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퀴는 달의 외곡으로 굴렀다 -도복희 시집
(시산맥 시혼)
[추천글]
도복희
시인의 두 번째 시집 『바퀴는
달의 외곽으로 굴렀다』는
결코 채워지지 않을 사랑을 찾아 떠나는 항해사의 외로운 여행기 같다.
다만
선원의 방향키는 나침반을 따라 사방(四方-동서남북)을
전진하지만,
시인이
향하는 방향은 “달의
외곽”(「바퀴는
달의 외곽으로 굴렀다」)처럼
중심의 바깥을 향하고 있는 특징을 보인다.
특히
내 쪽에서가 아닌 ‘당신’(대상)을
향해 바라보고 지칭되는 ‘서쪽’
그러니까
‘오른쪽’의
방향은 시인이 향하고 있는 결핍의 방향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다른
듯 같은 ‘오른쪽’과
‘서쪽’은
시인이 품은 사랑에 대한 ‘부채(負債)’에서
형성된 그리움의 방향으로 여겨진다.
-
중략
-
돌이켜보면
첫 시집 『그녀의
사막』
에서도
도복희 시인은 이미 방향을 잃은 ‘바람’에게
마음을 둔 적이 있었다.
시인은
“바람을
쏟아내는 나뭇가지”(이하
「시인의
말」)와
“어디에도
정착하지 않는 바람”과
“익숙한
풍경”에
부는 “바람”을
자주 돌아보며,
종국에는
“널
위해 살아갈 것”이라
고백한 바 있다.
그러나
이번 시집은 이와는 달리 ‘떠나는
자의 외로움’이
감정의 속도에 따라 그리움의 방향을 결정짓는 특색을 보여준다.
『바퀴는
달의 외곽으로 굴렀다』를
여는 첫 시가 「서쪽」인
것은 그러므로 우연이 아닌 것 같다.
-
전해수(문학평론가)
[저자]
도복희
충남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졸업
한남대학교
사회문화대학원 문예창작학과 졸업
2011년
문학사상 등단
2018년
시집『그녀의
사막』출간
옥천향수신문사
기자
[판권]
시산맥
시혼시선 002
초판
1쇄
발행∣2020년
03월
25일
지
은 이∣도복희
펴
낸 이∣문정영
펴
낸 곳∣시산맥사
편집위원∣강경희
박성현 전철희 한용국
등록번호∣제300-2013-12호
등록일자∣09년
4월
15일
주
소∣03131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길
36.
월드오피스텔
1102호
전
화∣02-764-8722,
010-8894-8722
전자우편∣poemmtss@hanmail.net
시산맥카페∣http://cafe.daum.net/poemmtss
ISBN
979-11-6243-104-7 (03810)
값
10,000원
*
이
책은 전부 또는 일부 내용을 재사용하려면 반드시 저작권자와 시산맥사의 동의를 받아야 합니다.
*
이
도서의 국립중앙도서관 출판시도서목록(CIP)은
서지정보유통지원시스템 홈페이지(http://seoji.nl.go.kr)와
국가자료공동목록시스템(http://www.nl.go.kr/kolisnet)에서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CIP제어번호
:
CIP2020011482)
[목차]
1부
서쪽
_
019
관찰자
_
020
화가의
방식 _
022
눈이
내렸고 장례미사가 있었다 _
023
거실에서
잠들다 _
024
우리가
만나는 이유 _
026
꽃들은
힘이 세다 _
027
일요일
_
028
굳이
이유를 말하라고 한다면 _
029
다알리아
_
030
벤자민의
시각 _
032
서정시가
사라진 밤 _
034
저녁
무렵 9
_ 036
2부
식물성
기분 _
041
꿈을
아침밥 대신 퍼먹고 _
042
비에
대한 감정 _
044
아프다는
건 말이지 _
046
도마뱀이
꼬리를 자르듯이 _
048
은밀한
문신 _
049
그림의
안쪽 _
050
버찌나무
_
052
빨래가
마르는 오후 _
054
탈골
_
055
서각
_
056
구름
인간 _
058
늙은
개가 짖는 마을 _
059
자정
_
060
3부
익사의
한때 _
065
단편소설처럼
_
066
바퀴는
달의 외곽으로 굴렀다 _
068
어떤
순간 _
070
눈사람
_
072
나와
상관없이 바람이 불었다 _
074
빌린
얼굴 _
076
정물의
발견 _
078
칸쿤
_
079
훔치다
_
080
천둥치는
오후 세 시 _
082
기류
_
084
한밤의
전화 _
086
4부
일요일은
새들조차 날개를 펴지 않는다 _
091
해독의
방법 _
092
노랑나비가
살던 집 _
094
햇빛
아래 풍경들은 전생에도 있었다 _
096
열네
개의 작별인사 _
098
에릭베넷의
‘My
prayer’ 를
듣는 자세 _
100
새벽이
새소리로 시작한다는 것을 너는 안다고 했다
_
102
화실의
주인은 돌아오지 않고 _
104
필름이
흡수한 것들 _
106
몸의
말 _
108
왜
나의 오른쪽으로 사라졌는지 _
110
가을
뱀처럼 _
112
■
해설
|
전해수(문학평론가)
_ 114
[ⓒ 뉴욕코리아(www.newyorkkorea.net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