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정보
닉네임
가입일
2008-07-23
등급
운영자 (1)
활동
포인트 : 0 점
게시물 작성수 : 0 개
댓글 작성수 : 개
shin5-3
[뉴욕코리아시단]<아침의 시> 책/김재혁
작성자: 신지혜 시인
조회: 9598 등록일: 2016-01-25
문화 >뉴욕코리아 시단
아침의 시
책
김재혁
구름보다 더 늙은
책이 내 얼굴을 쳐다본다,
내 얼굴을 들이마시고 어루만진다,
내 마음을 제본하여 읽어 보라고 내민다.
책의 손가락이 내 속을 더듬으며
뒤틀린 내 영혼의 손목에 봉침을 놓으며 웃는다.
병원 복도에서 소리지르는
반 귀머거리 노파,
귀먹은 책이 나를 향해 소리친다,
생의 계절은 늘 그늘이었다고,
앞을 못 보는 책은
뱃고동 소리가 들려오면
낡은 귀를 쫑긋 세운다,
책의 행간을 바람이 지난다,
책의 밭고랑에 시간이 흐르며
물결친다, 책에 해일이 일어
사랑이 묻히고 죽음도 묻히고
책에 눈이 내려 어둠이 진다.
-----------------------------
이 책속을 들여다보자. 이 책은 제 3의 세계가 아니라 사물의 집합소이자 거주지이자 사람의 인생과도 동일하다. '생의 계절은 늘 그늘이었다고'한다. 삶을 붙들고 꾸려가고 있는 다양한 실존의 모습들이 그안에 존재하고 늘 현재 진행 중인 역사적인 세계가 있었던 것이다. 모든 생의 희노애락이 그안에서 펼쳐지고 있으니, 비단 이 책속이란 어쩌면 나 자신을 흡수하거나 투영해보이는거울이자 지금 이 세상이고 곧 이 세상 역시 곧 동일한 책이었다는 것을 알겠다.
김재혁 시인은 195 9년 충북 증평 출생. 1994년 현대시로 등단. 시집으로 <내 사는 아름다운 동굴에 달이 진다> <아버지의 도장> <딴생각> 다수의 번역집이 있다. 현재 고려대 독문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신지혜<시인>
[ⓒ 뉴욕코리아( www.newyorkkorea.net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p><strong><font color="#0087e1" size="6"> <img src="/wysiwyg/PEG/W_1453433558.gif"><font color="#006bd4" face="맑은 고딕" size="3">문화 >뉴욕코리아 시단</font></font></strong></p>
<p><strong><font color="#0087e1" size="2"></font></strong></p>
<p> </p>
<p><font face="맑은 고딕" size="6"><strong>아침의 시</strong></font></p>
<p><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 size="6"><strong><br></strong></font></p><p><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 size="6"><strong><br></strong></font></p><p><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 size="6"><strong><br></strong></font></p><p><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 size="6"><strong>책</strong></font></p><p><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 size="3"><br></font></p><p><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 size="3"><br></font></p><p><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 size="3"><br></font></p><p><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 size="5"><strong>김재혁</strong></font></p><p><strong><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 size="3"><br></font></strong></p><strong><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 size="3"><p><table width="219" align="left" class="left" id="community_image"><tbody><tr><td><img width="219" align="absmiddle" src="/rankup_module/rankup_board/attach/poemcolumn/15168329349941.jpg"></td></tr></tbody></table></p><p><font size="3"><br></font></p><p><font size="3"><br></font></p><p><font size="3"><br></font></p><p><font size="3"><br></font></p><p><font size="3"><br></font></p><p><font size="3"><br></font></p><p><font size="3"><br></font></p><p><font size="3"><br></font></p><p><font size="3"><br></font></p><p><font size="3"><br></font></p><p><font size="3"><br></font></p><p><font size="3"><br></font></p><p><font size="3"><br></font></p><p><font size="3"><br></font></p><p><font size="3"><br></font></p><p><font size="3"><br></font></p><p><font size="3"><br></font></p><p><br></p></font></strong><p><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 size="3"><br></font></p><p><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 size="3">구름보다 더 늙은</font></p><p><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 size="3">책이 내 얼굴을 쳐다본다,</font></p><p><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 size="3">내 얼굴을 들이마시고 어루만진다,</font></p><p><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 size="3">내 마음을 제본하여 읽어 보라고 내민다.</font></p><p><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 size="3">책의 손가락이 내 속을 더듬으며</font></p><p><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 size="3">뒤틀린 내 영혼의 손목에 봉침을 놓으며 웃는다.</font></p><p><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 size="3">병원 복도에서 소리지르는</font></p><p><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 size="3">반 귀머거리 노파,</font></p><p><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 size="3">귀먹은 책이 나를 향해 소리친다,</font></p><p><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 size="3">생의 계절은 늘 그늘이었다고,</font></p><p><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 size="3">앞을 못 보는 책은</font></p><p><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 size="3">뱃고동 소리가 들려오면</font></p><p><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 size="3">낡은 귀를 쫑긋 세운다,</font></p><p><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 size="3">책의 행간을 바람이 지난다,</font></p><p><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 size="3">책의 밭고랑에 시간이 흐르며</font></p><p><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 size="3">물결친다, 책에 해일이 일어</font></p><p><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 size="3">사랑이 묻히고 죽음도 묻히고</font></p><p><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 size="3">책에 눈이 내려 어둠이 진다.</font></p><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 size="3">
</font><p><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 size="3"> </font></p><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 size="3">
</font><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 size="3"><p><font size="3"><br></font></p></font><p><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 size="3">-----------------------------</font></p><p><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 size="3"><br></font></p><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 size="3">
</font><p><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 size="3"> 이 책속을 들여다보자. 이 책은 제 3의 세계가 아니라 사물의 집합소이자 거주지이자 사람의 인생과도 동일하다. '생의 계절은 늘 그늘이었다고'한다. 삶을 붙들고 꾸려가고 있는 다양한 실존의 모습들이 그안에 존재하고 늘 현재 진행 중인 역사적인 세계가 있었던 것이다. 모든 생의 희노애락이 그안에서 펼쳐지고 있으니, 비단 이 책속이란 어쩌면 나 자신을 흡수하거나 투영해보이는거울이자 지금 이 세상이고 곧 이 세상 역시 곧 동일한 책이었다는 것을 알겠다.</font></p><p><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 size="3"> </font><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br></font></p><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 size="3">
</font><p><font size="3"><font color="#0a0a0a"><font face="맑은 고딕"> 김재혁 시인은 <span lang="EN-US" _foo="FONT-SIZE: 11pt; FONT-FAMILY: 한컴바탕; mso-hansi-font-family: 한컴바탕; mso-fareast-font-family: 함초롬바탕"><span _foo="FONT-SIZE: 10pt; FONT-FAMILY: 바탕체,batangche">195</span></span></font></font></font><font size="3"><font color="#0a0a0a"><font face="맑은 고딕"><span lang="EN-US" _foo="FONT-SIZE: 11pt; FONT-FAMILY: 한컴바탕; mso-hansi-font-family: 한컴바탕; mso-fareast-font-family: 함초롬바탕"><span _foo="FONT-SIZE: 10pt; FONT-FAMILY: 바탕체,batangche">9년 충북 증평 출생. 1994년 현대시로 등단. </span></span><span lang="EN-US" _foo="FONT-SIZE: 11pt; FONT-FAMILY: 한컴바탕; mso-hansi-font-family: 한컴바탕; mso-fareast-font-family: 함초롬바탕"><span _foo="FONT-SIZE: 10pt; FONT-FAMILY: 바탕체,batangche">시집으로 <내 사는 아름다운 동굴에 달이 진다> <아버지의 도장> <딴생각> 다수의 번역집이 있다. </span></span><span lang="EN-US" _foo="FONT-SIZE: 11pt; FONT-FAMILY: 한컴바탕; mso-hansi-font-family: 한컴바탕; mso-fareast-font-family: 함초롬바탕"><span _foo="FONT-SIZE: 10pt; FONT-FAMILY: 바탕체,batangche">현재 고려대 독문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span></span></font></font></font></p><p _foo="바탕글"><span lang="EN-US" style="font-size: 11pt;" _foo="FONT-SIZE: 11pt; FONT-FAMILY: 한컴바탕; mso-hansi-font-family: 한컴바탕; mso-fareast-font-family: 함초롬바탕"><span style="font-size: 10pt;" _foo="FONT-SIZE: 10pt; FONT-FAMILY: 바탕체,batangche"></span></span> </p>
<p> </p>
<p> </p>
<p> </p>
<p class="바탕글" style="line-height: 150%; -ms-layout-grid-mode: char;"><span lang="EN-US" style="font-size: 12pt;"></span><span lang="EN-US" style="font-size: 12pt;"><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신지혜<시인></font></span></p>
<p class="바탕글" style="line-height: 150%; -ms-layout-grid-mode: char;"><span lang="EN-US" style="font-size: 12pt;"><font color="#0a0a0a"></font></span> </p>
<p class="바탕글" style="line-height: 150%; -ms-layout-grid-mode: char;"><span lang="EN-US" style="font-size: 12pt;"><font color="#0a0a0a"></font></span> </p>
<p><strong><font color="#0087e1" size="2"></font></strong></p>
<p><strong><font color="#0087e1" size="2"></font></strong></p>
<p><font color="#0a0a0a" size="2"><strong></strong></font></p>
<p><strong><font color="#0087e1" size="2"></font></strong></p><font color="#0087e1" size="2">
<p><font color="#314194" size="2"><br></font></p>
<p> </p></font>
<p> </p>
<p><span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font size="3"><span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font color="#000000" size="3">[ⓒ 뉴욕코리아<a></a><a></a><a></a><a></a><a></a><a></a><a></a><a>(</a></font><a></a><a></a><a></a><a></a><a></a><a></a><a></a><a></a><a style="color: rgb(53, 53, 53); text-decoration: none;" href="http://www.lakorea.net" target="_blank"></a><a></a><a></a><a></a><a></a><a></a><a></a><a></a><a></a><font color="#000000" size="3"><a></a><a></a><a></a><a></a><a></a><a></a><a></a><a></a><a href="http://www.newyorkkorea.net">www.newyorkkorea.net</a></font><font color="#000000"><font size="3"><font color="#000000">),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font></font></font></span></font></span></p>
<p></p>
번호
150
149
148
147
146
145
144
143
142
141
140
139
138
137
136
135
☞
133
132
131
회원정보
닉네임
신지혜 시인 (_admin_)
가입일
2008-07-23
등급
운영자 (1)
활동
포인트 : 0 점
게시물 작성수 : 0 개
댓글 작성수 : 개
쪽지보내기
게시물 신고하기
게시판 성격에 맞지 않거나 불건전한 게시물을 운영자에게 신고할 수 있습니다.
운영자 확인 후 해당글 삭제조치 및 해당 회원에게 불이익이 갈 수 있습니다.
허위신고시에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니 신중하게 신고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