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의 한자풀이와 말풀이
가운데 중=(ㅁ)+(ㅣ)
중자는 은문천부경에 그 자원으로 보이는 원형이 나오는데 "인중천지일"이라는 문장에 쓰인 중자가 그것으로 한자 가운데 중이 어떤 뜻으로 만들어진 문자인지 입증하는 중요한 단서라고 본다.
-< 은문천부경은 인터넷으로 검색하면 뜨니 참고 바람 >-
왜냐하면 은문천부경의 설계에 쓰인 문자배치도에서 대각선 엑스(×)로 배치된 네 개의 문자가 의미하는 천지창조이야기에 이 중자가 쓰이고 있다는 것이 강력한 증거로 체인 본체의 하느님과 용인 객체의 삼신하님을 동시에 나타내는 가운데 중심에 배치된 육(ㅜ)을 중심으로 대각선 엑스(×)로 배치된 네 개의 문자인 무, 일, 중, 일에 이 문자가 쓰이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대각선으로 배치된 네 개의 문자 중 맨 왼쪽 가장 위쪽에 배치된 무자는 체인 본체의 하느님이 창조한 하늘을 이루는 순수질료를 의미하고 - < 이 카페에 올린 "일시무시일과 일종무종일"이라는 글 참조 >- 맨 오른쪽 가장 아래에 배치된 중자는 체인 본체의 하느님으로부터 갈라져 나온 용 즉 쓰임인 삼신의 하나님이 하늘의 순수질료를 재료로 창조한 물질적인 천지인 삼계를 의미하게 된다.
따라서 두 개의 일(ㅡ)자에서 맨 오른쪽 가장 위쪽에 배치된 일(ㅡ)자는 하느님이 창조한 본체의 하늘을 의미하고 맨 왼쪽 가장 아래에 배치된 일(ㅡ)자는 삼신의 하나님이 창조한 객체인 물질적인 천지인을 의미하게 된다.
그러므로 인간을 기준으로 보면 천일의 하나님과 천계는 태양과 태양계가 되고 지일의 하나님과 지계는 지구와 달의 중력과 지구와 달이 되고 인일의 하나님과 인계는 생태계가 되어 천일과 천계, 지일과 지계의 운행에 따른 밤과 낮, 사계절의 변화 등으로 나타나는 공간적 변화와 하루, 한달, 일 년 등의 시간적 변화에 맞추어 그 섭리에 따라 인일의 하나님은 둘로 갈라져 혼의 특성으로 나타나는 만물의 대물림활동과 -< 시간운동으로 나타나는 창조와 소멸의 수직적 입체운동, 무의식, 본능적 의지 >- 영의 특성으로 나타나는 만물의 먹이활동을 -< 공간운동으로 나타나는 모임과 흩어짐의 수평적 평면운동, 의식, 계획된 의지>- 주도하게 된다.
-< 계시판에 올린 천자문과 관련된 글 참조 >-
이를 나타내는 것이 은문천부경에 쓰인 중자의 의미로 (ㅇ)은 천지인의 삼계를 의미하고 (ㅣ)은 천일, 지일, 인일의 삼신하나님을 의미하고 원위에 그려진 두 개의 깃발그림은 천일, 지일의 하나님이 주도하는 천지가 변화하고 있음을 원 아래에 그려진 한 개의 깃발그림은 천일, 지일의 하나님이 주도하는 천지의 운행에 따라 그 섭리대로 인일의 하나님도 영혼으로 나뉘어져 만물의 시공간운동의 변화를 이끌어내고 있음을 나타내는 문자가 은문천부경에 쓰인 중자의 의미가 된다.
따라서 육(ㅜ)을 중심으로 대각선으로 배치된 문자들의 의미는 본체인 유일의 하느님이 창조한 본체의 하늘 속에서 하느님은 둘로 나뉘어져 천일, 지일의 하나님으로 나타나 천지를 창조하였고 그 이후 본체의 하느님을 대신해 인일의 하나님과 인계를 -< 생태걔 >- 창조해 그 변화를 이끌어내고 있음을 의미하는 삼신하나님과 천지인 삼계의 창조이야기를 담고 있기에 동양에서 만물을 왜 천지의 자식이라 하는지에 대한 답이 될 것이라 본다.
그러므로 중자의 의미는 옥편식 의미인 가운데 중의 의미라기 보다는 천일, 지일의 하나님이 창조한 천지와 천일, 지일의 하나님과 천지가 창조한 인일의 하나님과 인계의 변화를 나타내는 문자로 중자를 옥편에서는 자원으로 네모난 상자를 관통하고 있는 막대기를 본뜬 글자라는 등 정말 말도 안되는 유치한 헛소리를 하고 있는데 은문천부경에 적용된 우주론과 설계원리만 제대로 이해해도 최소한 은문천부경에 쓰인 문자들 만큼은 어떤 의미로 만들어진 문자인지 확실한 결론을 이끌어낼 수 있기에 현재 쓰이고 있는 한자로 기록된 한자식 천부경에 쓰인 문자들의 정확한 자원해석도 가능하게 되어 옥편의 허구가 적나라하게 들어남른 물론 이와 관련된 제반학문들의 허구가 밝혀지고 입증되는 것은 시간문제일 뿐이라고 확신한다.
참고로 이 카페에 올린 "우리고유의 하느님을 도둑질한 서양종교"라는 글을 참고하면 하느님이나 하나님이라는 용어는 서양종교에는 없는 호칭으로 이미 오래전부터 써온 우리 고유의 신칭이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