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정보
닉네임
가입일
2008-07-23
등급
운영자 (1)
활동
포인트 : 0 점
게시물 작성수 : 0 개
댓글 작성수 : 개
USA 전시소식
디아스포라 재미 한인 아티스트 사진전 [2021 아시아 위크 특별전]
작성자: NYCulture
조회: 26190 등록일: 2021-03-23
디아스포라 재미 한인 아티스트 사진전 [2021 아시아 위크 특별전]
일정: 2021년 3월 17일 ~ 4월 30일 장소: 뉴욕한국문화원, 갤러리 코리아
온라인 전시 개막 행사: 2021년 3월 17일, 오후 6시 (동부 표준시)
『CREATION CONTINUA: Park Joon Photo Portraits of Korean Artist Diaspora in Greater New York』
뉴욕한국문화원(원장 조윤증)은 뉴욕을 기반으로 활동하고 있는 사진작가 박준이 촬영한 재미한인 미술가들의 초상작품을 최초로 선보이는 전시 을 오는 3월 17일부터 4월 30일까지 2021년 아시아위크 뉴욕(Asia Week New York) 특별전으로 개최한다고 발표하였다.
2021년 뉴욕아시아 위크 특별전으로 개최되는 이번 전시는 20세기 후반 미국으로 이주하여 현재까지 활발한 작품 활동을 펼치고 있는 한인 아티스트 50명의 초상이 시대순으로 전시되어 디아스포라 한인 아티스트들의 역사를 통해 한국현대미술사를 한눈에 조명할 수 있도록 기획된 전시이다.
뉴욕한국문화원(원장 조윤증)은 뉴욕을 기반으로 활동하고 있는 사진작가 박준이 촬영한 재미한인 미술가들의 초상작품을 최초로 선보이는 전시 을 오는 3월 17일부터 4월 30일까지 2021년 아시아위크 뉴욕(Asia Week New York) 특별전으로 개최한다고 발표하였다.
2021년 뉴욕아시아 위크 특별전으로 개최되는 이번 전시는 20세기 후반 미국으로 이주하여 현재까지 활발한 작품 활동을 펼치고 있는 한인 아티스트 50명의 초상이 시대순으로 전시되어 디아스포라 한인 아티스트들의 역사를 통해 한국현대미술사를 한눈에 조명할 수 있도록 기획된 전시이다.
<이번 전시에 소개될 작품 / 위-왼쪽부터 존배, 김차섭, 최일단, 선유(Sun You), 강익중, 김명희, 김원숙, 이가경, 마종일 작가 / 사진작가 박준 촬영>
‘디아스포라’의 사전적 의미는 ‘흩뿌리다’ 또는 ‘흩어지다’를 뜻하는 그리스어에서 파생한 단어로 세계 각지에서 자신의 문화를 지키며 살아가는 유대인들을 지칭하는 의미에서 최근에는 주류의 기준에서 벗어난 다양한 소수자의 삶과 실천을 포괄하는 담론으로 사용되고 있다.
같은 맥락에서 요즘처럼 이동과 이주가 자유롭고 출생지와 주 활동지역이 같지 않아도 전혀 이상할 게 없는 글로벌 시대에 디아스포라, 특히 디아스포라 아티스트라는 범위가 모국이 아닌 곳에 자의적으로 이주한 작가 모두를 포함시키는 보다 확장된 의미로 사용되고 있지만 1950-60년대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뉴욕의 한인 미술가들의 이주와 정착, 활동의 역사를 되새겨 보면 한국인이라는 정체성에 대한 고민이 보다 깊게 담겨 그 의미가 더욱 무겁고 뜻깊게 다가온다.
사진작가 박준 또한 뉴욕에서 활동하는 디아스포라 작가의 한 사람으로서 세계미술계를 주도하는 뉴욕이라는 도시에서 생존하며 의미 있는 족적을 남기고 있는 재미 한인 아티스트들의 삶과 역사를 정리해야 할 당위성을 느끼고 사진작가인 본인이 할 수 있는 방법으로 그들의 역사를 사진으로 기록하는 뜻깊은 프로젝트를 시작하였다고 한다.
박준의 이번 프로젝트가 더욱 특별한 점은 각각의 아티스트들의 모습이 가장 편안하면서도 본인들이 표현하고자 하는 모습이 잘 드러날 수 있도록 모든 촬영을 박준의 스튜디오가 아닌 피사체인 작가들의 작업실이나 거주지에서 진행되었다는 점과 모두 동일한 이동식 백드롭을 사용하여 나이와 성별, 경력 등에 연연하지 않고 오직 ‘인물’ 그 자체에만 초점을 맞추었다는 점이다. 이번 프로젝트는 본인이 원하든 원하지 않던 늘 작품의 이미지와 함께할 수 밖에 없는 숙명을 가진 작가들이 타인의 작품 속에서 오롯이 본인 그 자체로만 존재할 수 있었던 흔치 않은 시간에 대한 기록이며 이를 통해 재미 한인 아티스트들의 역사를 정립할 수 있었다는데서 더 큰 의미를 찾을 수 있다.
뉴욕한국문화원 조윤증 원장은 “뉴욕한국문화원은 1979년 설립된 이래 약 40여년 동안 한국문화를 알리는 전초기지로서 뉴욕에 정착한 한인 아티스트들과 함께 성장해 왔다”며 “문화원은 이번 전시를 통해 반세기가 훌쩍 넘는 재미한인 아티스트들의 역사를 되돌아보며 그들과 함께해온 뉴욕한국문화원의 미드타운 460 파크애브뉴 시대를 정리하고 동시에 뉴욕 한인타운 인근 신청사 이전을 앞두고 한인 아티스트들과 함께 새로운 비전과 미래를 준비하는 특별한 계기로 삼고자 한다”고 전시 개최 소감을 밝혔다.
뉴욕한국문화원은 코비드-19 사태에 따른 언택트 행사 방침에 따라서 3월 17일 오후 6시 온라인으로 전시 개막 행사를 개최할 계획이다. 이날 행사에는 전시장을 방문할 수 없는 아쉬움을 달래기 위해 전시장 모습을 촬영한 영상이 공개될 예정이며 뉴욕문화원 조희성 큐레이터와 공동으로 전시를 기획한 독립큐레이터 아이리스 문인희, 사진작가 박준을 비롯하여 세대별 대표 아티스트들과 함께하는 토크 프로그램도 마련되어 있다.
이번 전시는 2021년 3월 17일부터 4월 30일까지 뉴욕한국문화원 갤러리 코리아에서 개최되며 뉴욕문화원은 온라인 사전예약제를 통해 관람시간 별 입장 인원을 제한하여 사회적 거리두기를 준수하고 마스크 착용 점검 및 발열검사 등 사전 안전 조치를 철저히 한다는 방침이다. 뉴욕문화원은 여전히 방문을 꺼리게 되는 관람객들을 위해 집에서도 생생하게 전시를 관람할 수 있도록 ‘버추얼 갤러리’ 컨텐츠를 제작‧제공할 예정이다.
[ⓒ 뉴욕코리아 ( www.newyorkkorea.net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p><font color="#000000" face="돋움"><!--StartFragment--><span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font size="3"><span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font color="#000000"><font size="3"><font color="#000000"><span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font size="3"><span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font color="#000000" size="3"><br></font></span></font></span></font></font></font></span></font></span></font></p><p><font color="#000000" face="돋움"><span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font size="3"><span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font color="#000000"><font size="3"><font color="#000000"><span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font size="3"><span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font color="#000000" size="3"><br></font></span></font></span></font></font></font></span></font></span></font></p><p><font color="#000000" face="돋움"><span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font size="3"><span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font color="#000000"><font size="3"><font color="#000000"><span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font size="3"><span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font color="#000000" size="3">디아스포라 재미 한인 아티스트 사진전 [2021 아시아 위크 특별전]<br></font></span></font></span></font></font></font></span></font></span></font></p><p><font color="#000000" face="돋움"><span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font size="3"><span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font color="#000000"><font size="3"><font color="#000000"><span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font size="3"><span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font color="#000000" size="3"><br></font></span></font></span></font></font></font></span></font></span></font></p><font color="#000000" face="돋움"><span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font size="3"><span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font color="#000000"><font size="3"><font color="#000000"><span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font size="3"><span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font color="#000000" size="3"><div class="sqs-block-content"><p style="white-space: pre-wrap;"><strong>일정: 2021년 3월 17일 ~ 4월 30일<br>장소: 뉴욕한국문화원, 갤러리 코리아</strong></p><p style="white-space: pre-wrap;"><strong>온라인 전시 개막 행사: 2021년 3월 17일, 오후 6시 (동부 표준시)</strong></p></div><p><br></p></font><p></p></span><p></p></font><p></p></span><p></p></font><p></p></font><p></p></font><p></p></span><p></p></font><p></p></span><p></p></font><p></p><font color="#000000" face="돋움"><span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font size="3"><span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font color="#000000"><font size="3"><font color="#000000"><span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font size="3"><span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font color="#000000" size="3"><h3 style="text-align: center; white-space: pre-wrap;">『CREATION CONTINUA: Park Joon Photo Portraits of Korean Artist Diaspora <br>in Greater New York』</h3><p><table width="600" align="left" class="left" id="community_image"><tbody><tr><td><img width="600" align="absmiddle" src="/rankup_module/rankup_board/attach/performance/16165351119635.jpg"></td></tr></tbody></table></p><p><br></p><p><br></p><p><br></p><p><br></p><p><br></p><p><br></p><p><br></p><p><br></p><p><br></p><p><br></p><p><br></p><p><br></p><p><br></p><p><br></p><p><br></p><p><br></p><p><br></p><p><br></p><p><br></p><p><br></p><p><br></p><p><br></p><p><br></p><div class="sqs-block html-block sqs-block-html" id="block-659f1c309001847702b3" data-block-type="2"><div class="sqs-block-content"><p style="white-space: pre-wrap;">뉴욕한국문화원(원장 조윤증)은 뉴욕을 기반으로 활동하고 있는 사진작가 박준이 촬영한 재미한인 미술가들의 초상작품을 최초로 선보이는 전시 <creation york="" new="" greater="" in="" diaspora="" artist="" korean="" of="" portraits="" photo="" joon="" park="">을 오는 3월 17일부터 4월 30일까지 2021년 아시아위크 뉴욕(Asia Week New York) 특별전으로 개최한다고 발표하였다. </creation></p><p style="white-space: pre-wrap;">2021년 뉴욕아시아 위크 특별전으로 개최되는 이번 전시는 20세기 후반 미국으로 이주하여 현재까지 활발한 작품 활동을 펼치고 있는 한인 아티스트 50명의 초상이 시대순으로 전시되어 디아스포라 한인 아티스트들의 역사를 통해 한국현대미술사를 한눈에 조명할 수 있도록 기획된 전시이다. </p></div></div><div class="sqs-block image-block sqs-block-image sqs-text-ready" id="block-4cce2de07a1b237d3c13" data-block-type="5"><div class="sqs-block-content" id="yui_3_17_2_1_1616534497257_1170"><div class="
image-block-outer-wrapper
layout-caption-below
design-layout-inline
combination-animation-none
individual-animation-none
individual-text-animation-none
" id="yui_3_17_2_1_1616534497257_1169" data-test="image-block-inline-outer-wrapper"><div class="sqs-block-content"><p style="white-space: pre-wrap;">뉴욕한국문화원(원장 조윤증)은 뉴욕을 기반으로 활동하고 있는 사진작가 박준이 촬영한 재미한인 미술가들의 초상작품을 최초로 선보이는 전시 <creation york="" new="" greater="" in="" diaspora="" artist="" korean="" of="" portraits="" photo="" joon="" park="">을 오는 3월 17일부터 4월 30일까지 2021년 아시아위크 뉴욕(Asia Week New York) 특별전으로 개최한다고 발표하였다. </creation></p><p style="white-space: pre-wrap;">2021년 뉴욕아시아 위크 특별전으로 개최되는 이번 전시는 20세기 후반 미국으로 이주하여 현재까지 활발한 작품 활동을 펼치고 있는 한인 아티스트 50명의 초상이 시대순으로 전시되어 디아스포라 한인 아티스트들의 역사를 통해 한국현대미술사를 한눈에 조명할 수 있도록 기획된 전시이다. </p><p style="white-space: pre-wrap;"><br></p><figcaption class="image-caption-wrapper"><div class="image-caption"><p style="white-space: pre-wrap;"><table width="675" align="left" class="left" id="community_image"><tbody><tr><td><img _width="675" align="absmiddle" src="/rankup_module/rankup_board/attach/performance/16165340072638.jpg" style="width:675px;"></td></tr></tbody></table></p><p style="white-space: pre-wrap;"><br></p><p style="white-space: pre-wrap;"><br></p><p style="white-space: pre-wrap;"><br></p><p style="white-space: pre-wrap;"><br></p><p style="white-space: pre-wrap;"><br></p><p style="white-space: pre-wrap;"><br></p><p style="white-space: pre-wrap;"><br></p><p style="white-space: pre-wrap;"><br></p><p style="white-space: pre-wrap;"><br></p><p style="white-space: pre-wrap;"><br></p><p style="white-space: pre-wrap;"><br></p><p style="white-space: pre-wrap;"><br></p><p style="white-space: pre-wrap;"><br></p><p style="white-space: pre-wrap;"><br></p><p style="white-space: pre-wrap;"><br></p><p style="white-space: pre-wrap;"><br></p><p style="white-space: pre-wrap;"><br></p><p style="white-space: pre-wrap;"><br></p><p style="white-space: pre-wrap;"><br></p><p style="white-space: pre-wrap;"><br></p><p style="white-space: pre-wrap;"><br></p></div></figcaption><p style="white-space: pre-wrap;"><br></p><figcaption class="image-caption-wrapper"><div class="image-caption"><p style="white-space: pre-wrap;"><이번 전시에 소개될 작품 / 위-왼쪽부터 존배, 김차섭, 최일단, 선유(Sun You), 강익중, 김명희, 김원숙, 이가경, 마종일 작가 / 사진작가 박준 촬영></p></div></figcaption><p style="white-space: pre-wrap;"><br></p></div></div></div></div><div class="sqs-block html-block sqs-block-html" id="block-yui_3_17_2_1_1614698188740_20318" data-block-type="2"><div class="sqs-block-content"><p style="white-space: pre-wrap;">‘디아스포라’의 사전적 의미는 ‘흩뿌리다’ 또는 ‘흩어지다’를 뜻하는 그리스어에서 파생한 단어로 세계 각지에서 자신의 문화를 지키며 살아가는 유대인들을 지칭하는 의미에서 최근에는 주류의 기준에서 벗어난 다양한 소수자의 삶과 실천을 포괄하는 담론으로 사용되고 있다. </p><p style="white-space: pre-wrap;">같은 맥락에서 요즘처럼 이동과 이주가 자유롭고 출생지와 주 활동지역이 같지 않아도 전혀 이상할 게 없는 글로벌 시대에 디아스포라, 특히 디아스포라 아티스트라는 범위가 모국이 아닌 곳에 자의적으로 이주한 작가 모두를 포함시키는 보다 확장된 의미로 사용되고 있지만 1950-60년대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뉴욕의 한인 미술가들의 이주와 정착, 활동의 역사를 되새겨 보면 한국인이라는 정체성에 대한 고민이 보다 깊게 담겨 그 의미가 더욱 무겁고 뜻깊게 다가온다. </p><p style="white-space: pre-wrap;"><br></p><p style="white-space: pre-wrap;">사진작가 박준 또한 뉴욕에서 활동하는 디아스포라 작가의 한 사람으로서 세계미술계를 주도하는 뉴욕이라는 도시에서 생존하며 의미 있는 족적을 남기고 있는 재미 한인 아티스트들의 삶과 역사를 정리해야 할 당위성을 느끼고 사진작가인 본인이 할 수 있는 방법으로 그들의 역사를 사진으로 기록하는 뜻깊은 프로젝트를 시작하였다고 한다.</p><p style="white-space: pre-wrap;"><br></p><p style="white-space: pre-wrap;"><table width="675" align="left" class="left" id="community_image"><tbody><tr><td><img _width="675" align="absmiddle" src="/rankup_module/rankup_board/attach/performance/16165338262548.jpg" style="width:675px;"></td></tr></tbody></table></p><p style="white-space: pre-wrap;"><br></p><p style="white-space: pre-wrap;"><br></p><p style="white-space: pre-wrap;"><br></p><p style="white-space: pre-wrap;"><br></p><p style="white-space: pre-wrap;"><br></p><p style="white-space: pre-wrap;"><br></p><p style="white-space: pre-wrap;"><br></p><p style="white-space: pre-wrap;"><br></p><p style="white-space: pre-wrap;"><br></p><p style="white-space: pre-wrap;"><br></p><p style="white-space: pre-wrap;"><br></p><p style="white-space: pre-wrap;"><br></p><p style="white-space: pre-wrap;"><br></p><p style="white-space: pre-wrap;"><br></p><p style="white-space: pre-wrap;"><br></p><p style="white-space: pre-wrap;"><br></p><p style="white-space: pre-wrap;"><br></p><p style="white-space: pre-wrap;"><br></p><p style="white-space: pre-wrap;"><br></p><p style="white-space: pre-wrap;"><br></p><p style="white-space: pre-wrap;"><br></p><p style="white-space: pre-wrap;"><br></p><p style="white-space: pre-wrap;"><br></p></div></div><div class="sqs-block image-block sqs-block-image sqs-text-ready" id="block-yui_3_17_2_1_1614698188740_27483" data-block-type="5"><div class="sqs-block-content" id="yui_3_17_2_1_1616534497257_1188"><div class="
image-block-outer-wrapper
layout-caption-below
design-layout-inline
combination-animation-none
individual-animation-none
individual-text-animation-none
" id="yui_3_17_2_1_1616534497257_1187" data-test="image-block-inline-outer-wrapper"><figure class="
sqs-block-image-figure
intrinsic
" id="yui_3_17_2_1_1616534497257_1186" style="max-width: 1392px;"><figcaption class="image-caption-wrapper"><div class="image-caption"><p style="white-space: pre-wrap;"><사진작가 박준 자화상></p><p style="white-space: pre-wrap;"><br></p></div></figcaption></figure></div></div></div><div class="sqs-block html-block sqs-block-html" id="block-yui_3_17_2_1_1614698188740_29064" data-block-type="2"><div class="sqs-block-content"><p style="white-space: pre-wrap;">박준의 이번 프로젝트가 더욱 특별한 점은 각각의 아티스트들의 모습이 가장 편안하면서도 본인들이 표현하고자 하는 모습이 잘 드러날 수 있도록 모든 촬영을 박준의 스튜디오가 아닌 피사체인 작가들의 작업실이나 거주지에서 진행되었다는 점과 모두 동일한 이동식 백드롭을 사용하여 나이와 성별, 경력 등에 연연하지 않고 오직 ‘인물’ 그 자체에만 초점을 맞추었다는 점이다. 이번 프로젝트는 본인이 원하든 원하지 않던 늘 작품의 이미지와 함께할 수 밖에 없는 숙명을 가진 작가들이 타인의 작품 속에서 오롯이 본인 그 자체로만 존재할 수 있었던 흔치 않은 시간에 대한 기록이며 이를 통해 재미 한인 아티스트들의 역사를 정립할 수 있었다는데서 더 큰 의미를 찾을 수 있다. </p><p style="white-space: pre-wrap;">뉴욕한국문화원 조윤증 원장은 “뉴욕한국문화원은 1979년 설립된 이래 약 40여년 동안 한국문화를 알리는 전초기지로서 뉴욕에 정착한 한인 아티스트들과 함께 성장해 왔다”며 “문화원은 이번 전시를 통해 반세기가 훌쩍 넘는 재미한인 아티스트들의 역사를 되돌아보며 그들과 함께해온 뉴욕한국문화원의 미드타운 460 파크애브뉴 시대를 정리하고 동시에 뉴욕 한인타운 인근 신청사 이전을 앞두고 한인 아티스트들과 함께 새로운 비전과 미래를 준비하는 특별한 계기로 삼고자 한다”고 전시 개최 소감을 밝혔다. </p><p style="white-space: pre-wrap;">뉴욕한국문화원은 코비드-19 사태에 따른 언택트 행사 방침에 따라서 3월 17일 오후 6시 온라인으로 전시 개막 행사를 개최할 계획이다. 이날 행사에는 전시장을 방문할 수 없는 아쉬움을 달래기 위해 전시장 모습을 촬영한 영상이 공개될 예정이며 뉴욕문화원 조희성 큐레이터와 공동으로 전시를 기획한 독립큐레이터 아이리스 문인희, 사진작가 박준을 비롯하여 세대별 대표 아티스트들과 함께하는 토크 프로그램도 마련되어 있다. </p><p style="white-space: pre-wrap;">이번 전시는 2021년 3월 17일부터 4월 30일까지 뉴욕한국문화원 갤러리 코리아에서 개최되며 뉴욕문화원은 온라인 사전예약제를 통해 관람시간 별 입장 인원을 제한하여 사회적 거리두기를 준수하고 마스크 착용 점검 및 발열검사 등 사전 안전 조치를 철저히 한다는 방침이다. 뉴욕문화원은 여전히 방문을 꺼리게 되는 관람객들을 위해 집에서도 생생하게 전시를 관람할 수 있도록 ‘버추얼 갤러리’ 컨텐츠를 제작‧제공할 예정이다. </p></div><br></div></font><p></p></span><p></p></font><p></p></span><p></p></font><p></p></font><p></p></font><p></p></span><p></p></font><p></p></span><p></p></font><p></p><p><font color="#000000" face="돋움"><span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font size="3"><span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font color="#000000"><font size="3"><font color="#000000"><span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font size="3"><span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font color="#000000" size="3"><br></font></span></font></span></font></font></font></span></font></span></font></p><p><font color="#000000" face="돋움"><span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font size="3"><span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font color="#000000"><font size="3"><font color="#000000"><span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font size="3"><span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font color="#000000" size="3"><br></font></span></font></span></font></font></font></span></font></span></font></p><p><font color="#000000" face="돋움"><span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font size="3"><span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font color="#000000"><font size="3"><font color="#000000"><span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font size="3"><span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font color="#000000" size="3">[ⓒ 뉴욕<a><a><a><a><a><a>코리아<a><a><a><a><a><a><a><a>(</a></font><a><a><a><a><a><a><a><a><a><a><a><a><a><a></a><a style="color: rgb(53, 53, 53); text-decoration: none;" href="http://www.lakorea.net/" target="_blank"><a><a><a><a><a><a><a><a></a><font color="#000000" size="3"><a><a><a><a><a><a><a><a><a><a><a><a><a><a></a><a href="http://www.newyorkkorea.net">www.newyorkkorea.net</a></font><font color="#000000"><font size="3"><font color="#000000">),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font></font></font></span></font></span></font></font></font></span></font></span></font></p>
번호
공지
275
274
273
272
271
270
269
268
267
266
265
264
263
262
261
260
259
258
257
☞
255
254
253
252
251
250
249
248
247
회원정보
닉네임
NYCulture (_admin_)
가입일
2008-07-23
등급
운영자 (1)
활동
포인트 : 0 점
게시물 작성수 : 0 개
댓글 작성수 : 개
쪽지보내기
게시물 신고하기
게시판 성격에 맞지 않거나 불건전한 게시물을 운영자에게 신고할 수 있습니다.
운영자 확인 후 해당글 삭제조치 및 해당 회원에게 불이익이 갈 수 있습니다.
허위신고시에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니 신중하게 신고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