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가”를 높여 부르는 말로 “모니”라는 산스크리트어가 있는데 모니(MUNI)는 성자라는 뜻으로 이를 천부표로 풀면 이렇게 된다. “모니=(ㅁ)+(ㅗ)+(ㄴ)+(ㅣ), 모는 도개걸윷모의 말풀에서 모의 말 풀이에 설명한 것으로 생명의 몸을 통해 생겨난 무엇 또는 몸속에서 표출되는 무엇 등을 의미하고 “니=(ㄴ)+(ㅣ)이니 (ㄴ)은 극위에 생겨난 무엇으로 이 말에서는 대지위에 존재하는 이 사람 정도의 의미이고 (ㅣ)는 운동의 방향성이 들어나지 않는다는 의미 그러므로 “모니”라는 산스크리트어는 생명이라면 당연히 나타나야 하는 “엎(業)”을 만들어내는 생리(生理)적 심리(心理)적 욕구가 정지해 나타나지 않는 사람이라는 뜻으로 해탈한 사람을 나타내는 말이라 본다. 말이 나온 김에 “부처 불(佛)“이라는 우리말과 한자를 천부표로 풀어보기로 하자. 부처=(ㅂ)+(ㅜ)+(ㅊ)+(ㅓ) “부”는 생명의 몸을 통해 표출되는 대물림활동과 먹이활동이 숨겨져 나타나지 않는 다 또는 없어졌다는 의미이고 “처”에서 (ㅊ)은 씨알점(·)+(ㅡ)+(ㅅ)이니 씨알점(·)은 시작과 끝을 의미하고ㅡ<움직임과 멈춤, 씨앗과 열매>ㅡ (ㅡ)는 그러한 과정 중에 수평적인 연기의 상태로 존재하는 자연계의 만물 각자를 의미하고 (ㅅ)은 분화, 나뉨, 변화 등을 의미하기에 (ㅊ)은 청조와 소멸의 과정을 거치며 서로가 연기적으로 만들어내는 업(業)이라는 생명활동의 섭리를 나타내는 기호라 본다. 그리고 (ㅓ)는 안으로 수용된다는 의미이기에 “처”는 생명활동의 업(業)이 밖으로 나타나지 않는다는 의미의 말로 “부”와 비슷한 의미라 본다. 따라서 “부처”라는 말은 생명이라면 당연히 나타나야 하는 생리(生理)적 심리(心理)적 욕구가 몸속에서 나타나지 않고 사회적으로는 행동으로 표출되지 않는다는 말로 업(業)을 만들어내지 않는 사람을 나타내는 말이라 본다. 불=(ㅂ)+(ㅜ)+(ㄹ) 생명각자의 영혼(靈魂)의 정신이 주도하고 있는 생리(生理)적 심리(心理)적 욕구가 나타나지 않는다는 것으로 “부처”나 “모니”라는 말과 같은 뜻 -<세속적으로 쓰는 말로 불났다 불씨 등등의 말이 있는데 화재가 나면 모든 것이 다 타서 없어져 무(無)로 돌아가니 “부처”나 “모니”라는 말과 비슷한 상태가 된다. >ㅡ 부처 불(佛)=1(ㅅ)+2(ㅣ)+(ㅣ)+3(ㄹ)+(ㅣ) (1)에 쓰인 (ㅅ)은 근원에서 갈라져 나온 만물을 의미하고 (2)에 쓰인 (ㅣ)+(ㅣ)는 천일(天一), 지일(地一)의 하나님이 다스리는 천지(天地)를 의미하고 (3)에 쓰인 (ㄹ)+(ㅣ)는 인일의 하나님과 인계인 생태계를 뜻하는 것으로 리치(理致), 순리(順理) 등의 말에 쓰이는데 천일(天一), 지일(地一), 인일(人一)의 삼신(三神)하나님과 삼계(三界)는 만물을 치우침 없이 길러내는 완전한 무엇이니 “부처 불(佛)”이라는 한자는 만물을 치우침 없이 길러내는 삼신(三神)하나님과 같은 상태로 완성된 사람을 나타내는 문자라 본다. -< 천부경으로 대표되는 고대한국학이 통용되던 시기에는 대개 천(天)은 태양과 태양계를 의미하고 지(地)는 지구와 달의 중력과 지구와 달을 의미하는 뜻으로 천지(天地)가 쓰였다고 본다. 한자 날일(日)자도 태양, 지구, 달 등을 나타내는 쓰임이었다고 보는데 달은 상현달과 하현달의 변화가 나타나기에 날일자의 변형이 달월(月)이라 본다. 날마다, 일일이. 나날이, 일기, 날씨, 등등의 “날”과 “일”이 들어가는 우리말을 살펴보면 날일(日)자의 쓰임이 고대에는 어떻게 쓰였는지 들어날 것이라 본다, >ㅡ 옥편에서는 뜻으로 부처, 깨닿다, 비슷하다, 돕다, 크다 등으로 풀이하고 자원으로는 사람인(人)에 아닐 불(不)을 합친 글자로 사람이 할 수 없는 일을 하는 것을 뜻함이라 되어 있다. 불자와 관련된 한자를 하나 더 예를 들면 아니 불, 아닌가 부, 클 비, 새이름 부로 읽히는 부(不)라는 한자가 있는데 이 문자는 은문천부경에 쓰인 “생칠팔구”의 문장에 나타나는 “생( )”자와는 반대의 의미로 한자 “날생(生)“자의 원형이 ”생칠팔구“에 쓰인 ”생( )“자라 본다. 따라서 한자 “날생(生)”자를 파자해 천부표로 풀어보면 “날생(生)”자의 반대의 의미가 “아니불(不)”이니 그 의미가 제대로 들어날 것이라 본다. 날생(生)=(ㅅ)+(ㅡ)+(ㅡ)+(ㅗ) (ㅅ)은 만물을 의미하고 (ㅡ)+(ㅡ)은 천일, 지일의 하나님과 천지를 의미하고 (ㅗ)는 생겨나다, 위로의 운동의 방향성, 숨겨진 무엇이 들어나는, 보이는 등을 의미 따라서 한자 “날생(生)”자는 천지의 기운이 어우러지며 만물의 생명력이 들어나고 있다는 의미라 본다. 그러므로 한자 “아니 불(不)“은 ”날 생(生)“자와 반대되는 의미로 보면 된다. 옥편에서는 “아니 불(不)”을 아니다, 아니하다, 금지, 없다, 못하다 아닌가, 의문사, 크다, 새 이름, 오디 새 등으로 풀이하고 자원으로는 새가 하늘높이 날아오르는 것을 본 딴 글자로 날아오른 새는 내려오지 않음을 뜻함이라 되어 있는데 옥편을 볼 때마다 느끼는 것이지만 자원해설은 완전 엉터리라는 것으로 수준 높은 한자의 뜻을 엉망으로 망가트려 놓았으니 옥편은 후대의 인류사에 동양문명의 발전에 가장 큰 해약을 끼친 책으로 기록될 것이라 본다.
Contact Us : 고객문의센터, Tel: 대표 201-674-5611
E-mail: newyorkkorea77@gmail.com, newyorkkorea@naver.com, 빠른카톡상담ID : newyorkkorea
미국최대 대표포털 뉴욕코리아는 미국법률변호사고문 및 미국저작권법의 보호를 받고 있으며, 컨텐츠 및 기사의 무단 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
Copyright (c) New York Korea, INC. News Media Group in US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