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정보
닉네임
가입일
2008-07-23
등급
운영자 (1)
활동
포인트 : 0 점
게시물 작성수 : 0 개
댓글 작성수 : 개
USA 전시소식
아시아 현대 미술 작가 3인의‘Asian Identity' 전시회 개최
작성자: NYCulture
조회: 17892 등록일: 2018-12-07
아시아 현대 미술 작가 3인의‘Asian Identity' 전시회 개최 ✤ 기간: 2018년 12월 7일(금) - 2019년 1월 4일(금)
✤ 개막 행사: 2018년 12월 7일(금) 오후 6시
✤ 참여 작가: Sarawut Chutiwongpeti (태국), Yuni Kim Lang (한국), Khánh H. Lê (베트남)
✤ 장소: 워싱턴한국문화원
RSVP: scroll down to the form below. No RSVP needed during regular hours.
워싱턴한국문화원은 오는 12월 7일부터 2019년 1월 4일까지 아시아 현대미술 작가 3인이 참여하는‘Asian Identity’전시회를 개최합니다. 이번 전시는 주미 태국 대사관과 협력해 기획되된 것으로 전시회에 참여한 Sarawut Chutiwongpeti (태국), Yuni Kim Lang (한국), Khánh H. Lê (베트남) 등 3인의 아시아 미술가들은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며 자신의 문화유산을 지키고 정체성을 찾아가는 과정을 담은 사진, 콜라주, 영상 등 다양한 장르의 작품 20여 점을 선보일 예정입니다. 다양한 문화들이 공존하며 빠르게 변하는 세계화의 흐름을 함께 겪고 있는 이들 작가들은 아시아인으로서 자신들의 고유한 문화유산과 정체성을 탐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믿고 있으며 예술작품을 통해 현시대가 직면하는 다양한 이슈들에 대해 이야기하고자 합니다. 아시안 문화에 대한 관심이 세계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번 전시는 미 현지에 창의력 있는 아시안 현대 미술 작가들의 발전 가능성을 소개하는 좋은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사라웃 츄티웡페티 (Sarawut Chutiwongpeti) 작가는 전 세계 여러 곳을 끊임 없이 여행 다니며 새로운 환경과 경험에 영감을 받아 작업을 합니다. 오늘날 빠르게 변화하는 사회 속에서 예술과 문화의 교차 현상에 대해 탐구하며 예술가로서 자신만의 독특한 목소리와 정체성을 찾아가고 있습니다. 그의 작품은 모국 태국의 문화와 현재 작가가 지향하는 네오 노마드(neo nomad 신유목민/ 빠르게 이동하는 유목민적 삶)와 연결하는 수단이 됩니다. 작가가 이번 전시에서 선보이는 Untitled (Wishes, Lies 및 Dream) 시리즈는 자신의 그려보는 유토피아의 일부로, 작가 자신이 세계에 관해 배우고 새로운 정체성을 발견해 나가는 경험을 담았습니다.
사라웃 츄티웡페티(Sarawut Chutiwongpeti) 작가는 방콕의 출라롱콘 (Chulalongkorn)大에서 순수 미술 학사를 마친 후 스위스 루체른(Lucerne)大에서 예술 과학 전공으로 석사를 마쳤습니다. 한국 창동 국립미술창작스튜디오, 울산 남구 장생포 창작스튜디오 등에서 레지던시로 참여했으며 이후 한국의 갤러리 이레, 오스트리아의 그라츠 쿤스트 페레 인 (Graz Kunstverein), 스페인의 데이비스 리스보아 미니 뮤지엄 (The Davis Lisboa Mini-Museum of Contemporary Art) 등에서 개인전을 열었습니다. 또한 제 6회 아테네 비엔날레, 제3회 중국 곤명 미술 비엔날레, 2015년 부산 비엔날레 바다 미술제 등 다양한 전시에 참여해오고 있습니다.
Sarawut Chutiwongpeti
Series of Untitled (Wishes, Lies and Dreams >> The Dream of a Greater Countries … )
Sarawut Chutiwongpeti
Series of Untitled (Wishes, Lies and Dreams >> One To Another…)
Sarawut Chutiwongpeti
Series of Untitled (Wishes, Lies and Dreams >> The Dream of a Greater Countries…)
유니 킴 랭 (Yuni Kim Lang) 작가는 작품을 통해 민족성, 지역, 특징적인 문화를 갖는 사회나 그룹으로부터 자신의 위치를 찾고 이해하려는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조각, 사진, 설치, 공연 등 다양한 장르의 작품을 제작하며 다방면의 관점에서 자신의 정체성을 탐구하고 있습니다. 3살 때 한국을 떠나 외국에서 자라온 작가는 어린 시절 문화적 정체성을 고민하는 과정에서 한국인을 상징하는 특성 중의 하나인 검정색 머리카락에 주목하게 되었습니다. 미국인들 사이에서 작가의 검정색 머리는 심리적으로나 미학적으로 큰 의미를 부여합니다. 또한 작품에 등장하는 매듭은 문화적 상징으로 다양한 의미를 내포합니다. 마치 머리카락과도 같은 어두운 색의 커다란 매듭의 덩어리는 강렬하고 아름답지만 너무 부담스럽고 무겁습니다. 작가에게 있어 매듭은 우리를 마치 우리의 내적 자아와 외부를 연결시켜주는 것과 같으며 자신의 정체성을 찾고 외부와의 대화를 시작하는 통로라고 생각합니다.
유니 킴 랭 (Yuni Kim Lang) 작가는 파슨스 디자인 스쿨에서 회화 학사, 시카고 크랜브룩 아카데미에서 회화 석사를 마쳤습니다. 이후 중국 레드게이트 갤러리 (Red Gate Gallery)에서 레지던시를 마쳤으며 버몬트 스튜디오 센터 (Vermont Studio Centre)에서 성적 우수 장학금(Merit Based Scholarship)을 받았습니다. 또한 프로스트 아트 뮤지엄 (Frost Art Museum), 시에나 갤러리(Sienna Gallery) 등에서 개인전을 개최했으며 콜러 아트 센터(Kohler Art Center), 뉴욕 Collective 2 Design Art Fair, Brooklyn Metal Works, 네덜란드 갤러리 마르쩨 (Galerie Marzee)등 한국과 세계를 무대로 활발한 전시 활동에 참여 해오고 있습니다.
Yuni Kim Lang
Comfort Hair - Hair Landscape III
Digital pigment, 2013
Yuni Kim Lang
Blooming - Mother and Child
Digital pigment, 2017
Yuni Kim Lang
Untitled Series
Mixed fiber, 2017
칸 리 (Khánh H. Lê) 작가는 문화와 기억이란 주제를 통해 자신의 정체성에 관해 탐구하고 문제를 제기합니다. 베트남계 미국인으로서 미국에서 성장하면서 자신의 정체성을 새로운 문화에 적응시키는 것을 배우며 이를 작품으로 표현하였습니다. 모순과 분열은 작가의 작품의 구조 내에서 정체성에 대해 논의할 때 중요한 이슈입니다. 가족의 사진, 디지털, 잡지 등에서 이미지를 수집하고 금속 및 비즈들을 함께 콜라주 (조각난 사진 이미지를 결합) 하는 과정을 통해 자신의 정체성 속에 내포된 긴장감을 반영하는 새로운 장르의 작품을 선보이고 있습니다.
칸 리 (Khánh H. Lê) 작가는 美 서던 일리노이大에서 학사, 시라큐스大에서 석사를 마쳤습니다. 워싱턴 디씨 지역을 중심으로 전시 활동을 하고 있으며 헌터돈 아트뮤지엄 (Hunterdon Art Museum), 코코란 갤러리 오브아트(Corcoran Gallery of Art), 복스 포퓰리(Vox Populi), 알링턴 아트 센터 (Arlington Art Center) 등 뉴욕, 필라델피아, 워싱턴 디씨를 중심으로 작품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2011 년과 2015 년에 DC예술인문위원회(The DC Commission on the Arts and Humanities)로부터 시각 및 예술 부문에서 예술가 펠로쉽 (The Artist Fellowship)을 수여했습니다.
Khánh H. Lê
Sitting There to Wait For
Mixed Media: Gold and silver paint, acrylic jewels, glitter, sequins and archival print on wood panel, 2018
Khánh H. Lê
Trying Out the Borrowed, One-Pedal Bicycle
Mixed Media: Gold and silver paint, acrylic jewels, and archival print on wood panel, 2017
Khánh H. Lê
United
Mixed Media: Gold and silver paint, acrylic jewels, glitter, sequins and archival print on wood panel, 2018
전시 개막행사는 12월 7일(금) 오후 6시 워싱턴한국문화원에서 열립니다. 참가는 무료이나 워싱턴한국문화원 홈페이지 www.koreaculturedc.org를 통해 사전 예약해야 합니다. 전시장 운영 시간은 월~금 오전 9시부터 오후 5시 30분까지입니다. (점심시간 낮 12시- 오후1시 30분 제외)
[ⓒ 뉴욕코리아 ( www.newyorkkorea.net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p><font color="#000000" face="돋움"><!--StartFragment--><span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font size="3"><span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font color="#000000"><font size="3"><font color="#000000"><span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font size="3"><span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font color="#000000" size="3"><br></font></span></font></span></font></font></font></span></font></span></font></p><font color="#000000" face="돋움"><span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font size="3"><span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font color="#000000"><font size="3"><font color="#000000"><span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font size="3"><span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font color="#000000" size="3"><h4>아시아 현대 미술 작가 3인의‘Asian Identity' 전시회 개최 </h4><div><span style="font-family: 돋움, dotum; font-size: 10pt;"><font color="#000000">✤ 기간: 2018년 12월 7일(금) - 2019년 1월 4일(금)</font></span></div><div><span style="font-family: 돋움, dotum; font-size: 10pt;"><font color="#000000">✤ 개막 행사: 2018년 12월 7일(금) 오후 6시 </font></span></div><div><span style="font-family: 돋움, dotum; font-size: 10pt;"><font color="#000000">✤ 참여 작가: Sarawut Chutiwongpeti (태국), Yuni Kim Lang (한국), Khánh H. Lê (베트남) </font></span></div><div><span style="font-family: 돋움, dotum; font-size: 10pt;"><font color="#000000">✤ 장소: 워싱턴한국문화원</font></span></div><div><span style="font-family: 돋움, dotum; font-size: 10pt;"><font color="#000000"><br></font></span></div><div style="text-align: left;"><b style="text-align: center; font-family: Lato; font-size: 14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font color="#ff0000"><span style="font-size: 11pt;">RSVP: scroll down to the form below. No RSVP needed during regular hours. </span></font></b></div><div><b style="text-align: center; font-family: Lato; font-size: 14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font color="#ff0000"><span style="font-size: 11pt;"><br></span></font></b></div><div align="justify" style="text-align: justify;"><span style="font-family: 돋움, dotum; font-size: 10pt;"><font color="#000000">워싱턴한국문화원은 오는 12월 7일부터 2019년 1월 4일까지 아시아 현대미술 작가 3인이 참여하는‘Asian Identity’전시회를 개최합니다. </font></span><span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돋움, dotum; font-size: 13.33px;">이번 전시는 주미 태국 대사관과 협력해 기획되된 것으로</span><span style="font-family: 돋움, dotum; font-size: 10pt;"><font color="#000000"> 전시회에 참여한 Sarawut Chutiwongpeti (태국), Yuni Kim Lang (한국), Khánh H. Lê (베트남) 등 3인의 아시아 미술가들은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며 자신의 문화유산을 지키고 정체성을 찾아가는 과정을 담은 사진, 콜라주, 영상 등 다양한 장르의 작품 20여 점을 선보일 예정입니다. 다양한 문화들이 공존하며 빠르게 변하는 세계화의 흐름을 함께 겪고 있는 이들 작가들은 아시아인으로서 자신들의 고유한 문화유산과 정체성을 탐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믿고 있으며 예술작품을 통해 현시대가 직면하는 다양한 이슈들에 대해 이야기하고자 합니다. 아시안 문화에 대한 관심이 세계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번 전시는 미 현지에 창의력 있는 아시안 현대 미술 작가들의 발전 가능성을 소개하는 좋은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font></span></div><div align="justify" style="text-align: justify;"><br></div><div><div align="justify" style="text-align: justify;"><span style="font-family: 돋움, dotum; font-size: 10pt;"><font color="#000000">사라웃 츄티웡페티 (Sarawut Chutiwongpeti) </font></span><span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돋움, dotum; font-size: 13.33px;">작가는</span><span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돋움, dotum; font-size: 10pt;"> 전 세계 여러 곳을 끊임 없이 여행 다니며 새로운 환경과 경험에 영감을 받아 작업을 합니다. 오늘날 빠르게 변화하는 사회 속에서 예술과 문화의 교차 현상에 대해 탐구하며 예술가로서 자신만의 독특한 목소리와 정체성을 찾아가고 있습니다. 그의 작품은 모국 태국의 문화와 현재 작가가 지향하는 네오 노마드(neo nomad 신유목민/ 빠르게 이동하는 유목민적 삶)와 연결하는 수단이 됩니다. 작가가 이번 전시에서 선보이는 Untitled (Wishes, Lies 및 Dream) 시리즈는 자신의 그려보는 유토피아의 일부로, 작가 자신이 세계에 관해 배우고 새로운 정체성을 발견해 나가는 경험을 담았습니다.</span></div><div align="justify" style="text-align: justify;"><font color="#000000"><br></font></div><div align="justify" style="text-align: justify;"><span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돋움, dotum; font-size: 13.33px;">사라웃 츄티웡페티(Sarawut Chutiwongpeti) </span><span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돋움, dotum; font-size: 13.33px;">작가는 </span><span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돋움, dotum; font-size: 10pt;">방콕의 출라롱콘 (Chulalongkorn)大에서 순수 미술 학사를 마친 후 스위스 루체른(Lucerne)大에서 예술 과학 전공으로 석사를 마쳤습니다. 한국 창동 국립미술창작스튜디오, 울산 남구 장생포 창작스튜디오 등에서 레지던시로 참여했으며 이후 한국의 갤러리 이레, 오스트리아의 그라츠 쿤스트 페레 인 (Graz Kunstverein), 스페인의 데이비스 리스보아 미니 뮤지엄 (The Davis Lisboa Mini-Museum of Contemporary Art) 등에서 개인전을 열었습니다. 또한 제 6회 아테네 비엔날레, 제3회 중국 곤명 미술 비엔날레, 2015년 부산 비엔날레 바다 미술제 등 다양한 전시에 참여해오고 있습니다. </span></div><div><span style="font-family: 돋움, dotum; font-size: 10pt;"><font color="#000000"><br></font></span></div><div style="text-align: center;"><span style="font-family: 돋움, dotum; font-size: 10pt;"><font color="#000000"><img title="2018112029571_02_Photography_The%20Dream%20of%20a%20Greater%20Countries_2016" src="http://www.koreaculturedc.org/Upload/Photo/Editor/201811/2018112029571_02_Photography_The%20Dream%20of%20a%20Greater%20Countries_2016.jpg"><br></font></span></div><div><p class="1" style="text-align: center; line-height: 130%; mso-pagination: none; mso-padding-alt: 0.0pt 0.0pt 0.0pt 0.0pt;"><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맑은 고딕"; font-size: 9pt;'><font color="#000000"><span style="font-family: 돋움, dotum;">Sarawut Chutiwongpeti </span></font></span></p><p class="1" style="text-align: center; line-height: 130%; mso-pagination: none; mso-padding-alt: 0.0pt 0.0pt 0.0pt 0.0pt;"><font color="#000000"><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돋움, dotum; font-size: 9pt;">Series of Untitled (Wishes, Lies and Dreams >> The Dream of a Greater Countries</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돋움, dotum; font-size: 9pt;">…</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돋움, dotum; font-size: 9pt;">)</span></font></p></div><div><span style="font-family: 돋움, dotum; font-size: 10pt;"><font color="#000000"><br></font></span></div><div style="text-align: center;"><span style="font-family: 돋움, dotum; font-size: 10pt;"><font color="#000000"><img title="2018112029450_03_Sarawut_Chutiwongpeti_One%20To%20Another_2016_Page_07" src="http://www.koreaculturedc.org/Upload/Photo/Editor/201811/2018112029450_03_Sarawut_Chutiwongpeti_One%20To%20Another_2016_Page_07.jpg"></font></span></div><div style="text-align: center;"><span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돋움, dotum;"><br></span></div><div style="text-align: center;"><span style="font-family: 돋움, dotum; font-size: 9pt;"><font color="#000000"><span style="font-family: 돋움, dotum; font-size: 9pt;">Sarawut Chutiwongpeti</span></font></span></div><div style="text-align: center;"><span style="color: rgb(33, 33, 33); font-family: 돋움, dotum; font-size: 9pt;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Series of Untitled (Wishes, Lies and Dreams >> One To Another…)</span></div><div><div style="text-align: center;"><img title="2018112076924_03_Video%20Art_The%20Dream%20of%20a%20Greater%20Countries_2016"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돋움, dotum; font-size: 10pt;" src="http://www.koreaculturedc.org/Upload/Photo/Editor/201811/2018112076924_03_Video%20Art_The%20Dream%20of%20a%20Greater%20Countries_2016.jpg"></div><div style="text-align: center;"><br></div><div style="text-align: center;"><span style="font-family: 돋움, dotum; font-size: 9pt;"><font color="#000000"><span style="font-family: 돋움, dotum; font-size: 9pt;">Sarawut Chutiwongpeti</span></font></span></div><div style="text-align: center;"><span style="font-family: 돋움, dotum; font-size: 9pt;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font color="#000000">Series of Untitled (Wishes, Lies and Dreams >> The Dream of a Greater Countries…)</font></span></div></div><div style="text-align: center;"><span style="font-family: 돋움, dotum; font-size: 9pt;"><font color="#000000"><br></font></span></div><div align="justify" style="text-align: justify;"><span style="font-family: 돋움, dotum; font-size: 10pt;"><font color="#000000">유니 킴 랭 (Yuni Kim Lang) 작가는 작품을 통해 민족성, 지역, 특징적인 문화를 갖는 사회나 그룹으로부터 자신의 위치를 찾고 이해하려는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조각, 사진, 설치, 공연 등 다양한 장르의 작품을 제작하며 다방면의 관점에서 자신의 정체성을 탐구하고 있습니다. 3살 때 한국을 떠나 외국에서 자라온 작가는 어린 시절 문화적 정체성을 고민하는 과정에서 한국인을 상징하는 특성 중의 하나인 검정색 머리카락에 주목하게 되었습니다. 미국인들 사이에서 작가의 검정색 머리는 심리적으로나 미학적으로 큰 의미를 부여합니다. 또한 작품에 등장하는 매듭은 문화적 상징으로 다양한 의미를 내포합니다. 마치 머리카락과도 같은 어두운 색의 커다란 매듭의 덩어리는 강렬하고 아름답지만 너무 부담스럽고 무겁습니다. 작가에게 있어 매듭은 우리를 마치 우리의 내적 자아와 외부를 연결시켜주는 것과 같으며 자신의 정체성을 찾고 외부와의 대화를 시작하는 통로라고 생각합니다. </font></span></div><div align="justify" style="text-align: justify;"><span style="font-family: 돋움, dotum; font-size: 10pt;"><font color="#000000"><br></font></span></div><div align="justify" style="text-align: justify;"><span style="font-family: 돋움, dotum; font-size: 10pt;"><font color="#000000">유니 킴 랭 (Yuni Kim Lang) </font></span><span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돋움, dotum; font-size: 13.33px;">작가는</span><span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돋움, dotum; font-size: 10pt;"> 파슨스 디자인 스쿨에서 회화 학사, 시카고 크랜브룩 아카데미에서 회화 석사를 마쳤습니다. 이후 중국 레드게이트 갤러리 (Red Gate Gallery)에서 레지던시를 마쳤으며 버몬트 스튜디오 센터 (Vermont Studio Centre)에서 성적 우수 장학금(Merit Based Scholarship)을 받았습니다. 또한 프로스트 아트 뮤지엄 (Frost Art Museum), 시에나 갤러리(Sienna Gallery) 등에서 개인전을 개최했으며 콜러 아트 센터(Kohler Art Center), 뉴욕 Collective 2 Design Art Fair, Brooklyn Metal Works, 네덜란드 갤러리 마르쩨 (Galerie Marzee)등 한국과 세계를 무대로 활발한 전시 활동에 참여 해오고 있습니다.</span></div><div align="justify" style="text-align: justify;"><font color="#000000"><br></font></div><div style="text-align: justify;"><font color="#000000"><br></font></div><div style="text-align: center;"><img title="2018112091753_lang-comforthair1" src="http://www.koreaculturedc.org/Upload/Photo/Editor/201811/2018112091753_lang-comforthair1.jpg"></div><div style="text-align: center;"><p class="1" style="line-height: 130%;"><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맑은 고딕; mso-font-width: 100%; mso-text-raise: 0.0pt;"><font color="#000000"><span style="font-family: 돋움, dotum; font-size: 9pt;"><br></span></font></span></p><p class="1" style="line-height: 130%;"><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맑은 고딕; mso-font-width: 100%; mso-text-raise: 0.0pt;"><font color="#000000"><span style="font-family: 돋움, dotum; font-size: 9pt;">Yuni Kim Lang </span></font></span></p><p class="1" style="line-height: 130%;"><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맑은 고딕; mso-font-width: 100%; mso-text-raise: 0.0pt;"><font color="#000000"><span style="font-family: 돋움, dotum; font-size: 9pt;">Comfort Hair - Hair Landscape III</span></font></span></p><p class="1" style="line-height: 130%;"><font color="#000000"><span lang="EN-US" style="font-family: 돋움, dotum; font-size: 9pt;"></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돋움, dotum; font-size: 9pt;">Digital pigment, 2013</span></font></p></div><div><br></div><div style="text-align: center;"><img title="2018112018052_lang-blooming2" src="http://www.koreaculturedc.org/Upload/Photo/Editor/201811/2018112018052_lang-blooming2.jpg"></div><div style="text-align: center;"><font color="#000000"><br></font></div><div style="text-align: center;"><p class="1" style="line-height: 130%;"><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맑은 고딕; mso-font-width: 100%; mso-text-raise: 0.0pt;"><font color="#000000"><span style="font-family: 돋움, dotum; font-size: 9pt;">Yuni Kim Lang </span></font></span></p><p class="1" style="line-height: 130%;"><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맑은 고딕; mso-font-width: 100%; mso-text-raise: 0.0pt;"><font color="#000000"><span style="font-family: 돋움, dotum; font-size: 9pt;">Blooming - Mother and Child</span></font></span></p><p class="1" style="line-height: 130%;"><font color="#000000"><span lang="EN-US" style="font-family: 돋움, dotum; font-size: 9pt;"></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돋움, dotum; font-size: 9pt;">Digital pigment, 2017 </span></font></p></div><div><br style="clear: both;"><div style="text-align: center;"><img title="2018112012323_lang-blooming3" src="http://www.koreaculturedc.org/Upload/Photo/Editor/201811/2018112012323_lang-blooming3.jpg"></div><p><br></p><p style="margin: 0pt 0in; text-align: center; line-height: normal; text-indent: 0in; unicode-bidi: embed; direction: ltr; -ms-word-break: keep-all; language: ko; mso-vertical-align-alt: auto; punctuation-wrap: simple;"><span style="font-family: 돋움, dotum; font-size: 9pt;"><font color="#000000">Yuni Kim Lang</font></span></p><p style="margin: 0pt 0in; text-align: center; line-height: normal; text-indent: 0in; unicode-bidi: embed; direction: ltr; -ms-word-break: keep-all; language: ko; mso-vertical-align-alt: auto; punctuation-wrap: simple;"><font color="#000000"><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돋움, dotum; font-size: 9pt; vertical-align: baseline; font-variant-numeric: normal; font-variant-east-asian: normal;">Untitled</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돋움, dotum; font-size: 9pt; vertical-align: baseline; font-variant-numeric: normal; font-variant-east-asian: normal;">Series</span></font></p><p style="margin: 0pt 0in; text-align: center; line-height: normal; text-indent: 0in; unicode-bidi: embed; direction: ltr; -ms-word-break: keep-all; language: ko; mso-vertical-align-alt: auto; punctuation-wrap: simple;"><span style="vertical-align: baseline; font-variant-numeric: normal; font-variant-east-asian: normal;"><font color="#000000" face="돋움, dotum"><span style="font-family: 돋움, dotum; font-size: 9pt;"> Mixed fiber, 2017</span></font></span></p><p style="margin: 0pt 0in; text-align: center; line-height: normal; text-indent: 0in; unicode-bidi: embed; direction: ltr; -ms-word-break: keep-all; language: ko; mso-vertical-align-alt: auto; punctuation-wrap: simple;"><br></p></div><div align="justify" style="text-align: justify;"><span style="font-family: 돋움, dotum; font-size: 10pt;"><font color="#000000">칸 리 (Khánh H. Lê) 작가는 문화와 기억이란 주제를 통해 자신의 정체성에 관해 탐구하고 문제를 제기합니다. 베트남계 미국인으로서 미국에서 성장하면서 자신의 정체성을 새로운 문화에 적응시키는 것을 배우며 이를 작품으로 표현하였습니다. 모순과 분열은 작가의 작품의 구조 내에서 정체성에 대해 논의할 때 중요한 이슈입니다. 가족의 사진, 디지털, 잡지 등에서 이미지를 수집하고 금속 및 비즈들을 함께 콜라주 (조각난 사진 이미지를 결합) 하는 과정을 통해 자신의 정체성 속에 내포된 긴장감을 반영하는 새로운 장르의 작품을 선보이고 있습니다. </font></span></div><div align="justify" style="text-align: justify;"><font color="#000000"><br></font></div><div align="justify" style="text-align: justify;"><span style="font-family: 돋움, dotum; font-size: 10pt;"><font color="#000000">칸 리 (Khánh H. Lê) 작가는 美 서던 일리노이大에서 학사, 시라큐스大에서 석사를 마쳤습니다. 워싱턴 디씨 지역을 중심으로 전시 활동을 하고 있으며 헌터돈 아트뮤지엄 (Hunterdon Art Museum), 코코란 갤러리 오브아트(Corcoran Gallery of Art), 복스 포퓰리(Vox Populi), 알링턴 아트 센터 (Arlington Art Center) 등 뉴욕, 필라델피아, 워싱턴 디씨를 중심으로 작품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2011 년과 2015 년에 DC예술인문위원회(The DC Commission on the Arts and Humanities)로부터 시각 및 예술 부문에서 예술가 펠로쉽 (The Artist Fellowship)을 수여했습니다.</font></span></div></div><div style="text-align: justify;"><span style="font-family: 돋움, dotum; font-size: 10pt;"><font color="#000000"><br></font></span></div><div><div style="text-align: center;"><img title="2018112058856_Sitting%20There%20to%20Wait%20For"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돋움, dotum; font-size: 10pt;" src="http://www.koreaculturedc.org/Upload/Photo/Editor/201811/2018112058856_Sitting%20There%20to%20Wait%20For.jpg"></div><div style="text-align: center;"><br></div><div style="text-align: center;"><p class="1" style="line-height: 130%;"><font color="#000000"><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돋움, dotum; font-size: 9pt;">Khánh H. Lê</span><span lang="EN-US" style="font-family: 돋움, dotum; font-size: 9pt; font-weight: bold;"> </span></font></p><p class="1" style="line-height: 130%;"><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맑은 고딕; mso-font-width: 100%; mso-text-raise: 0.0pt;"><font color="#000000"><span style="font-family: 돋움, dotum; font-size: 9pt;">Sitting There to Wait For</span></font></span></p><p class="1" style="line-height: 130%;"><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맑은 고딕; mso-font-width: 100%; mso-text-raise: 0.0pt;"><font color="#000000"><span style="font-family: 돋움, dotum; font-size: 9pt;">Mixed Media: Gold and silver paint, acrylic jewels, glitter, sequins and archival print on wood panel, 2018</span></font></span></p><p class="1" style="line-height: 130%;"><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맑은 고딕; mso-font-width: 100%; mso-text-raise: 0.0pt;"><br></span></p></div><div style="text-align: center;"><img title="2018112096077_Trying%20Out%20the%20Borrowed_One-Petal%20Bicycle" src="http://www.koreaculturedc.org/Upload/Photo/Editor/201811/2018112096077_Trying%20Out%20the%20Borrowed_One-Petal%20Bicycle.jpg"></div><div style="text-align: center;"><p class="1" style="line-height: 130%;"><font color="#000000"><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돋움, dotum; font-size: 9pt;"><br></span></font></p><p class="1" style="line-height: 130%;"><font color="#000000"><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돋움, dotum; font-size: 9pt;">Khánh H. Lê</span><span lang="EN-US" style="font-family: 돋움, dotum; font-size: 9pt; font-weight: bold;"> </span></font></p><p class="1" style="line-height: 130%;"><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맑은 고딕; mso-font-width: 100%; mso-text-raise: 0.0pt;"><font color="#000000"><span style="font-family: 돋움, dotum; font-size: 9pt;">Trying Out the Borrowed, One-Pedal Bicycle</span></font></span></p><p class="1" style="line-height: 130%;"><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맑은 고딕; mso-font-width: 100%; mso-text-raise: 0.0pt;"><font color="#000000"><span style="font-family: 돋움, dotum; font-size: 9pt;">Mixed Media: Gold and silver paint, acrylic jewels, and archival print on wood panel, 2017</span></font></span></p><p class="1" style="line-height: 130%;"><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맑은 고딕; mso-font-width: 100%; mso-text-raise: 0.0pt;"><font color="#000000"><span style="font-family: 돋움, dotum; font-size: 9pt;"><br></span></font></span></p></div><div style="text-align: center;"><img title="2018112056697_United" src="http://www.koreaculturedc.org/Upload/Photo/Editor/201811/2018112056697_United.jpg"></div><div style="text-align: center;"><br></div><div style="text-align: center;"><span style="font-family: 돋움, dotum;"><font color="#000000"><span style="font-family: 돋움, dotum; font-size: 9pt;">Khánh H. Lê</span></font></span></div><div style="text-align: center;"><font color="#000000"><span style="font-family: 돋움, dotum; font-size: 9pt;">United</span></font></div><div style="text-align: center;"><font color="#000000"><span style="font-family: 돋움, dotum; font-size: 9pt;">Mixed Media: Gold and silver paint, acrylic jewels, glitter, sequins and archival print on wood panel, 2018</span></font><br></div></div><div><span style="font-family: 돋움, dotum; font-size: 10pt;"><font color="#000000"><br></font></span></div><div align="justify" style="text-align: justify;"><span style="font-family: 돋움, dotum; font-size: 10pt;"><font color="#000000">전시 개막행사는 12월 7일(금) 오후 6시 워싱턴한국문화원에서 열립니다. 참가는 무료이나 워싱턴한국문화원 홈페이지 www.koreaculturedc.org를 통해 사전 예약해야 합니다. 전시장 운영 시간은 월~금 오전 9시부터 오후 5시 30분까지입니다. (점심시간 낮 12시- 오후1시 30분 제외)</font></span></div><p><br></p></font><p></p></span><p></p></font><p></p></span><p></p></font><p></p></font><p></p></font><p></p></span><p></p></font><p></p></span><p></p></font><p></p><p><font color="#000000" face="돋움"><span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font size="3"><span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font color="#000000"><font size="3"><font color="#000000"><span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font size="3"><span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font color="#000000" size="3"><br></font></span></font></span></font></font></font></span></font></span></font></p><p><font color="#000000" face="돋움"><span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font size="3"><span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font color="#000000"><font size="3"><font color="#000000"><span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font size="3"><span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font color="#000000" size="3"><br></font></span></font></span></font></font></font></span></font></span></font></p><p><font color="#000000" face="돋움"><span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font size="3"><span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font color="#000000"><font size="3"><font color="#000000"><span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font size="3"><span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font color="#000000" size="3"><br></font></span></font></span></font></font></font></span></font></span></font></p><p><font color="#000000" face="돋움"><span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font size="3"><span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font color="#000000"><font size="3"><font color="#000000"><span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font size="3"><span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font color="#000000" size="3"><br></font></span></font></span></font></font></font></span></font></span></font></p><p><font color="#000000" face="돋움"><span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font size="3"><span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font color="#000000"><font size="3"><font color="#000000"><span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font size="3"><span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font color="#000000" size="3"><br></font></span></font></span></font></font></font></span></font></span></font></p><p><font color="#000000" face="돋움"><span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font size="3"><span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font color="#000000"><font size="3"><font color="#000000"><span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font size="3"><span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font color="#000000" size="3"><br></font></span></font></span></font></font></font></span></font></span></font></p><p><font color="#000000" face="돋움"><span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font size="3"><span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font color="#000000"><font size="3"><font color="#000000"><span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font size="3"><span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font color="#000000" size="3">[ⓒ 뉴욕<a><a><a><a><a><a>코리아<a><a><a><a><a><a><a><a>(</a></font><a><a><a><a><a><a><a><a><a><a><a><a><a><a></a><a style="color: rgb(53, 53, 53); text-decoration: none;" href="http://www.lakorea.net/" target="_blank"><a><a><a><a><a><a><a><a></a><font color="#000000" size="3"><a><a><a><a><a><a><a><a><a><a><a><a><a><a></a><a href="http://www.newyorkkorea.net">www.newyorkkorea.net</a></font><font color="#000000"><font size="3"><font color="#000000">),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font></font></font></span></font></span></font></font></font></span></font></span></font></p>
번호
246
245
244
243
☞
241
240
239
238
237
236
235
234
233
232
231
230
229
228
227
226
225
224
223
222
신진, 중견, 원로 작가 6인의 ‘자연으로부터, From Nature’ 전시
신진, 중견, 원로 작가 6인의 ‘자연으로부터, From Nature’ 전시✤ 기간: 2017년 8월 4일(금) - 8월 31일(목)✤ 개막행사: 2017년 8월 4일(금) 오후 6시~8시✤ 참여작가: 김부강, 성유림, 이향연, 정현, 조정우, 최수일✤ 장소: 워싱턴 한국문화원워싱턴 한국문화원(원장 박명순)은 오는 8월 4일부터 8월 31일까지 ‘자연으로부터 (From Nature)’ 란 주제로 전시회를 개최한다. 이번 전시에는 자연을 주제로 김부강, 성유림, ..
221
220
219
218
217
회원정보
닉네임
NYCulture (_admin_)
가입일
2008-07-23
등급
운영자 (1)
활동
포인트 : 0 점
게시물 작성수 : 0 개
댓글 작성수 : 개
쪽지보내기
게시물 신고하기
게시판 성격에 맞지 않거나 불건전한 게시물을 운영자에게 신고할 수 있습니다.
운영자 확인 후 해당글 삭제조치 및 해당 회원에게 불이익이 갈 수 있습니다.
허위신고시에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니 신중하게 신고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