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정보
닉네임
가입일
2008-07-23
등급
운영자 (1)
활동
포인트 : 0 점
게시물 작성수 : 0 개
댓글 작성수 : 개
천부경으로 보는 예언서 격암유록
작성자: 하심
조회: 3888 등록일: 2020-04-13
“36, 72, 108 의 수리적 개념” 이라는 전에 쓴 글에 대한 보충설명으로 전에도 말했지만 격암유록은 단순한 예언서가 아니라 천부경에 대한 일종의 풀이로 삼신의 하나님에 대한 고대한국인들의 숫자적 표현이 36 이기에 격암유록에 쓰인 삼십육궁도춘( 三十六宮都春 ) 이라는 뜻은 곧 삼신하나님의 말씀이 바로서는 때가ㅡ < 三十六 > ㅡ 사람들이 사는 세상이 봄처럼 생기가 도는 지상천국이라는ㅡ < 宮都春 > ㅡ 의미를 담고 있다고 본다.
조선조에서 성리학 이외에는 입도 뻥긋하기 힘들었던 사대부들의 서슬 퍼런 등쌀에 어쩔 수 없이 은유적으로 표현하다보니 알듯 모를 듯한 예언형태처럼 되었다고 보나 천부경의 우주론을 알고 나면 격암유록 자체가 천부경의 우주론적 논리를 바탕에 깔고 있는 글임을 알아볼 수 있을 것이라 본다 .
삼십육궁도춘의 의미를 기독교식으로 표현한다면 하나님의 말씀이 ㅡ < 三十六 > ㅡ 곧 진리이고 길이니 믿음을 가지고 실천하면 천국이 가까우리라 ㅡ < 宮都春 > ㅡ 정도로 대입이 가능하다고 본다 .
불가식으로 말한다면 부처님의 세상이 완성되는 곳이 ㅡ < 三十六 > ㅡ 용화세상이다 ㅡ < 宮都春 > ㅡ 정도로 대입이 가능하다고 본다 .
추가한다면 그리스로마 신전의 형태나 원구단 , 참성단 , 마야의 신전 , 피라미드 , 우리 전통마을의 구조 , 절의 형태 등등 거의가 삼신하나님과 천지인의 삼계와 관련된 건축구조로 이루어져 있다고 본다 .
<p><font size="3"><br></font></p><p><br></p><font size="3"><p><font size="3"> <font face="바탕">“36, 72, 108</font>의 수리적 개념<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바탕; mso-font-width: 100%; mso-text-raise: 0.0pt;">”</span>이라는 전에 쓴 글에 대한 보충설명으로 전에도 말했지만 격암유록은 단순한 예언서가 아니라 천부경에 대한 일종의 풀이로 삼신의 하나님에 대한 고대한국인들의 숫자적 표현이 <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바탕; mso-font-width: 100%; mso-text-raise: 0.0pt;">36</span>이기에 격암유록에 쓰인 삼십육궁도춘<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바탕; mso-font-width: 100%; mso-text-raise: 0.0pt;">(</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mso-font-width: 100%; mso-text-raise: 0.0pt; mso-fareast-font-family: 바탕;">三十六宮都春</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바탕; mso-font-width: 100%; mso-text-raise: 0.0pt;">)</span>이라는 뜻은 곧 삼신하나님의 말씀이 바로서는 때가<span style="letter-spacing: 0pt; mso-font-width: 100%; mso-text-raise: 0.0pt; mso-fareast-font-family: 바탕;">ㅡ</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바탕; mso-font-width: 100%; mso-text-raise: 0.0pt;"><</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mso-font-width: 100%; mso-text-raise: 0.0pt; mso-fareast-font-family: 바탕;">三十六</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바탕; mso-font-width: 100%; mso-text-raise: 0.0pt;">></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mso-font-width: 100%; mso-text-raise: 0.0pt; mso-fareast-font-family: 바탕;">ㅡ </span>사람들이 사는 세상이 봄처럼 생기가 도는 지상천국이라는<span style="letter-spacing: 0pt; mso-font-width: 100%; mso-text-raise: 0.0pt; mso-fareast-font-family: 바탕;">ㅡ</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바탕; mso-font-width: 100%; mso-text-raise: 0.0pt;"><</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mso-font-width: 100%; mso-text-raise: 0.0pt; mso-fareast-font-family: 바탕;">宮都春</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바탕; mso-font-width: 100%; mso-text-raise: 0.0pt;">></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mso-font-width: 100%; mso-text-raise: 0.0pt; mso-fareast-font-family: 바탕;">ㅡ </span>의미를 담고 있다고 본다<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바탕; mso-font-width: 100%; mso-text-raise: 0.0pt;">.</span></font></p><p class="0" style="-ms-layout-grid-mode: both; mso-pagination: none; mso-padding-alt: 0.0pt 0.0pt 0.0pt 0.0pt;"><span style="font-family: 바탕; font-size: 12pt;"></span><span style="font-size: 12pt; mso-fareast-font-family: 바탕;"> 조선조에서 성리학 이외에는 입도 뻥긋하기 힘들었던 사대부들의 서슬 퍼런 등쌀에 어쩔 수 없이 은유적으로 표현하다보니 알듯 모를 듯한 예언형태처럼 되었다고 보나 천부경의 우주론을 알고 나면 격암유록 자체가 천부경의 우주론적 논리를 바탕에 깔고 있는 글임을 알아볼 수 있을 것이라 본다</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바탕; font-size: 12pt; mso-font-width: 100%; mso-text-raise: 0.0pt;">.</span></p><p class="0" style="-ms-layout-grid-mode: both; mso-pagination: none; mso-padding-alt: 0.0pt 0.0pt 0.0pt 0.0pt;"><span style="font-family: 바탕; font-size: 12pt;"></span><span style="font-size: 12pt; mso-fareast-font-family: 바탕;"> 삼십육궁도춘의 의미를 기독교식으로 표현한다면 하나님의 말씀이</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2pt; mso-font-width: 100%; mso-text-raise: 0.0pt; mso-fareast-font-family: 바탕;">ㅡ</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바탕; font-size: 12pt; mso-font-width: 100%; mso-text-raise: 0.0pt;"><</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2pt; mso-font-width: 100%; mso-text-raise: 0.0pt; mso-fareast-font-family: 바탕;">三十六</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바탕; font-size: 12pt; mso-font-width: 100%; mso-text-raise: 0.0pt;">></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2pt; mso-font-width: 100%; mso-text-raise: 0.0pt; mso-fareast-font-family: 바탕;">ㅡ </span><span style="font-size: 12pt; mso-fareast-font-family: 바탕;">곧 진리이고 길이니 믿음을 가지고 실천하면 천국이 가까우리라</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2pt; mso-font-width: 100%; mso-text-raise: 0.0pt; mso-fareast-font-family: 바탕;">ㅡ</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바탕; font-size: 12pt; mso-font-width: 100%; mso-text-raise: 0.0pt;"><</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2pt; mso-font-width: 100%; mso-text-raise: 0.0pt; mso-fareast-font-family: 바탕;">宮都春</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바탕; font-size: 12pt; mso-font-width: 100%; mso-text-raise: 0.0pt;">></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2pt; mso-font-width: 100%; mso-text-raise: 0.0pt; mso-fareast-font-family: 바탕;">ㅡ </span><span style="font-size: 12pt; mso-fareast-font-family: 바탕;">정도로 대입이 가능하다고 본다</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바탕; font-size: 12pt; mso-font-width: 100%; mso-text-raise: 0.0pt;">. </span></p><p class="0" style="-ms-layout-grid-mode: both; mso-pagination: none; mso-padding-alt: 0.0pt 0.0pt 0.0pt 0.0pt;"><span style="font-family: 바탕; font-size: 12pt;"></span><span style="font-size: 12pt; mso-fareast-font-family: 바탕;"> 불가식으로 말한다면 부처님의 세상이 완성되는 곳이</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2pt; mso-font-width: 100%; mso-text-raise: 0.0pt; mso-fareast-font-family: 바탕;">ㅡ</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바탕; font-size: 12pt; mso-font-width: 100%; mso-text-raise: 0.0pt;"><</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2pt; mso-font-width: 100%; mso-text-raise: 0.0pt; mso-fareast-font-family: 바탕;">三十六</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바탕; font-size: 12pt; mso-font-width: 100%; mso-text-raise: 0.0pt;">></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2pt; mso-font-width: 100%; mso-text-raise: 0.0pt; mso-fareast-font-family: 바탕;">ㅡ </span><span style="font-size: 12pt; mso-fareast-font-family: 바탕;">용화세상이다</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2pt; mso-font-width: 100%; mso-text-raise: 0.0pt; mso-fareast-font-family: 바탕;">ㅡ</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바탕; font-size: 12pt; mso-font-width: 100%; mso-text-raise: 0.0pt;"><</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2pt; mso-font-width: 100%; mso-text-raise: 0.0pt; mso-fareast-font-family: 바탕;">宮都春</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바탕; font-size: 12pt; mso-font-width: 100%; mso-text-raise: 0.0pt;">></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2pt; mso-font-width: 100%; mso-text-raise: 0.0pt; mso-fareast-font-family: 바탕;">ㅡ </span><span style="font-size: 12pt; mso-fareast-font-family: 바탕;">정도로 대입이 가능하다고 본다</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바탕; font-size: 12pt; mso-font-width: 100%; mso-text-raise: 0.0pt;">.</span></p><p class="0" style="-ms-layout-grid-mode: both; mso-pagination: none; mso-padding-alt: 0.0pt 0.0pt 0.0pt 0.0pt;"><span style="font-family: 바탕; font-size: 12pt;"></span><span style="font-size: 12pt; mso-fareast-font-family: 바탕;"> 추가한다면 그리스로마 신전의 형태나 원구단</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바탕; font-size: 12pt; mso-font-width: 100%; mso-text-raise: 0.0pt;">, </span><span style="font-size: 12pt; mso-fareast-font-family: 바탕;">참성단</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바탕; font-size: 12pt; mso-font-width: 100%; mso-text-raise: 0.0pt;">, </span><span style="font-size: 12pt; mso-fareast-font-family: 바탕;">마야의 신전</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바탕; font-size: 12pt; mso-font-width: 100%; mso-text-raise: 0.0pt;">, </span><span style="font-size: 12pt; mso-fareast-font-family: 바탕;">피라미드</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바탕; font-size: 12pt; mso-font-width: 100%; mso-text-raise: 0.0pt;">, </span><span style="font-size: 12pt; mso-fareast-font-family: 바탕;">우리 전통마을의 구조</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바탕; font-size: 12pt; mso-font-width: 100%; mso-text-raise: 0.0pt;">, </span><span style="font-size: 12pt; mso-fareast-font-family: 바탕;">절의 형태 등등 거의가 삼신하나님과 천지인의 삼계와 관련된 건축구조로 이루어져 있다고 본다</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바탕; font-size: 12pt; mso-font-width: 100%; mso-text-raise: 0.0pt;">.</span></p><p class="0" style="-ms-layout-grid-mode: both; mso-pagination: none; mso-padding-alt: 0.0pt 0.0pt 0.0pt 0.0pt;"><span style="font-family: 바탕; font-size: 12pt;"></span></p><p class="cafe-editor-text"></p><p class="cafe-editor-text"><br></p></font><p><br></p>
번호
329
328
327
326
325
훈민정음 자모음기호 28자에 담긴 비밀 11>
훈민정음 자모음기호에 담긴 비밀 11>앞글에서 다룬 기본 모음기호의 의미에 둘 이상의 다수나 전체적인 움직임을 나타내는 기호가 ㅑ, ㅕ, ㅛ, ㅠ로 일단 정리를 해볼까 한다.5, ㅑ둘 이상의 다수나 모두가 내일로, 앞으로, 밖으로 향하는 수평적 운동의 방향성을 의미 6, ㅕ둘 이상의 다수나 모두가 과거로, 뒤로, 안으로 향하는 수평적 운동의 방향성을 의미7, ㅛ둘 이상의 다수나 모두가 생겨나는, 위로, 겉으로 들어나..
324
323
322
321
320
옥편이 픽션인 이유
활(活) 옥편에서는 이 문자를 살활 또는 물 흐를 활로 읽고 있는데 파자하면 이렇게 된다.活 = 1,(삐침 세 개)+2,(씨알점 또는 / 로 둘 다 비슷한 의미)+(+)+(ㅁ)뜻: 1, 살다, 생존하다, 살아 나가다, 태어나다, 소생하게 하다, 2, 물 흐르다, 물의 흐름이 빠른 모양 자원: 물수(水)와 입 막을 팔( )을 합친 글자로 막혔던 물이 터져 한꺼번에 세차게 흐르는 것으로 살다, 생동하다를 뜻함으로 되어있다.<1>에 쓰인 기호..
319
318
317
316
315
314
313
312
311
310
309
308
307
306
305
회원정보
닉네임
하심 (kyoung4339)
가입일
2008-07-23
등급
운영자 (1)
활동
포인트 : 0 점
게시물 작성수 : 0 개
댓글 작성수 : 개
쪽지보내기
게시물 신고하기
게시판 성격에 맞지 않거나 불건전한 게시물을 운영자에게 신고할 수 있습니다.
운영자 확인 후 해당글 삭제조치 및 해당 회원에게 불이익이 갈 수 있습니다.
허위신고시에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니 신중하게 신고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