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정보
닉네임
가입일
2008-07-23
등급
운영자 (1)
활동
포인트 : 0 점
게시물 작성수 : 0 개
댓글 작성수 : 개
USA 전시소식
‘보이지 않는 것들(Invisible Things)’ 여성 작가 2인 회화, 조각, 설치 미술 전시
작성자: NYKorea
조회: 17659 등록일: 2017-06-15
‘보이지 않는 것들(Invisible Things)’ 여성 작가 2인 회화, 조각, 설치 미술 전시 ✤ 기간: 2017년 6월 9일(금) - 6월 30일(금)
✤ 개막행사: 2017년 6월 9일(금) 오후 6시
✤ 참여작가: 이경자, 이혜민
✤ 장소: 워싱턴 한국문화원
Free RSVP to the opening reception!
CLICK HERE or scroll down to the RSVP form.
워싱턴 한국문화원(원장 박명순)은 오는 6월 9일부터 6월 30일까지 ‘보이지 않는 것들(Invisible Things)’란 주제로 전시회를 개최한다. 이번 전시에는 이경자, 이혜민 등 여성작가 2인의 회화, 조각, 설치미술 약 30점이 전시될 예정이다. 두 작가는 각자만의 개성 있는 예술적 표현 방식과 재료를 통해 눈에 보이지는 않지만 우리 삶 속에 항상 존재하는 일상의 기억과 감정 등에 대해 이야기한다. 이들 작가는 작품을 통해 현대 사회에서 간과되기 쉬운 소소한 기억과 감정의 소중함을 되새기며 예술적 아름다움을 표출한다. 관객들은 작품들을 통해 각자의 감정과 추억을 돌이켜 보며, 보이지는 않지만 존재하는 것에 대해 성찰해보는 기회를 가질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이경자 작가는 삶의 경험에서 인상 깊었던 순간들의 기억에 상상력을 가미해 다양한 색채와 기하학적 도형의 형태로 재구성하는 작업을 하고 있다. 이 작가는 이러한‘기억’들의 파편을 회상하고 조합하여 작가 고유의 화면을 캔버스에 담는다. 그림 속에 등장하는 다양한 사물, 기호, 문자들은 작가의 어린 시절의 추억 속 물건이기도 하고 여행 속에서 만난 풍경의 일부이기도 하다. 작품 속 가득 차 있는 수많은 이미지와 낯익은 사물들은 관객들의 개개인의 기억을 자극하고 그들에게 보이지 않지만 존재하는 각자의 순간들을 다시 상상할 수 있는 시간을 선사한다.
이경자 작가는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원 회화과를 졸업하였다. 주요 개인전으로는 인사아트센터 (2014), 한가람 미술관 (2013), 가나아트센 터 (2011) 등이 있다. 또한 서울미술관(2014)와 갤러리 그림 안(2012)등 단체전시에 참여하며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다.
이경자 Re.collection of the moments 3, Silkscreen, 2016
이경자 My story 14, Oil on Canvas, 2013
이경자 My Story 32, Oil on Canvas, 2014
이경자 Re.collection of the moments 7, Oil on Canvas, 2017
이혜민 작가는 사랑, 꿈, 희망, 추억 등과 같은 육안으로 보이지 않지만 우리가 평소에 느끼는 일상적인‘감정’에 대해 이야기한다. 버려진 천, 나무 프레임, 사물의 조각 등 불완전한 재료를 사용하며, 쌓고 엮고 붙이는 등의 반복된 작업으로 하나의 단단하고 완전한 작품을 만든다. 불안정하고 완벽하지 않은 재료들을 소소하고 간과하기 쉬운 일상의 감정에 비유하며 이를 시각화한 작품으로 만드는 과정은 마치 작가가 자신의 내면을 치유하는 작업과도 같다. 특히 버려진 한복 천 조각조각을 바느질해 수백 개의 작은 베개를 만들어 쌓아 올리고 나열한 ‘Pillow (배개) 시리즈’는 감정의 조각들이 치유되어 하나의 온전한 예술작품으로 재탄생 된다.
이혜민은 서울대학교 조소과와 뉴욕대학교 대학원 석사 과정을 마쳤다. 주요 개인전으로는 영은 미술관 (2016), 갤러리 EM (2016), 아트모라 뉴욕 (2015)과 텐리 컬쳐 센터 뉴욕 (2014) 등이 있다. 또한 다수의 단체전에도 참여한 경력이 있으며, 최근에는 한국 홍콩 아트바젤을 비롯해 키아프 (2016), 부산 아트페어(2016), 비비시엔 뱅크(뉴욕, 2013) 등에 참가하는 등 한국과 해외를 오가며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다.
이혜민 Pillow Series, Cloth and Cotton, 2014
이혜민 Pillow Series, Cloth and Cotton, 2016
이혜민 Metamorphosis, Bronze, 2016
이혜민 Pillow Series, Cloth and Cotton, 2015
전시 개막 행사는 6월 9일(금) 오후 6시 워싱턴 한국문화원에서 열리며, 작가들의 작품 세계에 대한 소개가 있을 예정이다. 참가는 무료이나 워싱턴 한국문화원 홈페이지 www.koreaculturedc.org 를 통해 사전 예약해야 한다. 전시장 운영 시간은 월~금 오전 9시부터 오후 5시 30분까지이다. (점심시간 낮 12시- 오후1시 30분 제외)
[ⓒ 뉴욕코리아 ( www.newyorkkorea.net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font color="#000000" face="돋움"><!--StartFragment--><span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font size="3"><span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font color="#000000"><font size="3"><font color="#000000"><span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font size="3"><span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font color="#000000" size="3"><h4>‘보이지 않는 것들(Invisible Things)’ 여성 작가 2인 회화, 조각, 설치 미술 전시</h4><div><font color="#000000" face="돋움체, dotumche"><span style="font-size: 12pt;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기간: 2017년 6월 9일(금) - 6월 30일(금)</span></font></div><div><font color="#000000" face="돋움체, dotumche"><span style="font-size: 12pt;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개막행사: 2017년 6월 9일(금) 오후 6시</span></font></div><div><font color="#000000" face="돋움체, dotumche"><span style="font-size: 12pt;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참여작가: 이경자, 이혜민</span></font></div><div><font color="#000000" face="돋움체, dotumche"><span style="font-size: 12pt;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장소: 워싱턴 한국문화원</span></font></div><div><font color="#000000" face="돋움체, dotumche"><span style="font-size: 12pt;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br></span></font></div><div><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1pt 0pt 0cm; text-align: center; line-height: normal;"><span style="font-family: arial; font-size: 14pt;"><font color="#951015">Free RSVP to the opening reception! </font></span></p><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1pt 0pt 0cm; text-align: center; line-height: normal;"><span style="font-family: arial; font-size: 14pt;"><font color="#951015"><span style="font-size: 14pt;"><a href="https://docs.google.com/forms/d/e/1FAIpQLSfQHlu8KKK-32DNeisPgoP62BzuWmHpqDtDlumc8SAL8HuKpg/viewform?usp=sf_link" target="_self"><u><font color="#0066cc">CLICK HERE</font></u></a> </span>or scroll down to the RSVP form. </font></span></p></div><div><font color="#000000" face="돋움체, dotumche"><span style="font-size: 13.33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span></font></div><div align="justify" style="text-align: justify;"><font color="#000000" face="돋움체, dotumche"><span style="font-size: 13.33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워싱턴 한국문화원(원장 박명순)은 오는 6월 9일부터 6월 30일까지 ‘보이지 않는 것들(Invisible Things)’란 주제로 전시회를 개최한다. 이번 전시에는 이경자, 이혜민 등 여성작가 2인의 회화, 조각, 설치미술 약 30점이 전시될 예정이다. 두 작가는 각자만의 개성 있는 예술적 표현 방식과 재료를 통해 눈에 보이지는 않지만 우리 삶 속에 항상 존재하는 일상의 기억과 감정 등에 대해 이야기한다. 이들 작가는 작품을 통해 현대 사회에서 간과되기 쉬운 소소한 기억과 감정의 소중함을 되새기며 예술적 아름다움을 표출한다. 관객들은 작품들을 통해 각자의 감정과 추억을 돌이켜 보며, 보이지는 않지만 존재하는 것에 대해 성찰해보는 기회를 가질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span></font></div><div align="justify" style="text-align: justify;"><font color="#000000" face="돋움체, dotumche"><span style="font-size: 13.33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br></span></font></div><div align="justify" style="text-align: justify;"><font color="#000000" face="돋움체, dotumche"><span style="font-size: 13.33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이경자 작가는 삶의 경험에서 인상 깊었던 순간들의 기억에 상상력을 가미해 다양한 색채와 기하학적 도형의 형태로 재구성하는 작업을 하고 있다. 이 작가는 이러한‘기억’들의 파편을 회상하고 조합하여 작가 고유의 화면을 캔버스에 담는다. 그림 속에 등장하는 다양한 사물, 기호, 문자들은 작가의 어린 시절의 추억 속 물건이기도 하고 여행 속에서 만난 풍경의 일부이기도 하다. 작품 속 가득 차 있는 수많은 이미지와 낯익은 사물들은 관객들의 개개인의 기억을 자극하고 그들에게 보이지 않지만 존재하는 각자의 순간들을 다시 상상할 수 있는 시간을 선사한다.</span></font></div><div align="justify" style="text-align: justify;"><font color="#000000" face="돋움체, dotumche"><span style="font-size: 13.33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br></span></font></div><div align="justify" style="text-align: justify;"><font color="#000000" face="돋움체, dotumche"><span style="font-size: 13.33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이경자 작가는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원 회화과를 졸업하였다. 주요 개인전으로는 인사아트센터 (2014), 한가람 미술관 (2013), 가나아트센</span></font><span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돋움체, dotumche; font-size: 13.33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터 (2011) 등이 있다. 또한 서울미술관(2014)와 갤러리 그림 안(2012)등 단체전시에 참여하며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다.</span></div><div align="justify" style="text-align: justify;"><span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돋움체, dotumche; font-size: 13.33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br></span></div><div align="justify" style="text-align: justify;"><div align="center" style="text-align: center;"><img title="2017052312283_14%20Re%E3%80%AEcollection%20of%20the%20moments%203_40x52cm_Silkscreen_%202016"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돋움체, dotumche; font-size: 13.33px;" src="http://www.koreaculturedc.org/Upload/Photo/Editor/201705/2017052312283_14%20Re%E3%80%AEcollection%20of%20the%20moments%203_40x52cm_Silkscreen_%202016.jpg"></div><span style="font-size: 13.33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div align="center" style="text-align: center;"><font color="#000000" face="돋움체, dotumche"><br></font></div></span></div><div align="justify" style="text-align: justify;"></div><div align="justify" style="text-align: justify;"><span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돋움체, dotumche; font-size: 13.33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div align="center" style="text-align: center;">이경자 <span style="font-size: 13.33px;">Re.collection of the moments 3, Silkscreen, 2016</span></div></span></div><div align="justify" style="text-align: center;"><span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돋움체, dotumche; font-size: 13.33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br></span></div><div align="justify" style="text-align: center;"><span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돋움체, dotumche; font-size: 13.33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img title="2017052332929_12%20My%20story14%2050x50cm%20Oil%20on%20Canvas%202013" src="http://www.koreaculturedc.org/Upload/Photo/Editor/201705/2017052332929_12%20My%20story14%2050x50cm%20Oil%20on%20Canvas%202013.jpg"><br style="clear: both;"><br></span></div><div align="justify" style="text-align: center;"><span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돋움체, dotumche; font-size: 13.33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이경자</span><span style="font-size: 13.33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font color="#000000" face="돋움체, dotumche"> My story 14, Oil on Canvas, 2013</font></span></div><div align="justify" style="text-align: center;"><span style="font-size: 13.33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font color="#000000" face="돋움체, dotumche"><br></font></span></div><div align="justify" style="text-align: center;"><span style="font-size: 13.33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font color="#000000" face="돋움체, dotumche"><img title="2017052323041_My%20Story32_%2050x50cm_%20Oil%20on%20Canvas_2014%20(1)" src="http://www.koreaculturedc.org/Upload/Photo/Editor/201705/2017052323041_My%20Story32_%2050x50cm_%20Oil%20on%20Canvas_2014%20(1).jpg"><br style="clear: both;"></font></span><span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돋움체, dotumche; font-size: 13.33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br></span></div><div align="justify" style="text-align: center;"><font color="#000000"><span style="font-family: 돋움체, dotumche; font-size: 13.33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이경자</span><span style="font-size: 13.33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font face="돋움체, dotumche"><span style="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span></font></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한양중고딕;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My Story 32, Oil on Canvas, 2014</span></font></div><div align="justify" style="text-align: center;"><font color="#000000"><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한양중고딕;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br></span></font></div><div align="justify" style="text-align: center;"><font color="#000000"><span style="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font face="한양중고딕"><span style="letter-spacing: 0pt;"><img title="2017052350444_Re%E3%80%AEcollection%20of%20the%20moments7_162x112cm_oil%20on%20canvas_2017%20" src="http://www.koreaculturedc.org/Upload/Photo/Editor/201705/2017052350444_Re%E3%80%AEcollection%20of%20the%20moments7_162x112cm_oil%20on%20canvas_2017%20.jpg"></span></font><br style="clear: both;"><font face="한양중고딕"><br></font></span></font></div><div align="justify" style="text-align: center;"><font color="#000000"><span style="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font face="한양중고딕">이경자 Re.collection of the moments 7, </font></span></font><span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돋움체, dotumche; font-size: 13.33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Oil on Canvas,</span><font color="#000000"><span style="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font face="한양중고딕"> 2017 </font></span></font></div><div align="justify" style="text-align: center;"><br></div><div align="justify" style="text-align: center;"><br></div><div align="justify" style="text-align: justify;"><font color="#000000" face="돋움체, dotumche"><span style="font-size: 13.33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이혜민 작가는 사랑, 꿈, 희망, 추억 등과 같은 육안으로 보이지 않지만 우리가 평소에 느끼는 일상적인‘감정’에 대해 이야기한다. 버려진 천, 나무 프레임, 사물의 조각 등 불완전한 재료를 사용하며, 쌓고 엮고 붙이는 등의 반복된 작업으로 하나의 단단하고 완전한 작품을 만든다. 불안정하고 완벽하지 않은 재료들을 소소하고 간과하기 쉬운 일상의 감정에 비유하며 이를 시각화한 작품으로 만드는 과정은 마치 작가가 자신의 내면을 치유하는 작업과도 같다. 특히 버려진 한복 천 조각조각을 바느질해 수백 개의 작은 베개를 만들어 쌓아 올리고 나열한 ‘Pillow (배개) 시리즈’는 감정의 조각들이 치유되어 하나의 온전한 예술작품으로 재탄생 된다.</span></font></div><div align="justify" style="text-align: justify;"><font color="#000000" face="돋움체, dotumche"><span style="font-size: 13.33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br></span></font></div><div align="justify" style="text-align: justify;"><font color="#000000" face="돋움체, dotumche"><span style="font-size: 13.33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이혜민은 서울대학교 조소과와 뉴욕대학교 대학원 석사 과정을 마쳤다. 주요 개인전으로는 영은 미술관 (2016), 갤러리 EM (2016), 아트모라 뉴욕 (2015)과 텐리 컬쳐 센터 뉴욕 (2014) 등이 있다. 또한 다수의 단체전에도 참여한 경력이 있으며, 최근에는 한국 홍콩 아트바젤을 비롯해 키아프 (2016), 부산 아트페어(2016), 비비시엔 뱅크(뉴욕, 2013) 등에 참가하는 등 한국과 해외를 오가며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다.</span></font></div><div align="justify" style="text-align: justify;"><font color="#000000" face="돋움체, dotumche"><span style="font-size: 13.33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br></span></font></div><div align="justify" style="text-align: justify;"><div style="text-align: center;"><img title="2017052372067_1%EC%9D%B4%ED%98%9C%EB%AF%BC-139837"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돋움체, dotumche; font-size: 13.33px;" src="http://www.koreaculturedc.org/Upload/Photo/Editor/201705/2017052372067_1%EC%9D%B4%ED%98%9C%EB%AF%BC-139837.jpg"></div><p align="center" class="0" style="text-align: center; -ms-word-break: keep-all; mso-padding-alt: 0pt 0pt 0pt 0pt; mso-pagination: none;"><font color="#000000"><span style="font-family: 돋움, dotum; font-size: 10pt;">이혜민 </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돋움, dotum; font-size: 10pt;">Pillow Series, Cloth and Cotton, 2014</span></font></p></div><div align="justify" style="text-align: center;"><font color="#000000" face="돋움체, dotumche"><span style="font-size: 13.33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br></span></font></div><div align="justify" style="text-align: center;"><font color="#000000" face="돋움체, dotumche"><span style="font-size: 13.33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img title="2017052321145_1HO9A4762" src="http://www.koreaculturedc.org/Upload/Photo/Editor/201705/2017052321145_1HO9A4762.jpg"><br style="clear: both;"></span></font><p class="0" style="-ms-word-break: keep-all;"><br></p><p class="0" style="-ms-word-break: keep-all;"><font color="#000000"><span style="font-family: 돋움, dotum; font-size: 10pt;">이혜민 </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돋움, dotum; font-size: 10pt;">Pillow Series, Cloth and Cotton, 2016 </span></font></p></div><div align="justify" style="text-align: center;"><font color="#000000" face="돋움체, dotumche"><span style="font-size: 13.33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br></span></font></div><div align="justify" style="text-align: center;"><font color="#000000" face="돋움체, dotumche"><span style="font-size: 13.33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img title="2017052346835_1%EC%9A%A9%EB%9F%89%EC%B6%95%EC%86%8C_%EC%9D%B4%ED%98%9C%EB%AF%BC-156888" src="http://www.koreaculturedc.org/Upload/Photo/Editor/201705/2017052346835_1%EC%9A%A9%EB%9F%89%EC%B6%95%EC%86%8C_%EC%9D%B4%ED%98%9C%EB%AF%BC-156888.jpg"><br style="clear: both;"><br></span></font></div><div align="justify" style="text-align: center;"><p class="0" style="-ms-word-break: keep-all;"><font color="#000000"><span style="font-family: 돋움, dotum; font-size: 10pt;">이혜민 </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돋움, dotum; font-size: 10pt;">Metamorphosis, Bronze, 2016</span></font></p><p class="0" style="-ms-word-break: keep-all;"><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한양중고딕; mso-ascii-font-family: 한양중고딕; mso-font-width: 100%; mso-text-raise: 0pt;"><br></span></p><p class="0" style="-ms-word-break: keep-all;"><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한양중고딕; mso-ascii-font-family: 한양중고딕; mso-font-width: 100%; mso-text-raise: 0pt;"><img title="2017052349933_KakaoTalk_20160811_180832080" src="http://www.koreaculturedc.org/Upload/Photo/Editor/201705/2017052349933_KakaoTalk_20160811_180832080.jpg"><br style="clear: both;"></span></p><p class="0" style="-ms-word-break: keep-all;"><font color="#000000"><br></font></p><p class="0" style="-ms-word-break: keep-all;"><font color="#000000"><span style="font-family: 돋움, dotum; font-size: 10pt;">이혜민 </span></font><span style="color: rgb(0, 0, 0); letter-spacing: 0pt; font-family: 돋움, dotum; font-size: 10pt;">Pillow Series, Cloth and Cotton, 2015 </span></p><p class="0" style="-ms-word-break: keep-all;"><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한양중고딕; mso-ascii-font-family: 한양중고딕; mso-font-width: 100%; mso-text-raise: 0pt;"><br></span></p><p class="0" style="-ms-word-break: keep-all;"><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한양중고딕; mso-ascii-font-family: 한양중고딕; mso-font-width: 100%; mso-text-raise: 0pt;"><br></span></p></div><div align="justify" style="text-align: justify;"><font color="#000000" face="돋움체, dotumche"><span style="font-size: 13.33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전시 개막 행사는 6월 9일(금) 오후 6시 워싱턴 한국문화원에서 열리며, 작가들의 작품 세계에 대한 소개가 있을 예정이다. 참가는 무료이나 워싱턴 한국문화원 홈페이지 www.koreaculturedc.org 를 통해 사전 예약해야 한다. 전시장 운영 시간은 월~금 오전 9시부터 오후 5시 30분까지이다. (점심시간 낮 12시- 오후1시 30분 제외)</span></font><br></div></font><p></p></span><p></p></font><p></p></span><p></p></font><p></p></font><p></p></font><p></p></span><p></p></font><p></p></span><p></p></font><p></p><p><font color="#000000" face="돋움"><span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font size="3"><span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font color="#000000"><font size="3"><font color="#000000"><span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font size="3"><span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font color="#000000" size="3"><br></font></span></font></span></font></font></font></span></font></span></font></p><p><font color="#000000" face="돋움"><span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font size="3"><span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font color="#000000"><font size="3"><font color="#000000"><span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font size="3"><span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font color="#000000" size="3"><br></font></span></font></span></font></font></font></span></font></span></font></p><p><font color="#000000" face="돋움"><span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font size="3"><span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font color="#000000"><font size="3"><font color="#000000"><span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font size="3"><span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font color="#000000" size="3"><br></font></span></font></span></font></font></font></span></font></span></font></p><p><font color="#000000" face="돋움"><span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font size="3"><span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font color="#000000"><font size="3"><font color="#000000"><span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font size="3"><span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font color="#000000" size="3"><br></font></span></font></span></font></font></font></span></font></span></font></p><p><font color="#000000" face="돋움"><span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font size="3"><span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font color="#000000"><font size="3"><font color="#000000"><span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font size="3"><span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font color="#000000" size="3"><br></font></span></font></span></font></font></font></span></font></span></font></p><p><font color="#000000" face="돋움"><span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font size="3"><span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font color="#000000"><font size="3"><font color="#000000"><span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font size="3"><span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font color="#000000" size="3"><br></font></span></font></span></font></font></font></span></font></span></font></p><p><font color="#000000" face="돋움"><span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font size="3"><span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font color="#000000"><font size="3"><font color="#000000"><span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font size="3"><span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font color="#000000" size="3"><br></font></span></font></span></font></font></font></span></font></span></font></p><p><font color="#000000" face="돋움"><span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font size="3"><span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font color="#000000"><font size="3"><font color="#000000"><span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font size="3"><span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font color="#000000" size="3">[ⓒ 뉴욕<a><a><a><a><a><a>코리아<a><a><a><a><a><a><a><a>(</a></font><a><a><a><a><a><a><a><a><a><a><a><a><a><a></a><a style="color: rgb(53, 53, 53); text-decoration: none;" href="http://www.lakorea.net/" target="_blank"><a><a><a><a><a><a><a><a></a><font color="#000000" size="3"><a><a><a><a><a><a><a><a><a><a><a><a><a><a></a><a href="http://www.newyorkkorea.net">www.newyorkkorea.net</a></font><font color="#000000"><font size="3"><font color="#000000">),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font></font></font></span></font></span></font></font></font></span></font></span></font></p>
번호
67
Gallery Chun, 남성 10인 그룹전 "Marching in March"
GalleryChun
12511
2012-03-26
35-14, 150 Place. 2F, Flushing, NY 11354, gallerychun1@gmail.com
Gallery Chun, 남성 10인 그룹 전 “Marching in March”
전시일정: 3월27일 – 4월21일, 2012
립셉션: 3월29일 목요일 오후 6시 – 8시
참여작가 ; 박준, 김경한, 최흥열, 박태준, 이종왕, 송종림, 우규웅, 박한홍, 이상수, 이아론
많은 한인 들이 자리잡고 있는 플러싱 150 Place에 새로운 문화의 터전으로 자리..
66
65
64
Gallery Chun 개관전, 여성 10인 그룹전 "Woman Power". 3월1일~24일까지
GalleryChun
15185
2012-02-29
Gallery Chun 개관전, 여성 10인 그룹 전
“Woman Power”
●전시일정: 3월1일 – 24일
●립셉션: 3월1일 목요일 오후 6시 – 8시30분
참여작가 ; 김주상, 강종숙, 박경희, 안성민, 승인영, 황연니, 김정인, 강주현, 김은진, 김남경
뉴욕 플러싱에 새로 개관을 하는 “Gallery Chun”의 첫 개관전으로 뉴욕에서 활동하는 10인의 여성작가 그룹전을 3월1일..
63
62
61
60
59
58
57
56
55
54
53
52
51
50
49
48
47
46
45
44
43
42
41
40
39
38
회원정보
닉네임
NYKorea (_admin_)
가입일
2008-07-23
등급
운영자 (1)
활동
포인트 : 0 점
게시물 작성수 : 0 개
댓글 작성수 : 개
쪽지보내기
게시물 신고하기
게시판 성격에 맞지 않거나 불건전한 게시물을 운영자에게 신고할 수 있습니다.
운영자 확인 후 해당글 삭제조치 및 해당 회원에게 불이익이 갈 수 있습니다.
허위신고시에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니 신중하게 신고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