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아들, 타들러 유아들, 학령기 전 유아들이 잠 잘 자게 하는 방안 How to make the good sleeping in infants and toddlers, preschoolers |
작성자: Dr.이상원  |
조회: 3400 등록일: 2014-10-26 |
|
|
영아들, 타들러 유아들, 학령기 전 유아들이 잠 잘 자게 하는 방안 How to make the good sleeping in infants and toddlers, preschoolers - 여기서 신생아들이나 영유아들을 그날 아기라고 칭한다.
- 아기가 쉽게 잠들지 않거나 계속 울 때는 아기가
- 배고픈지,
- 어디가 아픈지,
- 추운지 더운지,
- 기저귀가 젖었는지,
- 더 사랑해 달라고
- 더 보아 달라고 잠들지 않거나 계속 우는지,
- 그 밖에 잠들지 않거나 계속 우는 다른 이유가 있는지 알아본다.
- 어떤 아기는 아기 침실에 등불을 켜 침실을 훤하게 밝히면 어둠에 대한 두려움이 덜해지고 덜 무서워한다.
- 어떤 아기는 그와 반대로 어두워야 잠을 더 잘 잔다.
- 인형이나 장난감 등 일시적 대상물(이행 대상/Transitional objects)을 아기 옆에 놓아 아기가 혼자만 있지 않다는 느낌을 갖도록 한다.
- 아기 혼자서 자도록 아기 침대에 눕힌 후 완전히 잠들 때까지
- 첫 날은 30~60분 정도 아기 침대 곁에서 아기가 잠들어 자기까지 기다린다.
- 이 때 완전히 잠 들 때까지 성숙도에 따라 아기에게 자장가를 불러 주든지 자미있는 책을 읽어 주든지 얘기를 해 줄 수 있다.
- 그러나 아기를 아기침대나 아기 잠자리에 눕힌 후 안아주거나 아기의 침대나 잠자리에서 나오지 않게 한다.
- 만일 30~60분 정도 아기 곁에서 잠들기를 기다려도 아기가 잠에 들지 않고 계속 같이 놀자고 하든지 보챌 때는, 같은 방법으로 계속 재워 볼 것인지, 또는 아기를 데리고 더 놀다가 다시 잠들도록 시도해 볼 것인지를 결정해야 한다.
- 아기를 같은 방법으로 계속 잠을 재우고 싶을 때는 아기를 아기의 침대에 눕힌 채 "나는 너를 사랑한다. 이제 너는 너 혼자 자야 한다."고 말하고 아기 침대가 있는 아기 침실에서 그냥 나와야 한다. 나이에 관계없이 똑같은 말을 할 수 있다.
- 이 때 아기는 할 수 없이
- 혼자 잠들어 자든지,
- 혼자서 더 놀다가 잠들든지,
- 잠이 들 때까지 계속 울다가 자든지,
- 잠들지 않고 계속 울 것이다.
- 아기가 계속 울면
- 아기가 아픈지,
- 배가 고픈지,
- 너무 더운지 찬지 등을 다시 한 번 점검해보고
- 필요에 따라 머리끝서부터 발끝 까지 살펴볼 수 있다.
- 아기가 잠들 수 없는 특별한 건강상 이유가 없을 때는 계속 울어도 아기 혼자 자도록 침대에 그대로 있게 한다.
- 좀 냉정한 것 같지만, 이런 식으로 영유아 잠 훈련을 시켜야 한다고 권장한다.
- 다음 날 저녁에도 거의 같은 수면 훈련 방법으로 아기를 재우데, 아기가 잠들 때까지 기다리는 시간을 전날보다 5∼10분 정도 매일 점점 더 짧게 줄인다.
- 그 다음 1~ 2주 동안, 같은 방법으로 아기의 곁에 있는 시간을 점점 더 짧게 조금씩 서서히 줄인다.
- 마지막 날에는 아기 침실이나 침대에 아기를 혼자 눕힌 후 아기에게 "너 혼자 자야 한다. 나는 너를 사랑한다. 잘 자거라"라고 말하고 아기 침실에서 그대로 나와야 한다.
- 이런 식으로 잠자는 버릇을 가르쳐 주면 그 아기 자신도 혼자서 자야 한다는 것을 배워 알게 된다.
- 물론 이 수면 훈련 방법은 부모와 아기의 생활양식 패턴에 따라 다소 변경할 수 있다.
- 부모가 아기와 같이 같은 침실에서 잔다고 해서 아기의 정신 발육에 지장을 주지 않는다.
- 부모가 주의할 것은 아기가 잘 자지 않는다고 해서 수면제를 주어서는 안 된다.
- 모든 아기들은 그의 고유한 수면 패턴을 가지고 있다.
- 재우는 데나 자다가 자주 깨는 수면문제가 영유아들에게 있을 때는 의사에게 문의해서 왜 잠을 자지 않는지 알아보는 것도 좋은 수면 훈련에 필요하다.
출처 및 참조 문헌 소아가정간호백과-부모도 반의사가 되어야 한다, 이상원 The Johns Hopkins Hospital, The Harriet Lane Handbook, 18th& 19th edition Red book 29th edition 2012 Nelson Text Book of Pediatrics 19th Edition Infectious disease of children, Saul Krugman, Samuel L Katz, Ann A. Gerhon, Catherine Wilfert 제22권 아들 딸 이렇게 키우세요 참조문헌 및 출처 Emergency Care Transportation of Sick and Injured American Academy of Orthopaedic Surgeons Emergency Pediatrics A Guide to Ambulatory Care, Roger M. Barkin, Peter Rosen Gray’s Anatomy Ambulatory Pediatrics, Green and Haggerty, Saunders Introduction to Clinical Pediatrics, Smith and Marshall, W.B. Saunders Co School Health: A guide For Health Professionals,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 Goodman and Gilman's The pharmacological Basis of Therapeutics Bible How to really love your child Ross Campbell Good Behavior Stephen W. Garber, Ph.D. and other Kids Who follow, Kids who don’t Loving Each Other Leo F Buscaglia, Ph,D. Guide to Your Child’s Sleep.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 진정한 자녀 사랑. 나비게이터 10대 아들 딸 이렇게 사랑해 키워라 이상원 역 소아과학 안효섭 대한교과서 의학 용어사전 대한 의사 협회 그 외
Reviewed 6/23/2014 부모도 반의사가 되어야 한다 www.koreapediatrics.com Copyright ⓒ 2014 John Sangwon Lee, MD, FAAP “부모도 반의사가 되어야 한다”-내용은 여러분들의 의사로부터 얻은 정보와 진료를 대신할 수 없습니다. "The information contained in this publication should not be used as a substitute for the medical care and advice of your doctor. There may be variations in treatment that your doctor may recommend based on individual facts and circumstances. "Parental education is the best medicine. 이상원 소아과 전문의
프로필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졸업
무의촌 봉사 및
대한민국 군의관 근무
미국
커네티컷UCONN의과대학,
예일대학의과대학
소아과수련
미국소아과전문의,
한국소아청소년과
전문의 자격소지
뉴욕주,
노스캐롤라이나주,
커네티컷주,
한국 의사면허소지
Willimantic,
Conn에서
John
Sangwon Lee, MD, FAAP, Pediatric office
소아가정의학백과,
아들딸이렇게키워라,
임신분만 신생아
돌보기,
마약과
아이들,
소아가정간호백과(부모도 반의사가
되어야한다),
성장발육 육아
저자
부모도 반의사가
되어야 한다(2001~현재)
www.koreapediatrics.com 저자 및
운영
미국 커네티컷
UCONN
의과대학소아과
임상조교수
커네티컷 한인회회장
및 대한민국
민주평화통일자문위원
ⓒ위 칼럼은 저자의 저작권이 있습니다. 저작권자의 허락없이 어떠한 이유로도 복제사용할 수 없습니다- [ⓒ 뉴욕코리아(www.newyorkkorea.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