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연 관람, 봉사활동 등 송년회가 다양하게 변주되면서 만취 송년회가 줄고 있다.
그래도 희로애락을 함께했던 동료와 ‘권커니 자커니’ 술잔을 기울이는 게 송년회
의 제맛이라고 하는 이가 적지 않다. 한 기업의 설문조사에서도 문화생활 즐기기
를 최고의 송년회로 꼽았지만 음주 송년회 역시 여전히 상위권에 올랐다.
술 따위를 남에게 권하기도 하고 자기도 받아 마시기도 하며 계속해 먹는 모양을
술 따위를 남에게 권하기도 하고 자기도 받아 마시기도 하며 계속해 먹는 모양을
가리켜 ‘권커니 자커니’라고 하는 사람이 많다.
“지난날의 앙금을 털어 버리고 ‘권커니 잣커니’ 소주잔을 기울이는 모습을 보니 안심이
된다”
“저녁식사를 곁들여 술을 ‘권커니 작커니’ 마시다 보니 어느새 서먹함이 사라지고
화기애애한
분위기가 됐다”와 같이 표현하는 경우도 있다.
어떻게 사용하는 게 바를까?
표준국어대사전에선 이들을 ‘권커니 잣거니’로 적도록 했다.
표준국어대사전에선 이들을 ‘권커니 잣거니’로 적도록 했다.
더불어 ‘권커니 잡거니’도 관용구로 허용하고 있다. ‘권(勸)하다’와 씨끝 ‘-거니’를
줄여 쓴
‘권커니(권하거니)’의 경우 틀리게 적는 일이 거의 없다. 문제는 ‘잣거니’와
‘잡거니’의
적기에서 혼란을 일으키는 것이다.
말밑이 불분명해 왜 그렇게 사용하는지 명확히 설명되지 않은 탓이
크다.
먼저 ‘잣거니’의 경우 ‘따르거니’란 의미로 쓰였다는 의견이 있다. 옛날에 발간된 사전에
먼저 ‘잣거니’의 경우 ‘따르거니’란 의미로 쓰였다는 의견이 있다. 옛날에 발간된 사전에
‘권커니 작(酌)커니’로 오른 적이 있는 만큼 ‘잣’이 ‘술 따를 작(酌)’에서 온
말이라는 것이다.
이후 ‘작’의 발음이 ‘잣’으로 바뀌었다고 보는 견해다.
‘잣거니’가 ‘자시거니’라는 뜻이라고 주장하기도 한다.
‘잣다’는 ‘먹다’의 높임말인 ‘자시다’의 평안도 사투리이다.
‘잡거니’는 권한 잔을 잡아서 받아 마시고 하는 모습에서 관용구로 굳어진 것으로 보이나
‘잡거니’는 권한 잔을 잡아서 받아 마시고 하는 모습에서 관용구로 굳어진 것으로 보이나
좀 억지스러운 표현이란 여론도 있다. 말밑이 분명치 않은 이들 말보다는 차라리 소리 나는
대로 ‘권커니 자커니’를 사전에 올리는 게 더 현실적이란 주장도 있지만 현재는 ‘권커니
잣거니’
와 ‘권커니 잡거니’만 바른말로 삼고 있다. ‘권커니 자커니’ ‘권커니 잣커니’ ‘권커니
작커니’로
사용해서는 안 된다. ( 이은희 기자 [eunhee@joongang.co.kr] )
이웃나라 일본의 예만 들겠다. 일본 사회의 법이 가장 용서하지 않는 것이 마약복용 및
거래.
그리고 공금 유용 및 탈세, 정치자금 비리다. 일본 정치계를 죄우지한 두 인물이 있다.
'가네마루 신'金...丸信 이란 자와 '오자와 이치로'小沢 一郎 다.
정치 스승과 제자 사이인 이 두사람은 자기들 마음대로 일본 수상을 뒤에서 선임할 정도로
막강한 정치권력을 휘둘렀다. 정치자금도 막 주물러거렸다. 결과는? 먼저 '가네마루'다.
가네마루는 1992년 400만 달러가 넘는 돈을 뇌물로 받은 사실이 폭로되면서 중의원직을
사임하고 자민당 부총재 자리도 내놓아야 했다.
그의 집과 사무실을 수색한 경찰은 막대한 액수의 유가증권과 현금 및 금괴를 발견했다.
그는 탈세혐의로 기소되었고 직후 검찰 체포의 충격으로 바로 죽었다.
일본 검찰은 절대 뇌물로 받은 정치자금을 눈감아 주지 않는다.
그리고 공금 유용 및 탈세, 정치자금 비리다. 일본 정치계를 죄우지한 두 인물이 있다.
'가네마루 신'金...丸信 이란 자와 '오자와 이치로'小沢 一郎 다.
정치 스승과 제자 사이인 이 두사람은 자기들 마음대로 일본 수상을 뒤에서 선임할 정도로
막강한 정치권력을 휘둘렀다. 정치자금도 막 주물러거렸다. 결과는? 먼저 '가네마루'다.
가네마루는 1992년 400만 달러가 넘는 돈을 뇌물로 받은 사실이 폭로되면서 중의원직을
사임하고 자민당 부총재 자리도 내놓아야 했다.
그의 집과 사무실을 수색한 경찰은 막대한 액수의 유가증권과 현금 및 금괴를 발견했다.
그는 탈세혐의로 기소되었고 직후 검찰 체포의 충격으로 바로 죽었다.
일본 검찰은 절대 뇌물로 받은 정치자금을 눈감아 주지 않는다.
그리고 '오자와' 다. 오자와는 '엔화가 강세일때를 이용해서 제주도를 매입해야
한다'는
개소리를 쏟아내 한국인들의 반발을 산적이 있다. 일본 정치계 무소불위의 권력자였다.
한국의 중앙정보부장격인 국가공안위원장을 젊었을 때 맡아 '정보가 권력의 생산 기계'
란 걸 일찍 터득했다. 의원직에 13번이나 당선됐고 한 때는 일본 정계를 해체시키다시피
하는 등, 일본 정치계 괴물이다. 그러나 그도 일본 검찰의 수사에는 두 손을 들었다.
정치자금법 위반에는 일본 검찰에 굴복하지 않을 수 없었다. 아직 막후 힘은 있지만
예전에 비교하면 종이호랑이 신세다. 그리고 일본 야구계 전설적인 감독이 있다.
이름은 '노무라 가쓰야'野村克也 다. 한신 타이거스의 감독이었는데 부인이 탈세혐의로
구속되면서 인생은 종쳤다. 이처럼 일본 검찰은 정확하고 단호하다. 일본 정치가 엉망이
라지만 최소한 검찰은 노골적으로 부패하지 않았다. 이것이 일본 사회의 저력이다.
한국의 정치인들이 정치자금을 거래하는 식으로 만약 일본에서라면? 거의 살아남을
정치인은 없다고 볼 수 있다. 하물며 음악계에서 서울시립교향악단 상임지휘자 정명훈의
공금 유용식이라면? 일본에서는 구속과 동시에 음악계로부터 영원한 퇴출이다.
또 요즘 자신의 미술관을 대구와 부산 두 군데에서 국비와 시비로 짓겠다고 해서 화제의
인물인 '미술계 정명훈 이우환'이라면? 미술작품 거래에서 무자료 거래? 관행?
일본에선 씨알도 안멕히는 얘기다. 탈세는 즉각 출국금지에 체포 구속 수사 대상이다.
정명훈이나 이우환이나 이들이 받은 금관문화훈장은 자동 반납된다. 일본이라면 말이다.
이우환은 일본에 살고 있으니까 '탈세'가 얼마나 무서운지 잘 안다. 그러나 한국은 만만하다.
금관문화훈장도 주지, 조선일보 등의 한국 언론이 정명훈이를 가리킬 때처럼 "세계적인
미술가"로 자기를 막 치켜세우지, 그러니 한국의 국민들이 낸 피같은 세금으로 살아 생전
자기 미술관을 짓겠다고 나설 지경이 됐다. 최근엔 대구시에서 '이우환과 친구들 미술관'
건립철회를 발표하자, 대구 시민들이 자신에게 사과를 해야 한다고 건방을 떨기까지 한다.
정말로 한국 사회가 기억하고 추념해야할 부산 대구 출신 미술가들도 변변한 미술관 하나
없는데 말이다. 이우환은 자기가 살고 있는 일본 사회의 엄격한 법치에 비교하면 한국이란
나라의 무법치를 볼 때, 한국을 얼마나 하찮고 우습게 여기고 있을까?
그러니 착각을 다반사로 하는 것이다. ( 김상수 )
http://cafe.daum.net/18sosong/AVN5/211
대법원 판사 13명을 직무유기로 고소합니다!
김필원/한영수 두 대표가 박훈 변호사를 선임하여 고소합니다!
대법원선거무효소송속행과 2014년12월19일
[국헌문란죄로 고소서명]제18대 대선선거무효소송인단
개소리를 쏟아내 한국인들의 반발을 산적이 있다. 일본 정치계 무소불위의 권력자였다.
한국의 중앙정보부장격인 국가공안위원장을 젊었을 때 맡아 '정보가 권력의 생산 기계'
란 걸 일찍 터득했다. 의원직에 13번이나 당선됐고 한 때는 일본 정계를 해체시키다시피
하는 등, 일본 정치계 괴물이다. 그러나 그도 일본 검찰의 수사에는 두 손을 들었다.
정치자금법 위반에는 일본 검찰에 굴복하지 않을 수 없었다. 아직 막후 힘은 있지만
예전에 비교하면 종이호랑이 신세다. 그리고 일본 야구계 전설적인 감독이 있다.
이름은 '노무라 가쓰야'野村克也 다. 한신 타이거스의 감독이었는데 부인이 탈세혐의로
구속되면서 인생은 종쳤다. 이처럼 일본 검찰은 정확하고 단호하다. 일본 정치가 엉망이
라지만 최소한 검찰은 노골적으로 부패하지 않았다. 이것이 일본 사회의 저력이다.
한국의 정치인들이 정치자금을 거래하는 식으로 만약 일본에서라면? 거의 살아남을
정치인은 없다고 볼 수 있다. 하물며 음악계에서 서울시립교향악단 상임지휘자 정명훈의
공금 유용식이라면? 일본에서는 구속과 동시에 음악계로부터 영원한 퇴출이다.
또 요즘 자신의 미술관을 대구와 부산 두 군데에서 국비와 시비로 짓겠다고 해서 화제의
인물인 '미술계 정명훈 이우환'이라면? 미술작품 거래에서 무자료 거래? 관행?
일본에선 씨알도 안멕히는 얘기다. 탈세는 즉각 출국금지에 체포 구속 수사 대상이다.
정명훈이나 이우환이나 이들이 받은 금관문화훈장은 자동 반납된다. 일본이라면 말이다.
이우환은 일본에 살고 있으니까 '탈세'가 얼마나 무서운지 잘 안다. 그러나 한국은 만만하다.
금관문화훈장도 주지, 조선일보 등의 한국 언론이 정명훈이를 가리킬 때처럼 "세계적인
미술가"로 자기를 막 치켜세우지, 그러니 한국의 국민들이 낸 피같은 세금으로 살아 생전
자기 미술관을 짓겠다고 나설 지경이 됐다. 최근엔 대구시에서 '이우환과 친구들 미술관'
건립철회를 발표하자, 대구 시민들이 자신에게 사과를 해야 한다고 건방을 떨기까지 한다.
정말로 한국 사회가 기억하고 추념해야할 부산 대구 출신 미술가들도 변변한 미술관 하나
없는데 말이다. 이우환은 자기가 살고 있는 일본 사회의 엄격한 법치에 비교하면 한국이란
나라의 무법치를 볼 때, 한국을 얼마나 하찮고 우습게 여기고 있을까?
그러니 착각을 다반사로 하는 것이다. ( 김상수 )
http://cafe.daum.net/18sosong/AVN5/211
대법원 판사 13명을 직무유기로 고소합니다!
김필원/한영수 두 대표가 박훈 변호사를 선임하여 고소합니다!
대법원선거무효소송속행과 2014년12월19일
[국헌문란죄로 고소서명]제18대 대선선거무효소송인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