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코리아    SF    Boston    Washington D.C    Chicago    Atlanta    Canada
NewsLife InfoRealtySell & BuyJobsHealthCultureFood/TourIssueYellowPageShopping
회원가입 아이디/비밀번호찾기
Health
건강상담
닥터건강상담QA
병원정보
병원.의료뉴스공지
병원정보Q/A
응급조치 상식
의료보험 상담/정보
내과
하명진 내과칼럼
소아청소년과
이상원 소아과전문의
성형외과
이신지 성형외과칼럼
통증치료과
김치갑 통증치료칼럼
하명훈 통증재활칼럼
*통증관련 도움VOD
*치과관련 VOD
한의학/한방과
간송 한의학 칼럼
김홍순 한의학칼럼
동물병원
김기택 애완동물칼럼
안과
조민희 망막전문안과
▶추천 전문병원
★추천병원 파워리스트
추천병원탐방
병원집중탐방 인터뷰
라이프 건강
증상 관련 해법정보
웰빙 부르는건강상식
건강에 좋은추천음식
건강웰빙 운동
인체의 구조
건강정보교환해요
자유게시판
힐링 명상음악듣기
 
 
 
 
 
 
 
 
 
회원정보
닉네임
가입일 2008-07-23
등급 운영자 (1)
활동
포인트 : 0
게시물 작성수 : 0
댓글 작성수 : 0
쪽지보내기
받을아이디
제목
내용
(0/200바이트)
 
> Health > 소아청소년과 > 이상원 소아과전문의
Dr.kim

이상원 소아과전문의
인두강, 후두 등 기도속 이물로 금방 질식되어 곧 사망 직전 호흡곤란이 극히 심하고 다른 사람의 도움을 구할 수 없는 상황에 처해 있을 때 이물 제거 응급처치
작성자: Dr.이상원 작성자정보 조회: 2436 등록일: 2014-09-06


인두강, 후두 등 기도속 이물로 금방 질식되어 곧 사망 직전 호흡곤란이 극히 심하고 다른 사람의 도움을 구할 수 없는 상황에 처해 있을 때  이물 제거 응급처치and also there is nobody to help 

  Foreign body removal from pharynx, larynx or other airway in situation  which is almost of imminant suufication  to lead to die

 

  • 안전한 장소에 영아(생후 29일부터 첫돌까지의 아기)의 상체를 하체보다 15~30°낮게 눕히거나 
  • 영유아의 얼굴이 바닥을 향해 엎드린 자세로 처치자의 무릎 위에 눕히거나 앉힌 다음 영아의 양쪽 견갑골(두 어깨) 사이의 중간 등 부분을 손바닥으로 5번 연거푸 세게 쳐서(상처를 내지 않게) 인두강 속 이물을 제거하는 응급 처치를 한다(사진 284 참조). 
  • 영아기 이후 유아들(생후 1세부터 6세까지 아이들)이나 학령기 아이들의 기도 내 이물이 있을 경우, 그 아이가 서 있는 자세에서 오목 가슴을 미는 하임리크 처치 법으로 기도 속 이물을 제거하는 응급처치를 한다(사진 287 참조).
  • 또는 바닥에 등을 대고 눕힌 후 사진 286에서와 같이 앞가슴 밀기 처치를 하거나 오목가슴 밀기 처치를 할 수 있다.
  • 더 자세한 기도 내 이물 제거 처치법은 '기도 속에 이물이 들어갔을 때'를 참조한다. 
  • 이런 기도 속 이물제거 처치를 하는 중 인두강 속 이물이 입 밖으로나 입안 기도 부분 속에서 나올 수도 있고 후두 기도 부분 속으로 더 들어가서 기도 속이 더 막혀 생명이 더 위험할 수 있다(기도 속에 이물이 들어갔을 때 참조). 
  • 급성 박테리아 후두개염으로 심한 호흡곤란이 생길 수도 있고 목이 쉬고 고열이 나며 인두통, 후두통 등이 생길 수 있다. 
  • 급성 박테리아 후두개염이 의심되면 의료 구급대원이나, 단골 소아청소년과 의사, 또는 병원 응급실 의사와 응급 전화 진료에 따라 처치한다. 
  • 가능하면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이비인후과 전문의, 외과 전문의, 마취과 전문의가 있는 인근 종합 병원 응급실로 구급차나 다른 적절한 방법으로 급히 이송한다. 소아 호흡기 질환 급성 후두개염에 의한 크루프 참조.
  • 심한 기관지 천식, 급성 세기관지염, 또는 폐렴 등으로 숨이 차고, 호흡 곤란이 심하개 생길 때는 의료 구급대원, 병원 응급실이나 단골 소아청소년과 의사의 전화 응급치료에 따라 치료한다. 
  • 가능하면 어떤 원인으로 호흡곤란이 생겼나 알아보고 그 원인을 알면 원인에 따라 현장에서 호흡곤란의 중증도와 그 원인에 따라 적절히 처치한다. 
  • 호흡곤란이 아주 심하거나, 숨을 거의 쉬지 못하거나, 무호흡 상태에 있을 때나 맥이 더 이상 뛰지 않을 때는 처치자의 입을 환아의 입에다, 또는 환아의 입과 콧구멍에 대고 인공호흡과 심장마사지 기초 심폐 소생술을 시작한다. 

 

 출처 및 참조문헌

  •  심폐 소생술(CPR) 
  •  신생아 심폐 소생술 
  •  콧구멍 속 이물, 비강 속 이물, 외비공의 이물
  •  기도 속에 이물이 들어갔을 때와 질식 
  •  하임리크 처치법
  •  생선가시가 목구멍 속에 걸렸을 때 
  • 소화기 속 이물, 소화관내 이물, 위장관 내 이물
  • 질식
  • Manual of emergency pediatrics 5th edition, Robert M. Reece, M.D., p.20
  • Manual of emergency pediatrics 4th edition, Robert M. Reece, M.D., p.8
  • Quick Reference to Pediatric Emergencies, Delmer J. Pascoe, M.D., p.39 
  • Emergency care and transportation of the sick and injured, 3rd edition, American Academy of orthopedic surgeons. p.77
  • Nelson text book, 14 edition p.265-226 
  • Pediatric Nutritional Handbook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
  • 소아가정간호백과-부모도 반의사가 되어야 한다, 이상원 저
  • The pregnancy Bible. By Joan stone, MD. Keith Eddleman,MD
  • Neonatology Jeffrey J. Pomerance, C. Joan Richardson
  • Preparation for Birth. Berverly Savage and Dianna Smith
  • 임신에서 신생아 돌보기까지. 이상원
  • Breastfeeding by Ruth Lawrence and Robert Lawrence
  • Nelson Textbook of Pediatrics 14th ed. Beherman,
  • The Johns Hopkins Hospital, The Harriet Lane Handbook, 18th edition
  • Red book 29th edition 2012
  • Nelson Text Book of Pediatrics 19th Edition
  • Infectious disease of children, Saul Krugman, Samuel L Katz, Ann A. Gerhon, Catherine Wilfert
  • The Harriet Lane Handbook 19th Edition
  • 8권 소아청소년 호흡기 질환 참조문헌 및 출처
  • Sources and references on Growth, Development, Cares and Diseases of Newborn Infants
  • Emergency Medical Service for Children, By Ross Lab. May 1989. p.10
  • Emergency care, harvey grant and robert murray
  • Emergency Care Transportation of Sick and Injured American Academy of Orthopaedic Surgeons
  • Emergency Pediatrics A Guide to Ambulatory Care, Roger M. Barkin, Peter Rosen
  • Quick Reference To Pediatric Emergencies , Delmer J. Pascoe, M.D., Moses Grossman, M.D. with 26 contributors
  • Neonatal resuscitation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
  • 소아과학 대한교과서
  • 그 외
  • 부모도 반의사가 되어야 한다www.koreapediatrics.comCopyright 2014 John Sangwon Lee, MD, FAAP 부모도 반의사가 되어야 한다”-내용은 여러분들의 의사로부터 얻은 정보와 진료를 대신할 수 없습니다.




이상원 소아과 전문의








프로필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졸업

무의촌 봉사 및 대한민국 군의관 근무

미국 커네티컷UCONN의과대학, 예일대학의과대학 소아과수련

미국소아과전문의, 한국소아청소년과 전문의 자격소지

뉴욕주, 노스캐롤라이나주, 커네티컷주, 한국 의사면허소지

Willimantic, Conn에서 John Sangwon Lee, MD, FAAP, Pediatric office

소아가정의학백과, 아들딸이렇게키워라, 임신분만 신생아 돌보기, 마약과 아이들,

소아가정간호백과(부모도 반의사가 되어야한다), 성장발육 육아 저

부모도 반의사가 되어야 한다(2001~현재)

www.koreapediatrics.com 저자 및 운영

미국 커네티컷 UCONN 의과대학소아과 임상조교수

커네티컷 한인회회장 및 대한민국 민주평화통일자문위원







[ⓒ 뉴욕코리아(www.newyorkkorea.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트위터 트위터 페이스북 페이스북
댓글 : 0
번호 제목 작성자 조회 등록일
82 혼합수유와 혼동수유 Breastfeeding along with infant formula feeding... Dr.이상원 4871 2014-12-22
81 1형 당뇨병과 인슐린 치료로 인해 생긴 저혈당증 Hypoglycemia due to insulin treatme... Dr.이상원 3705 2014-12-22
80 2015년 HAPPY NEW YEAR !!!!!!!!!!! 새해에도 건강하시고 복 많이 받으시고 만사형통 ... Dr.이상원 4713 2014-12-13
79 2013년 1월 이후, 미 4개월~18세 소아청소년이 기본 예방접종을 받을 권장 나이보다 1 ... Dr.이상원 4809 2014-12-13
78 0~18세 소아청소년 기본 예방접종(2013년 1월 이후, 미국)... Dr.이상원 5263 2014-12-13
77 코 막힘 Nasal stuffing(Nasal congestion)... Dr.이상원 5462 2014-12-07
76 급성 비 부비동염 Acute rhinosinusitis... Dr.이상원 3759 2014-12-07
75 급성 편도염(급성 편도염/급성 편도선염)... Dr.이상원 3935 2014-12-07
74 열성 경련(열 발작/열 경기) Febrile seizures... Dr.이상원 3839 2014-12-07
73 폐쇄 수면 무호흡 증후군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OSAS)... Dr.이상원 3613 2014-12-07
72 다음은 “칼슘이 부족하면 어떤 증상이, 칼슘, 저 칼슘혈증, 습진치료”에 관한 인터... Dr.이상원 4663 2014-11-18
71 밀, 보리, 귀리 호밀 음식물과 글루텐 유발성 장증(셀이악 병)으로 인한 설사, Gluten-... Dr.이상원 3697 2014-11-18
70 스트레스 Stress... Dr.이상원 3571 2014-11-18
69 비출혈(코피) Nose bleeding (Epistaxis)... Dr.이상원 3956 2014-11-18
68 2013년 1월 이후 권장 미 0~18세 소아청소년 기본 예방접종 자녀들에게 예방 접종을 ... Dr.이상원 3550 2014-11-18
67 부모와 자녀의 대화 Communication between parents and their children... Dr.이상원 4874 2014-11-08
66 가정이나 학교에서 벌 또는 체벌 Punishment or corporal punishment in home or schoo... Dr.이상원 5126 2014-11-08
65 소아청소년(0~18세) 성교육 Child and adolesents sex education... Dr.이상원 4141 2014-11-08
64 고열 High fever... Dr.이상원 3827 2014-11-08
63 체온계의 종류와 체온 재는 방법 Kinds of thermometers and how to take temperature... Dr.이상원 4430 2014-11-08
62 열-2 Fever-part 2... Dr.이상원 4338 2014-11-02
61 열-1 Fever-part 1... Dr.이상원 3843 2014-11-02
60 정상체온... Dr.이상원 4704 2014-11-02
59 방광 요관 역류와 산전 초음파 검사 Vesicoureteral reflux(VUR) and Prenatal ultraso... Dr.이상원 4350 2014-11-02
58 알레르기 항원(알러젠) Allergens... Dr.이상원 3844 2014-11-02
57 영아들, 타들러 유아들, 학령기 전 유아들이 잠 잘 자게 하는 방안 How to make the g... Dr.이상원 3398 2014-10-26
56 영아들, 타들러 유아들, 학령기 전 유아들의 수면 문제 Sleeping problems in infants,... Dr.이상원 3013 2014-10-26
55 영아들이나 유아들 또는 학령기전 유아들이 쉽게 잠들지 않거나 자다가 자주 깰 때... Dr.이상원 3148 2014-10-26
54 신생아들, 영아들, 타들러들, 학령기전 유아들의 정상 수면 패턴 Normal sleep patter... Dr.이상원 3627 2014-10-26
53 렘 수면과 비렘 수면 REM sleep and non-REM sleep... Dr.이상원 3893 2014-10-26
52 아침식사는 하루 중 가장 중요한 식사이다. The breakfast is the most important meal... Dr.이상원 3796 2014-10-18
51 최근 미 한인 교포 음식 문화 Recent foods and diets cultures in Korean Americans... Dr.이상원 4126 2014-10-18
50 엠라 크림, 페인 이지 스프레이, 징고, 바포쿨란트 스프레이, 라이도케인-필로케인 패... Dr.이상원 3575 2014-10-18
49 소아청소년-신생아 영유아 학령기아 사춘기아 (0-18세) 건강검진 Well child examinati... Dr.이상원 3636 2014-10-18
48 등통(배부가 아플 때) Back pain... Dr.이상원 3381 2014-10-18
1 | 2 | 3 | 4
회원정보
닉네임 Dr.이상원 (leesangwon)
가입일 2008-07-23
등급 운영자 (1)
활동
포인트 : 0
게시물 작성수 : 0
댓글 작성수 : 0
쪽지보내기
닉네임 Dr.이상원 (leesangwon)
제목
내용
(0/200바이트)
게시물 신고하기
게시판 성격에 맞지 않거나 불건전한 게시물을 운영자에게 신고할 수 있습니다.
운영자 확인 후 해당글 삭제조치 및 해당 회원에게 불이익이 갈 수 있습니다.
허위신고시에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니 신중하게 신고해주세요.
글 제목 인두강, 후두 등 기도속 이물로 ...
글 작성자 Dr.이상원
신고이유
회사소개 | 개인정보취급방침 | 회원약관 | 고객지원센터 | 제휴 및 광고문의 | 광고안내   
 

 

Contact Us : 고객문의센터, Tel: 대표 201-674-5611

E-mail: newyorkkorea77@gmail.com, newyorkkorea@naver.com, 빠른카톡상담ID : newyorkkorea 

미국최대 대표포털 뉴욕코리아는 미국법률변호사고문 및 미국저작권법의 보호를 받고 있으며, 컨텐츠 및 기사의 무단 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  

Copyright (c) New York Korea, INC. News Media Group in US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