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정보
닉네임
가입일
2008-07-23
등급
운영자 (1)
활동
포인트 : 0 점
게시물 작성수 : 0 개
댓글 작성수 : 개
shin5-3
[뉴욕코리아시단] <아침의 시> 가을날 / 송상욱
작성자: 신지혜 시인
조회: 8093 등록일: 2017-09-09
문화 >뉴욕코리아 시단
아침의 시
가을날
송상욱
중력이 해체되는 가을이다
머리 끝에서 숨소리가 헛돈다
하늘엔 빈 액자만 걸려 있다
비밀스런 뱀의 색깔보다 차가운
초상화 같은 뒷 그림자들이 허공을 채우는
가을날은
마네킹의 꿈 속에 흰 새가 산다는
그 집
지붕 위에서 허공의 뼈 부서지는 소리가 난다
헛소리인 듯 지는 낙엽의 색깔이
잊혀진 여인의 색깔 같아
버려진 시간을 줍는 일 보다는
남루한 그늘이 서럽게
떠나온 날들을 다시 비우는
저, 나무아래 죽음을 읽는 소리 바쁘다
------------------------
가을날이다. 자연의 초목이 다녀가기를 번복하면서 생이 열렸다가 쇄하는 가을은 모든 것을 버리고 비우는 계절! 순리에 따라 놓아버릴수 밖에 없는 계절! 이 가을날의 깊이가 뼈시리다. 그저 쓸쓸한 가을보다 더 깊고 아리다. 시인은 독특한 점묘화로 우리에게 해체되는 가을의 안채를 열어 보여준다. 그것은 머리끝에서 헛도는 숨소리, 하늘에 빈 액자, 차가운 뒷 그림자들로, 가을의 쓸쓸함의 최고 정점을 이룬다. 마치 폐가와 같은, 지붕위의 허공의 뼈 부서지는 소리까지도 꿰뚫어 가을날 해체되는 정황을 꿰뚫어 낱낱이 묘파한다. 미화된 가을은 어디에도 없다. 가을의 저 깊은 속곳은 이렇게 서럽게 해체되어 모두를 비운다. 자 똑바로 보라. 이것이 가을의 실체다! 라고 시인은 일러준다. 마침내 저 가을 한 장!
송상욱 시인은 고흥 출생. 1975년 시집 [망각의 바람]으로 작품 활동 시작. 그 밖의 시집으로 [영혼속의 새] [승천하는 죄] [하늘 뒤의 사람들] [무무놀량] [백지의 늪] [광대]등이 있으며 현재 1인시지 (송상욱 시지) 발행인이다.
신지혜<시인>
[ⓒ 뉴욕코리아( www.newyorkkorea.net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p><strong><font color="#0087e1" size="6"> <img src="/wysiwyg/PEG/W_1453433558.gif"><font color="#0087e1" face="맑은 고딕" size="3">문화 >뉴욕코리아 시단</font></font></strong></p>
<p><strong><font color="#0087e1" size="2"></font></strong></p>
<p> </p>
<p><font size="6"><strong><br></strong></font></p><p><font size="6"><strong>아침의 시</strong></font></p><p><font size="3"><br></font></p><p><font size="3"><br></font></p><font size="3">
</font><p><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 size="6"><strong>가을날</strong></font></p><p><strong><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 size="5"><br></font></strong></p><p><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 size="3"><br></font></p><p><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 size="5"><strong>송상욱</strong></font></p><p><strong><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 size="3"><br></font></strong></p><strong><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 size="3"><p><table width="95" align="left" class="left" id="community_image"><tbody><tr><td><img width="95" align="absmiddle" src="/rankup_module/rankup_board/attach/poemcolumn/15168322693368.jpg"></td></tr></tbody></table></p><p><font size="3"><br></font></p><p><font size="3"><br></font></p><p><font size="3"><br></font></p><p><font size="3"><br></font></p><p><font size="3"><br></font></p><p><font size="3"><br></font></p><p><font size="3"><br></font></p></font></strong><p><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 size="3"><br></font></p><p><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 size="3">중력이 해체되는 가을이다</font></p><p><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 size="3">머리 끝에서 숨소리가 헛돈다</font></p><p><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 size="3">하늘엔 빈 액자만 걸려 있다</font></p><p><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 size="3">비밀스런 뱀의 색깔보다 차가운</font></p><p><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 size="3">초상화 같은 뒷 그림자들이 허공을 채우는</font></p><p><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 size="3">가을날은</font></p><p><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 size="3">마네킹의 꿈 속에 흰 새가 산다는</font></p><p><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 size="3">그 집</font></p><p><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 size="3">지붕 위에서 허공의 뼈 부서지는 소리가 난다</font></p><p><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 size="3">헛소리인 듯 지는 낙엽의 색깔이</font></p><p><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 size="3">잊혀진 여인의 색깔 같아</font></p><p><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 size="3">버려진 시간을 줍는 일 보다는</font></p><p><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 size="3">남루한 그늘이 서럽게</font></p><p><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 size="3">떠나온 날들을 다시 비우는</font></p><p><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 size="3">저, 나무아래 죽음을 읽는 소리 바쁘다</font></p><p><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 size="3"><br></font></p><p><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 size="3"><br></font></p><p><font color="#0a0a0a"><br></font></p><p><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font></p><p><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br></font></p><p><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font size="3">가을날이다. 자연의 초목이 다녀가기를 번복하면서 생이 열렸다가 쇄하는 가을은 모든 것을 버리고 비우는 계절! 순리에 따라 놓아버릴수 밖에 없는 계절! 이 가을날의 깊이가 뼈시리다. 그저 쓸쓸한 가을보다 더 깊고 아리다. 시인은 독특한 점묘화로 우리에게 해체되는 가을의 안채를 열어 보여준다. 그것은 머리끝에서 헛도는 숨소리, 하늘에 빈 액자, 차가운 뒷 그림자들로, 가을의 쓸쓸함의 최고 정점을 이룬다. 마치 폐가와 같은, 지붕위의 허공의 뼈 부서지는 소리까지도 꿰뚫어 가을날 해체되는 정황을 꿰뚫어 낱낱이 묘파한다. 미화된 가을은 어디에도 없다. 가을의 저 깊은 속곳은 이렇게 서럽게 해체되어 모두를 비운다. 자 똑바로 보라. 이것이 가을의 실체다! 라고 시인은 일러준다. 마침내 저 가을 한 장!</font><br></font></p><p><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br></font></p><font face="맑은 고딕">
</font><p><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 size="3"> 송상욱 시인은 고흥 출생. 1975년 시집 [망각의 바람]으로 작품 활동 시작. 그 밖의 시집으로 [영혼속의 새] [승천하는 죄] [하늘 뒤의 사람들] [무무놀량] [백지의 늪] [광대]등이 있으며 현재 1인시지 (송상욱 시지) 발행인이다.</font></p>
<p> </p>
<p> </p>
<p> </p>
<p> </p>
<p> <br></p><font color="#0087e1" size="2"><p class="바탕글" style="line-height: 150%; -ms-layout-grid-mode: char;"><br></p><font color="#314194" size="2"><p class="바탕글" style="line-height: 150%; -ms-layout-grid-mode: char;"><span lang="EN-US"></span><span lang="EN-US"><font color="#0a0a0a" size="3">신지혜<시인></font></span></p><p class="바탕글" style="line-height: 150%; -ms-layout-grid-mode: char;"><br></p><p class="바탕글" style="line-height: 150%; -ms-layout-grid-mode: char;"><span lang="EN-US" style="font-size: 12pt;"><font color="#0a0a0a"></font></span> </p><p><strong><font color="#0087e1" size="2"></font></strong></p><p><strong><font color="#0087e1" size="2"></font></strong></p><p><font color="#0a0a0a" size="2"><strong></strong></font></p><p><strong><font color="#0087e1" size="2"></font></strong></p><font color="#0087e1" size="2"><p><font color="#314194" size="2"><br></font></p><p> </p></font><p><font color="#000000" size="3"><br></font></p><p> </p><p><span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font size="3"><span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font color="#000000" size="3">[ⓒ 뉴욕코리아<a><a><a><a><a><a><a><a>(</a></font><a><a><a><a><a><a><a><a></a><a style="color: rgb(53, 53, 53); text-decoration: none;" href="http://www.lakorea.net/" target="_blank"><a><a><a><a><a><a><a><a></a><font color="#000000" size="3"><a><a><a><a><a><a><a><a></a><a href="http://www.newyorkkorea.net/"><u><font color="#0066cc">www.newyorkkorea.net</font></u></a></font><font color="#000000"><font size="3"><font color="#000000">),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font></font></font></span></font></span></p></font><p><br></p>
<p> </p></font>
<p> </p>
<p><span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font size="3"><span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font color="#000000"><font size="3"><font color="#000000"><br></font></font></font></span></font></span></p>
<p></p>
번호
150
149
148
147
146
145
144
143
142
141
140
139
☞
137
136
135
134
133
132
131
회원정보
닉네임
신지혜 시인 (_admin_)
가입일
2008-07-23
등급
운영자 (1)
활동
포인트 : 0 점
게시물 작성수 : 0 개
댓글 작성수 : 개
쪽지보내기
게시물 신고하기
게시판 성격에 맞지 않거나 불건전한 게시물을 운영자에게 신고할 수 있습니다.
운영자 확인 후 해당글 삭제조치 및 해당 회원에게 불이익이 갈 수 있습니다.
허위신고시에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니 신중하게 신고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