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코리아    SF    Boston    Washington D.C    Chicago    Atlanta    Canada
NewsLife InfoRealtySell & BuyJobsHealthCultureFood/TourIssueYellowPageShopping
회원가입 아이디/비밀번호찾기
Health
건강상담
닥터건강상담QA
병원정보
병원.의료뉴스공지
병원정보Q/A
응급조치 상식
의료보험 상담/정보
내과
하명진 내과칼럼
소아청소년과
이상원 소아과전문의
성형외과
이신지 성형외과칼럼
통증치료과
김치갑 통증치료칼럼
하명훈 통증재활칼럼
*통증관련 도움VOD
*치과관련 VOD
한의학/한방과
간송 한의학 칼럼
김홍순 한의학칼럼
동물병원
김기택 애완동물칼럼
안과
조민희 망막전문안과
▶추천 전문병원
★추천병원 파워리스트
추천병원탐방
병원집중탐방 인터뷰
라이프 건강
증상 관련 해법정보
웰빙 부르는건강상식
건강에 좋은추천음식
건강웰빙 운동
인체의 구조
건강정보교환해요
자유게시판
힐링 명상음악듣기
 
 
 
 
 
 
 
 
 
회원정보
닉네임
가입일 2008-07-23
등급 운영자 (1)
활동
포인트 : 0
게시물 작성수 : 0
댓글 작성수 : 0
쪽지보내기
받을아이디
제목
내용
(0/200바이트)
 
> Health > 소아청소년과 > 이상원 소아과전문의
Dr.kim

이상원 소아과전문의
Q&A 모유와 분유를 함께 먹어요 ‘혼합수유’에 관한 인터넷 질의응답 사례
작성자: Dr.이상원 작성자정보 조회: 5566 등록일: 2014-12-22


Q&A 모유와 분유를 함께 먹어요.

혼합수유에 관한 인터넷 질의응답 사례



Q. 모유와 분유를 함께 먹어요.


  • 안녕하세요? 시간 날 때마다 선생님의 글을 읽으며 많은 도움을 받고 있습니다. 저희 아기는 이제 일주일만 있으면 태어난 지 4개월이 되는 남자아기입니다.
  • 1) 아기가 백일 정도 되었을 때 제가 장염에 걸려 고열로 인해 이틀 동안 수유를 못했습니다. 그때 모유의 양이 급격하게 줄어서 enfamil을 같이 먹이고 있습니다. 아침에는 모유를 주고 그 이후에 두 번 정도 모유를 준 다음 중간 중간에 분유를 줍니다. 아가가 분유를 한번 먹는 양은 80~130ml예요. 이렇게 섞여서 먹이다보니 아기가 적정량을 먹고 있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 2) 모유가 나올 때까지 이런 식으로 혼합수유를 해도 되는 건지 궁금합니다. 아니면 모유를 완전히 끊고 분유만 먹여야 할까요?
  • 3) 그리고 아기가 모유를 잠깐 먹다말고 뒤로 몸을 젖히면서 우는데요. 모유의 양이 부족해서 그러는 거겠죠?
  • 4) 마지막으로 한 가지 더 여쭤볼게요. 아가가 굉장히 자주 놀라거든요. 특히 만세동작을 하고 잠을 자면 어김없이 몇 번씩 놀라 백일 이후부터는 엎어서 재운답니다. 아기가 이렇게 자주 놀라는 것이 좀 자라면 자연스럽게 없어지는 건지요. 그리고 매일 엎어서 재워도 위험하거나 아기에게 해롭지는 않은지 궁금합니다. 그럼 선생님의 답변 기다리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A. 손님께

  • 안녕하세요. 질문해 주셔 감사합니다. 아이의 나이, 성별, 과거와 가족의 병력, 진찰소견, 임상검사 결과 등 많은 정보가 있으면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습니다. 주신 정보를 참작해 답변을 드립니다.
  • 먼저 첫 번째 질문에 대한 답변입니다.
  • 이 홈페이지를 통해서 소아 건강 상담을 하다가 배운 것이 아주 많습니다.
  • 그중 하나가 혼합수유라는 용어입니다.
  • 소아청소년과 의사로서 혼합수유라는 단어를 쓰지 않는 것이 옳다고 생각합니다. (p 00 혼합수유 참조)
  • 혼합수유란 말을 쓰면 모유를 먹이는 수유모들에게 혼합수유를 해도 괜찮다는 인상을 줄 수 있습니다.
  • 첫 단추를 잘못 끼우는 격이지요. 병원에서 대부분의 수유모들은 분만 후 내 아기에게 모유 이외에 아무 것도 먹이지 말라고 간호사에게 요구를 합니다.
  • 때로는 산모 분만회복실 문에 큰 글씨로 내 아기에게 모유 이외 아무것도 먹이지 마세요, Do not feed anything other than breast milk!”라고 써 붙입니다.
  • 모유의 분비는 수요공급 원칙에 따라 적게 먹으면 적게 분비되고 많이 먹으면 많이 분비됩니다.
  • 모유 이외 Enfamil이란 인공영양을 먹으면 자연적으로 모유 수요량이 줄어들 것이고 모유의 분비가 줄어들 것입니다.
  • 그러나 모유 수유도 하고 인공영양(Enfamil)을 먹이면 아기도 혼동하고 수유모도 혼동하고 역시 아기의 소아청소년과 의사도 혼동하게 됩니다.
  • 얼마나 모유를 먹는지 모유 분비는 어느 정도인지 가늠할 수 없습니다. 그러나 아기가 정상적으로 성장하면 모유와 인공영양을 충분히 먹고 있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 두 번째 질문에 대한 답변입니다.
  • 가능하면 혼합수유를 중지하시고 분유도 먹이지 말고 모유 수유를 적어도 생후 912개월까지 전적으로 해보시지요.
  • 모유 수유를 하면서 가능한 생후 4~6개월부터 보충용 아기 음식물 즉 이유식을 먹여 보시지요. 또 생후 9~12개월 이후에도 모유 수유를 계속하세요. 엄마로서 상당히 큰 보람을 느끼실 수 있을 것입니다. 그 값어치는 아주 클 것입니다.
  • 세 번째 질문에 대한 답변입니다.
  • 모유의 양이 부족해서도 그럴 수 있지만 그 가능성은 아주 희박합니다. 모유를 많이 분비해서 모유 수유를 계속하시면 그 증상이 곧 없어질 것입니다. 대부분의 수유모들은 두 쌍동 아기가 성장 발육하는데 필요한 충분한 양의 모유를 분비할 수 있습니다.
  • 그래서 두 아기에게 충분한 모유를 동시 수유할 수 있습니다.
  • 저의 딸도 쌍둥이를 키웠는데 둘 다 모유로만 키웠습니다.
  • 드물게 영아산통 등으로 그런 증상이 생길 수 있습니다.
  • 네 번째 질문에 대한 답변입니다.
  • 아기가 놀랠 수 있지만 정상적으로 타고난 원시 반사 모로 반사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어떤 아기는 좀 더 예민해서 모로 반사를 더 자주 나타내기도 합니다.
  • 어떤 부모들은 몇 년 전까지만 해도 아기가 놀랜다고 사약으로 치료하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모로 반사는 아주 정상적으로 타고난 원시 반사입니다.
  • 이 모로 반사는 34개월이 되면 자연히 없어집니다. 저는 이 모로 반사 대신 만세반사라고 부르고 싶습니다.
  • 말씀하신 대로 엎어서 재우면 모로 반사가 덜 해지는 것이 사실입니다.
  • 신생아실에서는 신생아를 따뜻하고 가벼운 포대기로 양팔과 몸통을 싸서 간호하고 양육 합니다. 그렇게 할 때 모로 반사가 잘 나타나지 않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 언제까지 등을 바닥에 대고 뉘어 재워야 하는지 확실히는 모르지만 엎치고 뒤치기 시작할 때까지는 등을 바닥에 대고 뉘여 재우는 것이 좋습니다. 그 후에도 계속 그 수면 체위를 제우면 좋습니다.
  • 그렇게 해야 영아돌연사의 발생률이 감소됩니다.
  • 소아청소년과에서 그 문제에 관해 상담하시기 바랍니다.
  • 질문이 더 있으면 또 방문하세요. 감사합니다.
  • 이상원 드림




●위 포스팅 내용의 대부분은 부모도 반의사가 되어야 한다(소아가정간호백과)-www.koreapediatrics.com의 새원고에 있는 내용 중 일부입니다.
 사진과 그림 영상은 편의상  안올렸습니다. 전문적인 면도 있지만 소아청소년 자녀 양육에 많이 도움되리라고 믿습니다. 여기에 있는 정보는 여러분의 의사로부터 얻는 정보 진단 치료를 대신할 수 없습니다.
● 부모도 반의사가 되어야한다-www.koreapediatrics.com
● drsangwonlee님의 네이버 블로그를 방문해 도움 받으세요
● 여러분의 의견과 덧글을 환영합니다.
 감사합니다. 이상원 드림
Copyright ⓒ 2012 John Sangwon Lee, MD, FAAP


이상원 소아과 전문의








프로필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졸업

무의촌 봉사 및 대한민국 군의관 근무

미국 커네티컷UCONN의과대학, 예일대학의과대학 소아과수련

미국소아과전문의, 한국소아청소년과 전문의 자격소지

뉴욕주, 노스캐롤라이나주, 커네티컷주, 한국 의사면허소지

Willimantic, Conn에서 John Sangwon Lee, MD, FAAP, Pediatric office

소아가정의학백과, 아들딸이렇게키워라, 임신분만 신생아 돌보기, 마약과 아이들,

소아가정간호백과(부모도 반의사가 되어야한다), 성장발육 육아 저

부모도 반의사가 되어야 한다(2001~현재)

www.koreapediatrics.com 저자 및 운영

미국 커네티컷 UCONN 의과대학소아과 임상조교수

커네티컷 한인회회장 및 대한민국 민주평화통일자문위원












[ⓒ 뉴욕코리아(www.newyorkkorea.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트위터 트위터 페이스북 페이스북
댓글 : 0
번호 제목 작성자 조회 등록일
47 항바이러스 약물 Antiviral Drugs... Dr.이상원 3129 2014-10-13
46 소아들과 사춘기 아이들의 수면과 수면 장애(2부)Sleep and Sleep Disorders in Childr... Dr.이상원 3444 2014-10-11
45 자폐증 스펙트럼 장애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Dr.이상원 2944 2014-10-07
44 주의력 결핍 과다 활동 장애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ADHD)... Dr.이상원 3413 2014-10-04
43 뇌전증(간질) 증후군-발병률, 발병 나이, 원인, 발작형, 특이 사항 Epilepsy syndromes... Dr.이상원 3960 2014-09-24
42 뇌전증(간질) 국제 연맹 분류 ILAE Classification of Epilepsies... Dr.이상원 3734 2014-09-24
41 항간질약(간질약/항간질제/항뇌전증약) Anti-epileptic drugs... Dr.이상원 2685 2014-09-24
40 간질(뇌전증), 경련의 종류와 증상에 따른 선택 간질 치료약-2014년 9월 현재 Antiepil... Dr.이상원 2894 2014-09-24
39 피부 발진, 피부 발진 용어, 피부 발진의 원인, 피부 발진 사진 Skin rashes, Glossary... Dr.이상원 3352 2014-09-24
38 골수염 Osteomyelitis... Dr.이상원 2927 2014-09-24
37 아침에 일찍 일어나는 영유아들의 수면 훈련 Sleep training for infants and toddlers... Dr.이상원 3427 2014-09-14
36 영아들이나 타들러 유아들의 수면 문제와 수면 훈련 - 3 부모의 침실이나 침대에서 같... Dr.이상원 2707 2014-09-14
35 영아들이나 타들러 유아들의 수면 문제와 수면 훈련 - 2 모유나 인공영양을 먹이지 않... Dr.이상원 2582 2014-09-14
34 아이의 나이에 따른 수면 훈련 Sleep training according to child‘s ages... Dr.이상원 2680 2014-09-14
33 몽유병(몽유증) Somnambulism(Sleepwalking)... Dr.이상원 3267 2014-09-14
32 악몽(악몽증/꿈 불안장애) Nightmares... Dr.이상원 3006 2014-09-06
31 수면공포증 (야경증/수면공포) Night terrors(Sleep terror disorder)... Dr.이상원 3034 2014-09-06
30 하지불안 증후군 Restless leg syndrome(Nocturnal myoclonus/Periodic limb movement ... Dr.이상원 2456 2014-09-06
29 위식도 역류와 위식도 역류 병 Gastroesophageal reflux(GER) and gastroesophageal re... Dr.이상원 2377 2014-09-06
28 아토피 피부염- 4 Atopic dermatitis-part 4,국소성 면역 물질 치료 Topical immunomod... Dr.이상원 2874 2014-09-06
27 소아 비만과 비만증 Obese and Obesity in children... Dr.이상원 2346 2014-09-06
26 공격적 행동, 폭력과 분노 표출 Aggressive behavior, violence and anger ventilation... Dr.이상원 3096 2014-09-06
25 변비와 변비증 Constipation... Dr.이상원 2785 2014-09-06
24 환자의 비밀을 지키는 원칙 Principles of confidential care for patients... Dr.이상원 2639 2014-09-06
23 미 소아과학회 소아과의사 생명윤리... Dr.이상원 2886 2014-09-06
22 인두강, 후두 등 기도속 이물로 금방 질식되어 곧 사망 직전 호흡곤란이 극히 심하고 ... Dr.이상원 2421 2014-09-06
21 기침과 기침의 원인 Coughs and causes of coughs... Dr.이상원 2872 2014-09-06
20 기관지 천식(천식)의 진단 Asthma(Bronchial asthma) diagnosis... Dr.이상원 2697 2014-09-06
19 기관지 천식 증상 징후(천식 증상 징후) symtoms and signs of Bronchial asthma... Dr.이상원 2269 2014-09-06
18 신생아 기본 심폐 소생술-3 Newborn basic cardiorespiratory resuscitation-part 3 ... Dr.이상원 1957 2014-09-06
17 심폐 소생술- 2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CPR)-part 2꼭 배우세요... Dr.이상원 2184 2014-09-06
16 심폐 소생술-1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CPR)-part 1 배우세요... Dr.이상원 2753 2014-09-06
15 감기(보통 감기)Cold(Common cold/Acute nasopharyngitis/Upper respiratory tract inf... Dr.이상원 2741 2014-09-06
14 부모도 소아청소년 자녀 응급의료 처치 법을 배워야 한다 Parents should learn emerge... Dr.이상원 2983 2014-09-06
13 제11장 이유와 이유식 백문 백답 One hundred questions and one hundred answers on w... Dr.이상원 2833 2014-09-06
1 | 2 | 3 | 4
회원정보
닉네임 Dr.이상원 (leesangwon)
가입일 2008-07-23
등급 운영자 (1)
활동
포인트 : 0
게시물 작성수 : 0
댓글 작성수 : 0
쪽지보내기
닉네임 Dr.이상원 (leesangwon)
제목
내용
(0/200바이트)
게시물 신고하기
게시판 성격에 맞지 않거나 불건전한 게시물을 운영자에게 신고할 수 있습니다.
운영자 확인 후 해당글 삭제조치 및 해당 회원에게 불이익이 갈 수 있습니다.
허위신고시에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니 신중하게 신고해주세요.
글 제목 Q&A 모유와 분유를 함께 먹어요 ...
글 작성자 Dr.이상원
신고이유
회사소개 | 개인정보취급방침 | 회원약관 | 고객지원센터 | 제휴 및 광고문의 | 광고안내   
 

 

Contact Us : 고객문의센터, Tel: 대표 201-674-5611

E-mail: newyorkkorea77@gmail.com, newyorkkorea@naver.com, 빠른카톡상담ID : newyorkkorea 

미국최대 대표포털 뉴욕코리아는 미국법률변호사고문 및 미국저작권법의 보호를 받고 있으며, 컨텐츠 및 기사의 무단 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  

Copyright (c) New York Korea, INC. News Media Group in US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