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고 (ㅜ)는 속으로 내려오는, 속으로 들어가는, 위에서 아래로 등과 같은 수직적운동의 방향성을 의미하고 (ㄴ)은 극위에 생겨난 무엇으로 이 말에서는 대지위에 존재하는 만물을 의미한다고 본다. 그러므로 “춘”은 만물의 영혼을 깨워 각자의 생명활동을 시작하도록 하는 천지(天地)의 기운이 인계인 생태계 속으로 들어온다 정도의 의미라 본다. 따라서 “입춘”이라는 말은 만물이 때가 되어 삼신하나님의 은혜로움을 바탕으로 생명활동의 한 주기를 시작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말이라 본다. 3) 대=(ㄷ)+(ㅐ) (ㄷ)은 한자 장인공(工)과 같은 의미를 나타내는 기호로 아래와 위를 극으로 사방으로 터진 어떤 입체적 공간을 의미하는데 이 말에서는 대지(大地)와 대기(大氣)를 아래와 위의 극으로 사방으로 터져 입체적으로 존재하는 인계 즉 소하늘인 생태계를 의미한다고 본다. ㅡ< 은문천부경의 우주론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가림토 기호와 관련되어 (ㄷ)의 기호를 응용해 만들어진 한자들이 있는데 비우(雨), 흉할흉(凶)과 같은 수직적 관계를 나타내는 문자와 바를광(匡), 겁낼광(恇) 등과 같은 수평적 관계를 나타내는 문자와 수직수평의 의미를 함께 가진 눈설(雪) 등의 다수의 한자들이 있는데 한자풀이는 이제껏 올린 “천부표”를 참고해 각자가 한 번 풀어보기 바란다.,>ㅡ 그리고 (ㅐ)라는 복합모음은 네 가지 의미로 풀 수 있는데 “(ㅣ)+(ㅓ)” “(ㅏ)+(ㅣ)” “(ㅏ)+(ㅓ)” “(ㅣ)+(ㅡ)+(ㅣ)로 네 가지 조합에서 어떤 조합으로 이루어진 복합모음인지 정확하게 알 수는 없으나 ”입춘대길“이라는 문장과 자음 (ㄷ)의 의미와 관련지어 본다면 ”(ㅣ)+(ㅡ)+(ㅣ)“ 일 가능성이 가장 많다고 본다. 따라서 (ㅣ)의 모음기호는 수평적 운동의 방향성이 나타나는 기준이나 경계를 의미하고 (ㅡ)라는 모음기호는 수직적 운동의 방향성이 나타나는 기준이나 경계를 의미하기에 (ㅣ)기호를 극과 극으로 이 사이에 (ㅡ)기호를 조합했다는 것은 만물이 생명활동의 한주기를 시작하고 끝내는 즉 싹트고 열매 맺는 한 주기를 나타낸다고 보는데 (ㅡ)의 모음기호를 사이에 두고 좌우에 배치된 (ㅣ)의 모음기호는 생명활동의 시작과 끝을 나타내는 경계를 의미한다고 보며 이 사이에 배치된 (ㅡ)의 모음기호는 만물이 생겨나고 소멸하며 생명활동을 전개하는 대지의 극 즉 이차원 평면과 비슷한 의미를 나타낸다고 본다. 그러므로 "대“라는 말은 인계(人界) 즉 소하늘인 생태계 속에서 여기저기 사방에서 일어나는 생명의 변화는 너무나 거대하고 경이롭다는 것으로 봄이 되어 싹을 튀우고 가을이 되어 열매 맺는 생명활동의 한 주기가 돌아가는 생태계와 자연의 변화는 인간의 시각에서는 너무나 경이롭고 거대하다는 의미를 담은 말이라 본다. 따라서 “대”라는 말은 물질적인 것 보다는 정신과 관련되어 전체적인, 모든 등의 의미를 담은 뜻으로 만들어진 말이라 보는데 한자도 큰대(大)라고 읽지 않는가? ㅡ < 큰대(大)라는 한자의 자원을 옥편에서는 뭐라고 하는지 한 번 살펴보기 바란다. >ㅡ 4) 길=(ㄱ)+(ㅣ)+(ㄹ) (ㄱ)은 극 아래 생겨난 어떤 입체적인 공간을 의미하기에 이 말에서는 생태계를 의미한다고 보며 (ㅣ)는 수평적운동의 방향성이 생겨나는 시작과 끝의 경계를 의미한다고 보며 (ㄹ)은 크게는 생태계에 흐르는 인일의 하나님을 작게는 생명각자의 영혼의 정신을 의미한다고 본다. 따라서 “길”이라는 말은 크게는 천일(天一), 지일(地一)의 하나님이 천지(天地)를 통해 만들어내는, 작게는 인일(人一)의 하나님이 생태계인 인계(人界)를 통해 만들어내는 물, 바람, 비, 불 등의 기(氣)의 변화로 돌아가는 생태적 흐름과 그를 근본으로 생명각자의 영혼(靈魂)의 정신이 만들어내는 생명각자의 무의식적인 생리적 변화와 의식적인 심리적 자연의 변화 즉 생명활동의 흐름을 나타낸 다 보는데 인위적인 어떤 행위를 가하지 않아도 우주(宇宙)적 변화에 때를 맞추어 스스로 신묘하게 순리대로 시작하고 끝맺으며 생명활동의 주기적 순환을 통해 돌아가고 이어지는 생태계와 생명이 만들어내는 자연의 흐름은 한 치의 어긋남도 나타나지 않기에 “길”이라는 우리말은 그러한 큰 자연스런 흐름을 나타내는 뜻으로 만들어진 말이라 본다. 그러므로 한자 길도(道)자가 무슨 의미로 만들어진 문자인지 대충 감이 잡히지 않는가? ㅡ <말이 나온 김에 길도(道)자에 붙는 우리말 음에서 “도”라는 말도 천부표로 풀어보면 “도=(ㄷ)+(ㅗ)”이니 (ㄷ)은 생태계를 의미하고 (ㅗ)는 수직적 운동의 방향성과 관련되어 보이지 않던 무엇이 생겨나는, 속에서 무언가 겉으로 올라오는ㅡ< 새싹 같은 것 >ㅡ 등의 뜻이 되니 “도”라는 말은 생태계의 기(氣)의 변화와 흐름에 따라 그 속에서 수직수평의 음양운동을 통해 만물이 보여주고 만들어내는 신묘한 생명활동의 순리적 흐름과 발자취가 곧 온전한 길이라는 뜻으로 만들어진 말이라 본다. 오늘날 “도(道)”라는 말을 가지고 동양학에서는 너무 신비주의적인 것으로 요란하게 치장을 하고 있다고 보는데 누구나 매일 접하고 행하고 있는 것이 도(道)이기에 누가 가르쳐주지 않아도 알 수 있는 것이 “도(道)”라는 길이건만 지금의 동양학은 왜 그렇게 알쏭달쏭 무언가 엄청난 진리가 숨겨진 양 어렵게 만들어 놓았는지 우리사회를 돌아보며 한 번 생각해 보기 바란다. >ㅡ 따라서 “입춘대길(立春大吉)”이라는 말은 삼신하나님의 은혜로운 덕으로 생명활동의 한 주기가 시작되는 때가 되었으니 그러한 자연의 순리를 따라 가족 간에 서로 화합하고 협동하며 부지런히 일을 해 풍성한 가을의 결실을 거두기를 바라는 마음을 담은 말이라 보는데 농경생활이 주축이었던 삶을 통해 일 년 농사가 잘 되어 가족들이 넉넉하고 풍족한 겨울을 보내기를 바라는 마음을 담아 만들어낸 말이고 풍속이라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