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코리아    SF    Boston    Washington D.C    Chicago    Atlanta    Canada
NewsLife InfoRealtySell & BuyJobsHealthCultureFood/TourIssueYellowPageShopping
회원가입 아이디/비밀번호찾기
Culture
USA CULTURE
USA 전시소식
USA 공연소식
USA 문화예술뉴스
KOREA 전시소식
USA 문화포커스뉴스
미국영화소식
공모/컨테스트 공지
문학뉴스
추천베스트 신간도서
인기신간도서
새 음악/음반/벨소리
중견초대작가 뉴욕갤러리
Fine Art
photography
Digital Art
전문가초대칼럼
[뉴욕코리아]<아침의 시>
[poem]English Poem
정다운 우리가곡
멀티미디어 영상작품
전문가칼럼/기고
전문가 칼럼
공연.전시행사모습
USA예술문화행사포토
USA 유명갤러리탐방
USA유명갤러리 탐방
티켓알아보기
티켓예매처 바로가기
 
 

   

   

    

회원정보
닉네임
가입일 2008-07-23
등급 운영자 (1)
활동
포인트 : 0
게시물 작성수 : 0
댓글 작성수 : 0
쪽지보내기
받을아이디
제목
내용
(0/200바이트)
 
> Culture > USA CULTURE > 인기신간도서
인기신간도서
門 열면 밝은 세상- 통융스님 시집 (포엠포엠)
작성자: 뉴욕코리아 조회: 4009 등록일: 2019-08-08



門 열면 밝은 세상- 통융스님 시집 (포엠포엠)























































포엠포엠Books 012

열면 밝은 세상

 

통융 시집 (筩融, Tong yung)

 

나는 일찍부터 존재에 대한 의문을 많이 가졌다. 덕분에 동서양의 철학과 종교학, 인도의 베다와 많은 정신적 수행자들의 가르침과 소리에 귀를 열고 기웃거렸으나 나의 존재에 대한 의문이 해결되지 않았다. 그런데 침묵의 성자로 잘 알려진 바가반 슈리 라나마 마하리쉬(1879-1950)나는 누구인가책을 만나면서 나의 존재에 대한 의문이 풀리기 시작 했다. -자서에서

 

----------------------------------------------------------------------------

포엠포엠 출판사 소개 글

통융스님 시집 <열면 밝은 세상>

 

[여백의 미를 갖춘 수묵화를 보듯, 절제의 미학]

 

세상을 바라보는 눈높이와 마음의 경계를 늘 아래로 하심 하는 본분을 잃지 않으려고 노력하는 수행자로써 저자의 심성은 <문 열면 밝은 세상이 된다> 시집 속에 감추어져있다. 시를 발표하고 활동한지 30년 만에 첫 시집을 상제하게 된 통융스님은 언어가 갖는 최소한의 표현으로 먹과 화선지가 갖는 여백의 미를 갖춘 수묵화를 보듯, 절제의 미학을 전달하고 있다.

단순한 의사 전달의 수단으로 가장 자연스러운 진리를 느끼게 하고 싶은 것이 시작(詩作)의도일 것이다. 화려한 장식이나 치장은 없다. 다만 순순한 언어의 뿌리를 살리려한 노력으로 묶은 통융스님의 시집은 우리 마음 깊은 곳에서 위안의 파문을 일으킨다. -출판사 소개 글

 

--------------------------------------------------------------------------

 

열면 밝은 세상

 

통융 시집

 

목차

 

지금 나는 여기에 · 7

 

 

 

23 · 序文서문

24 · 강자갈

25 ·

26 · 그림자

27 ·

28 · 대나무

29 · 벼랑 위 솔나무여!

30 · 외도外道

31 · 안개

32 · 장례식

33 ·

34 · 길손

35 · 법문

36 · 세월

37 · 석류

38 · 전생前生

39 · 빈산달空山月

40 · 차꽃

41 · 똥파리

42 · 죽비竹雨

43 · 소소영영紹紹靈靈

44 · 늙은 밤老夜

45 · 오월 장미

46 · 화엄장경華嚴場景

47 · 봄달과 목련

48 · 모기에게

49 · 매미에게

50 · 아직 살아 있네

51 · 홍수

52 ·

53 · 가을밤

54 · 見性견성

55 · 사티sati

56 · 나비의 독백

57 · 장작

58 · 雨水우수에 눈보라가 치니 생떽쥐 뻬리의 기다리는 행복이 생각나

59 ·

60 · ! 어둠이 화를....

 

 

 

63 · 마음 길이 끊어진 곳心路 斷處

64 · 無我무아 와 空我공아

65 · 슬픔

66 · 숨이 칼이다

67 · 한 소식

68 · 聖職성직

69 ·

70 · ..

71 · 나도

72 ·

73 · 歸性귀성

74 · 너더러 나더러

75 · 禪食선식

76 · 열면 밝은 世上

77 · ! !

78 · 이 세상에 태어나서 가장 수지맞는 일

79 · 이 별에 왔다 가면서

80 · 무비공無鼻空

81 · 지금 온 세상이 불타고 있는데 그대는 어떻게 살아날 것인가?

82 · 中道중도

83 ·

 

 

 

87 · 다보탑

88 · 시를 쓰는 섬진강

89 · 壽無殿量수무전량

90 · 춘풍납자春風衲子

91 · 古佛梅고불매

92 · 귀거래화歸去來畵

93 · 료안지龍安寺

94 · 방장方丈

95 · 금각사金覺寺

96 · 눈먼 황소와 미련한 소

97 ·

98 · 낭산狼山 선덕여왕님께 보내는 편지

99 · 삼소굴三笑窟

100 · 般若頌반야송

 

 

선종禪宗의 무문관無門關

 

105 · 1 칙 조주구자(趙州狗子) /

106 · 2 칙 백장야호(百丈野狐) / 여행자여

107 · 3 칙 구지수지(俱胝竪指) / 손가락을 보지 말고 달을 봐라

108 · 4 칙 호자무수(胡子無鬚) / 만질 수도 볼 수도 없는 마음을 어떻게 깨끗하게 씻지

109 · 5 칙 향엄상수(香嚴上樹) /

110 · 6 칙 세존염화(世尊拈花) / 봤소 홍매소식

111 · 7 칙 조주세발(趙州洗鉢) / 숟가락

112 · 8 칙 해중조차(奚仲造車) / 연기緣起

113 · 9 칙 대통지승(大通智勝) / 갈대의 빙선冰禪

114 · 10칙 청세고빈(淸稅孤貧) / 속지마라

115 · 11칙 주감암주(州勘庵主) / 허공에 도장 찍는 소식

116 · 12칙 암환주인(巖喚主人) / 허수아비와 참새

117 · 13칙 덕산탁발(德山托鉢) / 하늘 귀

118 · 14칙 남전참묘(南泉斬猫) / 한심閒心

119 · 15칙 동산삼돈(洞山三頓) / 3번국도國道

120 · 16칙 종선칠조(鐘聲七條) / ~~~

121 · 17칙 국사삼환(國師三喚) / 개의 悟道오도

122 · 18칙 동산삼근(洞山三斤) /

123 · 19칙 평삼시도(平常是道) / 평상심平常心

124 · 20칙 대역량인(大力量人) /

125 · 21칙 운문시궐(雲門屎橛) / 당신의 똥에는 장미꽃 향내가 납니다

126 · 22칙 가섭찰간(迦葉刹竿) / 그대가 없는 그대여

127 · 23칙 불사선악(不思善惡) /

128 · 24칙 이각어언 (離脚語言) / 농촌곡農村曲

129 · 25칙 삼좌설법(三座說法) /

130 · 26칙 이승권렴(二僧卷簾) / 견지見知

131 · 27칙 부시심불(不是心佛) / 눈 푸른 납자衲子

132 · 28칙 구향용담(久響龍潭) / 불경火經

133 · 29칙 비풍비번(非風非幡) / 팔월 달밤에 감나무 그림자가 흔들린다

134 · 30칙 즉심즉불(卽心卽佛) / !

135 · 31칙 조주감파(趙州勘婆) / 보소, 이 장꾼들아

136 · 32칙 외도문불(外道問佛) / 세상에 좋은 말은 채찍의 그림자만 봐도 달리는 것과 같다

137 · 33칙 비심비불(非心非佛) / 비심비불非心非佛

138 · 34칙 지부시도(智不是道) / 거짓말

139 · 35칙 천녀이혼(倩女離魂) / 눈이 눈을 보다

140 · 36칙 노봉달도(路逢達道) / 오행인五行人

141 · 37칙 정전백수(庭前柏樹) / 산은 산 물은 물

142 · 38칙 우과창령(牛過窓櫺) / 윤회輪廻

143 · 39칙 운문화타(雲門話墮) / 사랑

144 · 40칙 약도정병(躍倒淨甁) / 내가 누구인가?

145 · 41칙 달마안심(達磨安心) / 묵언黙言

146 · 42칙 여자출정(女子出定) / 손가락 하나一指

147 · 43칙 수산죽비(首山竹篦) / 진리의 말씀

148 · 44칙 파초주장(芭蕉柱杖) / !은 몇 근인가?

149 · 45칙 타시옥수(他是何誰) / 눈사람

150 · 46칙 간두진보(竿頭進步) / 하루살이

151 · 47칙 도솔삼관(兜率三關) / 진실

152 · 48칙 건봉일로(乾峯一路) /

 

 

막사발의 노래

155 · 1. 흙의 역사

156 · 2. 불의 노래

157 · 3. 사발의 미소

158 · 4. 차 한잔 듣게

159 ·

160 · 첨성대는 풍장대이다 風葬臺

161 · 부처님 꽃상여 불 질러 놓고

162 · 귀명歸命

163 · 봄비, 죽비竹扉를 쳐라

164 · 朱木주목

165 · 허공에 쓰는 글花紋

166 · 생불 -다리 여덟 소-

167 · 생불18 -독존자태-

168 · 개밥그릇

169 · 무원無願

170 · 不以佛불이불

171 · 속도가 살생殺生을 한다

172 · 달 길

173 · 鼻塚비총

174 · 天蓮花천연화

 

<덧말>

179 · 달을 가리키는 손가락을 보지 말고 달을 보자!

 





 

[ⓒ 뉴욕코리아(www.newyorkkorea.net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인쇄
트위터 트위터 페이스북 페이스북
댓글 : 0
회원정보
닉네임 뉴욕코리아 (_admin_)
가입일 2008-07-23
등급 운영자 (1)
활동
포인트 : 0
게시물 작성수 : 0
댓글 작성수 : 0
쪽지보내기
닉네임 뉴욕코리아 (_admin_)
제목
내용
(0/200바이트)
게시물 신고하기
게시판 성격에 맞지 않거나 불건전한 게시물을 운영자에게 신고할 수 있습니다.
운영자 확인 후 해당글 삭제조치 및 해당 회원에게 불이익이 갈 수 있습니다.
허위신고시에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니 신중하게 신고해주세요.
글 제목 門 열면 밝은 세상- 통융스님 시...
글 작성자 뉴욕코리아
신고이유
회사소개 | 개인정보취급방침 | 회원약관 | 고객지원센터 | 제휴 및 광고문의 | 광고안내   
 

 

Contact Us : 고객문의센터, Tel: 대표 201-674-5611

E-mail: newyorkkorea77@gmail.com, newyorkkorea@naver.com, 빠른카톡상담ID : newyorkkorea 

미국최대 대표포털 뉴욕코리아는 미국법률변호사고문 및 미국저작권법의 보호를 받고 있으며, 컨텐츠 및 기사의 무단 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  

Copyright (c) New York Korea, INC. News Media Group in US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