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부표로 푸는 도개걸윷모의 우리말 뜻
1, 도= (ㄷ)+(ㅗ)
(ㄷ)은 아래와 위를 극으로 사방이 터진 입체적 공간을 나타내는 기호로 주로 천계나 지계나 인계를 나타내는 기호인데 주로 인계인 생태계를 나타내는 뜻으로 쓰인다 보기에 인계는 만물이 몸담은 곳이니 많다, 크다, 모두 등의 의미로 다같이 다함께 등의 말에 쓰이게 된다.
그리고 (ㅗ)는 없던 무엇이 생겨나는 또는 위로의 운동의 방향성 등을 의미
따라서 “도”는 인계인 생태계 속에 생겨나는 무엇으로 생태적 흐름 또는 자연의 흐름 등을 의미
실제 한자음에 붙는 우리말도 길(도)이라 하지 않는가?
2, 개= (ㄱ)+(ㅏ)+(ㅣ)
(ㄱ)은 극아래 생겨난 무엇이니 대기를 의미하고 (ㅏ)는 밖으로, 사방으로의 흐름을 (ㅣ)는 전체, 중심, 수평적 기준, 수평적인 막다른 극 등을 의미
따라서 “개”라는 말은 공기의 사방으로 흐르며 극에 이르니 비, 바람, 물, 불과 같은 생태적 흐름이 생겨난다는 말
3, 걸=(ㄱ)+(ㅓ)+(ㄹ)
(ㄱ)은 위와 동일하고 (ㅓ)는 안으로, 사방에서 한 지점으로 몰리는 등의 수평적 운동의 방향성을 의미하고 (ㄹ)은 인일의 하나님 또는 생명각자의 영혼을 의미
따라서 “걸”이라는 말은 대기의 흐름을 통해 인계인 생태계속에 만물의 영혼을 깨우고 재우는 인일의 하나님이 생겨난다는 말
4, 윷= (ㅇ)+(ㅠ)+(ㅊ)
(ㅇ)은 만물이 연기적인 관계로 만들어낸 자연계를 의미하고 (ㅠ)는 다수가 극 아래로 받아들이는 무엇이니 곧 만물이 몸속으로 받아들이는 무엇이 되고 ㅊ=씨알점(·)+(ㅡ)+(ㅅ)이니 씨알점(·)은 시작과 끝을 의미하고 (ㅡ)는 수직적 기준, 수직적 중심, 숨겨짐과 보임의 경계, 이차원 평면상태, 정신적으로는 혼의 우주정신 등을 의미하고 (ㅅ)은 근원에서 갈라져 나온 천지만물을 의미
따라서 “윷”이라는 말은 만물이 인일의 하나님의 섭리에 따라 대기속에 흐르는 에너지를 받아들이며 자손을 퍼트리며 변화하고 있다는 말
5, 모=(ㅁ)+(ㅗ)
(ㅁ)은 생명의 몸을 의미하고 (ㅗ)는 위로의 운동의 방향성, 보이지 않던 무엇이 생겨나는 등을 의미
따라서 “모”라는 말은 도, 개, 걸, 윷의 과정을 거치며 만물이 몸을 통해 얻게 되는 무엇이니 곧 열매나 자식이 아닌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