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제목 : 공기는 무엇으로 이루어져 있나요? |
 |
|
|
작성자: life search |
조회: 3475 등록일: 2011-04-12 |
|
|
공기는 무엇으로 이루어져있나요? |
|
|
공기는 질소가 78.08%, 산소가 20.95%, 아르곤 0.93 %, 이산화탄소 0.03 % 기타 0.01 %의 비율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그외에 공기중의 수증기는 평균적으로 3.12%, 네온, 헬륨, 크립톤, 크세논 등 비활성 기체와 메탄, 수소, 오존, 일산화탄소, 이산화황 등이 0.01% 로 이루어져 있답니다. 다른 행성과 달리 지구에는 대기가 있으며, 대기는 생물의 생존에 필수적이고, 생태계를 보호하고 있지요.
*질소
․공기의 약 78% ․무색투명하고 맛과 냄새가 없으며 반응석이 매우 작다. ․생명체의 근원 물질인 단백질의 주성분 ․상온에서 안정하며 잘 타지 않는다. ․식품용기나 백열전구 충전제, 기름 탱크의 청소에 사용 ․암모니아, 질산, 질소비료 등의 제조원료 ․TNT의 원료, 웃음가스의 마취제인 제조원료 ․-196℃의 액체 질소는 병원이나 연구소의 냉각제, 음식물 저장이나 식품동제 로 사용
* 산소
․공기 중 약 21% ․무색투명하고 맛과 냄새가 없으며 물에 약간 녹는다. ․반응성이 크다.(다른 물질과 쉽게 반응)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의 필수 영양소의 주성분 ․물질의 연소를 돕는다.(조연성) ․산소는 호흡을 통해 몸속에 흡수되어 생명을 유지하는데 사용되며 흡수된 산소는 음식물을 산화 시켜 에너지를 얻는다.
*이산화탄소
․공기 중의 약 0.03% ․무색투명한 기체로 맛과 냄새가 없고 공기보다 무겁다. ․물에 약간 녹으며 그 일부는 탄산이 되어 약한 산성이 된다. ․염기성 물질에 잘 흡수된다. ․이산화탄소는 석회수에 통과시키면 흰색 앙금이 생성되어 뿌옇게 흐려진다.
* 비활성 기체 ⅰ) 아르곤 : 공기 중 약 0.93%
백열전구나 형광등의 충전제 ⅱ) 헬륨 ․끓는점이 낮은 기체로 극저온 연구에 씀 ․공기보다 가벼워 비행선, 기구에 이용함 ․물에 대한 용해도가 작아 잠수부의 산소통 속에 산소의 농도 조절에 이용 ⅲ) 네온 : 전기를 통하면 붉은 빛을 방출하여 네온사인에 이용된다.
A : 공기에 무게가 있나요 없나요? |
|
안녕하세요. 과학문화봉사단입니다.
공기는 질소와 산소, 그리고 기타 여러가지 화합물들의 혼합물입니다. 그러니까 당연히 무게가 있겠죠. 그런데 공기는 일종의 혼합기체로 주성분인 질소와 산소이외에도 소량의 이산화탄소와 아르곤 같은 비활성 기체를 포함합니다. 그러나 장소에 따라 수증기, 아황산 가스, 일산화탄소, 암모니아 , 탄화수소등의 기체 또는 먼지, 꽃가루 같은 유기 고형물을 포함하고 있는데 이들을 제거한 소위 건조공기는 지상 20km이하에서는 그 성분이 일정한 비율로 존재합니다. 그래서 0℃, 1atm의 건조공기의 밀도는 1.293g/L입니다.
공기의 대략적인 무게를 재는 데에는, 플라스크에 고무호스를 핀치콕으로 고정시키고, 진공펌프로 공기를 뺀 다음 감소한 무게를 칭량합니다. 물 속에서 콕을 열어 들어가는 물의 부피에 의해서 감소한 공기의 양을 알 수가 있 습니다. 또 반대로 용기에 자전거용 펌프 등으로 공기를 밀어넣어 증가한 무게를 재고, 물 속에 거꾸로 세운 메스실린더에 공기의 증가분을 넣어 부피를 아는 방법도 있습니 다.
단지 무게가 있다는 사실을 알고 싶을 때에는 소량의 물을 넣은 플라스크를 가열하여 수증기와 함께 대부분의 공기를 빼내어 마개를 막고, 그 무게를 잰 다음 마개를 빼고 공기를 넣어, 다시 무게를 잼으로써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럼.. 과학문화봉사단 류민정.
3. 소중한 공기(1)
1. 공기가 있음을 확인하기 1)공기의 존재 확인하기 ①손을 펴고 흔들기 ②부채를 아래위로 흔들어 보기 ③풍선을 입이나 공기펌프 등으로 부풀린 후 풍선의 주둥이를 놓기 ④부푼 풍선으로 바람개비 움직여보기 2)생활속에서 공기의 존재 ①바람개비가 움직이는 것은 공기가 움직여 힘이 가해졌기 때문이다. ②바람은 공기의 움직임이며, 공기의 존재를 알려준다. 2. 물 속에 공기의 존재 확인하기 1)물 속에서 공기 방울 만들기 -물 속에 빨대를 넣고 불거나 주사기의 피스톤을 눌러보면, 공기 방울이 발생한다. 공기는 물보다 가벼워서 위로 올라간다. 2)물 속에서의 공간 확인하기 -종이배를 물 위에 띄워 컵으로 씌워본다. : 컵 속의 종이배는 컵의 바닥에 닿지 않고, 물에 젖지도 않는다. 따라서 공기가 일정한 공간을 차지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확인문제
1. 다음 중 공기가 존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는 방법이 아닌 것은 어느 것입니까? ①나뭇잎이 흔들거립니다. ②무더운 여름날 선풍기를 켭니다. ③옥상의 태극기가 바람에 펄럭입니다. ④운동장에서 운동을 했더니 숨이 찹니다.
2. 다음 공기에 대한 설명 중 바르지 않은 것을 2개 고르시오. ①움직임이 있습니다. ②눈에 보이지 않습니다. ③무게를 잴 수 없습니다. ④몸으로 느낄 수 없습니다.
3. 종이배를 물에 띄우고 손으로 컵을 눌었습니다. 종이배의 상태를 바르게 설명한 것은 어느 것입니까? ①뒤집어진다. ②컵을 따라 내려간다. ③컵 바닥에 올라붙는다. ④컵 안을 오르락내리락한다.
4. 위 3번의 결과로 알 수 있는 공기의 성질은 어느 것입니까? ①색깔이 있다. ②물보다 무겁다. ③눈에 보이지 않는다. ④일정한 공간을 차지한다.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