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코리아    SF    Boston    Washington D.C    Chicago    Atlanta    Canada
NewsLife InfoRealtySell & BuyJobsHealthCultureFood/TourIssueYellowPageShopping
회원가입 아이디/비밀번호찾기
Culture
USA CULTURE
USA 전시소식
USA 공연소식
USA 문화예술뉴스
KOREA 전시소식
USA 문화포커스뉴스
미국영화소식
공모/컨테스트 공지
문학뉴스
추천베스트 신간도서
인기신간도서
새 음악/음반/벨소리
중견초대작가 뉴욕갤러리
Fine Art
photography
Digital Art
전문가초대칼럼
[뉴욕코리아]<아침의 시>
[poem]English Poem
정다운 우리가곡
멀티미디어 영상작품
전문가칼럼/기고
전문가 칼럼
공연.전시행사모습
USA예술문화행사포토
USA 유명갤러리탐방
USA유명갤러리 탐방
티켓알아보기
티켓예매처 바로가기
 
 

   

   

    

회원정보
닉네임
가입일 2008-07-23
등급 운영자 (1)
활동
포인트 : 0
게시물 작성수 : 0
댓글 작성수 : 0
쪽지보내기
받을아이디
제목
내용
(0/200바이트)
 
> Culture > 전문가칼럼/기고 > 전문가 칼럼
전문가 칼럼
세상의 반(半)이 ‘수그리’고 산다?
작성자: 산까치 작성자정보 조회: 5102 등록일: 2016-02-19


세상의 반()수그리고 산다?

 

요즘 학생들 사이에서 이런 말이 있다고 합니다. 스마트폰을 끄면 서울 대(서울에 있는 대학)’ 가고, 스마트폰을 버리면 서울대간다...이는 한국의 어떤 고등학교 교실에 붙어있는 글이라고 합니다. 입시 준비에 매진해야할 아이들에게 주는 경고입니다. 더 깊은 생각을 할 수 있게 하고 창의성을 지니게 만드는 것은, 주머니 속의 스마트 폰이 아니라 준비된 교과서와 참고서의 예습과 복습, 적당한 운동과 휴식이 필요하다는 것을 강조한 것이라고 합니다.


스마트폰... 틀림없이 사람과 사람 간, 사회와 사회 간의 대화와 연결을 위한 이 시대 최고의 문명의 이기(利器)임이 분명합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이 기기(機器)로 인해 우리가 엄청나게 기술이 진보된 세상에 살면서 항상 누구와도 연결되어 소통을 하고 있는 것 같지만, 시공을 초월한 ‘Hyper-connected(과잉연결)’ 환경은 스마트폰 중독이란 괴물을 낳았다고 합니다. 우리는 그 단순히 연결을 위해서 진정한 대화를 희생하고 있음을 모르고 있는 것입니다.


맞습니다. 이는 불과 얼마 전의 인터넷 중독과 별반 다르지 않습니다. 과다하게 사용함으로써 금단(禁斷)과 내성(耐性)을 지니며, 이로 인해 일상생활에 장애를 유발하고 스스로 조절능력을 잃고 일상생활에 문제를 일으키고 있습니다. 조용히 사색을 할 때, 독서를 할 때, 또는 기도를 할 때 핸드폰이 딩동거리면 집중력을 떨어뜨립니다. 시도 때도 없이 핸드폰을 노크하며 문자며, 카톡이며, 트위터를 들여다보라는 유혹은 짜증을 유발 하면서도 한편 저절로 손이 가는, 솔직히 쉽게 자제할 수가 없기 때문입니다.


이를 두고 미국에서는 도입 초기에 크랙베리’(crackberry·코카인 일종인 크랙과 스마트폰 블랙베리의 합성어)라는 신조어까지 등장했다고 합니다. 이처럼 스마트폰이 마약에 비견할 만큼 중독성이 강하다 보니, 충동 억제와 통제력 면에서 성인보다 취약한 청소년과 유아나 아동에게 끼치는 영향은 자못 심각할 수밖에 없습니다. 그래서 스마트폰을 끄면 서울 대(서울에 있는 대학)’ 가고, 스마트폰을 버리면 서울대간다는 말까지 생긴 것입니다.

 

한 자료를 보니, 유대교를 믿는 유태인들의 힘은 사밧(Sabbath-안식일)에서 나온다고 합니다. 그들은 금요일 저녁부터 토요일 해가질 때까지 아무 것도 하지 않는 안식일을 지킨다는데...그때는 당연히 핸드폰도 전원을 꺼 놓고 이메일을 보내도 답장이 없다고 합니다. 그만큼 그들은 그 동안 만큼은 고요 속에서 재충전을 위한 생각할 시간을 가짐으로써 다음날을 설계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인지, 근간 미국에서 이런 캠패인이 생겼다고 합니다.

애긴즉, 친구들끼리 만나면 가장 먼저 스마트폰을 꺼내 한쪽에 포개어 쌓아놓습니다. 그리고 누구든 가장 먼저 스마트폰을 들여다보는 사람이 그날 밥값이며 비용을 계산한다는 것입니다. 사람들이 만나면 서로 마주보고 이야기를 하는 것이 아니라 마냥 스마트폰만 들여다보고 있으니 오죽이나 뵈기 싫고 짜증이 나면 이런 운동까지 벌였을까...이해가 갔습니다.

 

듣자니, 한국 내 스마트폰 가입자 3천만 명 시대라고 합니다. 이는 급속도로 인간관계를 서로 대화와 소통을 단절시키고 인간성을 말살시키고 있다고 합니다. ‘국민 애플리케이션’() 카카오톡을 비롯한 모바일 메신저를 통해 무제한으로 주고받는 문자, 트위터와 페이스북 같은 소셜네트워크 서비스(SNS)가 거미줄같이 엮여져 학교, 버스와 지하철, 엘리베이터는 물론 얼굴 보자고 모여 앉은 회식 자리에서조차 각자 손바닥을 향하는 시선들은 사람들 절반을 온통 고개 수그린세상으로 만들고 있다고 합니다. 이렇듯 스마트 혁명이 소통과 공감을 원하면서도 함께면서 따로인 세상을 만들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한편 따지고 보면, '머리 숙인' 사람들이 그 뿐이겠습니까? 취업 못한 젊은이들, 기 빠진 중 장년들, 황혼의 할배들...등등 몸도 마음도 '거시기'도 찌끄러져 사는 사람들이 온 세상에 깔렸는데....유독 이 나라 구캐나리들 만큼은 어쩐지 대체로 빠빳하게 사는 걸 보면 참 불가사의한 느낌입니다. 정말 모두가 고쳐야할 중대(?)사안입니다. *  2016. 2.12 Ktnus.com

트위터 트위터 페이스북 페이스북
댓글 : 0
번호
제목 작성자 조회 등록일
204
오래 전에 써 본 사설 7>
하심 4916 2016-03-12
203
오래 전에 써 본 사설 6>
하심 5559 2016-03-12
202
오래 전에 써 본 사설 5>
하심 5661 2016-03-12
201
오래 전에 써 본 사설 4>
하심 5897 2016-03-12
200
오래 전에 써 본 사설 3>
하심 4856 2016-03-12
199
인간과 기계, 세기의 대결
산까치 6122 2016-03-12
198
동양 최초의 화폐 첨수도와 원구단
하심 4451 2016-03-09
197
오래전에 써 본 훈민정음 모음이 만들어지는 원리
하심 5140 2016-03-09
196
천부표로 푸는 첨수도 돈과 노
하심 5785 2016-03-09
195
오래전에 써 본 사설 2>
하심 5844 2016-03-09
194
오래전에 써 본 사설 1>
하심 5565 2016-03-09
193
다윈 진화론의 한계
하심 5890 2016-03-09
192
숫자 영(0)과 일(1)의 개념과 자연수가 만들어지는 원리
하심 5943 2016-03-08
191
천부표로 푸는 영어 브라보 굿모닝 히브리어 에덴 아담 이브
하심 5076 2016-03-06
190
천부표로 푸는 슈메르어 우르
하심 4343 2016-03-06
189
천부표로 푸는 산스크리트어 "모니"
하심 3924 2016-03-05
188
천부표로 푸는 알파와 오메가
하심 4385 2016-03-05
187
천부표로 푸는 히브리어 메시아
하심 4796 2016-03-05
186
천부표로 푸는 정치(政治)라는 한자 [1]
하심 5870 2016-03-04
185
천부표로 푸는 우리말이 만들어진 원리 14>
하심 5693 2016-02-23
184
천부표로 푸는 우리말이 만들어진 원리 13>
하심 6069 2016-02-23
183
지천(地天)과 천지(天地)라는 어법의 차이
하심 5138 2016-02-23
182
천부표로 푸는 우리말이 만들어진 원리 12>
하심 4968 2016-02-21
181
천부표로 푸는 우리말이 만들어진 원리 11>
하심 4728 2016-02-21
세상의 반(半)이 ‘수그리’고 산다?
산까치 5103 2016-02-19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회원정보
닉네임 산까치 (ysson0609)
가입일 2008-07-23
등급 운영자 (1)
활동
포인트 : 0
게시물 작성수 : 0
댓글 작성수 : 0
쪽지보내기
닉네임 산까치 (ysson0609)
제목
내용
(0/200바이트)
게시물 신고하기
게시판 성격에 맞지 않거나 불건전한 게시물을 운영자에게 신고할 수 있습니다.
운영자 확인 후 해당글 삭제조치 및 해당 회원에게 불이익이 갈 수 있습니다.
허위신고시에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니 신중하게 신고해주세요.
글 제목 세상의 반(半)이 ‘수그리’고 ...
글 작성자 산까치
신고이유
회사소개 | 개인정보취급방침 | 회원약관 | 고객지원센터 | 제휴 및 광고문의 | 광고안내   
 

 

Contact Us : 고객문의센터, Tel: 대표 201-674-5611

E-mail: newyorkkorea77@gmail.com, newyorkkorea@naver.com, 빠른카톡상담ID : newyorkkorea 

미국최대 대표포털 뉴욕코리아는 미국법률변호사고문 및 미국저작권법의 보호를 받고 있으며, 컨텐츠 및 기사의 무단 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  

Copyright (c) New York Korea, INC. News Media Group in US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