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 모음이 만들어지는 원리와 기능 (∙), (ㅣ), (ㅡ)의 기본적인 기호적 의미에 운동의 방향성을 나타내는 것이 나머지 모음기호가 만들어지는 원리가 되고 기능적 쓰임이 되는데 (ㅏ), (ㅓ), (ㅗ), (ㅜ)는 하나의 리(理)로 변화하는 우주에 존재하는 크고 작은 모든 입체적인 개별적 형상들에 대한 쓰임이고 (ㅑ), (ㅕ), (ㅛ), (ㅠ)는 둘 이상의 리(理)가 만들어낸 개별적인 입체적 형상들이 상대적인 역학관계로 변화하는 집단적인 대상에 대한 쓰임으로 원리는 같다. 예를 들면 (ㅏ), (ㅓ), (ㅗ), (ㅜ)가 단독적인 음양운동의 방향성에 대한 기호라면 (ㅑ), (ㅕ), (ㅛ), (ㅠ)는 다수적인 음양운동에 대한 방향성의 기호로 개인이냐 다수냐의 차이를 나타내는 모음기호이니 (ㅏ), (ㅓ), (ㅗ), (ㅜ)가 만들어지는 원리와 기능적 쓰임에 다수의 개념만 보태면 된다고 본다. 먼저 (ㅡ)기호를 기준으로 나타나는 위치개념인데 (ㅡ)는 차원적 경계를 나타냄으로 어떤 임의의 경계선을 정하게 되면 위와 아래라는 위치개념이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여기에 운동성을 대입하면 위로 올라가는 의미는 (ㅡ+ㅣ=ㅗ)가 되고 아래로 내려가는 의미는 (ㅡ+ㅣ=ㅜ)가 된다. 그리고 속과 겉이라는 360도의 차원적 경계가 정해지면 속은 보이지 않는 세계이고 겉은 보이는 세계가 되어 숨겨진 세계와 들어난 세계라는 의미의 (ㅡ)라는 기준이 나타나게 됨으로 여기에 운동성을 대입하면 (ㅡ+ㅣ=ㅗ)는 숨겨진 세계로부터 무언가 외부로 표출되는 상태를ㅡ<창조>ㅡ(ㅡ+ㅣ=ㅜ)는 들어난 세계로부터 창조된 무언가가 내부로 수용되는 상태를ㅡ<소멸>ㅡ나타내는 의미가 된다. 따라서 (ㅡ)기호는 크게 숨겨진 세계와 들어난 세계의 기준과 아래와 위라는 위치개념과 수직적인 막다른 극의 기준을 나타내기에 여기에 운동성의 의미를 더하게 되면 (ㅗ)와 (ㅜ)의 모음이 만들어지게 됨으로 이를 나라는 개인에 적용하게 되면 내가 지금 서 있는 여기라는 위치를 기준으로 아래와 위라는 위치개념이 나타나게 됨으로 내가 위치의 기준인 (ㅡ)가 되어 (ㅗ), (ㅜ)의 상하라는 운동의 방향성이 정해지게 되고 나라는 360도의 입체적 몸을 극으로 속은 숨겨진 세계가 되고 겉은 들어난 세계가 되어 (ㅗ), (ㅜ)의 속과 겉이라는 운동의 방향성이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적용대상에 따라 (ㅡ)와ㅡ<위치와 상하>ㅡ(ㅗ), (ㅜ)의ㅡ<운동성>ㅡ쓰임은 상하와 속과 겉이라는 개념이 무한으로 나타난다. 그러므로 그 적용대상을 나타내는 것이 자음기호이기에 자음기호의 뜻을 (ㅡ)와 (ㅗ)와 (ㅜ)에 결합시키게 되면 상하와 속과 겉을 나타내는 모든 상황에 무한으로 적용이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면 적용대상의 기준선이 대지라면 (ㅡ)의 아래는 대지(大地)속의 숨겨진 세계가 되고ㅡ<지구 속>ㅡ (ㅡ)의 위는ㅡ<으>ㅡ 대지(大地) 겉의 들어난 세계가 된다.ㅡ<생태계>ㅡ 따라서 (ㅗ)는 대지 겉으로 표출되는 기운이 되고 (ㅜ)는 대지 속으로 숨겨지는 기운이 되어 안과 겉이라는 음양운동의 방향성이 나타나게 된다. 또한 위치개념을 적용하게 되면 (ㅡ)의 아래는 대지 아래가 되고ㅡ<>ㅡ (ㅡ)의 위는 대지 위가 됨으로ㅡ<으>ㅡ 상하라는 위치개념이 되어 (ㅗ)는 대지위로 올라오는 운동의 방향성을 (ㅜ)는 대지 아래로 내려가는 운동의 방향성을 나타내게 된다. ㅡ<안과 겉은 기운의 흐름을 말하는 것이고 상하는 수직적인 물질적 형태의 위치를 나타낸다. 다시 말해 안과 겉은 대지위로 솟아오르거나 숨겨지는 생명력과 같은 기운(氣運)의 흐름으로 이해하면 되고 상하는 물질적 형태의 수직적 위치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하면 된다고 본다..>ㅡ 그리고 (ㅣ)기호를 기준으로 나타나는 사방의 위치개념인데 (ㅣ)는 360도로 나타난 입체적인 공간적 차원 즉 존재를 나타내기에 생명이나 생태계, 별, 등과 같은 어떤 임의의 기준선이 정해지면 사방이라는 360도의 수평적 위치개념이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360도의 울타리라는 수평적 경계가 정해지면ㅡ<개인, 가정, 국가, 자연계 등등>ㅡ 울타리 안은 속을 의미하고ㅡ<이>ㅡ 밖은 바깥의 의미가 되어ㅡ<ㅣ0>ㅡ (ㅣ)라는 경계의 기준이 나타나게 됨으로 여기에 운동의 방향성을 대입하면 (ㅓ)는 (ㅣ)라는 울타리 속으로 바깥의 무언가가 들어오는 상태를 나타내고ㅡ<수용, 모임>ㅡ (ㅏ)는 (ㅣ)라는 울타리 바깥으로 무언가가 나가는 상태를 나타내게 된다.ㅡ<표출, 흩어짐>ㅡ 따라서 (ㅣ)기호는 울타리 속과 울타리 밖의 경계를 나타내는 기준과 앞과 뒤 왼쪽과 오른쪽이라는 사방의 수평적 위치개념의 기준을 나타내기에 여기에 운동의 방향성의 의미를 더하게 되면 (ㅏ)와 (ㅓ)의 모음이 만들어지게 됨으로 이를 나라는 개인에 적용하게 되면 내가 지금 서 있는 여기라는 위치를 기준으로 사방이라는 위치개념이 나타나게 됨으로 내가 위치의 기준인 (ㅣ)가 되어 (ㅏ), (ㅓ)의 모임과 흩어짐이라는 사방의 운동의 방향성이 정해지게 되고 내가 속한 집단이라는 ㅡ<가정, 국가 등>ㅡ 360도의 울타리를 극으로 안과 밖이라는 (이), (ㅣ0)의 운동의 방향성이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적용대상에 따라 (ㅣ)와 (ㅓ)와 (ㅏ)의 쓰임은 사방과 안과 밖이라는 개념이 무한으로 나타난다. 그러므로 그 적용대상을 나타내는 것이 자음기호이기에 자음기호의 뜻을 (ㅣ)와 (ㅓ)와 (ㅏ)와 결합시키면 사방과 안과 밖을 나타내는 모든 상황에 무한으로 적용이 가능해진다. ㅡ<(ㅣ)는 중앙이라는 기준선과 사방의 극인 울타리를 나타내는 두 가지 용도로 쓰인다고 본다.>ㅡ 예를 들면 적용대상의 기준선이 나 또는 국가라면 (ㅣ)라는 나 또는 국가를 기준으로 사방은 앞과 뒤, 오른쪽과 왼쪽과 같은 수평적 사방의 위치개념이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여기에 울타리라는 360도의 기준을 정하게 되면 (ㅣ)라는 울타리를 경계로 (ㅓ)는 울타리 안으로 들어오는 운동의 방향성을 (ㅏ)는 울타리 바깥으로 나가는 운동의 방향성을 나타내게 됨으로 (ㅏ), (ㅓ)의 모음이 만들어지는 원리와 기능적 쓰임이 나타나게 된다.ㅡ<모임과 흩어짐>ㅡ 그러므로 (∙)과 (ㅣ)와 (ㅡ)와 (ㅗ)와 (ㅜ)와 (ㅓ)와 (ㅏ)의 기호가 조합되면 안과 밖, 상하사방이라는 시공간적 위치개념과 운동의 방향성이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땅으로 나타난 모든 우주적 양태의 운동의 방향성과 관련된 모든 변화상황을 11자의 모음기호만으로 다 표현할 수 있는 놀라운 조합이 만들어지게 된다. 몇 가지 예를 들면 (ㅗ+ㅣ), (ㅜ+ㅣ), (ㅗ+ㅏ), (ㅗ+ㅓ+ㅣ) 등등으로 뜻 기호인 자음기호만 결합되면 적용대상의 안과 밖, 겉과 속, 상하사방이라는 시공간적 위치개념과 운동의 방향성을 모두 표현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뜻 기호인 자음의 의미만 제대로 밝혀 놓는다면 훈민정음 28자는 인류역사상 가장 위대한 완벽한 문자체계로 완성될 수 있게 된다. 혜례본으로 과연 이런 놀라운 훈민정음의 과학성을 밝혀낼 수 있다고 보는가? 장담하지만 훈민정음 28자의 실용성과 과학성이 온전히 밝혀지고 체계화 되는 그날이 한글이 세계공용문자로서 위용을 굳건히 갖추는 날이 될 것임을 나는 믿어 의심치 않는다. 이렇게 단순하면서도 실용성과 과학성을 갖춘 완벽한 문자체계가 있다는 사실이 세계인들에게 알려지면 아마 그들은 그 아름다움에 감탄할 수밖에 없게 될 것이라 본다. 위서라고 판단되는 혜례본만으로도 한글의 매력에 푹 빠진 세계적인 언어학자들이 상당수인데 훈민정음의 실체가 온전히 밝혀진다면 대다수의 언어학자들은 한글의 매력에 넋을 놓은 것이라 나는 확신한다. 따라서 훈민정음의 문자적 체계만 우리가 힘을 모아 확실하게 세워놓는다면 세계에서 가장 쉬우면서도 습득이 빠른 세계문자학상 가장 위대한 문자체계의 완성을 우리 손으로 만들어내게 되는 것이고 말과 글이 달라 소통이 어려운 지구촌 사람들의 소통을 훈민정음을 통해 보다 쉽게 이끌어낸 문화민족이라는 찬사를 받을 날이 꼭 올 것이라 나는 믿는다. ※ 고대의 한자가 만들어지는 원리도 훈민정음이 만들어지는 원리와 같다고 보면 되기에 고대 한자에 대한 분석도 한 번 생각해 보기를 바란다. 아울러 이 사람의 글을 통해 무언가 깨달은 것이 있다면 혜례본이 위서이고 옥편이 픽션일 수도 있다는 사실을 널리 알려주기를 바란다. 그러므로 인해 우리나라 전 국민이 이러한 사실을 확실하게 알게 되는 순간 한단고기는 우리역사서로 제대로 된 대접을 받으며 모두의 관심과 사랑을 받게 되는 길이 열리게 된다는 점을 깊이 생각해 주기를 바란다. 농담 삼아 만약 훈민정음이 지적 소유권을 주장해도 되는 성질의 것이라면 훈민정음의 체계만 제대로 잡아 지적 특허를 해 놓아도 공적인 사용 이외의 사적 용도로 쓰이는 모든 것에 지적 사용료를 받을 수 있을 것이고 그것만 해도 천문학적인 액수가 아니겠는가? 이것은 빙산의 일각인 뿐으로 고대한국학을 응용하게 되면 철학, 수학, 인문학, 정신수련, 과학---- 등등 모든 학문분야에서 단연 두각을 나타내는 세계 초일류국가로 발돋움하는 것은 시간문제일 뿐이라고 나는 확신한다. 고대한국학을 응용한 문자학의 금자탑인 훈민정음이 이를 어느 정도 증명하고 있지 않는가? 사실 훈민정음에 관한 글은 모든 준비가 다 된 다음 세상에 알려야 된다는 생각을 했으나 워낙 뿌리 깊게 박힌 혜례본과 옥편에 대한 왜곡된 고정관념을 무너트리지 않고는 비틀린 한국학을 바로잡을 길이 제대로 보이지 않는다는 판단이 들어 한시라도 빨리 서둘러야 한다는 생각에 우선적으로 아직은 미완성이나 훈민정음에 관한 글을 올려보는 것이다. 그리고 이런 말 까지는 하지 않으려 했으나 일반인이 아닌 수도인 들에게는 쓴 소리를 좀 해야 할 것 같은데 이 사람이 왜 이런 소리까지 궂이 하는지 깊이 생각해 보기를 바란다. 어찌 수도를 하고 기운을 좀 느낀다는 사람들이 하늘의 기와 천기와 지기와 인기의 구분도 제대로 하지 못해 엉뚱한 소리를 하고 있는지 한심스럽다. 우주의 기운을 어느 정도 느끼게 되면 하늘의 기와 천기와 지기와 인기에 대해 알게 됨으로 하늘이 본체이고 객체가 땅인 천지인이라는 기본적인 것쯤은 스스로 알게 되어 누가 가르쳐주지 않아도 천부경과 삼일신고의 이치는 저절로 알게 되기에 바둑판, 훈민정음, 한자, 수학원리 등등 고대한국학을 응용해 만들어진 모든 원리 또한 자연스럽게 알게 되는 것이 우주의 섭리이건만 어느 누구도 이에 대해 제대로 된 말을 하는 사람을 이제껏 나는 보지 못했으니 도대체 무슨 수도를 하고 무슨 공부를 했다는 것인지 수십 년을 학문과는 담을 쌓고 노동일만 해 온 술꾼인 이 사람만도 못하단 말인가? 하느님의 섭리는 알면 알수록 더욱 겸손해지는 것이 수도인의 마음이고 자신보다 도력이 높은 사람을 만나게 되면 무엇이든지 배워 알려고 하는 것이 참된 수도인 인데 말귀조차 아집에 막혀있음을 모르고 다 알았다는 듯이 건방을 떨고 있으니 그 심뽀를 고치지 않는 한 말귀도 제대로 트이지 않아 백 년 기도 도로아미타불일 뿐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