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코리아    SF    Boston    Washington D.C    Chicago    Atlanta    Canada
NewsLife InfoRealtySell & BuyJobsHealthCultureFood/TourIssueYellowPageShopping
회원가입 아이디/비밀번호찾기
Culture
USA CULTURE
USA 전시소식
USA 공연소식
USA 문화예술뉴스
KOREA 전시소식
USA 문화포커스뉴스
미국영화소식
공모/컨테스트 공지
문학뉴스
추천베스트 신간도서
인기신간도서
새 음악/음반/벨소리
중견초대작가 뉴욕갤러리
Fine Art
photography
Digital Art
전문가초대칼럼
[뉴욕코리아]<아침의 시>
[poem]English Poem
정다운 우리가곡
멀티미디어 영상작품
전문가칼럼/기고
전문가 칼럼
공연.전시행사모습
USA예술문화행사포토
USA 유명갤러리탐방
USA유명갤러리 탐방
티켓알아보기
티켓예매처 바로가기
 
 

   

   

    

회원정보
닉네임
가입일 2008-07-23
등급 운영자 (1)
활동
포인트 : 0
게시물 작성수 : 0
댓글 작성수 : 0
쪽지보내기
받을아이디
제목
내용
(0/200바이트)
 
> Culture > 전문가칼럼/기고 > 전문가 칼럼
전문가 칼럼
팔궤와 역(易)은 고대한국인들의 심리학의 총서다 2>
작성자: 하심 작성자정보 조회: 8027 등록일: 2020-05-23


 

 팔괘와 역()은 우리가 알고 있는 상식처럼 고대의 차이나인들이 만들어 낸 것이 아니라 우리 조상님들이 만들어 사용한 독창적인 심리학과 정치철학서로서 그동안 우리의 정신이 얼마나 심하게 훼손되었는지 간단하게 예를 들까 한다.

 오늘날 팔괘와 역을 이야기하면 아예 손 사레를 치거나 점이나 보는 신비주의 정도로 밖에 보지 않고 있다고 보는데 옛 조상님들은 철저한 인간중심의 실용학문으로 팔괘와 역을 심리학과 정치철학에 사용했다고 본다.

 우선 팔괘를 이루고 있는 효와 관련된 것부터 이야기를 풀까 하는데 8개의 궤상을 이루고 있는 세 개의 겹쳐진 수평선에서 맨 위에 그려진 수평선은 인간의 감정적 양태를 의미하고 중간에 그려진 수평선은 분석과 판단을 내리는 생각의 양태를 의미하고 맨 아래에 그려진 수평선은 인간의 행동양태를 의미한다고 본다.

 따라서 이어진 양()의 부호는 긍정적인 심리(心理)적 양태를 의미하고 끊어진 음(--)의 부호는 부정적인 심리(心理)적 양태를 의미하게 됨으로 각자가 만들어낼 수 있는 감정과 생각과 행동의 개인적인 심리(心理)적 양태의 경우의 수는 8개가 되어 팔괘로 나타낼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최상의 긍정적인 심리적 양태는 건()의 부호로 최악의 부정적인 심리적 양태는 곤( )의 부호로 잡을 수 있고 나머지 여섯 괘는 이 사이로 보면 된다고 본다.

 예를 들면 감정은 부정적인데 생각과 행동은 긍정적일 경우나 감정과 생각은 긍정적인데 행동은 부정적인 경우 같은 것으로 팔괘는 인간의 개인적인 심리적 변화양태를 기호화 시킨 것이고 역경(易經)64궤는 너와 내가 가진 심리적인 경우의 수가 88임으로 서로가 부딪히며 인간세의 변화로 나타날 때 생겨날 수 있는 최대의 변화수를 의미하게 되어 8×8=64로서 64가지 경우의 수로서 인간세가 돌아간다는 의미가 된다고 본다.

 불가에 나타나는 수리수리 마하수리 수수리 사바하라는 수학적 표현도 역경과 깊게 연관된 것으로 수리수리는 너와 내가 가진 심리적인 경우의 수를 의미하고 마하수리는 그것이 분란의 근원임을 의미하게 되고 수수리 사바하는 너와 내가 수수리로 부딪힐 때 나타나는 64가지 양태의 인간세가 곧 속세임을 사바하로 표현하고 있다고 본다.

 ㅡ<팔괘와 역경을 모르고는 도저히 표현할 수 없는 수학적 논리라 보는데 석가모니 부처가 한민족 계열의 성자라는 여러 학자들의 주장을 참고 하길 바란다.>

 그러므로 팔괘와 역경은 이러한 인간과 인간세의 경우의 수를 잘 살펴 공동체를 조화로 이끌어야 함을 나타내는 지도자의 정치철학적 지침서로 고대의 한국인들이 만들어 낸 기호문자라 보는데 오늘날 조상들이 남긴 훌륭한 학문적 바탕을 더욱 갈고 다듬지는 못하더라도 자신의 뿌리조차 부정하며 고대 차이나인들이 지어낸 신화적 이야기에 동화되어 <진시황 때 부터라 본다.>선조들이 물려준 보배로운 유산을 점이나 보는 신비주의 정도로 비하시켜 바라보는 부끄러운 현실을 우리는 깊이 반성해야 한다고 본다.

 라이프니쯔가 자신이 생각하고 있던 이진수 체계를 역경과 연계시켜 현대 컴퓨터의 작동원리인 이진수의 탁월한 수학적 바탕을 세웠다고는 하지만 한국 고대의 선조들 중 한분이신 태호복희 씨는 최소한 오천년 이전에 이미 그것을 뛰어넘어 심리학과 정치철학적 분야로 까지 확대 적용시키고 있었다고 보는데 라이프니쯔가 수직적 음양운동에 초점을 맞추었다면 팔괘와 역은 수평적 음양운동에 초점을 맞추어 자유자재로 팔괘와 역의 원리를 인간문명에 실재적으로 사용한 분들이 우리고대 선조들이라는 걸 이제는 알았을 것이니 자신의 뿌리에 대한 무한한 자부심을 가져도 좋으리라 본다.

 아울러 여기서는 심리학과 정치철학적 분야에만 국한시켜 간략하게 설명했으나 여러 분야의 과학 원리에 응용할 수 있다고 보기에 관심을 가지기를 희망해 본다.

 또한 슈메르 민족은 메소포타미아에서 자생한 민족이 아니라 동방에서 이동해 온 아시아인이며 문자도 가지고 있었다는 영국학자 크레머의 글을 읽어보면 이 사람의 말에 더욱 공감하리라 본다.


 2012년도 4월달에 올린 글인데 앞글과 연계해 보시라고 다시 한 번 올려봅니다.

 그리고 그동안 편의를 보아주신 운영진분들께도 감사의 인사를 드립니다.

 제게는 많은 힘이되었습니다.

 


트위터 트위터 페이스북 페이스북
댓글 : 0
번호
제목 작성자 조회 등록일
404
개성상인과 배니스의 상인
하심 4173 2019-11-03
403
예배와 제사는 다르지 않다 그리고 한류
하심 4553 2019-11-02
402
창조와 진화
하심 6440 2019-10-31
401
이기적 유전자론과 자연 선택론에 대한 견해
하심 5010 2019-10-28
400
생명이란 무엇인가 5>
하심 4746 2019-10-26
399
이기적 유전자론에 대한 반박
하심 4980 2019-08-23
398
생명이란 무엇인가? 3>
하심 5845 2019-08-17
397
생명이란 무엇인가? 2>
하심 4963 2019-08-04
396
생명이란 무엇인가?
하심 5808 2019-07-26
395
천부경으로 보는 솔로몬의 별과 666
하심 5410 2019-07-03
394
숫자 영(0)과 일(ㅣ, ㅡ)과 자연수가 만들어지는 원리
하심 5275 2019-07-03
393
원방각의 개념적 적용
하심 5076 2019-07-02
392
우리말 하늘과 땅의 개념
하심 4845 2019-06-29
391
천부표로 푸는 살 활(活)
하심 4857 2019-06-28
390
천부표로 푸는 은문천부경에 쓰인 대략적 문자
하심 4718 2019-06-27
389
천부표로 푸는 쉴 휴(休)
하심 7203 2019-06-25
388
천부경과 관련된 토막글
하심 4112 2019-06-23
387
천부경에 대한 올바른 해석방향
하심 4606 2019-06-01
386
천부경에 대한 현재의 시각
하심 4366 2019-06-01
385
천부경의 역사적 근거
하심 4606 2019-05-31
384
천부경의 의미
하심 4802 2019-05-28
383
희망
하심 4057 2019-05-26
382
포옹
하심 4424 2019-05-16
381
천부경을 바탕으로 한 개념적 표준화 제안
하심 4739 2019-05-14
380
세계사의 정신적 리더가 될 이 좋은 기회를 놓칠 것인가?
하심 5344 2019-05-13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회원정보
닉네임 하심 (kyoung4339)
가입일 2008-07-23
등급 운영자 (1)
활동
포인트 : 0
게시물 작성수 : 0
댓글 작성수 : 0
쪽지보내기
닉네임 하심 (kyoung4339)
제목
내용
(0/200바이트)
게시물 신고하기
게시판 성격에 맞지 않거나 불건전한 게시물을 운영자에게 신고할 수 있습니다.
운영자 확인 후 해당글 삭제조치 및 해당 회원에게 불이익이 갈 수 있습니다.
허위신고시에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니 신중하게 신고해주세요.
글 제목 팔궤와 역(易)은 고대한국인들의 ...
글 작성자 하심
신고이유
회사소개 | 개인정보취급방침 | 회원약관 | 고객지원센터 | 제휴 및 광고문의 | 광고안내   
 

 

Contact Us : 고객문의센터, Tel: 대표 201-674-5611

E-mail: newyorkkorea77@gmail.com, newyorkkorea@naver.com, 빠른카톡상담ID : newyorkkorea 

미국최대 대표포털 뉴욕코리아는 미국법률변호사고문 및 미국저작권법의 보호를 받고 있으며, 컨텐츠 및 기사의 무단 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  

Copyright (c) New York Korea, INC. News Media Group in US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