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코리아    SF    Boston    Washington D.C    Chicago    Atlanta    Canada
NewsLife InfoRealtySell & BuyJobsHealthCultureFood/TourIssueYellowPageShopping
회원가입 아이디/비밀번호찾기
Issue
■ 자유광장
맛있는 요리 뭘먹지?
★페북 추천그룹가입하기
★페북 추천그룹 가입
[제휴]서울시-라이브서울
Live K-Pop콘서트
서울정부/정책방송
뷰티풀 서울
교양/문화강좌
서울광장-라이브캠
청계천-라이브캠
광화문광장 24 생중계
Life
풍수지리의 모든 것
생활의 지혜
건강바로알기
피부성형의 모든것
운동/요가
지식타임
UFO/미스테리/기타
지구촌/자연/환경
지구/우주/과학
회원정보
닉네임
가입일 2008-07-23
등급 운영자 (1)
활동
포인트 : 0
게시물 작성수 : 0
댓글 작성수 : 0
쪽지보내기
받을아이디
제목
내용
(0/200바이트)
 
> Issue > 지식타임 > 지구/우주/과학
지구/우주/과학
제목 : 과학역사 연대기 (그때~ 17세기)
작성자: 윤희성 조회: 4505 등록일: 2011-04-13
과학역사 연대기( 그때 ~ 17세기)
 



세기: [ 15세기| 16세기| 17세기| 18세기| 19세기| 20세기 ] 색으로 나타내는 것: 국내 역사, 세계사, 철학, 과학일반, 수학, 중요 물리분야, 화학분야, 생물분야, 지구과학, 공학




    • 137억년 전: 우주 탄생 
    • 45억년 전: 지구 생성. 
    • 선캄브리아기(Precambrian Eon) 

      • 38억 5천만년 전: 시생대(始生代, Archaeozoic Era) 시작. 단세포 생물 출현. 
      • 35억년 전: 원핵식물 남조류(藍藻類, blue-green algae) 출현. 
      • 26억년 전: 원생대(原生代, Proterozoic Era) 시작. 다세포 생물 출현.

    • 5억 8천만년 전: 고생대(古生代, Paleozoic Era) 시작 

      • 캄브리아기(Cambrian Period): 5억 8천만~5억년. 조개류 출현. 
      • 오르도비스기(Ordovician Period): 5억년~ 4억 3000만년. 어류 출현. 
      • 실루리아기(Silurian Period): 4억 3천만년~3억 9500만년. 육상식물 출현. 
      • 데본기(Devonian Period): 3억 9500만년~3억 4500만년. 양서류 출현. 
      • 석탄기(石炭紀 Carboniferous Period): 3억 4500만년~2억 8000만년. 파충류 출현. 
      • 페름기(Permian Period): 2억 7000만년~2억 3000만년. 포유류과의 파충류 출현. 해양 생물의 대량 멸종.

    • 2억 5천만년 전: 중생대(中生代, Mesozoic era) 시작 

      • 트라이아스기(Triassic Period): 2억 3000만년~1억 8000만년. 공룡 출현. 
      • 쥐라기(Jurassic Period): 1억 8000만년~1억 3500만년. 조류, 포유류 출현. 
      • 백악기(白堊紀 Cretaceous period): 1억 3500만년~6500만년. 생명체의 대멸종.

    • 6천 5백만년 전: 3기(tertiary) 신생대(新生代, Cenozoic Era) 시작. 포유류 번성. 

      • 팔레오세(Paleocene 효신세 曉新世): 6500만~5500만년전 
      • 에오세(Eocene 시신세 始新世): 5500만~3370만년전 
      • 올리고세(Oligocene 점신세 漸新世): 3370만~2380만년전 
      • 마이오세(Miocene 중신세 中新世): 2380만~530만년전 
      • 플라이오세(Pliocene 선신세 鮮新世): 530만~180만년전.

    • 200만년 전: 4기(Quaternary) 신생대(新生代, Cenozoic Era) 시작 

      • 홍적세(洪積世, Pleistocene Epoch): 200만년~1만년전. 

        • 40만년전: 호모 에렉투스 출현. 
        • 20만년전: 호모 사피엔스 (네안데르탈) 출현. 
        • 3만년전: 호모 사피엔스 사피엔스 (크로마뇽) 출현.

      • 충적세(沖積世, Alluvial Epoch, 현세, Holocene): 1만년전~현재. 

        • 1만년전: 신석기 시대 시작.


    • BC 4000년경: (이집트, 메스포타미아, 인더스, 황하) 4대 문명 발생. 
    • BC 3000년경~BC 1200년경: 청동기 시대.





    • BC 1750년경: 함무라비법전 
    • 호메로스 (Homeros, BC 800∼750) 일리아스(Illias), 오디세이아(Odysseia). 
    • BC 753년 4월 21일: 로물루스가 로마 건국 
    • 헤시오도스 (Hesiodos, BC 710년경~?) '신통기(神統記, Theogony)' 저술. 


    • 탈레스(Thales, BC 624∼546) 만물의 근원(arche)은 물(水). 마찰전기, 자석(Herculean stone, 헤라클레스의 돌) 발견. 
    • 이솝 (Aisopos, Aesop, BC, 620~560) 이솝우화. 
    • 아낙시만드로스 (Anaximandros, BC 610∼546) 무한(apeiron)에서 만물(흙,물,불,공기)이 생겨났다.물고기 화석 발견. 
    • 노자(老子, BC 604?.2.15∼531?) 무위자연(無爲自然). 
    • 아낙시메네스 (Anaximenes, BC 585∼525) 만물의 근원은 공기(風). 
    • 피타고라스 (Pythagoras, BC 582~497) 만물의 근원은 수(數). 우주는 하나의 아름다운 질서체계(kosmos). 
    • 크세노파네스 (Xenophanes, BC 570~480) 만물의 근원은 흙(地). 
    • 석가 (釋迦, Buddha, 고타마 싯달타, Gotama Siddhartha, BC 563∼483) 불교 창시. 색즉시공 공즉시색(色卽是空 空卽是色). 
    • 공자(孔子, BC 552~479) 
    • 헤라클레이토스 (Herakleitos, BC541~475) 만물은 불(火)처럼 변화한다. 만물은 유전한다. 변증법. 
    • 에크판토스 (Ekphantos, BC 520∼460) 지구의 자전설(rotation) 주장. 
    • 파르메니데스 (Parmenides, BC 515~445) '존재하는 것’만이 있으며 ‘존재하지 않는 것(진공)'은 없다. 유일자. 형이상학. 
    • 아낙사고라스 (Anaxagoras, BC 500∼428) 만물은 처음부터 존재. 이원론[씨앗(spermata)와 지성(nous)]. 
    • 소포클레스 (Sophocles, BC 496~ 406) 비극 '오이디푸스 왕 (Oedipus Tyrannus)'. 
    • 페르시아 전쟁(Greco-Persian Wars, BC 490∼480): 
    • 제논 (Zenon of Elea, 엘레아의 제논, BC 490∼430) 아킬레스와 거북. 
    • 프로타고라스 (Protagoras, BC 485∼414) 인간은 만물의 척도. 
    • 헤로도토스 (Herodotos, BC 484~425) '역사(歷史, Historiae, 페르시아 전쟁사)' 서술. 
    • 엠페도클레스 (Empedocles, BC 483∼435) 다원론(多元論, pluralism). 만물의 근본은 흙,물,불, 공기(地水火風). 사랑과 미움으로 물질이 생성,소멸. 
    • 레우키포스 (Leukippos, BC 480∼420): 원자론 창시. 더 이상 쪼갤 수 없는 입자를 원자(atom)이라 이름붙임. 
    • 묵자 (墨子, BC 480~390) 무차별적인 사랑, 겸애설(兼愛說). 


    • 소크라테스(Socrates, BC 469∼399) 산파술(産婆術, maieutike), 반어법(反語法, eironeia, irony), 무지의 자각. 
    • 히포크라테스 (Hippokrates, BC 460∼377) 인생은 짧고 예술(의술)은 길다. 병을 낫게 하는 것은 자연. 점액·황색쓸개즙·흑색쓸개즙·혈액의 4가지 체액이 균형을 이룬상태가 건강한 상태(에우크라지에, eukrasie). 다혈질(sanguine), 담즙질(cholerikier), 점액질(phlegmatic), 흑담즙질(melancholio). 
    • BC 433: 메톤 (Meton, BC 460?~?) 음력 19년동안 7번 (메톤주기, Metonic cycle) 윤년이 되는 역법 제안. 
    • 데모크리토스(Democritus, BC 460∼370) 고대 원자론 주장. 인도까지 여행. 
    • 플라톤 (Platon, BC 429~347) 이데아(Idea). 
    • 테아이테토스(Theaetetos, BC 417~369) 
    • 디오게네스 (Diogenes, BC 412~323) '자연스러운 것은 부끄럽지 않다'. 견유학파(犬儒學派, Cynics). 
    • 에우독소스 (Eudoxos, BC 408~355) 27개 동심 천구를 이용하여 천체의 운동 설명. 황금분할(Golden section, Ø=1.618033988769...) 명명(命名). 
    • BC 385년: 플라톤 아카데미(Academeia) 설립. 
    • 아리스토텔레스 (Aristoteles, BC384∼322) 제5원소(quintessence)설. 
    • 헤라클레이데스 (Heracleides Ponticos, BC 388~315) 지구의 자전설 주장. 
    • 맹자(BC 372~289) 성선설(性善說). 
    • 장자 (莊子, BC 369~BC 289) 안심입명(安心立命). 
    • 알렉산더 대왕(Alexandros the Great, BC 356~323.6.13) 
    • 에피쿠로스 (Epikouros, BC 342~271) 원자론자. 쾌락(Ataraxia, '혼란이 없다'는 뜻)주의. '인식(認識)이란 감각적 지각에 지나지 않고 물체가 방사(放射)하는 원자와 감각기관과의 접촉에 의해 성립한다' 
    • BC 335년: 아리스토텔레스 리케이온(Lykeion) 설립. 
    • 유클리드 (Euclid, BC 330?~275?) '기하학 원본(Stoikheia, Elements)'. 
    • 공손룡 (公孫龍, BC 320~BC 250) 궤변론자. '백마는 말이 아니다'. 
    • 아리스타쿠스 (Aristachus, BC 310~230)태양중심설. 달의 지름, 지구와 태양사이의 거리측정. 
    • 순자 (荀子, BC 298~238): 성악설(性惡說). 
    • BC 306: 프톨레마이스 1세(Ptolemaeos I, BC 367~283) 알렉산더 도서관 뮤제이온(Mouseion) 건립. 
    • 아르키메데스 (Archimedes, BC 287∼212)지렛대의 원리. 아르키메데스 원리. 13개의 아르키메데스 입체 (Archimedean Solids) 발견. 
    • 에라토스테네스 (Eratosthenes, BC 273~192) 지구 둘레 측정. 별명 '베타(beta, 2)'. 
    • 아폴로니우스 (Apollonios of Perga, BC 262~190) 행성의 궤도는 원추곡선. 주전원설(週轉圓說, epicyple), 이심궤도(eccentric) 설. 타원(ellipse, 부족함), 포물선(parabola, 일치함), 쌍곡선(hyperbola, 초과함)이라고 이름붙임. 별명 '엡실론(epsilon, 5)'. 
    • BC 221: 진시황제(秦始皇帝): 중국 통일. 연금술에 관심 가짐. 
    • 카르네아데스 (BC 214~129) 개연론(蓋然論, probabilism, '절대적 지식은 없다') 주장. 
    • 히파르코스 (Hipparchos, BC 160~125) 춘분점의 세차운동 발견. 주전원(epicycle)을 사용하여 천동설주장. 1022개 별의 목록 작성. 
    • BC 45년: 카이사르 (Gaius Julius Caesar, BC 100.7.12~BC 44.3.15) 율리우스력(Julian calendar) 제정. 
    • 루크레티우스 (Titus Lucretius Carus, BC 99∼55) '사물의 본성에 대하여(On the Nature of things)'에서 '원자(Atom)' 사용. 
    • 스트라본(Strabon, BC64~AD 23) 바다에서 멀리 떨어진 이집트 지역의 산에서 조개 화석 발견. 지표 융기 주장. 


    • 예수 (Jesus Christ, BC 6?~AD 30?) 
    • 헤론(Heron, 62~150) 기력구(汽力球, eolipile) 발명. 
    • 프톨레마이오스 (Klaudios Ptolemaeos, 85~165) '알마게스트(Almagest, '최대의 책'라는 뜻)'저술. 천동설. 
    • 장형 (張衡, 78~139) 저서 '혼천의주(渾天儀註)'에서 혼천설(渾天說) 주장. 
    • 갈레노스 (Claudios Galenos, 129~199) 해부학, 생리학 연구.


    79년 

    • 8월: 베수비오 화산 폭발로 폼페이(Pompeii) 지하에 뭍힘.
    197년 

    • 테르툴리아누스(Quintus Septimius Florens Tertullianus, 160~220) '호교서(護敎書, Apologeticum)' 출간(당시37세). '불합리하기 때문에 믿는다'. 삼위일체 주장.
    242년 

    • 암모니오스 사카스(Ammonios Sakkas, 175~242) 신플라톤주의(Neo-Platonism) 제창.
    250년 

    • 섹스토스 엠페이리코스(Sextus Empiricus, 200?~250?) '피론 개요(Outlines of Pyrrhonism)', 'Against the Logicians', 'Against the Physicists', 'Against the Ethicists', 'Against the Professors' 저술.
    269년 

    • 플로티노스(Plotinos, 205~269) 신플라톤주의(Neo-Platonism) 완성.


    313년 

    • 2월: 콘스탄티누스 1세 (Constantinus I, 274.2.27~337.5.22) 밀라노 칙령(Milan Edict): 종교의 자유 인정.
    325년 

    • 5월~6월: 니케아 공의회(Council of Nicaea): 니케아신경(Nicaenum) 채택. 아타나시우스(Athanasius, 295~373, 당시30세)와 아리우스(Arius, 250~336, 당시75세)의 논쟁. 삼위일체설 확립. 유월절 대신 부활절(Easter, 춘분후 만월 다음의 첫 일요일) 지킴.
    330년 

    • 5월 11일: 콘스탄티누스 1세 (Constantinus I, 274.2.27~337.5.22) 비잔틴에 콘스탄티노플(Constantinopl) 건설. 비잔친 제국(Byzantine Empire) 성립.
    372년 

    • 아도화상, 순도화상: 고구려 소수림왕 2년 불교 전래
    389년 

    • 아우구스티누스 (Aurelius Augustinus, 354.11.13~430.8.28) '교사론(Concerning the Teacher)' 출간(당시35세). 조명설(照明說, Doctrine of Illumination) 주장.
    391년 

    • 기독교도들이 알렉산드리아 도서관의 별관(serapium)을 파괴.
    392년 

    • 데오도시우스 1세 (Theodosius I, 346.1.11~395.1.7) 기독교 로마 국교화.
    395년 

    • 로마제국 동.서로 분열.


    409년 

    • 펠라기우스(Pelagius, 354~418) '사람은 스스로의 의지로써 자유로이 선악을 행할 수 있다' 라고 자유의지 강조.
    415년 
    427년 

    • 아우구스티누스 (Aurelius Augustinus, 354.11.13~430.8.28) 신국론(神國論, De civitate Dei) 완성. '이 세상은 '지상의 국가' 사람과 '신의 국가'사람이 섞여있는데 교회를 통해 신의 국가로 인도'. 조명설(照明說, Doctrine of Illumination) 주장.
    431년 

    • 에페소스 공의회(Council of Ephesos): 키릴로스(Kyrillos, 376~444.6.27)의 예수 단성설(單性說, Monophysitism) 채택.
    451년 

    • 칼케돈 공의회(Council of Chalcedon): 예수 신인양성설(神人兩性說) 채택.
    476년 

    • 서로마제국(Western Roman Empire) 멸망: 서구 중세 시작.


    500년 

    • 위-디오니시우스(pseudo-Dionysius the Areopagite) '천상의 계층구조(The Celestial Hierarchy)', '교회의 계층 구조(The Eccliasstical Hierarchy)', '신의 명칭들(The Divine Names)', '신비신학(The Mystical Theology)' 저술.
    524년 

    • 보이티우스 (Anicius Manlius Severinus Boethius, 480~524)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의 저작을 그리스어에서 라틴어로 번역.
    527년 

    • 신라 법흥왕 14년: 이차돈(異次頓)의 순교. 불교 공인.
    529년 

    • 유스티니아누스 1세 (Justinianus I, 483~565.11.14) 플라톤 아카데미 폐쇄.
    570년 

    • 필로포누스(John Philoponus, 490~570) 임페투스 이론(Impetus theory) 고안. 질량이 다른 두 물체의 자유 낙하실험. 아리스토텔레스의 여러 이론을 논리적으로 반박. 
    • 필로포누스(John Philoponus, 490~570) 삼신론(Tritheism) 주장.


    622년 

    • 9월: 마호메트 (Mahomet, 570?~632.6.8) 본거지를 메카(Mecca)에서 메디나(Medina)로 본거지 옮김 (헤지라, Hegira). 이슬람력의 기원.
    640년 

    • 이슬람교도들이 알렉산드리아 도서관 파괴. 일부는 페리건 수도원으로 옮겨짐.


    751년 

    • 신라: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목판 인쇄물 '무구정광대다라니경(無垢淨光大陀羅尼經)' 간행.
    756년 

    • 피핀(Pippin der Jungere, 714~768) 중부 이태리를 교황 스테파노 2세(Stefano II)에게 기증. 최초의 교황령.


    800년 

    • 샤를마뉴(Charlemagne, 742.4.2~814.1.28) 로마교황 레오3세(Leo III, 750~816.6.12)에게서 서로마황제로 대관.


    962년 

    • 신성로마제국(Holy Roman Empire) 성립: 오토 1세 (Otto I, 912.11.23~973.5.7)가 요한 12세(Johannes XII, 938~964)로부터 제관(帝冠)을 수여받음.


    1054년 

    • 7월20일: 콘스탄티노플의 총대주교 케룰라리우스(Michael Cerularius, 1000~1059.1.21) 로마교황을 이단으로 파문: 가톨릭 교회 동서로 분열(~1439).
    1070년 

    • 주돈이(周敦燎, 1017~1073) '태극도설(太極圖說)' 출간. 성리학(性理學) 창시.
    1077년 

    • 안셀무스 (Anselmus, 1033~1109) '모노로기움(Monologium)'에서 신 존재 증명 시도. 
    • 카노사의 굴욕(Humiliation at Canossa): 하인리히 4세(Heinrich IV, 1050.11.11~1106.8.7, 당시27세)가 그레고리우스 7세(Gregorius VII, 1020~1085.5.25)에게 굴욕적으로 파면을 사면 받음.
    1085년 

    • 알퐁소 6세(Alfonso VI, 1040∼1109.7.1) 스페인 톨레도(Toledo) 수복.
    1096년 

    • 십자군 전쟁 시작됨(1096~1270, 174년에 걸침).


    1117년 

    • 아벨라르(Peter Abelard, 1079~1142.4.21) '긍정과 부정(Sic et Non)' 완성. 158개 명제에 대하여 찬성과 반대 견해를 모아 놓음.
    1158년 

    • 볼로냐 대학교(University of Bologna) 설립 (법학전문).
    1167년 

    • 옥스퍼드 대학교(University of Oxford) 설립.
    1175년 

    • 크레모나의 제라드(Gherard of Cremona, 1114~1187): 톨레미의 천문학책(Almagest) , 유클리드의 책(Elements)을 비롯한 많은 아랍어 책을 라틴어로 번역.
    1198년 


    1204년 

    • 마이모니데스 (Moses Maimonides, 1135.3.30~1204.12.13) '방황하는 자들을 위한 안내서(The Guide of the Perplexed)' 출간. 유신론적 불가지론 주장. '신의 존재는 믿으나 신의 본성은 알 수 없다'.
    1209년 

    • 케임브리지 대학교 (University of Cambridge) 설립. 
    • 프란체스코 (Francesco d'Assisi, 1182~1226.10.3) 프란체스코 수도회(Franciscan Order) 창립.
    1215년 

    • 파리 대학교(University of Paris) 설립 (신학전문). 
    • 11월11일~30일: 제4차 라테란 공의회: 아리스토텔레스의 '자연학', '형이상학'등을 이단으로 간주하여 파리에서 교육금지.
    1216년 

    • 도미니쿠스 (Dominicus, 1170~1221.8.6): 도미니크 수도회(Dominican Order) 창립.
    1222년 

    • 파도바 대학교(University of Padua) 설립. 볼로냐 대학의 교수와 학생들이 분리,독립하여 설립.
    1224년 

    • 프리드리히 2세(Friedrich II, 1194.12.26~1250.12.13) 나폴리 대학교(University of Napoli) 설립.
    1229년 

    • 그레고리우스 9세(Gregorius IX, 1165~1241.8.22): 툴루즈대학교(University of Toulouse) 설립.
    1231년 

    • 살레르노 대학교(University of Salerno) 설립 (의학전문). 
    • 4월 13일: 그레고리우스 9세(Gregorius IX, 1165~1241.8.22): '파리대학교 대헌장(Parens Scientarum)' 선포: 대학의 독립성 보장. 
    • 1차 몽고 침입.
    1234년 

    • 고려(고종 21년) 세계 최초 금속(구리)활자 발명. '고문상정예문(古今詳定禮文)' 인쇄.
    1236년 

    • '재조대장경' (속칭 팔만대장경) 시작.
    1242년 

    • 베이컨 (Roger Bacon, 1214~1294.6.11) 서양 최초로 정확한 화약제조방법 고안(당시28세).
    1253년 

    • 그로스테스트(Robert Grosseteste, 1175~1253.10.9) 아리스토텔레스의 '자연학(Physics)'를 라틴어로 번역, 주해. 
    • 고려: 몽고에 항복.
    1267년 

    • 베이컨 (Roger Bacon, 1214~1294.6.11) '대저(Major Work, Opus Maius)' 출간. 돋보기 원리 해설.
    1268년 

    • 베이컨 (Roger Bacon, 1214~1294.6.11) '자연철학의 일반원리(Communia naturalium)', '수학의 일반원리(Communia mathematica)' 출간. '모든 철학의 꽃은 광학'. '수학은 과학의 문이자 열쇠'.
    1271년 

    • 쿠빌라이(世祖, 1215~1294): 원(元) 개국(~1368).
    1272년 

    • 베이컨 (Roger Bacon, 1214~1294.6.11) '철학 개론(Compendium philosophiae)' 출간.
    1273년 
    1277년 
    1299년 

    • 마르코폴로(Marco Polo, 1254~1324.1.8) '동방견문록(東方見聞錄, The Deion of the World)'


    1309년 

    • 로마 교회: 아비뇽 유수(幽囚, Avignonese Captivity) 시작됨(~1377).
    1321년 

    • 단테(Alighieri Dante, 1265~1321.9.14) '신곡(神曲, Divina Commedia)' 완성.
    1323년 

    • 로마 가톨릭: 아퀴나스(Thomas Aquinas, 1225~1274.3.7)에게 시성(諡聖).
    1327년 

    • 뷔리당 (Jean Buridan, 1295~1358) '물체의 운동은 진공에 의한 것이 아니라 기동력(impetus)에 의한 것'. 아리스토텔레스의 운동론 부정(당시32세). 'impetus'는 아리스토텔레스의 동력인(causa efficiens).
    1328년 

    • 브레드워딘(Thomas Bradwardine, 1290~1349.8.26) '비례론(比例論, Treatise on the Proportions of Velocity in Motion)' 출간. 운동법칙을 수학적으로 연구.
    1337년 

    • 영국과 프랑스간에 백년전쟁(Hundred Years' War) 발발(~1453).
    1342년 

    • 페트라트카 (Francesco Petraraca, 1304.7.20~1374.7.19) '칸초니에레(Canzoniere)' 출간(당시38세).
    1348년 

    • 이탈리아에 흑사병(黑死病, Black Death, pest) 유행.
    1353년 

    • 보카치오 (Giovanni Boccaccio, 1313~1375.12.21) '데카메론(Decameron)' 완성.
    1377년 

    • 고려(우왕 3): 금속 활자본 '백운화상초록불조직지심체요절(白雲和尙抄錄佛祖直指心體要節)' 간행. 
    • 오렘 (Nicole d' Oresme, 1325~1382.7.11) '천체와 지구에 관한 책' 출간. 운동의 상대성 주장. ''정지한 지구와 회전하는 천체'라는 설명보다는 '정지한 천체와 자전하는 지구'라는 설명이 더 경제적이다.'
    1378년 

    • 가톨릭 교회 분열(~1417): 두 명의 교황 존재.
    1392년 

    • 조선 건국.
    1395년 
    1398년 

    • 성균관(成均館) 설치.


    1403년 

    • 태종 3년 주자소(鑄字所) 설립. 
    • 금속활자 계미자(癸未字) 제작.
    1410년 

    • 데이이(Pierre d'Ailly, 1350~1420.8.9) '세계의 형상(Imago Mundi)' 출간. 콜럽버스에게 영향을 줌.
    1410년 

    • 루크레티우스 (Titus Lucretius Carus, BC 99∼55)의 책 '사물의 본성에 대하여(On the Nature of things)'가 다시 발견됨.
    1420년 

    • 세종(1397~1450, 재위 1418∼1450) 2년. 금속활자 경자자(庚子字) 제작(당시23세).
    1429년 

    • 5월: 잔다르크(Jeanne d'Arc, 1412.1.6~1431.5.28, 19세에 종교재판에 의해 화형당함) 백년전쟁중 오를레앙(Orleans)에서 영국군 격파(당시17세).
    1434년 

    • 세종(1397~1450, 재위 1418∼1450) 16년. 금속활자 갑인자(甲寅字) 제작.
    1437년 

    • 세종(1397~1450, 재위 1418∼1450) 19년. 일반 백성을 위한 해시계 앙부일구(仰釜日晷) 제작.
    1438년 

    • 동방정교회가 피렌체에 원조 협상단 파견.
    1440년 

    • 발라(Lorenzo Valla, 1407~1457.8.1) '콘스탄티누스 기증장(Donation of Constantine)'이 가짜임을 언어문헌학적, 역사학적으로 증명(당시33세). 
    • 쿠사누스(Nicolaus Cusanus, Nicholas Krebs, Nicolaus Chrypffs, 1401~1464.8.11) '무지에 대하여(On Learned Ignorance, 데 독타 이그노란티아 De docta ignorantia)' 저술(당시39세). '모든 것은 모든 것 안에 있다'. '지상계와 천상계는 같은 현상이다'. 지구설(地球說, Globular Earth). 지동설.
    1441년 

    • 세종(1397~1450, 재위 1418∼1450) 23년. 세계 최초의 측우기(測雨器) 제작.
    1442년 

    • 플라톤 아카데미(Academieia Platonica)설립(~1494): 코시모 데 메디치(Cosimo de Medici, 1389.9.27∼1464.8.1) 재정 지원. 베사리온(Johannes Bessarion, 1403~1472.11.18)과 플레톤(Geogius Gemistus Plethon, 1355~1450) 주도. 그리스 저작들을 라틴어로 번역. 스트라본의 저술을 소개하여 지리상 발견에 간접 영향을 줌.
    1445년 

    • 구텐베르크 (Johannes Gutenberg, 1397~1468.2.3) 금속활자 발명. 
    • 세종27년: 이순지(李純之, 1406~1465) '제가역상집(諸家曆象集)' 출간.
    1446년 

    • 세종대왕(1397~1450, 재위 1418∼1450) 한글반포.
    1448년 

    • 니콜라우스 5세(Nicolaus V, 1397.11.15~1455.3.24): 바티칸 도서관(Vatican Library) 건립.
    1448년 

    • 쿠사누스(Nicolaus Cusanus, Nicholas Krebs, Nicolaus Chrypffs, 1401~1464.8.11) 식물은 물을 소화해서 자란다고 주장.
    1450년 
    1453년 

    • 5월 29일: 오스만투르크제국이 콘스탄티노플 점령. 비잔친 제국(Byzantine Empire) 멸망.
    1474년 

    • 토스카넬리(Paolo dal Pozzo Toscanelli, 1397~1482.5.10) 동아시아로가는 최단거리는 대서양을 서쪽으로 경유하는 항로라고 콜럼버스에게 가르쳐 줌.
    1482년 

    • 피치노(Marsilio Ficino, 1433.10.19~1499.10.1) '플라톤 신학(Theologia Platonica)' 출간.
    1484년 
    1488년 

    • 디아스 (Bartolomeu Diaz, 1450~1500.5.29) 희망봉(Cape of Good Hope) 발견.
    1492년 

    • 8월 3일 콜럼버스 (Christopher Columbus, 1451.8.26~1506.5.21) 제1회 서인도 항해 출발.
    1494년 

    • 메디치 은행 파산.
    1495년 
       
    • 마누치오 (Aldo Pio Manuzio, 1449~1515.2.6) 알도출판사(Aldine Press) 설립. '돌고래와 닻'이 상표. 이탤릭체 글자 발명. 8절 문고판(文庫版) 크기의 서적 발명.
    1497년 

    • 다가마 (Vasco da Gama, 1469~1524) 희망봉 발견(당시 28세). 인도항로 개척을 위해 출항.
    1498년 
       
    • 다빈치 (Leonardo da Vinci, 1452.4.15~1519.5.2) 산타마리아델레그라치에 성당 식당의 벽화 '최후의 만찬' 완성.


    1510년 
       
    • 라파엘로(Raffaello Sanzio, 1483.4.6~1520.4.6) '아테테 학당(School of Athens)' 완성(당시27세).
    1511년 

    • 에라스무스 (Desiderius Erasmus, 1469.10.27~1536.7.12) '우신예찬(愚神禮讚, Praise of Folly, Encomium Moriae)' 발표.
    1513년 

    • 레오 10세 (Leo X, 1475.11.11~1521.12.1) 라테라노 공의회(Council of Laterano) 열림. 아베로스 파(Averroes, 개인의 영혼은 신체의 죽음과 함께 멸한다고 주장) 단죄.
    1516년 

    • 마키아벨리 (Niccolo di Bernardo dei Machiavelli, 1469.5.3~1527.6.21) '군주론(Il principe)' 출간. 
    • 모어(Thomas More, 1477.2.7~1535.7.6) '유토피아(Utopia)' 출간(당시39세).
    1517년 

    • 레오 10세 (Leo X, 1475.11.11~1521.12.1) 베드로 대성당 건립자금을 위해 면죄부 판매. 
    • 10월 31일 루터 (Martin Luther, 1483.11.10~1546.2.18) '95개조 항의문' 발표(당시 34세). 종교개혁의 발단.
    1519년 

    • 8월 10일 마젤란 (Ferdinand Magellan, 1480~1521.4.27) 서쪽 항로로 세계일주 출발(~1522).
    1527년 

    • 최세진(崔世珍, 1473~1542.2.10) '훈몽자회(訓蒙字會)' 저술. 
    • 5월: 로마약탈(Sacco di Roma): 독일과 에스파니아 군대가 로마시 약탈. 르네상스의 종말을 가져옴.
    1534년 

    • 영국 국교회(성공회, 聖公會, The Anglican Domain) 성립.
    1536년 

    • 칼뱅 (John Calvin, 1509.7.10~1564.5.27) '그리스도교 원론(Institutio christianae religionis)' 저술. 이중예정설(구원받을자와 멸망할자가 예정되어 있다) 주장.
    1540년 

    • 로욜라 (Ignatius de Loyola, 1491~1556.7.31): 예수회 (Society of Jesus, Jesuits) 교황청의 인가 받음.
    1541년 

    • 미켈란젤로 (Michelangelo Buonarroti, 1475.3.6~1564.2.18) 시스티나성당(Cappella Sistina)의 그림 '최후의 심판(Last Judgment)' 완성.
    1543년 
       
    • 코페르니쿠스 (Nicolaus Copericus, 1473.2.19~1543.5.24) '천체의 회전에 관하여 De revolutionibus orbium celestium' (전4권) 발표 
    • 베살리우스 (Andreas Vesalius, 1514.12.31~1564.10.15) '인체해부에 관하여' 출판(당시 29세). 
    • 주세붕 (周世鵬, 1495~1554) 최초의 서원 백운동 서원(白雲洞書院, 紹修書院) 설립.
    1545년 

    • 카르다노(Girolamo Cardano, 1501.9.24~1576.9.21) '위대한 술법(Ars Magna)' 출간. 3차 방정식의 일반해법 제안. 허수(Imaginary number) 개념 도입.
    1546년 

    • 아그리콜라 (Georgius Agricola, 1494.3.24~1555.11.21) '현무암(玄武岩, basalt)'이라고 명명(命名). 광산학의 아버지.
    1553년 

    • 베네데티(Giambattista Benedetti, Giovanni Battista Benedetti, 1530.8.14~1590.1.20) 자유낙하 물체의 동시성 주장(당시23세).
    1557년 

    • 교황 바오로 4세(Paul Ⅳ, 1476~1559): 금서목록(Index Librorum Prohibitorum) 1판 제정 (~1966년 금지 해제).
    1558년 
    1560년 

    • 포타(Giambattista della Porta, John Baptist Porta, 1535.11.1~1615.2.4, Porta는 성문城門이라는 뜻) 자연의 신비 학회(Academia Secretorum Natura, The Academy of the Mysteries of Nature) 설립(종교재판소에 의해 1578년 폐쇄됨). 최초의 과학 학회.
    1562년 

    • 섹스토스 엠페이리코스(Sextus Empiricus, 200?~250?)의 책들이 재발견되어 번역됨. 회의주의 유행.
    1572년 

    • 11월 11일: 브라헤 (Tycho Brahe, 第谷, 1546.12.14~1601.10.24) 카시오페아 자리에서 '티코의 신성' 발견.
    1577년 

    • 귀도발도(Guidobaldo del Monte, 1545.1.11~1607.1.6) '역학(Mechanics, Liber mechanicorum)' 출간(당시32세). 지렛대, 나사, 도르래 소개. 힘 모멘트(moment of force, T=rxF) 도입.
    1580년 

    • 몽테뉴(Michel Eyquem de Montaigne, 1533.2.28~1592.9.13) '수상록(Essays)' 1,2권 출간.
    1582년 

    • 클라비우스 (Christopher Clavius, 1538.3.25~1612.2.2) 윤년법칙(4로 나누어지는 해는 윤년, 100으로 나누어지면 평년, 400으로 나누어지면 윤년) 제안. 소수점을 처음으로 도입. 마테오 리치 스승. 
    • 그레고리우스 13세 (Gregorius XIII, 1502.6.7~1585.4.10) 그레고리력(Gregorian calendar) 제정.
    1584년 

    • 브루노 (Giordano Bruno, 1548~1600.2.17) '무한, 우주와 제세계에 관하여' 출간(당시36세).
    1586년 

    • 스테빈(Simon Stevin, 1548~1620.2) '평형의 원리(The Elements of Equilibrium)' 출간(당시37세). 
    • 스테빈(Simon Stevin, 1548~1620.2) '유체정력학(Hydrostatics, De Beghinselen des Waterwichts)' 출간(당시37세).
    1592년 

    • 선조 25년: 임진왜란(壬辰倭亂).
    1594년 

    • 셰익스피어 (William Shakespeare, 1564.4.26~1616.4.23) '로미오와 줄리엣(Romeo and Juliet)' 완성.
    1595년 

    • 잰샌(Zacharias Janssen, 1580~1638) 현미경 발명.
    1598년 

    • 4월13일: 앙리4세(Henri IV, 1553.12.13~1610.5.14): 낭트칙령(The Edict of Nantes) 발표(1685년 10월 18일 폐지). 프랑스의 칼뱅파 신교도(위그노, Huguenot)에게 신앙의 자유 인정.



    1600년 
       
    • 길버트 (William Gilbert, 1544.5.24~1603.12.10) '자석에 대하여(De Magnete)' 발표. 지자기발견, 전기와 자기를 구별. 전기소(電氣素, effluvium, BC 50년경 Lucretius가 최초로 사용). 
    • 헬몬트 (Jan Baptista van Helmont, 1579.1.12~1644.12.30) '불의 철학자'. 어원 chaos로부터 '기체(gas)'라는 말을 최초 사용.
    1601년 
       
    • 이탈리아 '린체이 아카데미(Lincei dei Accademia, Lincei는 살쾡이Lynx라는 뜻) 창립'. 구성원: 체시 (Federico Cesi, 1585~1630), 스텔루티, 테르니, 메키오
    1602년 

    • 마테오 리치 (Matteo Ricci, 이마두, 利瑪竇, 1552.10.6~1610.5.11) '곤여만국전도(坤與萬國全圖)' 제작.
    1603년 

    • 마테오 리치 (Matteo Ricci, 이마두, 利瑪竇, 1552.10.6~1610.5.11) '천주실의(天主實義)' 저술. 
    • 이광정(李光庭, 1552.6.24~1627.4.1)과 권희(權憘, 1547~1624): 마테오 리치의 '곤여만국전도(坤與萬國全圖)' 중국에서 들여옴.
    1604년 
       
    • 갈릴레이 (Galileo Galilei, 1564.2.15~1642.1.8) '가속도운동에 관해서' 발표. 최초의 물리학자. 
    • 황동명(黃東溟): 중국에서 '양의현람도(兩儀玄覽圖)' 들여옴. (중국의 이응시(李應試)가 이지조(李之藻) 본(本)의 「곤여만국전도」를 확대하여 「양의현람도」8폭으로 북경에서 간행한 것).
    1605년 
       
    • 베이컨( Francis Bacon, 1561.1.22~1626.4.9) '학문의 진보' 발표. 
    • 마테오 리치 (Matteo Ricci, 이마두, 利瑪竇, 1552.10.6~1610.5.11) '건곤체의(乾坤體義)' 출간.
    1607년 

    • 마테오 리치 (Matteo Ricci, 이마두, 利瑪竇, 1552.10.6~1610.5.11) 유클리드 '기하원본(幾何原本)' 중국어 번역본 출간. '기하'라는 용어 처음 사용.
    1609년 
       
    • 케플러 (Johannes Kepler, 1571.12.27~1630.11.15) '새로운 천문학(Astronomia nova)'발표. 행성운동에 관한 1,2법칙 발표(당시38세).
    1610년 

    • 갈릴레이 (Galileo Galilei, 1564.2.15~1642.1.8) 갈릴레이식 망원경(Galilean telescope, 대물 볼록렌즈, 접안 오목렌즈)제작. 태양흑점 발견. 
    • 1월 7일: 갈릴레이 (Galileo Galilei, 1564.2.15~1642.1.8) 목성위성관측. 
    • 3월 12일: 갈릴레이 (Galileo Galilei, 1564.2.15~1642.1.8) '별들의 소식(Sidereus Nuncius, The Sidereal Messenger)' 출간. 
    • 9월: 갈릴레이 (Galileo Galilei, 1564.2.15~1642.1.8) 금성의 위상이 달처럼 변함을 관찰. 
    • 허준(許浚, 1546~1615) '동의보감(東醫寶鑑)' 완성.
    1611년 

    • 케플러 (Johannes Kepler, 1571.12.27~1630.11.15) '육각 눈송이(The Six-Cornered Snowflake)' 출간. 공간을 촘촘히 채우는 방법에 대해 기술. 
    • 샤이너(Christoph Scheiner, 1575.7.25~1650.6.18) 태양 흑점 발견(당시36세).
    1612년 

    • 이광정(李光庭, 1552.6.24~1627.4.1) (고양이목에 방울달기) '망양록(亡羊錄)' 지음. 
    • 5월: 갈릴레이 (Galileo Galilei, 1564.2.15~1642.1.8) '물에 뜨는 물체에 관한 논쟁(Discourse on Bodies in Water)' 출간.
    1614년 

    • 이수광(李磎光, 1563~1628): 세차례(1590년, 1597년, 1611년) 북경 여행. 백과사전 '지봉유설(芝峰類說)' 편찬.
    1615년 

    • 디아즈(Emmanuel Diaz, 양마낙, 陽瑪諾, 1574~1659) '천문략(天文略)' 출간. 톨레미(Ptolemaeos)의 천문학 소개.
    1618년 

    • 독일 30년 전쟁 발발 (1618~1648): 신교(Protestants)와 구교(Catholic)의 전쟁.
    1619년 

    • 케플러 (Johannes Kepler, 1571.12.27~1630.11.15) '우주의 조화' 발표. 행성의 운동에 관한 3법칙 발표.
    1620년 

    • 베이컨 (Francis Bacon, 1561.1.22~1626.4.9) '신기관 (Novum Organum)' 발표. '아는 것이 힘이다 (Ipsa scientia potestas est)'. '원래 대륙들은 한 덩어리였었다'. 
    • 12월 21일: 청교도(필그림파더즈 Pilgrim Fathers)들이 메이플라워(Mayflower)호를 타고 미국 메사추세츠주 플리머스 도착.
    1623년 

    • 갈릴레이 (Galileo Galilei, 1564.2.15~1642.1.8) '시금 저울(試金-저울, 시험자, 시금석, 황금계량자 黃金計量者, Il Saggiatore, The Assayer)' 출간. 혜성의 본성에 대한 논쟁. '자연이라는 책은 수학문자로 써있다(The book of nature is written in the language of mathematics)'. 
    • 알레니(Giulio Aleni, 艾儒略, 애유약, 1582~1649)'직방외기(職方外紀)' 출간.
    1624년 

    • 가생디(Pierre Gassendi, 1592.1.22~1655.10.24) '아리스토텔레스 학파에 대한 역설적 연구' 출간(당시32세). 경험론 주장. 원자론 수용.
    1628년 

       
    • 하비 (William Harvey, 1578.4.1~1657.6.3) 논문 '동물의 심장과 혈액의 운동에 관한 해부학적 연구'에서 혈액순환설 발표. 심장펌프설 주장. 갈레노스(Claudios Galenos, 129~199)의 이론 부정. 
       
    • 데카르트 (Rene Des Cartes, 1596.3.31~1650.2.11) '정신 지도를 위한 규칙들(Rules for the Direction of the Mind)' 출간(당시32세).
    1630년 

    • 샤이너(Christoph Scheiner, 1575.7.25~1650.6.18) '곰의 장미(Rosa Ursina)' 출간. 태양 자전 주기 구함.
    1631년 

    • 6월 24일: 정두원 (鄭斗源, 1581~?) 중국 명나라에서 포르투갈 신부 로드리게스(육약한, 陸若漢, Joao Rodriguez, 1561~1633.8.1)로부터 홍이포(紅夷砲) ·천리경(千里鏡) ·자명종(自鳴鐘) 등 서양의 기계와 치력연기(治曆緣起)》, 《천문략(天文略)》, 마테오리치의 《천문서(天文書)》 《직방외기(職方外紀)》 《서양국풍속기(西洋國風俗記)》 《천문도(天文圖)》 《홍이포제본(紅夷砲題本)》 등의 서적을 받아 귀국함.
    1632년 

    • 갈릴레이 (Galileo Galilei, 1564.2.15~1642.1.8) '두가지 우주 체계에 대한 대화-프톨레마이오스와 코페르니쿠스(Dialogue on the Two Principal World Systems)' 출간. 태양중심설 주장.
    1633년 

    • 6월 22일: 갈릴레이 (Galileo Galilei, 1564.2.15~1642.1.8) 종교재판 받음.
    1636년 

    • 인조14년 12월: 병자호란(丙子胡亂)(~1637년 1월).
    1637년 

    • 데카르트 (Rene Des Cartes, 1596.3.31~1650.2.11) '방법 서설(Discourse on the Method of Rightly Conducting One's Reason and Seeking the Truth in the Sciences, and in addition the Optics, the Meteorology and the Geometry, which are essays in this Method)' 발표. '생각한다, 그러므로 있다 (cogito, ergo sum)'. 해석 기하학 제시. 
    • 장현광(張顯光, 1554~1637) '역학도설(易學圖說)' 저술.
    1638년 

    • 갈릴레이 (Galileo Galilei, 1564.2.15~1642.1.8) '신과학대화 (두 개의 신과학(新科學)에 관한 수학적 논증과 증명: Discorsie dimonstrazioni mathematiche intorno a due nuove scienze attenenti alla meccanica)' 발표. 
    • 나아곡(Jacques Rho, 羅雅谷, 1593~1638.4.26) '오위역지(五亮瑃?' 출간. 티코 브라헤의 우주론 소개.
    1641년 

    • 데카르트 (Rene Des Cartes, 1596.3.31~1650.2.11) '성찰(Meditations on First Philosophy)' 출간. 정신-물질 이원론.
    1642년 

    • 영국 청교도 혁명(淸敎徒 革命 Puritan Revolution)
    1643년 

    • 토리첼리 (Evangelista Torricelli, 1608.10.15~1647.10.25) 수은주 실험. 대기압=760 mmHg. 진공의 존재를 증명(당시 35세).
    1644년 

    • 명(明)나라 멸망. 청(淸)에 의해 중국통일. 
    • 메르센(Marin Mersenne, 1588.9.8~1648.9.1) '물리수학 고찰(Cogitata Physica-Mathematica)'의 서문에서 메르센 소수(2^p-1) 제안. 
    • 데카르트 (Rene Des Cartes, 1596.3.31~1650.2.11) '철학 원리(Principia philosophiae)' 출간. 
    • 밀턴(John Milton, 1608.12.9~1674.11.8) '아레오파기티카 (Areopagitica)' 발표(당시36세). 언론출판의 자유 주장. 
    • 인조22년: 김육(金堉, 1580~1658) 중국에서 '시헌력(時憲曆)' 서적 구입.
    1645년 

    • 샬 폰 벨 (Johann Adam Schall von Bell, 탕약망 湯若望, 아담 샬, 1591.5.1~1666.8.15) '시헌력(時憲曆)' 제정. 정기법(定氣法) 시행. 
    • 소현세자 (昭顯世子, 1612~1645): 중국에서 여지구(輿地球) 들여옴. 
       
    • 보일 (Robert Boyle, 1627.1.25~1691.12.30) '보이지 않는 대학(Invisible College)' 설립(당시18세).
    1648년 

    • 10월24일: 베스트팔렌 조약(Peace of Westfalen) 체결. 독일 30년 전쟁 종결.
    1649년 
    1650년 

    • 어셔 (James Usher, 1581.1.4~1656.3.21) '지구가 기원전 4004년 10월 22일 밤에 창조되었다'고 주장.
    1651년 

    • 홉스 (Thomas Hobbes, 1588.4.5~1679.12.4) '리바이어던(Leviathan)' 출간. '만인의 만인에 대한 싸움(war of all against all)'(성악설 性惡說). 사회계약론의 기원.
    1653년 

       
    • 파스칼 (Blaise Pascal, 1623.6.19~1662.8.19) 논문 '유체의 평형(Treatise on the Equilibrium of Liquids)' 발표(당시 30세). 파스칼의 원리. 
    • 하멜 (Hendrik Hamel, 1630.8.22-1692.2.12) 제주도 표류. 
    • 조선 효종 4년 정기법(定氣法) 태음태양력 '시헌력(時憲曆)' 채택.
    1654년 
       
    • 게리케 (Otto von Guericke, 1602.11.20~1686.5.11) 마그데부르그 (Magdeburg)의 반구(Hemisphere) 실험. 
    • 파스칼 (Blaise Pascal, 1623.6.19~1662.8.19, 당시31세)과 페르마 (Pierre de Fermat, 1601.8.17~1665.1.12) 확률론 발견.
    1655년 
       
    • 호이겐스 (Christiaan Huygens, 1629.4.14~1695.7.8) 굴절망원경 제작. 토성 고리 발견. 토성의 위성관측(당시 26세). 
    • 보일 (Robert Boyle, 1627.1.25~1691.12.30) 논문 '4원소설 ·3원질설(原質說)을 입증한다고 일반적으로 주장되는 여러 가지 실험에 관한 고찰'에서 사원소 변환설 부정(당시 28세). 연금술 부정.
    1656년 

    • 파스칼 (Blaise Pascal, 1623.6.19~1662.8.19, 당시33세) 첫째 '시골 친구에게 부치는 편지(Lettres Provinciales)' 저술.
    1657년 
    1660년 

    • 11월: 영국 왕립 협회 (The Royal Society of London for Improving Natural Knowledge) 창립. Seth Ward(1617.4.5~1689.1.6)와 John Wilkins(1614~1672.11.16) 주도. 
    • 말피기(Marcello Malpighi, 1628.3.10~1694.11.30) 개구리의 허파에서 모세 혈관 발견(당시32세). 
    • 레벤후크(Antonie van Leeuwenhoek, 1632.10.24~1723.8.26) 단순 현미경 발경(당시28세).
    1661년 
       
    • 페르마 (Pierre de Fermat, 1601.8.17~1665.1.12) 광학에서 페르마의 (최소 시간 ) 원리 발견.
    1662년 

    • 보일 (Robert Boyle, 1627.1.25~1691.12.30) '공기의 무게와 탄성 (The Spring and Weight of the Air)'의 제2판 출간. 보일의 법칙 발표(당시 35세).
    1664년 

    • 라이트훗 (John Lightfoot, 1602.3.29~1675.12.6) '인간은 기원전 3928년 9월 17일 오전 9시에 창조되었다'라고 주장.
    1665년 
       
    • 훅 (Robert Hooke, 1635.7.18~1703.3.3) 집광장치(condensor lens system) 달린 현미경 발명. '미세도면(Micrographia)' 출간. 식물세포 발견(당시 30세).
    1666년 

    • 그리말디 (Francesco Maria Grimaldi, 1618~1663) 'Physico-mathesis de lumine' 출판. 최초로 파동설 주장. 회절(diffraction)이라고 명명(命名). 
    • 12월 22일: 프랑스 과학아카데미(The French Academy of Sciences) 창립. 콜베르(Jean-Baptiste Colbert, 1619.8.29~1683.9.6)가 주도.
    1667년 

    • 밀턴(John Milton, 1608.12.9~1674.11.8) '실락원(Paradise Lost)' 출간.
    1668년 

    • 김만중 (金萬重, 1637.2.10∼1692.4.30) '지구고증(地球考證)' 지음(당시 31세). 
       
    • 뉴턴 (Isaac Newton, 1642.12.25~1727.3.20): 렌즈의 색수차를 없애기 위해 뉴턴식 반사망원경 제작(당시 26세). 
    • 레디 (Francesco Redi, 1626.2.19~1697.3.1) '곤충에 관한 실험' 출간. 초보적 생물속생설(生物續生說, biogenesis) 주장.
    1669년 

    • 바르톨린 (Erasmus Bartholin, 1625.8.13~1698.11.4) 방해석(CaCO3, Calcite)에서 복굴절(double refraction) 발견. 
    • 브란트 (Hennig Brand, 1630-1710) 인(Phosphorous)발견(당시 39세). Phosphorous=Phos(빛)+Phorous(가지는) 
    • 스테노 (Nicolaus Steno, 1638.1.10~1687.11.26, 원명 Niels Steensen) 지층 누중(累重)의 법칙 (Law of Superposition) 제안 (당시 31세). 
    • 현종10년: 송이영(宋以穎): 자명종 시계 제작.
    1670년 

    • 파스칼 (Blaise Pascal, 1623.6.19~1662.8.19) 사후에 '팡세(Pensees, Thoughts on Religion and on Other Subjects 종교 및 기타 주제에 관한 사상)' 간행.
    1671년 

    • 뉴턴 (Isaac Newton, 1642.12.25~1727.3.20) 논문 '급수와 유율의 방법론에 관하여(De methodis Serierum et Fluxionum)' 저술. 뉴톤 사후 1736년에 John Colson이 영어로 번역하여 출판. 미적분학에 대한 내용.
    1673년 

    • 2월 10일: 몰리에르(Moliere, 본명Jean Baptiste Poquelin, 1622.1.15~1673.2.17) '상상병 환자(The Imaginary Invalid)' 초연. '아편이 졸린 이유는 최면 성분(dormative virtue)때문'. 
    • 호이겐스 (Christiaan Huygens, 1629.4.14~1695.7.8) '진동 시계론(Horologium Oscillatorium)' 출간.
    1674년 

    • 훅( Robert Hooke, 1635.7.18~1703.3.3) 논문 '관측에 의한 지구 운동 증명 실험(An Experiment to Demonstrate the Motion of Earth by Observations)'에서 중력의 역제곱 법칙 제안.
    1675년 
    1676년 
       
    • 뢰머 (Ole Christensen Roemer, 1644.9.25~1710.9.23) 목성의 월식을 이용하여 빛속도 측정(당시 32세). 빛속도가 유한함을 발견.
    1677년 

    • 레벤후크(Antonie van Leeuwenhoek, 1632.10.24~1723.8.26) 정자 발견. 전성설(Preformation theory) 주장.
    1678년 

    • 호이겐스 (Christiaan Huygens, 1629.4.14~1695.7.8) 호이겐스의 원리 발표. 빛의 파동설. 
    • 훅 (Robert Hooke, 1635.7.18~1703.3.3) 탄성력에 관한 훅의 법칙 F=-kx 발표. 
    • 홍만종 (1643~1725) 순오지 지음(숙종4년, 당시 35세).
    1679년 

    • 슈탈 (Georg Ernst Stahl, 1660.10.21~1734.5.14) 연소에 관한 플로지스톤 이론( Phlogiston theory) 발표(당시 19세). 
    • 파팽(Denis Papin, 1647.8.22~1712?) 압력 요리기(Pressure Cooker, 압력밥솥?) 발명(당시32세).
    1681년 

    • 버닛(Thomas Burnet, 1635~1715) '지구에 관한 성스러운 이론(The Sacred Theory of the Earth)' 출간.
    1682년 

    • 핼리 (Edmund Halley, 1656.11.8~1742.1.14) 핼리 혜성 관측 (당시 26세). 
    • 레이 (John Ray, 1627.11.29~1705.1.17) '식물 분류법' 출간. 외떡잎과 쌍떡잎 식물 구분.
    1684년 

       
    • 라이프니츠 (Gottfried Wilhelm von Leibniz, 1646.7.1~1716.11.14) 논문 '극대와 극소 및 접선에 대한 새로운 방법, 그리고 그것을 위한 특이한 계산법' 발표. 미분법 창시(당시 38세).
    1686년 

    • 라이프니츠 (Gottfried Wilhelm von Leibniz, 1646.7.1~1716.11.14) 적분 기호 발명.
    1687년 

    • 뉴턴 (Isaac Newton, 1642.12.25~1727.3.20): '자연철학의 수학적 원리'(프린키피아, Philosophiae naturalis principia mathematica) 출판
    1688년 

    • 영국 명예혁명(Glorious Revolution)
    1689년 

    • 12월 16일: 영국 권리장전(Bill of Rights) 반포.
    1690년 

    • 로크(John Locke, 1632.8.29~1704.10.28) '인간 오성론(人間 悟性論, An Essay Concerning Human Understanding)' 출간.
    1691년 

    • 로피탈 (Guillaume Francois Antoine de L'Hospital, 1661~1704.2.2) 로피탈 정리 출판(당시 30세) [요한 베르누이(Johann Bernoulli, 1667.8.6~1748.1.1)가 발견하여 가르쳐 줌].
    1695년 

    • 파팽(Denis Papin, 1647.8.22~1712?) 피스톤 증기기관 개념 설계.
    1697년 
    1699년 

    • 아몽통 (Guillaume Amontons, 1663.8.31~1705.10.11) 마찰의 법칙 f= mu N 발견 (당시 36세) --> 아몽통-쿨롱 법칙.


      <출처 : 경상대학교 사범대학 과학교육학부 (물리전공) 윤석주 사이트http://rainbow.gsnu.ac.kr/>
트위터 트위터 페이스북 페이스북
댓글 : 0
이전글 물대포 소는 아기별 발견
다음글 ‘다세계(多世界)’의 존재
번호 제목 작성자 조회 등록일
16 [우주다큐] 경이로운 우주3편. 11차원. (The Elegant Universe 3of3 Welcome to the 1 뉴요커 2918 2015-12-06
15 [우주다큐] 경이로운 우주2편. 초 끈. (The.Elegant.Universe.2of3.Strings.the.Thing 뉴요커 2740 2015-12-06
14 우주다큐] 경이로운 우주 1편. 아인슈타인의 꿈. (Elegant Universe 1of3 Einsteins D 뉴요커 2786 2015-12-06
13 “2012년 행성 니비루와 충돌?” 지구 멸망설 정체는?| pen 3555 2011-12-09
12 우주의 1년 brave 3418 2011-08-02
11 지구 최후의 날. 펌 럭셔리 3536 2011-08-02
10 물대포 소는 아기별 발견 코냔 3927 2011-06-16
과학역사 연대기 (그때~ 17세기) 윤희성 4506 2011-04-13
8 ‘다세계(多世界)’의 존재 큐티 베이비 3801 2011-04-13
7 얼음의 비밀 anna ** 3755 2011-04-13
6 나는 탄소가 지난 겨울에 한 일을 알고 있다 나는야 간다 4053 2011-04-13
5 우주거울 aristoteles 3887 2011-04-13
4 게이지 이론의 발전사/김재관. 펌 brian hong 4111 2011-04-12
3 공기는 무엇으로 이루어져 있나요? life search 3475 2011-04-12
2 우주의 크기를 보여주는 영상 프리첼 2666 2011-03-17
1 | 2
회원정보
닉네임 윤희성 (_admin_)
가입일 2008-07-23
등급 운영자 (1)
활동
포인트 : 0
게시물 작성수 : 0
댓글 작성수 : 0
쪽지보내기
닉네임 윤희성 (_admin_)
제목
내용
(0/200바이트)
게시물 신고하기
게시판 성격에 맞지 않거나 불건전한 게시물을 운영자에게 신고할 수 있습니다.
운영자 확인 후 해당글 삭제조치 및 해당 회원에게 불이익이 갈 수 있습니다.
허위신고시에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니 신중하게 신고해주세요.
글 제목 과학역사 연대기 (그때~ 17세기)...
글 작성자 윤희성
신고이유
회사소개 | 개인정보취급방침 | 회원약관 | 고객지원센터 | 제휴 및 광고문의 | 광고안내   
 

 

Contact Us : 고객문의센터, Tel: 대표 201-674-5611

E-mail: newyorkkorea77@gmail.com, newyorkkorea@naver.com, 빠른카톡상담ID : newyorkkorea 

미국최대 대표포털 뉴욕코리아는 미국법률변호사고문 및 미국저작권법의 보호를 받고 있으며, 컨텐츠 및 기사의 무단 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  

Copyright (c) New York Korea, INC. News Media Group in US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