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전증(간질) 국제 연맹 분류 ILAE Classification of Epilepsies |
작성자: Dr.이상원  |
조회: 3733 등록일: 2014-09-24 |
|
|
뇌전증(간질) 국제 연맹 분류 ILAE Classification of Epilepsies
간질(뇌전증) 증후군이나 증상
|
1. 부분 발작 Focal Seizures (Partial seizures) | 1) 단순 부분발작 Simple partial seizures 2) 복합 부분발작 Complex partial seizures 3) 2차성 전 범화 발작 Partial Seizuers with Secondary generalization | 2. 전신 발작 Generalized seizures | 1) 결신 발작 (소발작) Absence seizures(Petid mal seizures) (1)정형결신 발작 Typical absence seizures (2) 비정형결신 발작 Atypical absence seizures 2) 근 간대성 발작 Myoclonic seizures 3) 강직, 간대, 강직 간대발작 Tonic, Clonic, Tonic-Clonic seizures 4) 탈력 발작 Atonic seizures 5) 영아 연축 Infantile spasm(West syndrome) 6) 레녹스-개스토트 증후군 Lennox-Gastaut syndrome | 3. 미분류 발작 Unclassified Seizures | rhythmic eye movements, chewing, and swimming movements in newborn |
뇌전증 증후군과 그 외 뇌전증의 ILAE 분류 ILAE Classification of Epilepsies
I-A. 발병 나이에 따른 전기 임상 증후군 신생아기 양성가족성 신생아 뇌전증
조기 근간대 뇌병증
Ohtahara 증후군
영아기 이주성 초점 발작을 동반하는 영아 뇌전증 West 증후군 영아 근간대 뇌전증 양성 영아 뇌전증 양성(가족성 또는 비 가족성) 영아 뇌전증 Dravet 증후군 비진행 장애를 동반하는 근간대 뇌 병변
소아기 열 발작플러스(영아기 때부터 발생 가능) 근간대 무긴장 발작을 동반하는 뇌전증 Epilepsy with myoclonic atonic seizures(Doose syndrome) 중심-측두 극파를 동반하는 양성 뇌전증 상염색체-우성 야간 전두엽 뇌전증 조기 발병 소아 후두엽 뇌전증(Panayiotopoulos 증후군) 후기 발병 소아 후두엽 뇌전증(Gastaut-type) 근간대소발작을 동반하는 뇌전증 레녹스-가스타우트 증후군(Lennox-Gastaut syndrome) 수면 중 지속적 극서파를 동반하는 뇌전증성 뇌병변 랜다우-크레프너 증후군(Landau-Kleffner syndrome) 소아 소발작 뇌전증
청소년기-성인기
발병 나이와 관련성이 적은 뇌전증 I-B. 구조-대사성 원인을 동반하는 전기 임상 증후군
I-C. 원인 미상 전기 임상 증후군 I-D. 과거에 일반적으로 뇌전증이라고 진단 붙이지 안했던 뇌전증 경련 II. 구조적 장애 혹은 대사성 장애를 동반하는 비 증후군 뇌전증
III.원인 미상의 뇌전증 주: ILAE; International League Against Epilepsies 소스 및 참조 문헌 The michael J. Bresnan Child Neurology course. Continuing Medical Education, Boston Children’s Hospital, Harvard Medical School. September 2014 Nelson Textbook of Pediatrics, 19th Edi, Kliegman and Et Handbook of Pediatric neurology, Katherine B. Sims, MD The Harriet Lane Handbook 19th ed. Johns Hopkins Hospital, Branden Engorn, MD, Jamie Flerlage, MD 소아과학 대한 교과서 홍창의 외 Epilepsy Founation, Newengland and Conn USA 소아가정간호백과 이상원, 청문각 Epilepsia 2010 그 외
부모도 반의사가 되어야 한다
www.koreapediatrics.com Copyright ⓒ 2014 John Sangwon Lee, MD, FAAP “부모도 반의사가 되어야 한다”-본 사이트의 내용은 여러분들의 의사로부터 얻은 정보와 진료를 대신할 수 없습니다. "The information contained in this publication should not be used as a substitute for the medical care and advice of your doctor. There may be variations in treatment that your doctor may recommend based on individual facts and circumstances. "Parental education is the best medicine.”
이상원 소아과 전문의
프로필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졸업
무의촌 봉사 및
대한민국 군의관 근무
미국
커네티컷UCONN의과대학,
예일대학의과대학
소아과수련
미국소아과전문의,
한국소아청소년과
전문의 자격소지
뉴욕주,
노스캐롤라이나주,
커네티컷주,
한국 의사면허소지
Willimantic,
Conn에서
John
Sangwon Lee, MD, FAAP, Pediatric office
소아가정의학백과,
아들딸이렇게키워라,
임신분만 신생아
돌보기,
마약과
아이들,
소아가정간호백과(부모도 반의사가
되어야한다),
성장발육 육아
저자
부모도 반의사가
되어야 한다(2001~현재)
www.koreapediatrics.com 저자 및
운영
미국 커네티컷
UCONN
의과대학소아과
임상조교수
커네티컷 한인회회장
및 대한민국
민주평화통일자문위원
[ⓒ 뉴욕코리아(www.newyorkkorea.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