 한다<span lang="EN-US">. </span></strong><br><strong>몽고메리 선에서 분비된 크림 같은 윤활 피지를 비누로 씻어내서는 안 된다<span lang="EN-US">. </span>그리고 유두나 유륜에 국소 도포용 크림을 특별히 바를 필요도 없다<span lang="EN-US">. </span> </strong><br></font></font><span lang="EN-US" style="color: rgb(47, 120, 128);"><br></span><font face="굴림"><font size="3"><strong><span lang="EN-US" style="color: rgb(47, 120, 128);">Q.</span><span lang="EN-US"> </span></strong><br><strong>유방의 크기가 작은 편인데 아기한테 충분한 양의 모유가 나올까<span lang="EN-US">?</span></strong><br><strong><span lang="EN-US" style="color: rgb(47, 120, 128);">A</span><span lang="EN-US">. </span></strong><br><strong>임신부에 따라 유방의 크기와 모양에 차이가 많다<span lang="EN-US">. </span></strong><br><strong>유방의 크기가 상당히 크던 작던 늘어졌던 탄탄하던 모든 산모의 유방은 한 아기 또는 두 아기가 동시 먹고 자랄 수 있도록 충분한 양의 모유를 분비할 수 있다<span lang="EN-US">. </span></strong><br><strong>소아청소년과 의사가 바라는 유방의 궁극적인 목적은 안정하고 편안한 느낌을 아기에게 주고 아기가 먹고 건강하게 자랄 수 있게 따뜻한 모유를 충분히 분비하는 것이다<span lang="EN-US">. </span></strong><br><strong>임신 <span lang="EN-US">5~6 </span>개월경부터 유두에 있는 여러 개의 젖 구멍에서 맑은 젖이 몇 방울 정도 나올 수 있다<span lang="EN-US">. </span>이 젖은 초유의 일종이다<span lang="EN-US">. </span>이 젖은 마유라고도 한다<span lang="EN-US">. </span> </strong><br><strong><span lang="EN-US"></span> </strong><br><strong><span style="color: rgb(199, 82, 82);">위 포스팅 내용의 대부분은 </span><span lang="EN-US" style="color: rgb(199, 82, 82);"><a class="con_link" href="http://www.koreapediatrics.com/" target="_blank"><u><span style="color: rgb(0, 0, 128);">www.koreapediatrics.com</span></u></a></span><span style="color: rgb(199, 82, 82);"> 제4권 모유 모유수유 이유에 있는 내용들입니다</span></strong><br><strong><span style="color: rgb(189, 61, 61);">전문적인 면도 있지만 소아청소년 자녀 양육에 많은 도움이 되리라고 믿습니다</span><span lang="EN-US" style="color: rgb(189, 61, 61);">. </span><span style="color: rgb(189, 61, 61);">그러나 여기에 있는 정보는 여러분의 의사로부터 얻는 정보 진단 치료를 대신할 수 없습니다</span><span lang="EN-US" style="color: rgb(189, 61, 61);">. </span></strong><br><span lang="EN-US" style="color: rgb(199, 82, 82);"><a class="con_link" href="http://www.koreapediatrics.com/" target="_blank"><strong><u><span style="color: rgb(0, 0, 128);">www.koreapediatrics.com</span></u></strong></a></span><br><strong><span style="color: rgb(199, 82, 82);">부모도 반의사가 되어야 한다</span><span lang="EN-US" style="color: rgb(199, 82, 82);">(</span><span style="color: rgb(199, 82, 82);">소아가정간호백과</span><span lang="EN-US" style="color: rgb(199, 82, 82);">)</span> </strong><br><br><!-- } SE3-TEXT --></font></font></p><div class="se_component se_table default"><div class="se_sectionArea se_align-left"><div class="se_editArea"><div class="se_table_wrap" id="SEDOC-1507473891098--1109342015_table_0" data-attachment-id=""><div class="se_table_innerWrap"><table class="se_table_col" style="width: 100%;"><tbody><tr><td class="se_cell se_align-left" style="padding: 1.41pt 5.1pt; border: 1px solid rgb(0, 0, 0); border-image: none; width: 100%; height: 1253px;" rowspan="1" colspan="1"><div class="se_cellArea"><font face="굴림"><font size="3"><strong> </strong><br><strong>부모도 반의사가 되어야 한다 </strong><br><strong>모유 모유수유 이유 <span lang="EN-US">308</span>쪽<span lang="EN-US">, 2014</span>년 좋은땅 출간에서 파온 글 </strong><br><strong> </strong><br><span lang="EN-US"><strong></strong></span></font></font><a class="con_link" href="http://blog.naver.com/drsangwonlee%22에" target="_blank"><strong><u><font face="굴림"><font size="3"><span lang="EN-US" style="color: rgb(128, 0, 128);">http://blog.naver.com/drsangwonlee</span><span style="color: rgb(128, 0, 128);"> </span><span style="color: rgb(128, 0, 128);">에</span></font></font></u></strong></a><font face="굴림"><font size="3"><strong><span lang="EN-US"> </span><span style="color: rgb(199, 82, 82);">글을 올리면서 인사 드립니다</span><span lang="EN-US" style="color: rgb(199, 82, 82);">.</span></strong><br><strong> </strong><br><strong>안녕하세요 </strong><br><br></font></font><font face="굴림"><font size="3"><strong>온 세상 한국 부모님 여러분<span lang="EN-US">!!!!!!!!!!!!</span><br>전 세계 <span lang="EN-US">8</span>천만 한인 필독 진정한 육아 바이블 읽기 운동에 동참해 주시기를 바랍니다<span lang="EN-US">.</span><br>미국 소아과전문의<span lang="EN-US">, </span>한국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이상원 <span lang="EN-US">Dr. John Sangwon </span><br><span lang="EN-US">Lee, MD, FAAP </span>는 고국과 전 세계 <span lang="EN-US">8</span>천 만 한인들에게 자녀 육아<span lang="EN-US">, </span>건강증진<span lang="EN-US">, </span><br>질병진단 치료<span lang="EN-US">, </span>예방<span lang="EN-US">, </span>자녀를 진정으로 사랑하는 방법<span lang="EN-US">, </span>수면<span lang="EN-US">, </span>소아청소년 성교육<span lang="EN-US">, </span>인성교육 등에 관한 자녀 육아 필독 바이블을 온 세상 <span lang="EN-US">8</span>천만 한인들에게 선물로 다음 정보들을 드리고 싶습니다<span lang="EN-US">.</span></strong><br><br></font></font><font face="굴림"><font size="3"><strong><span lang="EN-US">1. </span><u><span lang="EN-US" style="color: rgb(0, 0, 255);"><a class="con_link" href="http://www.koreapediatrics.com/" target="_blank"><span style="color: rgb(0, 0, 128);">http://www.koreapediatrics.com/</span></a></span></u>부모도 반의사가 되어야 한다<span lang="EN-US">-</span>약 <span lang="EN-US">20,000 </span>여 쪽<span lang="EN-US">. 13412 </span>제목<span lang="EN-US">, 2013</span>년 출시 소아과 웹사이트 이상원 운영<br><span lang="EN-US">2.</span>소아가정의학 백과<span lang="EN-US">-618</span>쪽<span lang="EN-US">, 1988</span>년 출간 <br><span lang="EN-US">3.</span>소아가정간호백과<span lang="EN-US">-</span>부모도 반의사가 되어야 한다<span lang="EN-US">-1076</span>쪽<span lang="EN-US">, 1998</span>년 청문각 출간<br><span lang="EN-US">4.</span>신생아 영유아 학령기아 사춘기아 성장발육 육아<span lang="EN-US">-623</span>쪽 <span lang="EN-US">2014</span>년 좋은땅 출간 </strong><br></font></font><font face="굴림"><font size="3"><strong><span lang="EN-US">5.</span>신생아 성장 발육 양호 질병<span lang="EN-US">, 610</span>쪽 <span lang="EN-US">2014</span>년 좋은땅 출간<br><span lang="EN-US">6.</span>모유 모유수유 이유 <span lang="EN-US">308</span>쪽<span lang="EN-US">, 2014</span>년 좋은땅 출간<br><span lang="EN-US">7.</span>소아청소년 뇌전증<span lang="EN-US">(</span>간질<span lang="EN-US">)+</span>뇌전증 백문 백답<span lang="EN-US">, 240</span>쪽 <span lang="EN-US">2015</span>년 좋은땅 출간<br><span lang="EN-US">8.</span>임신에서 신생아 돌보기까지<span lang="EN-US">, </span>약 <span lang="EN-US">300</span>쪽 <span lang="EN-US">1998</span>년 청문각 출간 <br><span lang="EN-US">9.</span>아들 딸 이렇게 사랑해서 키우세요<span lang="EN-US">, 210</span>쪽 역저 전 세계 명작 <span lang="EN-US">Ross Campbell </span>의학박사 저 <span lang="EN-US">1988</span>년 서문당 출간<br><span lang="EN-US">11.</span>마약과 아이들 약 <span lang="EN-US">200</span>쪽 <span lang="EN-US">, 1988</span>년 출간<br><span lang="EN-US">12.</span>아들 딸 조건 없는 진정한 사랑으로 키우세요 그리고 인성교육은 이렇게 <span lang="EN-US">2016</span>년 양서걱 출간 <span lang="EN-US">647</span>쪽<br><span lang="EN-US">13."</span><u><span lang="EN-US" style="color: rgb(0, 0, 255);"><a class="con_link" href="https://www.flickr.com/people/drleesangwon" target="_blank"><span style="color: rgb(0, 0, 128);">https://www.flickr.com/people/drleesangwon</span></a></span></u><br><span lang="EN-US">14.</span><u><span lang="EN-US" style="color: rgb(0, 0, 255);"><a class="con_link" href="http://blog.naver.com/drsangwonlee" target="_blank"><span style="color: rgb(0, 0, 128);">http://blog.naver.com/drsangwonlee</span></a></span></u><span lang="EN-US"> </span><br><span lang="EN-US">15,</span><u><span lang="EN-US" style="color: rgb(0, 0, 255);"><a class="con_link" href="https://www.facebook.com/drleesangwon" target="_blank"><span style="color: rgb(0, 0, 128);">https://www.facebook.com/drleesangwon</span></a></span></u><br><span lang="EN-US">16.</span>Newyorkkorea.netd의 Pediatric columnist</strong><br><strong>그 외</strong><br></font></font><font face="굴림"><font size="3"><strong>고국과 전 세계 한인 남녀 노소 여러분의 삶의 기본 필 수조건 중 하나인 건강증진을 위해 어디선지 언제든지 누구든지 쉽게 접해서 <br>읽을 수 있는 한글 건강 증진 정보가 들어 있는 육아 정보 바이블이 필요한때가 <br>한 세기 기간 이상 지났다고 생각합니다<span lang="EN-US">. </span><br>여유가 있으면 전 세계 한인 각 가정에 육아바이블을 전부 증정하고 싶습니다<span lang="EN-US">. </span><br>시간이 있으면 사랑하는 한인 부모님들께 육아 바이블 전부를 크게 소리 내어 <br>읽어드리고 싶습니다<span lang="EN-US">. </span><br>물론 부족한 면도 있을 수 있습니다<span lang="EN-US">. </span>다른 육아 바이블을 참조하면서 자녀들을 육아하면 자녀들은 분명히 행복하게 자랄 것이라고 저는 확신합니다<span lang="EN-US">. </span><br><br>이상원 드림<br>미국 커네티컷 주 의사면허증 <u><span lang="EN-US" style="color: rgb(0, 0, 255);">#016370</span></u><br>한국 의사면허증 <u><span lang="EN-US" style="color: rgb(0, 0, 255);">#7794</span></u><br>미국 소아과학회 명예회원<br>한국소아청소년과 전문의<br>미국 Top 소아과 전문의<br><span lang="EN-US">Copyright</span>ⓒ <span lang="EN-US">2017 John Sangwon Lee,MD.FAAP </span></strong><br><strong> </strong><br><strong>위 포스팅 내용의 대부분은 <u><span lang="EN-US" style="color: rgb(0, 0, 255);"><a class="con_link" href="http://www.koreapediatrics.com/" target="_blank"><span style="color: rgb(0, 0, 128);">www.koreapediatrics.com</span></a></span></u>에 있는 내용들입니다<span lang="EN-US">. </span>전문적인 면도 있지만 소아청소년 자녀 양육에 많은 도움이 되리라고 믿습니다<span lang="EN-US">. </span>그러나 여기에 있는 정보는 여러분의 의사로부터 얻는 정보 진단 치료를 대신할 수 없습니다<span lang="EN-US">. </span></strong></font></font><a class="con_link" href="http://www.koreapediatrics.com/" target="_blank"><u><span lang="EN-US" style="color: rgb(0, 0, 255);"><strong><font face="굴림" size="3">www.koreapediatrics.com</font></strong></span></u></a><font face="굴림"><font size="3"><strong><u><span lang="EN-US" style="color: rgb(0, 0, 255);"> </span></u>부모도 반의사가 되어야 한다<span lang="EN-US">(</span>소아가정간호백과<span lang="EN-US">) </span></strong><br><strong> </strong><br></font></font><strong> </strong><br></div></td></tr></tbody></table></div></div></div></div></div><p></p><div class="se_component se_paragraph default"><div class="se_sectionArea"><div class="se_editArea"><div class="se_viewArea se_ff_nanumgothic se_fs_T3 se_align-left"><div class="se_editView"><div class="se_textView"><p class="se_textarea"><!-- SE3-TEXT { --> <!-- } SE3-TEXT --></p></div></div></div></div></div></div><div class="se_component se_image default"><div class="se_sectionArea se_align-left"><div class="se_editArea"><div class="se_viewArea" style="max-width: 320px;"><a class="se_mediaArea __se_image_link __se_link" href="http://blog.naver.com/PostList.nhn?from=postList&blogId=drsangwonlee&viewDate=2017-10¤tPage=13#" data-linkdata='{"imgId" : "SEDOC-1507473891098--1109342015_image_0_img", "src" : "http://blogfiles.naver.net/20120229_291/drsangwonlee_1330462680168zCb5P_JPEG/pink_bs_10s.jpg", "linkUse" : "false", "link" : ""}' data-linktype="img"><img width="320" height="223" class="se_mediaImage __se_img_el" id="SEDOC-1507473891098--1109342015_image_0_img" alt="" src="http://postfiles4.naver.net/20120229_291/drsangwonlee_1330462680168zCb5P_JPEG/pink_bs_10s.jpg?type=w580" data-attachment-id=""><u><font color="#0066cc"> </font></u></a></div></div></div></div><p><br></p><p><br></p><p><br></p><p><br></p><p><br></p><p><br></p><p><br></p><p><strong>이상원 소아과 전문의</strong></p><strong><table width="110" align="left" class="left" id="community_image"><tbody><tr><td><img width="110" align="absmiddle" src="/rankup_module/rankup_board/attach/pediatrics/14097106528928.jpg"></td></tr></tbody></table><p><br></p><p><br></p><p><br></p><p><br></p><p><br></p><p><br></p><p><br></p></strong><p><strong>프로필</strong></p><div style="background: rgb(255, 255, 255); text-align: left; line-height: 100%; margin-top: 5pt; margin-bottom: 5pt; -ms-word-break: keep-all; mso-pagination: none; mso-padding-alt: 4.0pt 1.0pt 4.0pt 1.0pt;"><span style="background: rgb(255, 255, 255); mso-fareast-font-family: Gulim;"><br></span></div><div style="background: rgb(255, 255, 255); text-align: left; line-height: 100%; margin-top: 5pt; margin-bottom: 5pt; -ms-word-break: keep-all; mso-pagination: none; mso-padding-alt: 4.0pt 1.0pt 4.0pt 1.0pt;"><span style="background: rgb(255, 255, 255); mso-fareast-font-family: Gulim;"><br></span></div><div style="background: rgb(255, 255, 255); text-align: left; line-height: 100%; margin-top: 5pt; margin-bottom: 5pt; -ms-word-break: keep-all; mso-pagination: none; mso-padding-alt: 4.0pt 1.0pt 4.0pt 1.0pt;"><span style="background: rgb(255, 255, 255); mso-fareast-font-family: Gulim;"><font color="#0a0a0a">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졸업</font></span></div><p><font color="#0a0a0a">
<span style="background: rgb(255, 255, 255); mso-fareast-font-family: Gulim;">무의촌 봉사 및
대한민국 군의관 근무</span></font></p><p><font color="#0a0a0a">
<span style="background: rgb(255, 255, 255); mso-fareast-font-family: Gulim;">미국
커네티컷</span><span style="background: rgb(255, 255, 255); letter-spacing: 0pt; font-family: Gulim; mso-ascii-font-family: Gulim; mso-font-width: 100%; mso-text-raise: 0pt;">UCONN</span><span style="background: rgb(255, 255, 255); mso-fareast-font-family: Gulim;">의과대학</span><span style="background: rgb(255, 255, 255); letter-spacing: 0pt; font-family: Gulim; mso-ascii-font-family: Gulim; mso-font-width: 100%; mso-text-raise: 0pt;">,
</span><span style="background: rgb(255, 255, 255); mso-fareast-font-family: Gulim;">예일대학의과대학
소아과수련</span></font></p><p><font color="#0a0a0a">
<span style="background: rgb(255, 255, 255); mso-fareast-font-family: Gulim;">미국소아과전문의</span><span style="background: rgb(255, 255, 255); letter-spacing: 0pt; font-family: Gulim; mso-ascii-font-family: Gulim; mso-font-width: 100%; mso-text-raise: 0pt;">,
</span><span style="background: rgb(255, 255, 255); mso-fareast-font-family: Gulim;">한국소아청소년과
전문의 자격소지 </span></font></p><p><font color="#0a0a0a">
<span style="background: rgb(255, 255, 255); mso-fareast-font-family: Gulim;">뉴욕주</span><span style="background: rgb(255, 255, 255); letter-spacing: 0pt; font-family: Gulim; mso-ascii-font-family: Gulim; mso-font-width: 100%; mso-text-raise: 0pt;">,
</span><span style="background: rgb(255, 255, 255); mso-fareast-font-family: Gulim;">노스캐롤라이나주</span><span style="background: rgb(255, 255, 255); letter-spacing: 0pt; font-family: Gulim; mso-ascii-font-family: Gulim; mso-font-width: 100%; mso-text-raise: 0pt;">,
</span><span style="background: rgb(255, 255, 255); mso-fareast-font-family: Gulim;">커네티컷주</span><span style="background: rgb(255, 255, 255); letter-spacing: 0pt; font-family: Gulim; mso-ascii-font-family: Gulim; mso-font-width: 100%; mso-text-raise: 0pt;">,
</span><span style="background: rgb(255, 255, 255); mso-fareast-font-family: Gulim;">한국</span><span style="background: rgb(255, 255, 255); font-family: Gulim;"> </span><span style="background: rgb(255, 255, 255); mso-fareast-font-family: Gulim;">의사면허소지</span></font></p><p><font color="#0a0a0a">
<span style="background: rgb(255, 255, 255); letter-spacing: 0pt; font-family: Gulim; mso-ascii-font-family: Gulim; mso-font-width: 100%; mso-text-raise: 0pt;">Willimantic,
Conn</span><span style="background: rgb(255, 255, 255); mso-fareast-font-family: Gulim;">에서
</span><span style="background: rgb(255, 255, 255); letter-spacing: 0pt; font-family: Gulim; mso-ascii-font-family: Gulim; mso-font-width: 100%; mso-text-raise: 0pt;">John
Sangwon Lee, MD, FAAP, Pediatric office </span></font></p><p><font color="#0a0a0a">
<span style="background: rgb(255, 255, 255); mso-fareast-font-family: Gulim;">소아가정의학백과</span><span style="background: rgb(255, 255, 255); letter-spacing: 0pt; font-family: Gulim; mso-ascii-font-family: Gulim; mso-font-width: 100%; mso-text-raise: 0pt;">,
</span><span style="background: rgb(255, 255, 255); mso-fareast-font-family: Gulim;">아들딸이렇게키워라</span><span style="background: rgb(255, 255, 255); letter-spacing: 0pt; font-family: Gulim; mso-ascii-font-family: Gulim; mso-font-width: 100%; mso-text-raise: 0pt;">,
</span><span style="background: rgb(255, 255, 255); mso-fareast-font-family: Gulim;">임신분만 신생아
돌보기</span><span style="background: rgb(255, 255, 255); letter-spacing: 0pt; font-family: Gulim; mso-ascii-font-family: Gulim; mso-font-width: 100%; mso-text-raise: 0pt;">,
</span><span style="background: rgb(255, 255, 255); mso-fareast-font-family: Gulim;">마약</span><span style="background: rgb(255, 255, 255); mso-fareast-font-family: Gulim;">과
아</span><span style="background: rgb(255, 255, 255); mso-fareast-font-family: Gulim;">이들</span><span style="background: rgb(255, 255, 255); letter-spacing: 0pt; font-family: Gulim; mso-ascii-font-family: Gulim; mso-font-width: 100%; mso-text-raise: 0pt;">,
</span></font></p><p><font color="#0a0a0a">
<span style="background: rgb(255, 255, 255); mso-fareast-font-family: Gulim;">소아가정간호백과</span><span style="background: rgb(255, 255, 255); letter-spacing: 0pt; font-family: Gulim; mso-ascii-font-family: Gulim; mso-font-width: 100%; mso-text-raise: 0pt;">(</span><span style="background: rgb(255, 255, 255); mso-fareast-font-family: Gulim;">부모도 반의사가
되어야한다</span><span style="background: rgb(255, 255, 255); letter-spacing: 0pt; font-family: Gulim; mso-ascii-font-family: Gulim; mso-font-width: 100%; mso-text-raise: 0pt;">),
</span><span style="background: rgb(255, 255, 255); mso-fareast-font-family: Gulim;">성장발육 육아
저</span><span style="background: rgb(255, 255, 255); mso-fareast-font-family: Gulim;">자</span><span style="background: rgb(255, 255, 255); font-family: Gulim;"> </span></font></p><p><font color="#0a0a0a">
<span style="background: rgb(255, 255, 255); mso-fareast-font-family: Gulim;">부모도 반의사가
되어야 한다</span><span style="background: rgb(255, 255, 255); letter-spacing: 0pt; font-family: Gulim; mso-ascii-font-family: Gulim; mso-font-width: 100%; mso-text-raise: 0pt;">(2001~</span><span style="background: rgb(255, 255, 255); mso-fareast-font-family: Gulim;">현재</span><span style="background: rgb(255, 255, 255); letter-spacing: 0pt; font-family: Gulim; mso-ascii-font-family: Gulim; mso-font-width: 100%; mso-text-raise: 0pt;">)</span></font></p><p><font color="#0a0a0a">
</font><a href="http://www.koreapediatrics.com"><u style="text-underline: #0000ff single;"><span style="background: rgb(255, 255, 255); letter-spacing: 0pt; font-family: Gulim; mso-ascii-font-family: Gulim; mso-font-width: 100%; mso-text-raise: 0pt;"><font color="#006bd4"><strong>www.koreapediatrics.com</strong></font></span></u></a><font color="#0a0a0a"><span style="background: rgb(255, 255, 255); font-family: Gulim;"> </span><span style="background: rgb(255, 255, 255); mso-fareast-font-family: Gulim;">저자 및
운영</span></font></p><p><font color="#0a0a0a">
<span style="background: rgb(255, 255, 255); mso-fareast-font-family: Gulim;">미국 커네티컷
</span><span style="background: rgb(255, 255, 255); letter-spacing: 0pt; font-family: Gulim; mso-ascii-font-family: Gulim; mso-font-width: 100%; mso-text-raise: 0pt;">UCONN
</span><span style="background: rgb(255, 255, 255); mso-fareast-font-family: Gulim;">의과대학소아과
임상조교수</span></font></p><p><font color="#0a0a0a">
<span style="background: rgb(255, 255, 255); mso-fareast-font-family: Gulim;">커네티컷 한인회회장
및 대한민</span><span style="background: rgb(255, 255, 255); mso-fareast-font-family: Gulim;">국
민주</span><span style="background: rgb(255, 255, 255); mso-fareast-font-family: Gulim;">평화통일자문위원</span></font></p><p><font color="#0a0a0a"><span style="background: rgb(255, 255, 255); mso-fareast-font-family: Gulim;"></span></font><br></p><p><font color="#0a0a0a"><span style="background: rgb(255, 255, 255); mso-fareast-font-family: Gulim;"></span></font><br></p><p><font color="#0a0a0a"><span style="background: rgb(255, 255, 255); mso-fareast-font-family: Gulim;"></span></font><br></p><p><span style="background: rgb(255, 255, 255); mso-fareast-font-family: Gulim;"><br></span></p><p><span style="background: rgb(255, 255, 255); mso-fareast-font-family: Gulim;"><br></span></p><p><span style="background: rgb(255, 255, 255); mso-fareast-font-family: Gulim;"><br></span></p><p><span style="background: rgb(255, 255, 255); mso-fareast-font-family: Gulim;"><br></span></p><p><br></p><p><br></p><p><br></p><p><br></p><p><span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font size="3"><span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font color="#000000" size="3">[ⓒ 뉴욕코리아(</font><a style="color: rgb(53, 53, 53); text-decoration: none;" href="http://www.newyorkkorea.net/" target="_blank"><font color="#000000" size="3">www.newyorkkorea.net</font></a><font color="#000000"><font size="3"><font color="#000000">),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font></font></font></span></font></span></p>
번호
제목
작성자
조회
등록일
공지
이상원소아과 전문의 "부모도 반의사가 되어야 한다"저자 웹사이트 안내...
뉴욕코리아
6096
2014-10-26
116
로타바이러스 위장염(로타바이러스 감염병) Rotavirus gastroenteritis(Rotavirus infe...
Dr.이상원
6715
2022-11-01
☞
모유 수유, 유방 구조, 모유 수유 호르몬 프로랙틴에 관한 백문 백답...
Dr.이상원
6621
2019-01-02
114
일정한 간격을 두고 나이에 따라 받을 수 있는 소아청소년(0-18세) 건강검진 내용(미...
Dr.이상원
5188
2017-12-02
113
소아청소년 (0-18세) 건강검진 내용 (미국 소아과학회 권장)...
Dr.이상원
4734
2017-12-02
112
코골이...
Dr. 이상원
5144
2017-12-02
111
천식 백문 백답(기관지 천식 백문 백답) Hundred Questions and Hundred Answers on As...
Dr.이상원
5520
2017-12-02
110
신생아 흡인성 폐렴Aspiration pneumonia in newborn infants...
Dr.이상원
7816
2015-04-24
109
태변 흡인 폐렴Meconium aspiration pneumonia...
Dr.이상원
6794
2015-04-24
108
늑막염(흉막염)과 농흉 Pleurisy and empyema...
Dr.이상원
6739
2015-04-24
107
말라리아 Malaria...
Dr.이상원
5902
2015-04-24
106
라임 병 Lyme disease...
Dr.이상원
5970
2015-03-09
105
묘소열(묘조병/고양이 할큄열) Cat-scratch disease (Bartonella henselae infection)...
Dr.이상원
6546
2015-03-09
104
양성 급성 현기증 Benign paroxysmal dizziness...
Dr.이상원
5302
2015-03-09
103
현기증(어지러움) Dizziness (Vertigo)...
Dr.이상원
5760
2015-03-09
102
안면신경 마비 Bell's palsy...
Dr.이상원
4535
2015-03-09
101
헤르페스바이러스성 감염병(단순 포진 바이러스성 감염병/허피스바이러스성 감염병) He...
Dr.이상원
5155
2015-02-20
100
류마티스 열의 진단 , 류마티스 열의 일반적 치료...
Dr.이상원
6269
2015-02-20
99
류마티스 무도증(舞蹈症) Rheumatic Chorea 류마티스 폐렴 Rheumatic pneumonia...
Dr.이상원
4961
2015-02-20
98
류마티스 유주성 홍반(유연성 홍반/가장자리 홍반) Rheumatic erythema marginatum...
Dr.이상원
5105
2015-02-20
97
류마티스 결절 Rheumatic nodules...
Dr.이상원
5886
2015-02-20
96
류마티스 관절염 Rheumatic arthritis...
Dr.이상원
5426
2015-02-20
95
류마티스 심장염 Rheumatic carditis...
Dr.이상원
4932
2015-02-20
94
류마티스 열 Rheumatic fever...
Dr.이상원
4973
2015-02-20
93
류마티스 열의 예방 Prevention of rheumatic fever...
Dr.이상원
5526
2015-02-02
92
소아청소년들의 수균 수면시간과 낮잠 자는 시간...
Dr.이상원
8005
2015-02-02
91
월경 곤란(월경통) Dysmenorrhea...
Dr.이상원
5612
2015-02-02
90
항바이러스 약물(항바이러스 제/항바이러스 물질) 항바이러스 제(항바이러스제, 항바...
Dr.이상원
5957
2015-02-02
89
사람 내분비선, 호르몬, 호르몬의 기능...
Dr.이상원
5877
2015-01-10
88
나이, 신장, 체중에 따른 비타민, 단백질, 미네랄(무기질), 칼로리의 1일 필요량 Daily...
Dr.이상원
5637
2015-01-10
87
아토피 피부염 단계 치료...
Dr.이상원
4905
2015-01-10
86
Q&A. 야단치면 오줌을 쌉니다-궁금합니다 다음은 대소변 가리기 훈련에 관한 소아청소...
Dr.이상원
6568
2014-12-22
85
신생아들이나 영아들에게 나타 날 수 있는 여러 종류의 정상 원시 반사...
Dr.이상원
5026
2014-12-22
84
음식물을 잘 먹지 않는 아이들 Children with poor appetite...
Dr.이상원
5191
2014-12-22
83
Q&A 모유와 분유를 함께 먹어요 ‘혼합수유’에 관한 인터넷 질의응답 사례...
Dr.이상원
5535
2014-12-22
회원정보
닉네임
Dr.이상원 (_admin_)
가입일
2008-07-23
등급
운영자 (1)
활동
포인트 : 0 점
게시물 작성수 : 0 개
댓글 작성수 : 개
쪽지보내기
게시물 신고하기
게시판 성격에 맞지 않거나 불건전한 게시물을 운영자에게 신고할 수 있습니다.
운영자 확인 후 해당글 삭제조치 및 해당 회원에게 불이익이 갈 수 있습니다.
허위신고시에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니 신중하게 신고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