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코리아    SF    Boston    Washington D.C    Chicago    Atlanta    Canada
NewsLife InfoRealtySell & BuyJobsHealthCultureFood/TourIssueYellowPageShopping
회원가입 아이디/비밀번호찾기
Culture
USA CULTURE
USA 전시소식
USA 공연소식
USA 문화예술뉴스
KOREA 전시소식
USA 문화포커스뉴스
미국영화소식
공모/컨테스트 공지
문학뉴스
추천베스트 신간도서
인기신간도서
새 음악/음반/벨소리
중견초대작가 뉴욕갤러리
Fine Art
photography
Digital Art
전문가초대칼럼
[뉴욕코리아]<아침의 시>
[poem]English Poem
정다운 우리가곡
멀티미디어 영상작품
전문가칼럼/기고
전문가 칼럼
공연.전시행사모습
USA예술문화행사포토
USA 유명갤러리탐방
USA유명갤러리 탐방
티켓알아보기
티켓예매처 바로가기
 
 

   

   

    

회원정보
닉네임
가입일 2008-07-23
등급 운영자 (1)
활동
포인트 : 0
게시물 작성수 : 0
댓글 작성수 : 0
쪽지보내기
받을아이디
제목
내용
(0/200바이트)
 
> Culture > 전문가칼럼/기고 > 전문가 칼럼
전문가 칼럼
제자 안도스님이 본 불교무술 대가 범어사 양익스님
작성자: kan 조회: 6137 등록일: 2017-12-06
모바일글 제자 안도스님이 본 불교무술 대가 범어사 양익스님 불교 佛敎

2017. 10. 28. 19:44

복사 http://blog.naver.com/liongod90/221127413868

번역하기 전용뷰어 보기

- 몸이 마음을 따라야 한다고 입버릇처럼 말씀하셨죠…

불교 무술의 대가였던 범어사 청련암의 양익 스님이 지난 6일 앉아서 열반에 들었다.

좌탈입망(坐脫立亡). 죽음마저 마음대로 다루었다는 뜻이다.

스님의 열반을 계기로 무술 수행법 '불교금강영관(佛敎金剛靈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직계 제자 안도 스님에게서 불교금강영관과 양익 스님에 대한 얘기를 들었다.

"1971년 양익 스님이 높이 4m에 이르는 범어사 일주문을 뛰어넘었다는 얘기는 사실입니까?" 안도 스님은 "경공술(輕功術)이라는 게 있다.

몸이 가벼워지는 것이다.

몸이 최고조에 달했을 때 마음 먹은 대로 몸이 따라가는 경지가 있다"라며 "스승은 몸이 마음을 따라올 수 있는 수행의 경지,심신일여(心身一如)를 입버릇처럼 늘 말씀하셨다"라고 했다.

"같은 새끼줄이라도 도둑에게는 목 조르는 흉악한 줄이 될 수 있지만 선한 이에게는 물에 빠진 사람을 구하는 생명줄이 될 수 있는 것입니다.

몸도,마음도 그 새끼줄과 같은 것입니다.

" 그는 "8~9년 전 스님이 가부좌를 틀고 앉았는데 길이 60㎝의 봉(棒)이 스님의 어깨와 팔의 윤곽을 따라 절로 움직이는 것을 보고 놀란 적이 있다"라고 했다.

호흡으로 기를 모을 때 물체를 부릴 수 있다는 것. 이른바 내공이다.

검도 고수가 내려치는 목검을 썩은 나뭇가지로 맞받았는데 오히려 목검이 부러졌다는 양익 스님의 전설도 다 같은 얘기다.

안도 스님은 "관법(觀法)이 중요하다.

몸과 마음의 움직임을 지켜보는 것이다"고 했다.

관법에는 앉아서 몸의 호흡을 골고루 돌리는 좌관(坐觀),다리와 허리로 서서 몸의 균형을 이루며 호흡 위주로 마음의 움직임을 관하는 입관(入觀),극대로 움직이면서 삼매에 드는 행관(行觀)이 있다.

입관과 행관에서는 호랑이 용 사슴 원숭이 곰 거북 학 등 7가지 동물의 움직이는 모습도 빌려오는데 "그것은 자연계에서 가장 훌륭한 자세를 빌려와 몸을 강하게 만드는 것"이라고 안도 스님은 설명했다.

그는 "인간에게 가장 좋은 자세는 모든 운동의 기본 자세인 기마 자세이다.

허리와 관절을 강화시킨다.

기마 자세로 서서 명호나 진언을 1천독,혹은 1만독하는 것도 하나의 수행법이 될 것"이라고 했다.

안도 스님은 "스님은 신구의(身口意),몸동작과 호흡,마음 3가지가 가장 중요하다고 강조하셨다.

그것을 느끼고 바라보는 것이 관법의 요체"라고 했다.

"호흡으로는 억지로 하는 단전호흡보다 아주 자연스러운,마음이 맑아지면 저절로 이르는 태식호흡을 해야합니다.

" 그는 "무술이 출중해 공중부양을 하는 게 중요한 것이 아니다"라고 했다.

"스승은 관법을 통해 영육을 넘나들었다는 것을 차츰 알게됐습니다.

'구병시식'이라 하여 청련암에서 스님이 행했던 숱한 천도는 스님의 경계를 드러내는 일부에 불과합니다.

" 양익 스님의 맥을 이어받은 직계 제자들의 다수는,스님의 가풍을 따라 밖에 나서서 가르치는 걸 삼가하고 지금 토굴에 들어가 수행을 하고 있다고 한다.

안도 스님은 "열반 전날,스님은 서류들을 사제 약연에게 맡겼다.

또 통도사에 들러 부처님 사리를 친견했다.

우리는 그 의미를 전혀 몰랐다"고 했다.

양익 스님은,불국사 문중으로 월산 스님의 상좌들인 경주의 허주 스님,진주의 종인 스님과 더불어 우리나라 3대 무술승으로 꼽혔다.

양익 스님의 직계 상좌는 28명이며,양익 스님이 가르친 불교금강영관 연수원 출신들 모임(18명)이 있는데 모두 불교 무술의 고수들이다.

최학림기자

[출처] 제자 안도스님이 본 불교무술 대가 범어사 양익스님|작성자 알아차림


불무도와 양익스님

 

<양익스님 좌탈입망 모습>

 

중국에 소림사가 있다면 한국에 골굴암이 있습니다.

중국에 돈황석굴이 있다면 한국에 골굴암이있습니다.

경주 남산 답사자료는  경주 남산연구소 자료로 가름하고  골굴사 기림사 자료또한 홈페이지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다만 골굴사하면 빼 놓을 수 없는 것이 불무도인데  양익스님을 소개 하는 것은  골굴사 적운스님, 호압사 원욱스님, 금강선원 안도스님 등 현대 선무도를 대표하는 스님들이 모두 양익스님의 제자 이기 때문이다.

 

<부산일보기사>


'불교무도' 양익 스님 좌탈입망

범어사 원로이며 한국 불교무도(佛敎武道)의 수장인 양익(兩翼) 스님이 지난 6일 오전 1시 20분께 앉은 채로 입적했다. 세수 72세,법랍 44세.

1934년 강원도 홍천 출생인 스님은 서울 법대 출신으로 사시 1차 시험에 합격한 뒤 범어사에 고시 공부를 하러 왔다가 동산 스님을 두 번째로 만나 오랜 인연을 느끼고 이듬해인 1962년 출가했다.

스님은 불교무도에서 한국 최고의 전설적인 인물이었으며 그 원조 격이었다.

젊은 시절 범어사 일주문을 쉽게 뛰어넘었다고 하며,쌍계사 조실 고산 스님은 양익 스님이 결가부좌한 채로 공중부양하여 천장의 못을 빼는 장면을 목격했다고 한다.

스님이 집대성한 불교무도는 '불교금강영관(佛敎金剛靈觀)'. 고려시대까지 전수되다가 중국 선종이 들어오면서 맥이 끊긴 즉신성불(卽身成佛,현재의 몸이 그대로 부처가 됨)의 밀교수행법을 체계화한 것이었다. 스님은 출가 전에 이미 고수였는데 서울 청도관의 허사범(스님의 속명은 허남익)이라면 명동의 깡패들도 겁을 냈다고 한다. 출가 직후 동화사 불국사 봉훈사에서 주요 직책을 맡은 뒤 71년 범어사에 돌아가 40년 가까이 줄곧 후학을 지도했는데 선무도를 펴고 있는 골굴사 주지 적운 스님을 비롯해 수백 명에 이르는 출가 재가의 고수 제자들이 있다.

몸과 마음의 하나됨을 설파했던 스님은 무엇보다 '하루 일하지 않으면 하루 먹지 않는다'는 백장청규(百丈淸規)를 철저하게 지키도록 했다.

또한 "자기의 복을 비는 기도라고 해도 헛되지 않다.

마음을 모으는 일이기 때문이다.

진실한 기도는 멀리 있는 인연을 앞당길 수 있다"며 불교 연기법을 불자들이 생활 속에서 알기 쉽게 얘기했다.

제자 안도 스님은 "입적 하루 전날인 부처님오신날에도 스님께서는 통도사 적멸보궁을 참배하셨다.

당신께서는 제자들 모르게 입적을 준비하셨다"고 했다.

범어사 주지 대성 스님은 "스님은 무소유의 삶을 실천했는데 아무런 법문도 남기시지 않고 고요히 앉은 채 원적(圓寂)에 드셨다"고 했다.

장례는 범어사 다비장으로 치러진다.

분향소 범어사 보제루,영결식 10일 오전 10시30분.

051-508-3122~5, --2006. 5. 8.
    


제자 안도스님이 본 불교무술 대가 범어사 양익스님

불교 무술의 대가였던 범어사 청련암의 양익 스님이 지난 6일 앉아서 열반에 들었다.

좌탈입망(坐脫立亡). 죽음마저 마음대로 다루었다는 뜻이다.

스님의 열반을 계기로 무술 수행법 '불교금강영관(佛敎金剛靈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직계 제자 안도 스님에게서 불교금강영관과 양익 스님에 대한 얘기를 들었다.

"1971년 양익 스님이 높이 4m에 이르는 범어사 일주문을 뛰어넘었다는 얘기는 사실입니까?" 안도 스님은 "경공술(輕功術)이라는 게 있다.

몸이 가벼워지는 것이다.

몸이 최고조에 달했을 때 마음 먹은 대로 몸이 따라가는 경지가 있다"라며 "스승은 몸이 마음을 따라올 수 있는 수행의 경지,심신일여(心身一如)를 입버릇처럼 늘 말씀하셨다"라고 했다.

"같은 새끼줄이라도 도둑에게는 목 조르는 흉악한 줄이 될 수 있지만 선한 이에게는 물에 빠진 사람을 구하는 생명줄이 될 수 있는 것입니다.

몸도,마음도 그 새끼줄과 같은 것입니다."

그는 "8~9년 전 스님이 가부좌를 틀고 앉았는데 길이 60㎝의 봉(棒)이 스님의 어깨와 팔의 윤곽을 따라 절로 움직이는 것을 보고 놀란 적이 있다"라고 했다.

호흡으로 기를 모을 때 물체를 부릴 수 있다는 것.

이른바 내공이다.

검도 고수가 내려치는 목검을 썩은 나뭇가지로 맞받았는데 오히려 목검이 부러졌다는 양익 스님의 전설도 다 같은 얘기다.

안도 스님은 "관법(觀法)이 중요하다.

몸과 마음의 움직임을 지켜보는 것이다"고 했다. 관법에는 앉아서 몸의 호흡을 골고루 돌리는 좌관(坐觀),다리와 허리로 서서 몸의 균형을 이루며 호흡 위주로 마음의 움직임을 관하는 입관(入觀),극대로 움직이면서 삼매에 드는 행관(行觀)이 있다.

입관과 행관에서는 호랑이 용 사슴 원숭이 곰 거북 학 등 7가지 동물의 움직이는 모습도 빌려오는데 "그것은 자연계에서 가장 훌륭한 자세를 빌려와 몸을 강하게 만드는 것"이라고 안도 스님은 설명했다.

그는 "인간에게 가장 좋은 자세는 모든 운동의 기본 자세인 기마 자세이다.

허리와 관절을 강화시킨다.

기마 자세로 서서 명호나 진언을 1천독,혹은 1만독하는 것도 하나의 수행법이 될 것"이라고 했다.

안도 스님은 "스님은 신구의(身口意),몸동작과 호흡,마음 3가지가 가장 중요하다고 강조하셨다.

그것을 느끼고 바라보는 것이 관법의 요체"라고 했다.

"호흡으로는 억지로 하는 단전호흡보다 아주 자연스러운,마음이 맑아지면 저절로 이르는 태식호흡을 해야합니다."

그는 "무술이 출중해 공중부양을 하는 게 중요한 것이 아니다"라고 했다.

"스승은 관법을 통해 영육을 넘나들었다는 것을 차츰 알게됐습니다.

'구병시식'이라 하여 청련암에서 스님이 행했던 숱한 천도는 스님의 경계를 드러내는 일부에 불과합니다."

양익 스님의 맥을 이어받은 직계 제자들의 다수는,스님의 가풍을 따라 밖에 나서서 가르치는 걸 삼가하고 지금 토굴에 들어가 수행을 하고 있다고 한다.

안도 스님은 "열반 전날,스님은 서류들을 사제 약연에게 맡겼다. 또 통도사에 들러 부처님 사리를 친견했다.

우리는 그 의미를 전혀 몰랐다"고 했다.

양익 스님은,불국사 문중으로 월산 스님의 상좌들인 경주의 허주 스님,진주의 종인 스님과 더불어 우리나라 3대 무술승으로 꼽혔다.

양익 스님의 직계 상좌는 28명이며,양익 스님이 가르친 불교금강영관 연수원 출신들 모임(18명)이 있는데 모두 불교 무술의 고수들이다.

<양익 스님 입적 계기로 본 불교금강영관 >

몸ㆍ마음 조화로 포교의 블루오션 개척

불교무술의 산 역사로 불리던 청호당 양익 스님이 5월 6일 범어사 청련암에서 입적하면서 ‘불교금강영관(佛敎金剛靈觀. 금강승불무도, 선관무, 선무도)’에 대한 관심이 다시금 높아지고 있다.

‘무술’로뿐 아니라 불교 수행법으로 맥을 이어오고 있는 불교금강영관은 마음공부와 함께 이를 위한 신체 수련까지 가능한 것으로 전해지면서 불자는 물론 외국인들에게까지 각광 받는 프로그램으로 발전하고 있다.


경주 골굴사의 경우 선무도 템플스테이의 대표 도량으로서 수련생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양익 스님의 발자취와 함께 국내외에서 활성화되고 있는 ‘금강영관’의 현재와 미래를 짚어본다.


*수행적 실천법 ‘깨달음’ 지향

양익 스님이 체계를 잡은 불교무도는 정확히 ‘불교금강영관’이라고 해야 한다.

현재 선무도, 금강승불무도, 선관무 등으로 불리고 있는데 이는 모두 대중화를 위해 이름을 바꾼 것이다.


‘불교금강영관’은 부처님으로부터 2500여년을 면면히 이어온 승가의 전통적인 수행법으로 몸과 마음과 호홉의 조화로 작게는 심신의 평화로운 안정과 크게는 깨달음을 향한 구도적 수행법이다.


신라의 원광법사나 원효대사는 신라화랑들의 신심수련과 호국 무술로 세속에 전파했으며 고려시대를 거치면서 호국무술로 정착돼 몸과 마음을 수련하는 금강승들을 중심으로 비전돼 왔다.

조선시대 승병을 이끌었던 스님들도 불교무도의 명인들이었다고 전해지나 일제 강점기를 맞으며 맥이 끊긴 것을 1950년대 양익 스님이 많은 부분을 발굴, 복원, 체계화시킨 것이다.


수련법은 정적 수련을 위주로 하는 영정관법(靈靜觀法), 선체조, 선요가에 해당되는 영중관법(靈中觀法), 동적인 수련에 해당되는 영동관법(靈動觀法)으로 나눠진다.

다시 세부적으로 입관(立觀), 좌관(坐觀), 행관(行觀)으로 영정입관과 영동입관, 영정좌관과 영동좌관, 영정행관과 영동행관으로 나뉘는 것이다.


모든 수련에서 몸과 마음, 호흡의 일치를 중요시 하며 선체조와 팔, 다리, 머리, 배, 등판 등의 다섯 부위를 부드럽게 한다고 하여 오체유법이라 통하는 선요가 등의 기본 수련이 바탕이 돼야 영정관법이나 영동관법을 수련할 수 있다.


특히 영정행관은 10개의 동작으로 이뤄져 영동행관의 승형의 기본이 되는 것으로 행(行), 주(住), 좌(座 ), 와(臥), 어(語), 묵(默), 동(動), 정(靜), 반(返), 공(空)의 10개 동작으로 구성돼 있으며 그 자체만으로도 몸 전체에 안정과 활력을 주는 동작이다.


또 영동행관은 일반무예의 형, 즉 품세에 해당하는 것으로 1승형에서 10승형까지 있다.

다른 무술의 경우, 초단의 수련 경력을 가진 사람이 6단의 품세를 흉내 낼 수 있는 것과 달리 1승형을 수련한 사람이라도 2승형이나 3승형을 도저히 흉내조차 낼 수 없다.

그만큼 호흡을 통한 내공이 연마돼야 하는 수련법인 셈이다.

이어 10승형 다음 단계로 1지에서 10지까지 이어진다.


이러한 수련내용을 좌관, 입관, 행관의 밀교적 관법수행에 비추어 보면 불교금강영관의 동작이 거기에서 비롯되었음을 알 수 있다.


선무도의 수련내용 중 앉아서 하는 좌관법만 보더라도 가부좌를 취하고 깊은 호흡의 조화와 더불어 여러 형태의 수인을 연결해 움직여 심리적인 상태를 조작함으로써 삼매에 들고자 하고 있다.

이처럼 불교금강영관은 철저하게 수행적 실천법으로서 궁극적으로 ‘깨달음’을 지향하고 있다.


원욱·적운·안도 스님 등 보급 앞장

불교금강영관의 대중화에는 서울 호압사의 원욱 스님과 적운 스님, 안도 스님이 앞장서고 있다.

원욱 스님(호압사 주지)은 선관무가 무술이 아닌 수행법임을 강조하며, 서울 방배동의 중앙총본원과 성남의 경기본원, 전주의 전북본원을 축으로 선관무 수행법을 보급하고 있다.


특히 선관무는 서울과 고양 등지의 초중고등학교와 대학에도 보급돼 있으며, 이스라엘에도 분원이 마련돼 한국불교를 알리고 있다.

중국과 미국에도 선관무 동아리가 운영되고 있다.


7년간 양익 스님에게 사사 받은 적운 스님은 1985년 불교금강영관을 ‘참선과 무도로 깨달음을 얻는다’는 뜻으로 ‘선무도’로 칭하며 대중화에 나섰다.

이후 선무도 총본산인 경주 골굴사를 중심으로 서울, 안산, 부산, 양산 등 국내 8개 지원과 미국 플로리다 지원, 캐나다 토론토 지원, 호주 살즈버그 지원, 프랑스 토루스 지원 등 해외 4개 지원에서 선무도를 보급, 홍보하고 있다.


세계금강승불무도협회 총재인 안도 스님도 부산 금강선원을 중심으로 부산 시내, 양산, 기장 등에 지부를 두고 있으며 부산경상대학교 경찰행정과 무술 교수로 활동하며 저변확대에 나서고 있다.

범어사에서는 불무도 템플스테이를 열어 청소년, 일반인 등에게서 폭발적인 인기를 누리고 있다.


사단법인 세계선무도협회 정현표 회장은 “몸과 마음과 호흡의 조화로 심신의 안정과 깨달음을 향한 구도 수행법인 선무도는 정신건강이 화두가 된 웰빙시대에 적합하다”며 “불자뿐만 아니라 개신교, 가톨릭 신자 선무도 인구도 약 200여명에 달하고 있는 등 ‘국민무예’로 발돋움 하고 있다”고 말했다.


# 양익 스님은 누구

양익 스님은 불교계에서는 물론 무술인들에게도 ‘전설’같은 존재다.

이는 일생을 통해 ‘불교금강영관’이라는 수행법을 체계화하고 전수해온 스님의 삶이 수행자로서뿐 아니라 무도인으로도 대중의 지표가 돼 왔다는 방증이다.


1962년 동산 스님을 은사로 부산 범어사에서 입산출가한 양익 스님은 <법화경>과 <화엄경>을 토대로 몸과 마음을 실천적으로 수행해 번뇌를 여의토록 하는 불교금강영관의 체계를 정립하고 출·재가 제자들에게 전수해 왔다.


‘금강영관’ ‘신심일여’라는 말을 입버릇처럼 제자들에게 일렀던 양익 스님은 몸의 극한에서 정신적인 초월을 이끌어내는 수행법으로서 불교금강영관을 중요시했다.


그래서 양익 스님은 검술, 창술을 배제하고 공격이나 방어의 목적이 아닌 심신의 조화로운 깨달음을 구하는 수행법으로서 틀을 잡았다.


양익 스님은 갖가지 일화를 남긴 것으로도 유명하다.

37세이던 1971년에는 함께 공부하던 도반 스님들의 ‘성화’에 못 이겨 높이 4m에 이르는 범어사 일주문을 뛰어 넘었다거나, 스님의 실력을 알아보기 위해 청련암까지 찾아온 검도 고수를 나뭇가지 하나로 제압했다는 등의 ‘전설’은 아직도 회자되고 있다.


쌍계사 조실 고산 스님은 양익 스님이 결과부좌한 채로 공중부양하여 천장의 못을 빼는 장면을 목격했다고 한다.

그러나 양익 스님은 밖으로 드러내는 것을 극히 싫어해 제자들이 일반에게 불교금강영관을 보급하는 것을 반대하다 나중에는 수행법으로서 내실 있게 가르칠 것을 당부했다고 한다.

양익 스님을 은사로 12년간 선무도를 수련한 안도 스님은 “지난해 범어사 개산대재에서 금강승불무도를 선보였다는 이유로 몽둥이를 맞았다”며 “수행자답게 겸손하지 못하고 섣부른 잡기를 대중 앞에 선보인다는 게 몽둥이의 이유였는데 그때 매를 든 스승에게서 제자를 아끼는 자비심을 절실히 느꼈다”고 회고했다.


양익 스님은 원적 직전까지도 홍천의 불사와, 은사인 동산 스님 생가복원 불사에 매진했다.

입적 하루 전인 5월 5일, 상좌 약연 스님을 불러 불사를 맡기겠다고 전하고 오후에 통도사 적멸보궁을 참배한 후 다음날 새벽 가부좌한 채 고요히 입적에 들었다.

다비식은 5월 10일 범어사 다비장에서 엄수됐다.


# 우리나라 금강영관 계보

양익 스님은 1971년 불교금강영관 관주로서 범어사 극락암 서지전에 대금강승문을 열어 선무도를 가르치기 시작했으며 1978년 범어사 청련암 주지를 맡아 불교금강영관 연수원을 개관하여 많은 제자들을 길렀다.


정경 스님을 비롯한 고봉, 의정, 정산, 대일, 법찬, 안도, 광원 스님 등 28명의 은법 상좌를 두었는데 은법 상좌들도 불교금강영관 수련이 생활화돼 있다.

또한 원욱, 인걸, 지연, 적운, 원명, 각현 스님 등 19명은 연수원에서 무도를 지도하며 법상좌의 인연을 맺었다.

이 밖에도 박정현 범어사 신도회장을 비롯 수 백 명에 달하는 재가자들도 제자로 길러내며 불교수행법으로서의 금강영관 대중화에 불씨를 지폈다.

국내외로 90여 곳에서 스님에게 무도를 배웠던 제자들이 불교금강영관을 통해 불법을 펴고 있다.

대표적으로 서울 호압사 원욱 스님의 관선무, 경주 골굴사 적운 스님의 선무도, 부산 금강선원 안도 스님의 금강승불무도 등이 널리 알려져 있다.


그러나 안도 스님은“ 불교금강영관을 배운 제자들이 저마다 다른 이름으로 사용하며 계보가 달라지고 있지만 각각의 계보마다 이렇다 할 특징이나 큰 차이점이 있는 것은 아니며 모두 양익 스님의 가르침을 받아 몸과 마음을 다스리는 수행법으로 정착시켜 가고 있다”고 밝혔다.

 

-출처 : 현대불교신문 붓다뉴스


트위터 트위터 페이스북 페이스북
댓글 : 0
번호
제목 작성자 조회 등록일
354
천부표로 푸는 립(立)자와 그와 연계된 한자
하심 4641 2018-11-24
353
천부표로 푸는 신(神)자에 담긴 고대한국인들의 신관 2>
하심 5810 2018-10-27
352
천부표로 푸는 신(神)자에 담긴 고대한국인들의 신관
하심 6263 2018-10-14
351
미국 관세폭탄 현실화에 불안한 증시…전문가 전망은 엇갈려
glorybahk 5736 2018-07-09
350
숫자 백(100)에 담긴 이야기
하심 5749 2018-04-23
349
손용상 운문집 / <천치, 시간을 잃은> 출간
산까치 5496 2018-04-08
348
태초 무극 숫자 백(100)은 우리말 하늘에서 나오는 개념이다
하심 5394 2018-03-27
347
실버들
하심 7047 2018-03-17
346
륜(侖)자에 대한 답변
하심 5937 2018-03-02
345
훈민정음 자모음기호 28자에 담긴 비밀 26>
하심 5616 2018-01-19
344
훈민정음 자모음기호 28자에 담긴 비밀 25>
하심 5844 2018-01-13
343
훈민정음 자모음기호 28자에 담긴 비밀 24>
하심 5266 2018-01-12
342
훈민정음 자모음기호 28자에 담긴 비밀 23>
하심 5055 2018-01-10
341
훈민정음 자모음기호 28자에 담긴 비밀 22>
하심 5795 2018-01-04
340
훈민정음 자모음기호 28자에 담긴 비밀 21>
하심 6752 2018-01-04
339
훈민정음 자모음기호 28자에 담긴 비밀 20>
하심 6239 2018-01-01
338
훈민정음 자모음기호 28자에 담긴 비밀 19>
하심 6269 2017-12-31
337
훈민정음 자모음기호 28자에 담긴 비밀 18>
하심 6814 2017-12-24
336
훈민정음 자모음기호 28자에 담긴 비밀 17>
하심 5635 2017-12-18
335
누구던지 북한간다고 모금하는 사람은 성상납 받으러 갑니다
angel 5654 2017-12-16
334
훈민정음 자모음기호 28자에 담긴 비밀 16>
하심 6198 2017-12-14
333
훈민정음 자모음기호 28자에 담긴 비밀 15>
하심 6261 2017-12-10
제자 안도스님이 본 불교무술 대가 범어사 양익스님
kan 6138 2017-12-06
331
훈민정음 자모음기호 28자에 담긴 비밀 14>
하심 5967 2017-12-03
330
훈민정음 자모음기호 28자에 담긴 비밀 13>
하심 5736 2017-11-20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회원정보
닉네임 kan (_admin_)
가입일 2008-07-23
등급 운영자 (1)
활동
포인트 : 0
게시물 작성수 : 0
댓글 작성수 : 0
쪽지보내기
닉네임 kan (_admin_)
제목
내용
(0/200바이트)
게시물 신고하기
게시판 성격에 맞지 않거나 불건전한 게시물을 운영자에게 신고할 수 있습니다.
운영자 확인 후 해당글 삭제조치 및 해당 회원에게 불이익이 갈 수 있습니다.
허위신고시에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니 신중하게 신고해주세요.
글 제목 제자 안도스님이 본 불교무술 대...
글 작성자 kan
신고이유
회사소개 | 개인정보취급방침 | 회원약관 | 고객지원센터 | 제휴 및 광고문의 | 광고안내   
 

 

Contact Us : 고객문의센터, Tel: 대표 201-674-5611

E-mail: newyorkkorea77@gmail.com, newyorkkorea@naver.com, 빠른카톡상담ID : newyorkkorea 

미국최대 대표포털 뉴욕코리아는 미국법률변호사고문 및 미국저작권법의 보호를 받고 있으며, 컨텐츠 및 기사의 무단 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  

Copyright (c) New York Korea, INC. News Media Group in US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